KR100982217B1 -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217B1
KR100982217B1 KR1020080080479A KR20080080479A KR100982217B1 KR 100982217 B1 KR100982217 B1 KR 100982217B1 KR 1020080080479 A KR1020080080479 A KR 1020080080479A KR 20080080479 A KR20080080479 A KR 20080080479A KR 100982217 B1 KR100982217 B1 KR 10098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flange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844A (ko
Inventor
김봉한
Original Assignee
(주)삼금
주식회사 봉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금, 주식회사 봉일금속 filed Critical (주)삼금
Priority to KR102008008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2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6Connecting tubes to tube-like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 파이프의 중간에 형성된 플랜지가 접속 소켓 내부의 시트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속 소켓 내부의 환상의 돌출편을 가압하여 돌출편이 플랜지를 압착/매몰토록 하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방법은 소정길이로 절단된 접속 파이프의 도중에 플랜지를 형성하므로서 플랜지의 일측은 호스끼움 파이프로, 플랜지의 타측은 니플 파이프가 되도록 성형하는 공정과; 대직경을 갖는 일측의 제1구멍과 그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상기 니플 파이프를 기밀하게 끼워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는 타측의 제2구멍이 동축선상에서 서로 연통되는 2단 직경구조의 접속 소켓에 상기 제1구멍보다는 작고 제2구멍보다는 큰 직경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구멍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시트면을 갖는 제3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3구멍이 형성된 접속 소켓에 제1구멍과 외경이 갖고 제3구멍보다 내경이 큰 환상의 원주홈을 제3구멍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하여 환상의 돌출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접속 파이프의 니플 파이프를 상기 접속 소켓의 제1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가 시트면에 걸리도록 상기 니플 파이프를 상기 제2구멍을 통해 상기 접속 소켓의 외부로 인출시켜 조립하는 공정; 및 상기 플랜지가 시트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환상의 돌출편을 내측으로 오무려붙여 상기 플랜지를 덮어씌워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고압호스, 소켓, 파이프, 접속구조.

Description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Pipe Assembly for High Pressure Conn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 파이프의 중간에 형성된 플랜지가 접속 소켓 내부의 시트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속 소켓 내부의 환상의 돌출편을 가압하여 돌출편이 플랜지를 압착/매몰토록 함으로써 접속 소켓과 접속 파이프를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압호스의 사용 예로서 차량의 제동장치인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중 감속과 주차시 차량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주브레이크인 풋브레이크는 유압식으로 구성된다.
유압식 브레이크장치의 구조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하여 마스터실린더에서 고압의 유압이 발생하고, 그 유압을 받아 각 차륜에 설치된 디스크 또는 드럼을 브레이크 패드 또는 브레이크 슈가 밀어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고압의 유압은 고압호스를 통해 이송되는데, 차량에 장착된 다른 부품 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유압을 분기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압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소켓과 구부린 형태의 파이프로 구성된 파이프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고압호스의 설치 예시도로서, 파이프 어셈블리(200)의 접속 소켓(10a,10b)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일측 단부는 원통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접속 소켓(10a,10b)의 작은 직경을 갖는 일측 단부에는 접속 소켓(10a,10b)의 외부로 니플 파이프(20a,20b)가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접속 소켓(10a,10b)의 원통 내부로 동심을 이루도록 삽입되어 상기 니플 파이프(20a,20b)에 접속되도록 호스끼움 파이프(30a,30b)가 브레이징(Brazing) 용접(도면에서 검게 표시된 부분이 브레이징 용접 부위이다)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브레이징 용접은 접속 소켓(10a,10b)의 일측 단부에 니플 파이프(20a,20b)와 호스끼움 파이프(30a,30b)를 끼워 붙여 밀착한 상태에서 끼워 붙인 부위에 구리선을 감고 고온의 로(爐)속에 넣어 구리선을 녹이면서 녹은 구리가 밀착된 부위의 틈새를 메우도록 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상기 접속 소켓(10a,10b)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호스끼움 파이프(30a,30b)의 외측으로 고압의 플렉시블한 고압호스(40a,40b)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 소켓(10a,10b)을 외주에서 눌러 붙여 고압호스(40a,40b)가 접속 소켓(10a,10b) 내측과 호스끼움 파이프(30a,30b)의 외측에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니플 파이프(20a,20b) 사이의 분기 소켓(50)은 양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니플 파이프(20a,20b)는 분기 소켓(50)의 개방된 양측 부위에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하측의 니플 파이프(20c)는 분기 소켓(50)의 개방된 하측 부위에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니플 파이프(20a,20b)는 차량에 장착된 다른 부품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고압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주변 상황에 맞추어 구부러진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한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파이프((20a,20b,20c),(30a,30b))와 소켓((10a,10b),50)을 접합하는 것은 가스나 열에 의해 환경 오염의 문제가 있고 고온의 열에 의해 소재가 변경되거나 약해질 우려가 있으며, 용접후에 기밀검사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작업이 불편하고 공정이 많아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국내등록 10-777244호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2단 직경 파이프 구조의 오일 노즐의 제작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한 특허에 의해 접속 소켓(10a,10b)과 니플 파이프(20a,20b)를 단조 금형 장치만을 사용하여 일련의 연속되는 단조 작업을 통해 일체로 제작할 수 있지만, 고압호스(40a,40b)가 외삽되는 호스끼움 파이프(30a,30b)는 여전히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접속 소켓(10a,10b)에 접합해야 하므로 상기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니플 파이프(20a,20b)의 길이가 길게 요구되는 경우에 단조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스 펀치로 압출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속 파이프의 중간에 형성된 플랜지가 접속 소켓 내부의 시트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속 소켓 내부의 환상의 돌출편을 가압하여 돌출편이 플랜지를 압착/매몰토록 함으로써 접속 소켓과 접속 파이프를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브레이징 용접 작업 및 기밀 검사 작업이 생략되어 제작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호스끼움 파이프와 니플 파이프가 단일 몸체를 형성하여 용접에 의한 연결 작업이 필용 없을 뿐만 아니라, 니플 파이프의 길이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제작할 수 있는 설치의 자유도가 크게 개선된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제작방법은, 대직경을 갖는 일측의 제1구멍과 그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상기 니플 파이프를 기밀하게 끼워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는 타측의 제2구멍이 동축선상에서 서로 연통되는 2단 직경구조의 접속 소켓에 상기 제1구멍보다는 작고 제2구멍보다는 큰 직경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구멍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시트면을 갖는 제3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3구멍이 형성된 접속 소켓에 제1구멍과 외경이 갖고 제3구멍보다 내경이 큰 환상의 원주홈을 제3구멍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하여 환상의 돌출편을 형성 하는 공정과;
상기 접속 파이프의 니플 파이프를 상기 접속 소켓의 제1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가 시트면에 걸리도록 상기 니플 파이프를 상기 제2구멍을 통해 상기 접속 소켓의 외부로 인출시켜 조립하는 공정; 및
상기 플랜지가 시트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환상의 돌출편을 내측으로 오무려붙여 상기 플랜지를 덮어씌워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플랜지를 기준으로 일측의 호스끼움 파이프와 타측의 니플 파이프가 단일체로 형성되는 접속 파이프와, 상기 접속 파이프를 끼워 수용하는 접속 소켓 및 상기 접속 파이프의 플랜지를 상기 접속 소켓 내부에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속 소켓은 일측의 제1구멍과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상기 니플 파이프를 기밀하게 끼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타측의 제2구멍이 동축선상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으며, 또 상기 제1구멍보다 작고 상기 제2구멍보다 큰 제3구멍이 제1 및 제2구멍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플 파이프가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구멍을 관통하여 접속 소켓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3구멍에 형성된 시트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접속 소켓의 소재를 영구 변형시켜 플랜지 부위를 감싸 고정시키게 되므로써 상기 접속 파이프가 상시 접속 소켓에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호스끼움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고압호스를 외삽 시키고 상기 접속 소켓을 압착하므로써 고압호스를 접속하였을 때 파이프 어셈블리의 밀봉력을 확보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접속 소켓과 접속 파이프를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브레이징 용접 작업 및 용접 검사 작업이 생략되어 제작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호스끼움 파이프와 니플 파이프가 일체로 되고 니플 파이프의 길이에 상관없이 제품의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황속에서 호스 접속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접속 파이프의 제작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매우 긴 모재 파이프(1)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절단한 접속 파이프(2)를 연마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선반척에 물려 날카로운 끝단 모서리를 모따기 하는 면취 가공을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파이프(2)를 플랜지(3) 성형을 위한 상하 분리된 금형(100a,100b)으로 양측에서 물고 금형(100a,100b)을 내측으로 가압하면 금형(100a,100b) 사이의 접속 파이프(2) 부위가 접혀지는 변형이 일어나 축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도 2c에서와 같이 접속 파이프(2)에 주름 형태의 플랜지(3) 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 파이프(2)는 플랜지(2)를 기준으로 짧은 길이의 좌측은 호스끼움 파이프(4)가 되고 긴 길이의 우측은 니플 파이프(5)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호스끼움 파이프(4)와 니플 파이프(5)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끼움 파이프(4)를 외부에서 요철(凹凸)모양으로 된 금형(101)으로 누르면 도 2d에서와 같이 호스끼움 파이프(4)의 외주면에 요철부(6)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6)에 의해 고압호스가 외삽되는 경우에 고압호스가 빠지지 않고 또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요철부(6)는 도 2d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모재 파이프(1)를 절단하고 양측에서 가압하여 플랜지(3)를 기준으로 호스끼움 파이프(4)와 니플 파이프(5)가 일체로 형성된 접속 파이프(2)가 제조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접속 소켓의 제작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10-777244호)에 의한 단조 작업으로 접속 소켓(7)을 제조하여 도 3a와 같은 대직경(추후 접속될 고압호스의 외경을 수용하는 크기임)을 갖는 제1구멍(7a)과 소직경(상기 니플 파이프를 기밀하게 끼워 수용하는 크기의 내경임)을 갖는 제2구멍(7b)이 서로 연통되어 2단 직경을 갖 는 접속 소켓(7)을 제조하게 되며, 이 접속소켓(7)은 단조 뿐만 아니라 선반 가공작업을 통해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조된 접속 소켓(7)을 도 3b와 같이 제1구멍(7a)보다는 작고 제2구멍(7b)보다는 큰 제3구멍(7c) 성형 공정을 위한 금형(110)으로 이동시켜 그 금형의 삽입구멍(121)에 삽입시키고 그 삽입구멍(121)의 일측에 이젝터 파이프(112)와 제3구멍 형성용 핀(113)을 끼워 장착한다.
상기한 이젝터 파이프(112)는 그의 외경이 삽입구멍(111)과 같고 그 선단의 외경(112a)은 제1구멍(7a)의 직경과 같으며, 이젝터 파이프(112) 내경(114)에는 제3구멍(7c)의 직경을 외경으로 가지는 제3구멍 형성용 핀(113)을 기밀하게 끼워 삽입하되, 그 제3구멍 형성용 핀(113)의 선단(113a)이 이젝터 파이프(112)의 선단(112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구멍(7a)과의 사이에 환상의 공간(119)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젝터 파이프(112)와 제3구멍 형성용 핀(113)의 후단은 지지블럭(116,117)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구멍 형성용 핀(113)의 선단(113a) 끝부분은 경사지게 이루어져 제3접속 파이프(2)의 플랜지(3)가 장치되는 소켓(7)의 시트면(7d) 형성에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펀치(118)를 사용하여 소켓(7)에 압출력을 가하여 압출하면 소켓(7)의 금속소재가 환상의 공간(119)으로 밀려들면서 제1구멍(7a)보다 작고 제2구멍(7b)보다 큰 제3구멍(7c)이 점차 형성되어 이젝터 파이프(112) 선단(112a)까지 금속살이 차면 시트면(7d)을 가진 제3구멍(7c)의 성형 작업이 끝나게 된다.
제3구멍(7c)의 성형 공정이 끝나면 프레스 펀치(118)를 후퇴시키고 이젝터 파이프(112)를 전진시켜 소켓(7)을 금형(110)으로 부터 탈거시킨다.
이후 제3구멍(7c)이 형성된 소켓(7)은 돌출편 성형 공정을 위한 금형(120)으로 이동시켜 그 금형(120)의 삽입구멍(121)에 삽입시키고 그 삽입구멍(121)의 일측에 이젝터 파이프(122)와, 제3구멍 지지용 핀(123) 및 원주홈 형성용 핀(124)을 끼워 장착한다.
상기한 이젝터 파이프(122)는 그의 외경이 원주홈 형성용 핀(124)의 내경과 같으며, 그 이젝터 파이프(122)의 내경에는 제3구멍(7c)의 직경을 외경으로 가지는 제3구멍 지지용 핀(123)을 기밀하게 끼워 삽입하고, 이젝터 파이프(122)의 외경에는 제1구멍(7a)의 직경을 외경으로 가지는 원주홈 형성용 핀(124)이 삽입된다.
이때 원주홈 형성용 핀(124)의 내경은 제3구멍(7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3구멍 지지용 핀(123)과 원주홈 형성용 핀(124)의 선단이 이젝터 파이프(12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구멍(7a)과의 사이에 환상의 공간(129)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젝터 파이프(122)와 핀(123,124)의 후단은 지지블럭(126,127)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펀치(128)를 사용하여 소켓(7)에 압출력을 가하여 압출하면 소켓(7)의 금속소재가 환상의 공간(129)으로 밀려들면서 원주홈(7f)이 제3구멍(7c)의 깊이보다 얕게 성형됨과 동시에 환상의 돌출편(7e)이 성형된다.
상기 돌출편(7e)은 추후 영구 변형에 의해 상기 플랜지(3)를 덮어씌워 고정 하는 고정수단(7g)이 되며, 상기 돌출편(7e)의 성형 공정이 끝나면 프레스 펀치(128)를 후퇴시키고 이젝터 파이프(122)를 전진시켜 소켓(7)을 금형(120)으로부터 탈거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소켓과 파이프의 접속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공정으로 접속 파이프(2)가 성형되고 도 3의 공정으로 접속 소켓(7)이 성형된 후 접속 소켓(7)의 제1구멍(7a)이 형성된 측으로 니플 파이프(5)를 삽입하여 반대측의 제1구멍(7a)으로 빼내면, 플랜지(3)가 제3구멍(7c)에 형성된 시트면(7d)에 걸리게 되고 호스끼움 파이프(4)는 제1구멍(7a)에 동심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 파이프(2)와 접속 소켓(7)이 조립된 상태에서 접속 공정을 위한 금형(130)에 이동시켜 그 금형(130)의 삽입구멍(131)에 삽입시키고 그 삽입구멍(131)의 일측에 이젝터 파이프(132)와 플랜지 매몰용 핀(133)을 끼워 장착한다.
상기한 이젝터 파이프(132)는 그의 외경이 삽입구멍(131)과 같으며, 그의 내경에는 플랜지 매몰용 핀(133)을 기밀하게 끼워 삽입하되, 상기 플랜지 매몰용 핀(133)의 선단이 이젝터 파이프(132)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플랜지 매몰용 핀(133)의 선단 외측 테두리에는 환상의 돌출편(7e)이 외측의 원주홈(7f)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주홈(7f)에 삽입되는 지지돌기(13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젝터 파이프(132)와 플랜지 매몰용 핀(133)의 후단은 지지블럭(136,137)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플랜지 매몰용 핀(133)과 프레스 펀 치(138)에는 길이방향으로 니플 파이프(5)와 호스끼움 파이프(4)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33a)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펀치(138)를 사용하여 소켓(7)에 압출력을 가하여 압출하면 플랜지 매몰용 핀(133)의 지지돌기(133b)가 소켓(7)의 원주홈(7f)에 삽입되면서 그 선단부가 돌출편(7e)에 접촉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압력을 가하게 되면 환상의 돌출편(7e)이 내측인 제3구멍(7c)쪽으로 무너지면서 제3구멍(7c)을 메우도록 소재의 영구변형이 일어나 플랜지(3)가 매몰됨과 동시에 플랜지 부위(3)가 압착/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접속 공정이 끝나면 프레스 펀치(138)를 후퇴시키고 이젝터 파이프(132)를 전진시켜 접속 소켓(7)과 접속 파이프(2)를 금형(130)으로 부터 탈거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어셈블리(200)는 플랜지(3)를 기준으로 호스끼움 파이프(4)와 니플 파이프(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3) 부위가 소켓(7)의 제3구멍(7c)에 형성된 시트면(7d)에 걸린 채 제3구멍(7c)이 메워지면서 플랜지(3) 부위가 돌출편(7e)의 영구 변형에 의해 생성된 고정수단(7g)에 의해 매몰 압착된다.
상기 호스끼움 파이프(4)는 접속 소켓(7)의 제1구멍(7a)내에 동심으로 위치되고 외주면에 요철부(6)가 형성되며 니플 파이프(5)는 제2구멍(7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하에서 도 1과 같이 고압호스(40a)를 제1구멍(7a)에 끼우고(이때 호 스끼움 파이프(4)는 고압호스(40a) 내경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접속 소켓(7)의 외주를 강하게 프레싱하면, 고압호스(40a)가 호스끼움 파이프(4)의 외주에 견고하면서도 기밀이 유지되게 장착되어 큰 힘이나 고압이 작용하여도 빠지지 않고 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접속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압호스의 설치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접속 파이프의 제작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접속 소켓의 제작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소켓과 파이프의 접속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접속 파이프 3: 플랜지
4: 호스끼움 파이프 5: 니플 파이프
6: 요철부 7: 접속 소켓
7a,7b,7c: 구멍 7d: 시트면
7e: 돌출편 7f: 원주홈

Claims (3)

  1. 소정길이로 절단된 접속 파이프의 도중에 플랜지를 형성하므로서 플랜지의 일측은 호스끼움 파이프가, 플랜지의 타측은 니플 파이프가 되도록 성형하는 공정과;
    대직경을 갖는 일측의 제1구멍과 그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상기 니플 파이프를 기밀하게 끼워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는 타측의 제2구멍이 동축선상에서 서로 연통되는 2단 직경구조의 접속 소켓에 상기 제1구멍보다는 작고 제2구멍보다는 큰 직경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구멍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시트면을 갖는 제3구멍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3구멍이 형성된 접속 소켓에 제1구멍과 외경이 갖고 제3구멍보다 내경이 큰 환상의 원주홈을 제3구멍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하여 환상의 돌출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접속 파이프의 니플 파이프를 상기 접속 소켓의 제1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가 시트면에 걸리도록 상기 니플 파이프를 상기 제2구멍을 통해 상기 접속 소켓의 외부로 인출시켜 조립하는 공정; 및
    상기 플랜지가 시트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환상의 돌출편을 내측으로 오무려붙여 상기 플랜지를 덮어씌워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제작방법.
  2. 플랜지를 기준으로 일측의 호스끼움 파이프와 타측의 니플 파이프가 단일체로 형성되는 접속 파이프와, 상기 접속 파이프를 끼워 수용하는 접속 소켓 및 상기 접속 파이프의 플랜지를 상기 접속 소켓 내부에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속 소켓은 일측의 제1구멍과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서 상기 니플 파이프를 기밀하게 끼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타측의 제2구멍이 동축선상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으며, 또 상기 제1구멍보다 작고 상기 제2구멍보다 큰 제3구멍이 제1 및 제2구멍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플 파이프가 상기 제1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구멍을 관통하여 접속 소켓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3구멍에 형성된 시트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접속 소켓의 소재를 영구 변형시켜 플랜지 부위를 감싸 고정시키게 되므로써 상기 접속 파이프가 상시 접속 소켓에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끼움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고압호스를 외삽시키고 상기 접속 소켓을 압착하므로써 고압호스를 접속하였을 때 파이프 어셈블리의 밀봉력을 확보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KR1020080080479A 2008-08-18 2008-08-18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KR10098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79A KR100982217B1 (ko) 2008-08-18 2008-08-18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79A KR100982217B1 (ko) 2008-08-18 2008-08-18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44A KR20100021844A (ko) 2010-02-26
KR100982217B1 true KR100982217B1 (ko) 2010-09-14

Family

ID=4209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479A KR100982217B1 (ko) 2008-08-18 2008-08-18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171A (ja) * 1992-10-02 1994-06-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000030464A (ko) * 2000-03-02 2000-06-05 류진수 호스용 연결금구 결합방법 및 그 연결금구
JP2004176797A (ja) 2002-11-26 2004-06-24 Calsonic Kansei Corp パイプの接続構造、パイプの接続方法及び加締め金型
KR20070107412A (ko) * 2006-05-03 2007-11-07 박범용 유압호스 커플링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171A (ja) * 1992-10-02 1994-06-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000030464A (ko) * 2000-03-02 2000-06-05 류진수 호스용 연결금구 결합방법 및 그 연결금구
JP2004176797A (ja) 2002-11-26 2004-06-24 Calsonic Kansei Corp パイプの接続構造、パイプの接続方法及び加締め金型
KR20070107412A (ko) * 2006-05-03 2007-11-07 박범용 유압호스 커플링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44A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730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tube joint
GB2455443A (en) Pip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06431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파이프 조인트의 제조방법
JP5352155B2 (ja) 中空管体の製造方法
KR100982217B1 (ko) 고압호스접속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JP2017074614A (ja) フランジの成形方法
US6266986B1 (en) Nozzle for hydrostatic forming and hydrostatic forming system using same nozzle
KR101499344B1 (ko) 워터해머 충격 흡수기용 파이프의 니플 제작방법
WO2014112105A1 (ja) 中空操作レバーとその製造方法
JPS6336857B2 (ko)
CN203649090U (zh) 一种发动机进气管压型工装
JP2019185904A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640360B2 (ja) フランジ付チューブ継手の製造法
KR100983206B1 (ko) 체크밸브가 내재된 자동차 조향 장치용 파이프 제조방법 및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CN103097074A (zh) 在工件内装入套筒特别是螺纹套筒的方法
JP3718880B2 (ja) 金属パイプ継手の製造方法
JPS6239052B2 (ko)
CN210126551U (zh) 一种一体式扣压动力转向管
CN103302194B (zh) 消音管的加工工艺
JP3850601B2 (ja) 配管接続部構造
KR102244005B1 (ko) 차량의 머플러에 설치되는 왁스커버 제조방법
CN108787875A (zh) 内高压成型件冲孔及翻孔边的组合模具
JP2019025510A (ja) パイプ端部加工装置
CN103302163B (zh) 波导变换耦合器内腔、耦合器一体成型方法及成型工装
FR2498495A1 (fr) Procede permettant de relier de facon etanche des conduits a un support fait de materiau en feuille, notamment un couvercle de pompe a carbur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