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441Y1 - 교통안전신호등 - Google Patents

교통안전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441Y1
KR200322441Y1 KR20-2003-0015509U KR20030015509U KR200322441Y1 KR 200322441 Y1 KR200322441 Y1 KR 200322441Y1 KR 20030015509 U KR20030015509 U KR 20030015509U KR 200322441 Y1 KR200322441 Y1 KR 200322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member
traffic
circul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기
Original Assignee
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기 filed Critical 정병기
Priority to KR20-2003-0015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차로나, 건널목에 설치되어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행 및 보행과 정지를 위한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교통안전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본 교통안전신호등은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의 원형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원형개구를 향하여 일정한 조도로 발광하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고정하고 발광용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과, 상기 원형 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재의 광을 증폭시켜 외부를 향하여 비추는 렌즈부와, 원점을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확경되도록 상기 발광부재의 원형 발광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발광부재의 전체를 발광시킨 후에 그 발광부재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소등시키는 신호등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교통신호등과 시간신호등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설치 및 관리비가 추가적으로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교차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안전신호등{traffice light for safety}
본 고안은 교통안전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로나, 건널목에 설치되어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주행 및 보행과 정지를 위한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교통안전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차량용 신호등이 있으며, 차량과 보행자를 적당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안전하게 소통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소등과 점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신호등은 서로 다른 3가지의 색깔로 소등과 점등을 시행하여 주행과 정지 또는 위험신호를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제공하므로 자동차들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신호등은 소등과 점등의 이분법적인 신호로 알려주어 점등된 신호등이 언제 소등되는지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교차로를 통과할때 불안감을 가지며, 예측 부주의로 인하여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교통안전신호등에 소등 및 신호절환을 위한 예측용 시간신호등을 별로로 부착시켜 치명적인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별도의 신호등을 설치하여야 하기에 설치비와 관리비가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운전자의 주의력을 더 필요로 하므로 주부의에 의한 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교통신호등과 시간신호등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설치 및 관리비가 추가적으로 부가되지 않도록 한 교통안전신호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발광부재
4 ; 소켓 5 ; 렌즈
7 ; 격벽 9 ; 전등갓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의 원형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원형개구를 향하여 일정한 조도로 발광하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고정하고 발광용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과, 상기 원형 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재의 광을 증폭시켜 외부를 향하여 비추는 렌즈부와, 원점을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확경되도록 상기 발광부재의 원형 발광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발광부재의 전체를 발광시킨 후에 그 발광부재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소등시키는 신호등제어부를 포함하는 교통안전신호등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등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재의 영역별로 발광시키도록 소정의 시간간격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부재가 적어도 3개의 구역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영역에는 다수개의 발광등이 균일한 광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켓과 상기 신호등제어부 사이에는 상기 신호등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소켓에게 발광용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가능하게 구동하는 제어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교통안전신호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와, 3거리, 및 횡단보도에 위치한 차량과 보행자에게 안전하게 주행과 보행 및 중지를 알려 주는 것으로, 진행방향별로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기둥에 결합된 현수지지대에 현수되어 있다.
즉, 상기 현수지지대에 매달려 있으며,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의 원형개구를 갖는 본체(1)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원형개구를 향하여 일정한 조도로 발광하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부재(3)와, 상기 발광부재(3)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고정하고 발광용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4)과, 상기 원형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재(3)의 광을 증폭시켜 외부를 향하여 비추는 렌즈부(5)와, 원점을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확경되도록 상기 발광부재(3)의 원형 발광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7)과, 상기 원형개구의 상측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태양광을 차단하여 시각적인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전등갓(9)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발광부재(3)는 상기 격벽(7)(상기 발광부재를 적어도 3개의 구역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다.)에 의해서 외경측에서부터 내경측을 향하여 3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그 외경측의 발광영역은 발광부재A라 하고, 그 내경측의 발광영역은 발광부재C라 하고, 상기 내경측과 상기 외경측 사이의 발광영역은 발광부재 B라 한다. 외경측에서 내경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위치한 상기 발광부재A와 발광부재B와 발광부재C는 각각의 발광영역을 가지며, 그 각각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균일한 광도를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등(부호생략)이 상기소켓(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발광등은 LED도 가능하고, LCD도 가능하며, 기타 일반적인 고휘도 발광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교통안전신호등의 조립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7)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발광부재(3)의 전체를 발광시킨 후에 그 발광부재(3)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소등시키는 신호등제어부(15)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상기 신호등제어부(15)는 상기 발광부재(3)의 A,B,C영역별로 발광시키도록 구획별로 소정의 시간간격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재(3)에 결합된 상기 소켓(4)과 상기 신호등제어부(15) 사이에는 상기 신호등제어부(15)의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소켓(4)에게 발광용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가능하게 구동하는 제어구동부(1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LCD판넬을 사용하게 될 경우는 상기 발광부재A,B,C의 영역별로 개별 LCD판넬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의 구동을 위하여 구동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 및 메모리부(미도시)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과 시간신호등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을 향상시키고, 설치 및 관리비가 추가적으로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교차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의 원형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원형개구를 향하여 일정한 조도로 발광하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 고정하고 발광용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과;
    상기 원형 개구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재의 광을 증폭시켜 외부를 향하여 비추는 렌즈부와;
    원점을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확경되도록 상기 발광부재의 원형 발광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발광부재의 전체를 발광시킨 후에 그 발광부재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소등시키는 신호등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재의 영역별로 발광시키도록 소정의 시간간격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신호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부재가 적어도 3개의 구역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영역에는 다수개의 발광등이 균일한 광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신호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과 상기 신호등제어부 사이에는 상기 신호등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소켓에게 발광용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가능하게 구동하는 제어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신호등.
KR20-2003-0015509U 2003-05-20 2003-05-20 교통안전신호등 KR200322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09U KR200322441Y1 (ko) 2003-05-20 2003-05-20 교통안전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09U KR200322441Y1 (ko) 2003-05-20 2003-05-20 교통안전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441Y1 true KR200322441Y1 (ko) 2003-08-06

Family

ID=4941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09U KR200322441Y1 (ko) 2003-05-20 2003-05-20 교통안전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4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093947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US8063795B2 (en) Pedestrian activated stop sign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KR20090125350A (ko)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200322441Y1 (ko) 교통안전신호등
KR20180080922A (ko) 점등과 점멸을 동시에 표시하는 교통 신호등
KR20040110782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KR102025707B1 (ko)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KR20190058911A (ko)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KR200173774Y1 (ko) 시선 유도등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102589871B1 (ko) 큐브형 신호등
KR100439588B1 (ko) 도로노면 신호기
KR0173166B1 (ko) 교통 신호 도로병을 이용한 운전자 주의 환기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950000599Y1 (ko) 횡단보도용 교통신호장치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100994784B1 (ko) 자동 적응형 횡단보도 보행신호등
KR200188397Y1 (ko) 표지병을 이용한 교통 신호 전달 시스템
JP3222441U (ja) 階段の視線誘導装置
KR20090113083A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