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74B1 -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74B1
KR100981374B1 KR1020080051413A KR20080051413A KR100981374B1 KR 100981374 B1 KR100981374 B1 KR 100981374B1 KR 1020080051413 A KR1020080051413 A KR 1020080051413A KR 20080051413 A KR20080051413 A KR 20080051413A KR 100981374 B1 KR100981374 B1 KR 10098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lamp
lighting
park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350A (ko
Inventor
송학종
Original Assignee
(주)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도 filed Critical (주)성도
Priority to KR102008005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7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내 주차구역별로 설치되어 해당 주차구역을 조명하는 동시에 해당 주차구역의 재차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 내의 개별 차량(12)이 주차되는 주차구역(10)별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점등제어회로가 내장된 등기구본체(20); 상기 등기구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을 조명하는 조명램프(22);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에 차량(12)의 재차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24); 및 상기 등기구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감지센서(24)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주차표시램프(26, 2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운전자들이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를 통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주차공간을 찾도록 하여 주차장 내 혼잡을 방지하고 주차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주차장, 주차구역, 차량감지센서, 주차표시램프, LED, 움직임감지센서,

Description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Lighting fixture with parking display}
본 발명은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역별로 설치되어 주차구역을 조명하면서 해당 주차구역의 재차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주차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뒤따르고 있다. 특히, 빌딩과 같은 대형건물의 지하에는 대규모의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는데, 종종 주차장은 주차된 차량이 가득찬 만차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만차 상태에서 차량이 입장이 입장되면, 주차장 내에서의 교통 혼잡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주차장들은 주차장의 입구에 주차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주차장의 만차 상태 여부를 표시하고 있다.
만약, 주차장이 만차가 아닌 경우 차량의 입장이 허용되는데, 이때, 주차공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는, 입장된 차량의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 내에서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주차구역에 근접해야만, 해 당 주차구역의 재차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빈 주차구역을 찾는 차량들로 인해, 주차장 내 차량의 효율적인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주차를 위해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부분의 주차장에는 조명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명기구들은 항상 점등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많은 에너지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주차장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들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주차장 내에서 어두운 공간이 상당수 존재하게 되며, 이는 운전자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주차장 내 주차구역별로 설치된 조명기구에 해당 주차구역의 재차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 표시램프를 일체로 구성하여, 차량 운전자들이 빈 주차구역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는, 주차장 내의 개별 차량(12)이 주차되는 주차구역(10)별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점등제어회로가 내장된 등기구본체(20); 상기 등기구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을 조명하는 조명램프(22);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에 차량(12)의 재차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24); 및 상기 등기구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감지센서(24)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주차표시램프(26, 2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는 해당 주차구역(10)의 재차를 표시하는 제1주차표시램프(26)와, 해당 주차구역(10)이 비었음을 표시하는 제2주차표시램프(2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는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측방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으로의 차량(12)의 입차 또는 출차를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등제어회로는 상기 움직임감지센서(30)에서 차량(12)의 입차 또는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램프(22)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따르면, 주차구역별로 해당 주차구역을 조명하는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이 조명기구에 해당 주차구역의 재차 유무를 표시하는 주차표시램프를 부설함으로써, 운전자들이 빈 주차공간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주차장 내 혼잡을 방지하고 주차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표시램프가 차량의 재차를 표시하는 제1주차표시램프와, 빈 주차공간을 표시하는 제2주차표시램프로 구성됨으로써, 운전자들이 빈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표시램프가 등기구본체의 측방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됨으로써, 주차구역의 전 방위 원격지에서도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용 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구역을 조명하는 조명램프가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시에만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주차장 내 조명기구의 관리가 효율적이며, 조명기구의 장수명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저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는 등기구본체(20)와, 주차장 내 주차구역(10)을 일반 조명하는 조명램프(22)와, 등기구본체(20)의 저부에 설치되는 차량감지센서(24) 및 움직임감지센서(30)와, 주차구역(10)의 차량(12) 재차 유무를 표시하는 주차표시램프(26, 28)로 구성된다.
등기구본체(2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원형 또는 장방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등기구본체(20)에는 도시안된 점등제어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34)과 조명램프(22)가 설치된다. 조명램프(22)는 주차장 내 개별 차량(12)이 주차되는 주차구역(10)을 조명하는 수단으로서, 직하방을 조명한다. 조명램프(22)는 통상 알려진 형광램프, 백열램프, LED 등 다양한 램프가 설치된다. 만약, 조명램프(22)로서 형광램프가 적용된다면, 상기 점등제어회로는 공지의 안정기일 것이다. 만약, 조명램프(22)로서 LED가 적용된다면, 상기 점등제어회로는 DC 구동장치일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등으로 작용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조명램프(22)로서 LED가 적용된다.
조명램프(22)의 하방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커버(32)가 설치된다. 투광커버(32)는 반투명의 아크릴로 형성되며, 조명램프(22)에서 방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등기구본체(20)의 저부에는 차량감지센서(24) 및 움직임감지센서(30)가 설치된다. 차량감지센서(24)는 해당 주차구역(10)의 차량(12) 재차 유무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광센서나 근접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상, 차량(12)은 일정한 고를 가지므로, 상기 차량감지센서(24)는 발광부에서 방사되는 광이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차량(12)의 재차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감지센서(24)에서 주차구역(10) 내 차량(12)의 재차 유무를 검출하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점등제어회로가 주차표시램프(26, 28)를 점등 또는 소등시켜 해당 주차구역(10)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30)는 주차구역(10)으로의 차량(12)의 입차 및 출차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움직임감지센서(30)는 적외선센서, 광센서 등과 같이 통상 알려진 모션 디텍팅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움직임감지센서(30)가 주차구역(10)으로의 차량(12)의 입차 및 출차를 검출하면, 상기 점등제어회로가 조명램프(22)를 점등시켜, 해당 주차구역(10)을 조명한다. 이때, 조명램프(22)의 점등이 유지되는 시 간은 차량(12)의 주차 및 출차 시간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센서등과 달리 1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는 등기구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구역(10) 내에 차량(12)이 재차중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주차표시램프(26, 28) 역시 백열램프, 형광램프, LED 등 다양한 공지의 조명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직진성이 우수하고 전력소비가 적은 LED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차표시램프(26, 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본체(20)의 측방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주차표시램프(26, 28)가 등기구본체(20)의 측방 둘레에 설치되면, 주차표시램프(26, 28)는 등기구본체(20)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광을 방사한다. 따라서, 원격지의 운전자가 주차표시램프(26, 28)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구역(10)을 중심으로 전 방위에 걸쳐 운전자가 주차표시램프(26, 28)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이 주차구역(10)에 근접하지 않고도 주차장 전체 영역에 걸쳐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10)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표시램프(26, 28)는 서로 다른 두가지 색상의 LED가 교호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주차표시램프(26, 28)는 해당 주차구역(10)의 재차를 표시하는 제1주차표시램프(26)와, 해당 주차구역(10)이 비었음을 표시하는 제2주차표시램프(28)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주차표시램프(26)는 적색 LED이며, 제2주차표시램프(28)는 녹색 LED이다. 한편, 이와 달리, 제1주차표시램프(26)와 제2주차표시램프(28)는 투칼라 LE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차표시램 프(26, 28) 전체가 점등되어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는 주차장 내 복수의 주차구역(10)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조명램프(22)는 등기구본체(20)의 직하방으로 광을 방사하여, 주차구역(10)을 조명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 및 출차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는 등기구본체(20)의 둘레 전방위로 광을 방사하여, 운전자가 전 방위 원격지에서 해당 주차구역(10)에 대한 주차 가능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2)이 주차구역(10) 내로 진입하면, 움직임감지센서(30)가 차량(12)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며, 이때 점등제어회로는 상기 조명램프(22)를 점등시킨다. 조명램프(22)는 대략 1분간 점등 유지된다. 차량(12)이 점차 진입하여 차량감지센서(24)의 검출범위를 지나게 되면, 점등제어회로는 등기구본체(20) 둘레부의 제1주차표시램프(26)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등기구본체(20) 둘레부에서 적색의 광이 방사되고, 운전자는 원격지에서 해당 주착구역(10)이 주차 불가능 구역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차량(12)이 주차구역(10)으로부터 출차하게 되면, 차량감지센서(24)에서 이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점등제어회로는 제1주차표시램프(26)를 소등하고, 제2주차표시램프(28)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등기구본체(20) 둘레부에서 녹색의 광이 방사되고, 운전자는 원격지에서 해당 주차구역(10)이 주차 가능한 구역임을 판 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는 주차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작동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상 알려진 주차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감지하여, 주차장 입구에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를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등기구본체(20)가 주차관리 제어반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주차관리 제어반으로 차량감지센서(24)의 출력을 전송하면, 이 신호로 주차 가능대수를 연산하여 주차장 입구에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각각 번지를 지정하게 되면, 주차장 입구에서 층별 주차 가능대수는 물론,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10)이 많은 지역에 대한 정보까지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차구역 12 : 차량
20 : 등기구본체 22 : 조명램프
24 : 차량감지센서 26 : 제1주차표시램프
28 : 제2주차표시램프 30 : 움직임감지센서
32 : 투광커버 34 : 인쇄회로기판

Claims (4)

  1. 주차장 내의 개별 차량(12)이 주차되는 주차구역(10)별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점등제어회로가 내장된 등기구본체(20);
    상기 등기구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을 조명하는 조명램프(22);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에 차량(12)의 재차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24);
    상기 등기구본체(20)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감지센서(24)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주차표시램프(26, 28); 및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구역(10)으로의 차량(12)의 입차 또는 출차를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점등제어회로는 상기 움직임감지센서(30)에서 차량(12)의 입차 또는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램프(22)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는 해당 주차구역(10)의 재차를 표시하는 제1주차표시램프(26)와, 해당 주차구역(10)이 비었음을 표시하는 제2주차표시램프(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표시램프(26, 28)는 상기 등기구본체(20)의 측방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4. 삭제
KR1020080051413A 2008-06-02 2008-06-02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KR10098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13A KR100981374B1 (ko) 2008-06-02 2008-06-02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13A KR100981374B1 (ko) 2008-06-02 2008-06-02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50A KR20090125350A (ko) 2009-12-07
KR100981374B1 true KR100981374B1 (ko) 2010-09-10

Family

ID=4168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13A KR100981374B1 (ko) 2008-06-02 2008-06-02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4342A (zh) * 2010-12-08 2011-04-20 东莞市华业新科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停车指示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01B1 (ko) * 2010-07-12 2012-02-14 (주)씨티엘루미텍 조명등기구 및 그를 포함하는 주차장 조명시스템
KR101116441B1 (ko) * 2011-03-16 2012-03-07 장보영 주차면 안내 표시를 겸할 수 있는 조명 장치
KR101237200B1 (ko) * 2011-03-16 2013-02-25 장보영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E202015101988U1 (de) * 2015-04-22 2016-07-25 Zumtobel Lighting Gmbh Beleuchtungssystem für Parkleitsysteme
CN105387400A (zh) * 2015-12-21 2016-03-09 王显祺 一种带有车位显示模块的感应智能led灯具
KR101961429B1 (ko) * 2016-10-14 2019-07-17 (주)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KR102015723B1 (ko) * 2018-03-12 2019-08-28 오광식 지하 주차장의 주차 면에 장착하는 등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933A (ja) * 1997-07-31 1999-02-26 Tec Corp 駐車誘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933A (ja) * 1997-07-31 1999-02-26 Tec Corp 駐車誘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4342A (zh) * 2010-12-08 2011-04-20 东莞市华业新科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停车指示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50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74B1 (ko)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KR101183359B1 (ko)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20090108979A (ko) 환경센서를 구비하는 유비쿼터스 가로등
KR20170045826A (ko) 터널내의 조도제어 시스템
KR101160124B1 (ko)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KR101503035B1 (ko) 감지형 축광 조명 난간 및 이 시공 방법
CN111292554A (zh) 一种停车引导控制装置、方法及可视光引导系统与方法
KR101114301B1 (ko) 조명등기구 및 그를 포함하는 주차장 조명시스템
JP3181944U (ja) 避難誘導照明装置
KR20130073483A (ko) 광반도체를 이용한 주차장 조명 시스템
KR20080098265A (ko) 조명 블럭
KR20170088045A (ko) 주차장 빈자리 표시 장치
KR20180010045A (ko) 도로 표지병의 제어 장치
JP2010261151A (ja) 道路標識
KR20190045752A (ko) 범죄예방 기능의 스마트 표지판
KR101042946B1 (ko)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갖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200482744Y1 (ko)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KR20080041464A (ko) 개별 자동 조도 제어 장치를 내장한 조명 기구
KR20040057226A (ko) 일체형 신호등 및 그 주행신호 표시방법
KR200350018Y1 (ko)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교통 신호등
KR20080074471A (ko) 시인성을 높힌 조명장치
JP3070481U (ja) 道路表示標および道路表示標システム
JP4601540B2 (ja) 街灯
KR200322441Y1 (ko) 교통안전신호등
KR101193210B1 (ko)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