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707B1 -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707B1
KR102025707B1 KR1020170080481A KR20170080481A KR102025707B1 KR 102025707 B1 KR102025707 B1 KR 102025707B1 KR 1020170080481 A KR1020170080481 A KR 1020170080481A KR 20170080481 A KR20170080481 A KR 20170080481A KR 102025707 B1 KR102025707 B1 KR 10202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79A (ko
Inventor
김성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이피
Priority to KR1020170080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7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황 인지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입구, 터널 내부 도는 차도의 측방에 설치되어 도로 끝 및 도로선형을 명시하여 주간 및 야간에 차량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차량운전자가 도로환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선유도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고휘도반사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통해 조명식으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가 환하게 비춰져 유도표시 및 방향표시 확인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달리하여 차량운전자에게 도로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어 차량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안전운행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휴대가능하게 제작되어 차량운전자 등이 직접 차도에 놓아 차도의 도로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Road condition awareness guidance device}
본 발명은 터널입구, 터널 내부 도는 차도의 측방에 설치되어 도로 끝 및 도로선형을 명시하여 주간 및 야간에 차량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차량운전자가 도로환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선유도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고휘도반사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통해 조명식으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가 환하게 비춰져 유도표시 및 방향표시 확인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달리하여 차량운전자에게 도로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어 차량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안전운행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휴대가능하게 제작되어 차량운전자 등이 직접 차도에 놓아 차도의 도로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도로상황 인지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주로 차량이 이용하되, 터널 외부와 밝기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시선유도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시선유도등에서 비춰지는 빛에 의해 운전자는 안전하게 터널을 통과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LED 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잔고장이 없고 안전기 등의 보조 장치가 없어 전체적으로 장치의 수리작업이 현저히 적게 되어, 터널을 지나는 운전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설 작업자도 관리가 편하면서 전체적으로 시설비, 운영비가 절감되도록 하는 엘이디 터널 시선유도등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551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5513호의 경우, 다양한 형태와 크기, 일관성 없는 설치로 인해 운전자의 시선유도에 혼란을 야기시켜 왔으며, 세척 및 교체 등 유지관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짙은 안개 등으로 인해 시야가 불확실할 경우, 차량 전조등 빛이 반사체의 일부분이나 전체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반사체가 빛을 반사하는 기능이 약화 또는 상실됨으로, 차량 운전자는 도로의 곡선도나 노폭 등을 인지할 수 없어 교통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도로의 폭, 곡선구간을 알려주는 기능으로 성능의 한계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55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터널입구, 터널 내부 도는 차도의 측방에 설치되어 도로 끝 및 도로선형을 명시하여 주간 및 야간에 차량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차량운전자가 도로환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선유도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고휘도반사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통해 조명식으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가 환하게 비춰져 유도표시 및 방향표시 확인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달리하여 차량운전자에게 도로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어 차량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안전운행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휴대가능하게 제작되어 차량운전자 등이 직접 차도에 놓아 차도의 도로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도로상황 인지 시선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휘도반사시트가 구비되는 시선유도부와; 상기 시선유도부에 구비된 고휘도반사시트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터널입구, 터널 내부 및 차도에 고정부재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선유도부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상기 고휘도반사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부는 상기 시선유도부의 내부 상측, 내부 하측 및 내부 전측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모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물체감지부와; 상기 물체감지부의 물체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RGB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감지부의 물체감지시간과 기준물체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주변의 안개를 감지하기 위한 안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개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상기 물체감지부의 물체감지에 따른 발광색상과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터널입구, 터널 내부 도는 차도의 측방에 설치되어 도로 끝 및 도로선형을 명시하여 주간 및 야간에 차량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차량운전자가 도로환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선유도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고휘도반사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통해 조명식으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가 환하게 비춰져 유도표시 및 방향표시 확인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고, 나아가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색상을 달리하여 차량운전자에게 도로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어 차량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휴대가능하게 제작되어 차량운전자 등이 직접 차도에 놓아 차도의 도로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시선유도부에서 고휘도반사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발광부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시선유도부에서 고휘도반사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유도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시선유도부(20) 및 발광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시선유도부(2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선유도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선유도부(20)는 투명한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선유도부(2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고휘도반사시트(210)가 상기 시선유도부(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착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30)는 상기 시선유도부(20)에 구비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로 빛을 발광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시선유도부(20) 및 상기 발광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유도장치는 일예로,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휴대 가능하게 제작되어 차량운전자 등이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직접 차도 등에 놓아 사고발생, 정체, 사고,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서, 본 발명인 도로상황 인지 시선유도장치의 상기 프레임(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널입구, 터널 내부 및 차도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선유도부(20)의 전면과 후면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의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시선유도부(20)의 전면에는 황색의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시선유도부(20)의 후면에는 녹색의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비춰지는 황색의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를 통해 도로선형을 확인하면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운전자는 차량의 사이드미러 및 백미러를 통해 비춰지는 녹색의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를 통해 도로선형에 따라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발광부(30)는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30)의 발광색상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운전자는 상기 발광부(30)의 발광색상을 통해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을 확인하면서 안전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미러 및 백미러를 통해 사고, 정체,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이 발생된 도로를 통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30)는 상기 시선유도부(20)의 내부 상측, 내부 하측 및 내부 전측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로 빛을 발광하는 LED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30)가 상기 시선유도부(20)의 내부 상측, 내부 하측 및 내부 전측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시선유도부(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발광할 수 있게 되어 조명식으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210)가 환화게 비춰져 유도표시 및 방향표시 확인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공급부(40)와; 상기 전원공급부(40)와 상기 발광부(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40)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30)로 공급하는 공급라인(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원공급부(40)와 상기 공급라인(미도시)은 상기 프레임(10)에 내장될 수 있다.
또는, 다른예로,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외부 주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급라인(미도시)은 상기 전원공급부(40)와 연결되는 USB케이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터널입구, 터널 내부 및 차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위치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레임(1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복수의 물체감지부(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물체감지부(60)의 물체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발광부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예로, 상기 발광부(30)는 RGB LED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물체감지부(60)의 물체감지시간과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설정된 기준물체감지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발광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체감지부(60)의 물체감지시간이 기준물체감지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30)는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어 차량운전자에게 사고, 정체, 공사구간이 발생되었음을 차량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물체감지부(60)의 물체감지시간이 기준물체감지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도로에 사고, 정체, 공사구간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30)가 빛을 발광하지 않도록 상기 발광부(30)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터널입구, 터널 내부 및 차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위치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상기 프레임(10)에는 복수의 상기 프레임(10) 주변의 안개를 감지하기 위한 안개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안개감지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안개감지부(80)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30)가 상기 물체감지부(60)의 물체감지에 따른 발광색상과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개감지부(80)가 복수의 상기 프레임(10) 주변의 안개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30)는 황색 또는 청색 등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어 차량운전자에게 안개가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안개감지부(80)가 안개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발광부(30)가 빛을 발광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광부(30)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고발생, 정체, 사고, 공사구간 및 짙은 안개발생 등과 같은 도로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30)의 발광색상을 달리하여 차량운전자에게 도로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어 차량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10; 프레임, 20; 시선유도부,
30; 발광부.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다른 색상의 고휘도반사시트가 각각 구비되며, 차량 운전자가 전면에 구비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를 통해 도로선형을 확인하면서 안전운행 및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사이드미러 및 백미러를 통해 비춰지는 후면에 구비된 상기 고휘도반사시트를 통해 도로선형에 따라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선유도부와;
    상기 시선유도부에 구비된 고휘도반사시트로 빛을 발광하는 RGB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물체감지부와;
    상기 물체감지부의 물체감지시간이 기준물체감지시간 이상인 경우 차량운전자에게 사고, 정체, 공사구간이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상기 발광부가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체감지부의 물체감지시간이 기준물체감지시간 미만인 경우 도로에 사고, 정체, 공사구간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광부가 빛을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터널입구, 터널 내부 및 차도에 고정부재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시선유도부의 내부 상측, 내부 하측 및 내부 전측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주변의 안개를 감지하기 위한 안개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개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상기 물체감지부의 물체감지에 따른 발광색상과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80481A 2017-06-26 2017-06-26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KR10202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81A KR102025707B1 (ko) 2017-06-26 2017-06-26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81A KR102025707B1 (ko) 2017-06-26 2017-06-26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79A KR20190001079A (ko) 2019-01-04
KR102025707B1 true KR102025707B1 (ko) 2019-09-26

Family

ID=6501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481A KR102025707B1 (ko) 2017-06-26 2017-06-26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7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82B1 (ko) * 2009-12-30 2011-04-19 주식회사 하이로드 컬러변경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등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924A (ja) * 1991-07-05 1994-02-15 Souji Kobayashi 視線誘導標
KR20120109159A (ko) * 2011-03-28 2012-10-08 김승호 터널용 델리네이터
KR200465513Y1 (ko) 2011-05-20 2013-02-22 이승근 엘이디 터널시선유도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82B1 (ko) * 2009-12-30 2011-04-19 주식회사 하이로드 컬러변경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등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79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214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KR20090085239A (ko)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090064926A (ko)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1708423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30066794A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2025707B1 (ko)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KR101337335B1 (ko) 볼라드
WO2017051558A1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KR20110092725A (ko) 비상등 겸용 가로등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KR20180080922A (ko) 점등과 점멸을 동시에 표시하는 교통 신호등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150108954A (ko) 횡단보도 교통안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720061B1 (ko) 경고등
CN211036753U (zh) 基于照明光纤的斑马线
KR20190054262A (ko) 후방 차량 전조등 점등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20130097841A (ko)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횡단보도
KR0173166B1 (ko) 교통 신호 도로병을 이용한 운전자 주의 환기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