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11A -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11A
KR20190058911A KR1020170156327A KR20170156327A KR20190058911A KR 20190058911 A KR20190058911 A KR 20190058911A KR 1020170156327 A KR1020170156327 A KR 1020170156327A KR 20170156327 A KR20170156327 A KR 20170156327A KR 20190058911 A KR20190058911 A KR 20190058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ember
light emitting
ti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388B1 (ko
Inventor
우종현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우종현
이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현, 이성준 filed Critical 우종현
Priority to KR102017015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3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인 바(Bar) 형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 부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TRAFFIC LIGHT FOR A PEDESTRIAN INDICATING THE REMAINING TIME AND A WALKING DIRECTION GU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가 신호등을 확인하는 경우에 신호와 잔여 시간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신호등은 신호와 잔여시간표시장치가 별도로 배치되어, 한눈에 알아보기 어렵고, 한쪽 면에서만 볼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 자동차 보유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교통사고의 유형을 살펴보면 차량 간의 충돌 또는 추돌에 의한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와의 교통사고도 증가하는 교통사고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횡단보도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횡단보도에는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은 녹색램프와 적색램프를 점등 및 점멸시킴으로서 보행자의 횡단을 제어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신호등이다.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신호등에서는 녹색램프에서 적색램프로 전환되기까지의 잔여시간을 표시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횡단 중인 보행자가 신속하게 횡단보도를 이탈하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021호 (2009.11.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행자가 모든 방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의 개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행자가 쉽게 신호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은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인 바(Bar) 형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 부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는: 서로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보행 가능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재 중 최하단의 발광부재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는: 보행 불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발광부재의 전부가 제 2 색상으로 점등되고, 보행 가능 시간의 시작 시점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의 전부가 제 1 색상으로 점등되며, 이후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상기 발광부재 중 최하단의 발광부재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색상에서 상기 제 2 색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하고, 상기 발광부재의 위에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보조 발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등분되고, 보행 가능 시간 동안 상기 영역 중 보행이 가능한 방향을 향한 방향 지시 영역에서 빛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는: 상기 방향 지시 영역은 상기 보행 가능 시간 중 기설정된 시점부터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점멸될 수 있다.
보행 방향을 지시하는 표지판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표지판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표지판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지판은 상기 보행방향으로의 보행 가능 시간에 빛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등은: 상기 발광부재의 위에 배치되는 제 2 보조 발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등을 이용하여 보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신호등은 제 1 신호등, 제 2 신호등 및 제 3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사이에는 제 1 횡단보도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상기 제 3 신호등의 사이에는 제 2 횡단보도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하고, 상기 제 2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제 3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가 모든 방향에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가 쉽게 신호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을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이 교차로에 배치된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가 작동하는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신호등이 설치된 교차로를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의 중간에 배치된 표지판을 표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10)을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1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10)이 교차로에 배치된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등(10)은 지지부(100), 발광부재(200), 제 1 보조 발광부재(300), 제 2 보조 발광부재(400), 표지판(500) 및 표지판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등(10)은 교차로의 보행 가능 구역에 배치되어 보행자에게 보행 가능 시간 및 보행 가능 방향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신호등(10)은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하여 보행자가 어느 방향에서도 보행 가능 시간 및 보행 가능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신호등(10)은 전방향을 통해 빛을 발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모든 방향에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10)은 횡단보도의 중앙에 상기 신호등(10)을 배치하게 되면 보행자가 모든 방향에서 신호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양단에 각각 신호등이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는 지면에 일정한 높이로 세워져 상기 발광부재(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인 바(Bar) 형태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재(200)를 제어하는 신호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에 배치된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와 각종 제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교차로 및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제어를 총괄하는 주제어부(Main Control Unit: MCU), 신호 구동부(Signal Control Unit: SCU), 영상검지기 등의 독립장치 장착부, 운용자 접속용 MMI(Man Machine Interface unit)부, 외부장치와 입출력 신호 접속을 처리하는 단자판, 및 기타 부대 장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한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복수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서로 상기 지지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더해서, 상기 발광부재(20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가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함으로써, 기존의 신호등은 전방에서만 보행 신호를 확인 가능하나, 상기 신호등(10)은 보행자와 운전자가 특별한 장애물이 없다면 어느 방향에서도 보행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보행자와 운전자가 쉽게 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서, 보행자가 보행 시 더 안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재(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을 표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연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20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보행 가능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재(200) 중 최하단의 발광부재(200)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200)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나아가, 상황에 따라 상기 실시 예와 반대로 상기 발광부재(200)는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보행 가능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재(200) 중 최상단의 발광부재(200)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200)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발광부재(200)는 보행 가능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재(200) 중 중간에 배치된 발광부재(200)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200) 또는 최하단의 발광부재(200)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200)는 통상적으로 그 내부에 필라멘트가 구비된 백열전구를 채택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이와 같은 백열전구형 교통 신호등은 소비전력대비 광도가 크게 낮을 뿐만 아니라 절대 소비전력이 높고, 백열전구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구의 가시광 기준 발광효율은 8.4 lm/W이고, 적색 기준 발광 효율은 0.84 lm/W(투과율 10%로 가정)로서, 이러한 전구형 교통신호등은 시스템 효율이 매우 낮고, 24시간 지속적 점등에 따른 대량 에너지 소비와 전력 수요 관리의 불가, 잦은 유지보수에 따른 관리비용 증가와 교통 장애 유발, 팬텀 효과에 의한 나쁜 시간특성 등 비효율적인 조명기구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백열전구형 교통 신호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백열전구에 비해 소비전력은 약 90% 낮으면서도 수명은 6배 이상 길고, 시인성이 크게 향상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신호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광원을 교통신호등에 접목할 경우, 그 장점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동일 광도에서 80%~95% 정도의 절전으로 대폭적인 에너지절약과 전기요금 절감이 가능하며, 둘째, 10배 이상의 긴 수명으로 유지보수비용 절감과 원활한 교통흐름을 유도하며, 셋째, 시인성 향상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가 기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재(200)가 작동하는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재(200)는 보행 불가능 시간동안에는 상기 발광부재(200)의 전부가 제 2 색상으로 점등되고, 보행 가능 시간의 시작 시점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200)의 전부가 제 1 색상으로 점등되며, 이후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상기 발광부재(200) 중 최하단의 발광부재(200)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200)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색상에서 상기 제 2 색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부재(200)는 보행이 불가능한 시간 동안에는 상기 발광부재(200)는 전부가 빨간색으로 점등되고, 보행 가능 시간의 시작 시점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20))의 전부가 초록색으로 점등된다. 그러고 나서,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최하단에 위치한 발광부재부터 최상단에 위치한 발광부재까지 순차적으로 초록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환되면서 보행자에게 보행 가능 시간이 감소함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300)는 상기 신호등(10)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하고, 상기 발광부재(200)의 위에 상기 지지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더해서,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300)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등분되고, 보행 가능 시간 동안 상기 영역 중 보행이 가능한 방향을 향한 방향 지시 영역에서 빛을 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300)는 도로에서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신호등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300)를 2개의 영역으로 등분하고, 등분된 2개의 영역 중 보행 가능 시간 동안 상기 등분된 영역 중 보행 가능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영역에 위치한 제 1 보조 발광부재(300)가 빛을 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300)는 교차로에서 각각의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4개의 신호등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는 4개의 영역으로 등분하고, 등분된 4개의 영역 중 보행 가능 시간 동안 상기 등분된 영역 중 보행 가능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영역에 위치한 제 1 보조 발광부재(300)가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는, 전방향을 향해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10)이 다수의 신호등이 있을 경우, 보행자나 운전자가 어느 방향을 가리키는지 표시를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 1 보조 발광부재(300)의 상기 방향 지시 영역은 상기 보행 가능 시간 중 기설정된 시점부터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점멸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300)가 점멸신호를 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는 상기 발광부재(200)를 확인하지 않고도 보행 가능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보조 발광부재(400)은 상기 발광부재(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발광부재(300) 위에 상기 제 2 보조 발광부재(400)는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400)는 보행 가능 시간에 보행 가능 방향을 지시하는데 역할을 하는 것과 달리, 상기 제 2 보조 발광부재(400)는 운전자나 보행자가 보행이 가능한 시간과 방향을 한번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제 2 보조 발광부재(400)를 이용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행 가능 방향을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신호등이 설치된 교차로를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등을 이용하여 보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제 1 신호등, 제 2 신호등 및 제 3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사이에는 제 1 횡단보도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상기 제 3 신호등의 사이에는 제 2 횡단보도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하고, 상기 제 2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제 3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부재의 위에 배치되는 제 2 보조 발광부재(400)를 포함하는 신호등(10)은 제 1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신호등과 제 2 신호등 및 제 2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신호등과 제 3 신호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보조 발광부재(400)는 상기 제 1 신호등 및 제 2 신호등 사이에는 제 1 횡단보도가 위치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제 3 신호등 사이에는 제 2 횡단보도가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한다. 각각의 제 2 보조 발광부재가 빛을 발하는 것은 상기 제 1 신호등 및 제 2 신호등이 현재 보행이 가능한 시간이라는 것과 상기 제 1 신호등과 제 2 신호등 사이의 상기 제 1 횡단보도 방향을 보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신호등 및 제 3 신호등 사이에 위치한 제 2 횡단보도의 경우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보행자의 보행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행 가능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100)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각각의 발광부재(200)중 동일한 열에 배치된 발광부재를 하나의 발광부재군으로 보고, 상기 전체 발광부재군의 개수를 상기 보행 가능 시간으로 나누고,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이 경과된 시간을 곱한 값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산출하고 나서, 상기 산출된 값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부재군의 개수 만큼 상기 발광부재(200)가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의 중간에 배치된 표지판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등(10)은 보행 방향을 지시하는 표지판(500)과 상기 지지부(10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표지판(500)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표지판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지판(500)은 보행자의 보행 가능 시간에 상기 보행 가능한 방향을 지시하는 표지판(500)이 빛을 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지판(500)과 상기 표지판고정부(6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지판(500)은 상기 신호등(10)의 보행 가능한 제 1 방향에 위치한 제 1 표지판과 보행 가능한 제 2 방향에 위치한 제 2 표지판이 있는 경우, 상기 신호등(10)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보행 가능 시간이면 상기 제 1 표지판이 빛을 발할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보행 가능 시간이면 상기 제 2 표지판이 빛을 발할 수 있다.
상기 전술된 신호등(10)은 보행자 또는 운전자가 전방향에서 신호를 확인할 수 있고, 제 1 보조 발광부재(300) 및 제 2 보조 발광부재(400)를 구비하고 있어 신호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신호등
11 : 제 1 신호등
12 : 제 2 신호등
13 : 제 3 신호등
15 : 제 1 횡단보도
16 : 제 2 횡단보도
100 : 지지부
200 : 발광부재
300 : 제 1 보조 발광부재
400 : 제 2 보조 발광부재
500 : 표지판
600 : 표지판고정부

Claims (10)

  1.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인 바(Bar) 형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 부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하는 신호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서로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신호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보행 가능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재 중 최하단의 발광부재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빛을 발하는 신호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보행 불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발광부재의 전부가 제 2 색상으로 점등되고, 보행 가능 시간의 시작 시점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의 전부가 제 1 색상으로 점등되며, 이후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상기 발광부재 중 최하단의 발광부재부터 최상단의 발광부재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색상에서 상기 제 2 색상으로 변환하는 신호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전방향을 향해 빛을 발하고, 상기 발광부재의 위에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보조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호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등분되고, 보행 가능 시간 동안 상기 영역 중 보행이 가능한 방향을 향한 방향 지시 영역에서 빛을 발하는 신호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발광부재는:
    상기 방향 지시 영역은 상기 보행 가능 시간 중 기설정된 시점부터 상기 보행 가능 시간의 종료 시점까지 점멸되는 신호등.
  8. 제 1 항에 있어서,
    보행 방향을 지시하는 표지판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표지판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표지판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지판은 상기 보행방향으로의 보행 가능 시간에 빛을 발하는 신호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발광부재의 위에 배치되는 제 2 보조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신호등.
  10. 제 9 항의 신호등을 이용하여 보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제 1 신호등, 제 2 신호등 및 제 3 신호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사이에는 제 1 횡단보도가 위치되고,
    상기 제 1 신호등 및 상기 제 3 신호등의 사이에는 제 2 횡단보도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상기 제 2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하고,
    상기 제 2 횡단보도의 보행 가능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1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 및 제 3 신호등의 상기 제 2 보조 발광 부재가 빛을 발하는 보행 방향 표시 방법.
KR1020170156327A 2017-11-22 2017-11-22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KR10201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27A KR102017388B1 (ko) 2017-11-22 2017-11-22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27A KR102017388B1 (ko) 2017-11-22 2017-11-22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11A true KR20190058911A (ko) 2019-05-30
KR102017388B1 KR102017388B1 (ko) 2019-09-02

Family

ID=6667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27A KR102017388B1 (ko) 2017-11-22 2017-11-22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3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12Y1 (ko) * 2004-12-24 2005-03-14 유정호 교통신호등
KR20090025768A (ko) * 2007-09-07 2009-03-11 아이씨에너텍(주)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통합형 가로등
KR20090120021A (ko) 2008-05-19 2009-11-24 최호식 살균기능이 있는 도어용 손잡이
KR20120050782A (ko) * 2010-11-11 2012-05-21 (주)엘지하우시스 다방향 교통신호 확인 가능 신호등
KR101885647B1 (ko) * 2016-09-20 2018-08-06 강정열 교통신호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12Y1 (ko) * 2004-12-24 2005-03-14 유정호 교통신호등
KR20090025768A (ko) * 2007-09-07 2009-03-11 아이씨에너텍(주)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통합형 가로등
KR20090120021A (ko) 2008-05-19 2009-11-24 최호식 살균기능이 있는 도어용 손잡이
KR20120050782A (ko) * 2010-11-11 2012-05-21 (주)엘지하우시스 다방향 교통신호 확인 가능 신호등
KR101885647B1 (ko) * 2016-09-20 2018-08-06 강정열 교통신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388B1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9655B1 (en) Multi-mode signal
US8063795B2 (en) Pedestrian activated stop sign
US20140225752A1 (en) Predictive traffic light for an intersection for preventing accidents
KR20090125350A (ko)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KR102106088B1 (ko) 차량용 사인보드 발광 제어 장치
KR20190058911A (ko)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KR20110092725A (ko) 비상등 겸용 가로등
CN208580504U (zh) 交通信号光源
KR20180080922A (ko) 점등과 점멸을 동시에 표시하는 교통 신호등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KR200205272Y1 (ko) Led를 이용한 교통신호용 전자신호등
KR200350018Y1 (ko)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교통 신호등
KR200354919Y1 (ko) 잘보이는 교차로 잔여시간 카운터신호등
KR200298093Y1 (ko) 교통신호표시장치
KR200299848Y1 (ko) 도로교통신호등의 시간표시장치
CN2657126Y (zh) 智能交通信号灯
KR200322441Y1 (ko) 교통안전신호등
KR20060027390A (ko) 교통 신호등
KR200358436Y1 (ko) 신호등
KR200378757Y1 (ko) 디지털숫자표시 신호등
KR20150116149A (ko) 하나의 하우징에 복수의 신호 램프가 설치된 모듈이 투입된 신호등
KR200417321Y1 (ko) 교통 신호등
KR20240000722U (ko) 교통 신호등
KR200254581Y1 (ko) 잔여시간 표시기능을 가지는 신호등
KR200193627Y1 (ko) 경과시간이 인식 가능한 디지털 교통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