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265A - 조명 블럭 - Google Patents

조명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265A
KR20080098265A KR1020070043729A KR20070043729A KR20080098265A KR 20080098265 A KR20080098265 A KR 20080098265A KR 1020070043729 A KR1020070043729 A KR 1020070043729A KR 20070043729 A KR20070043729 A KR 20070043729A KR 20080098265 A KR20080098265 A KR 2008009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housing
emitt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진
Original Assignee
한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진 filed Critical 한희진
Priority to KR102007004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8265A/ko
Publication of KR2008009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步道)나 광고를 위한 벽 등에 설치되어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 블럭에 관한 것으로, 인접된 보도 블럭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1발광부;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상기 하우징 주위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2발광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제2발광부가 적어도 일정 시간동안 태양광이나 주변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제1발광부의 작동 시간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외부의 전력 공급없이 자체적으로 조명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보도 블럭, 조명

Description

조명 블럭{ILLUMINATING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가로나 보도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 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명 블럭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조명 블럭의 제어블럭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제1발광부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조명 블럭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벽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명 블럭 10: 조명 유닛
11: 상부하우징 12: 하부하우징
13: 프레임 20: 회로기판
21: 제1발광부 22: 태양전지
23: 축전지 31: 인쇄층
32: 도광부재 33: 반사판
40: 제2발광부
본 발명은 조명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步道)나 광고를 위한 벽 등에 설치되어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 블럭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보도 블럭은 통행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므로,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통행자를 위하여 충분한 안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밤중이나 건물내에 조명이 없는 경우 보도 블럭 또한 어둡기 때문에 어떤 길 또는 목적지로 가야 하는지 알기 어렵게 된다.
이를 위하여 조명장치를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명장치는 인접된 블럭과는 별도로 마련되므로 주위와 조화롭지 못하다. 나아가, 그러한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형태이므로 에너지의 낭비가 높고, 보수나 유지 등의 관리면에 있어서도 불리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2000-67750호에는 태양전지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도 발광될 수 있도록 한 블럭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434068호에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통하여 조명 의 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블럭을 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태양전지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블럭의 조명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일일이 마그네틱 스위치를 동작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마그넷을 근접시켜 동작하는 것이므로 오작동의 위험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조명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는 조명 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접된 보도 블럭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1발광부;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상기 하우징 주위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조명 블럭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제2발광부의 밝기가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점멸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 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점멸스위치는, 상기 제2발광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1광센서; 및 상기 제1광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발광부를 점멸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점멸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2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광센서에서 감지된 값 및 상기 제1광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각각의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1광센서 및 제2광세서에서 감지된 값들이 각각의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명유닛을 주야를 구분할 수 있도록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야간으로 인식되는 시간이 도래된 후부터 상기 제2발광부의 밝기가 기준치까지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발광부는 축광 안료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발광부의 광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도광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축광 안료는 도광부재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부는 하우징의 내면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광고를 위한 벽이나 세워진 구조물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1발광부; 및 상기 표지판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상기 표지판 주위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조명 블럭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블럭을 첨부한 도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가로(街路)나 보도(步道)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명 블럭(1)은 인접된 보도블럭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하우징(11)(1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12)은 다른 보도블럭과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격자(cell)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을 제외한 부분은 지면 아래로 매복된다.
하우징(11)(12)은 조립을 위하여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11)은 밟고 지나다니기에 충분한 강성이 있는 재질로 구현할 수 있으며, 옥외용인 경우 빗물 등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부 하우징(12)과의 조립틈(clearance)을 조명 블럭(1)의 상부에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상부 하우징(11)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과 측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1)의 상면에는 행인이 밟고 다닐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의 상면은 외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성 영역에는 태양광을 수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22)가 내장되어 있다. 태양전지(22)의 중심 부분에는 내부의 발광부에 의하여 조명되어 밝게 표시되는 인쇄층(31)이 구비되어 있다. 인쇄층(31)은 조명 블럭(1)이 설치되는 장소에 맞는 도안이나 글자 등이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조명 블럭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 블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11)의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조명 유닛(10)이 설치된다.
조명 유닛(10)을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부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1발광부(21) 및, 상부 하우징(11)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상부 하우징(11) 주위에 켜져 있는 가로등 등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2발광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와 제1발광부(21) 및 제2발광부(40)는 하우징(1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의하면, 프레임(13)은 제2발광부(40)의 광이 가운데의 투광성 영역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른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가운데에 창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원부는 상부 하우징(11)의 투광성 영역의 내부에 위치되는 태양전지(22)와 태양전지(22)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23)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을 외부에서 별도로 공급받지 않고도 제1발광부(21)를 켤 수 있게 되므로 그만큼 에너지 소모가 적고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제1발광부(21)는 저전력을 소모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발광 다이오드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색을 구현하는 형태를 장착할 수 있다.
태양전지(22)와 제1발광부(21) 및 제2발광부(40)에 의하여 조명되는 부분 사이의 경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태양전지(22)는 상부 하우징(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어 있다.
축전지(23)는 회로기판(20)에 실장되어 있으며, 회로기판(20)의 일측에는 제1발광부(21)가 구비된다. 회로기판(20)은 프레임(13)의 일측에 세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회로기판(20)의 상하 양단은 프레임(13)과 하부 하우징(12)에 마련된 장착홈(14)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1발광부(21)가 위치된 부분이 집중적으로 밝고 먼 곳이 어둡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명 유닛(10)은 제1발광부(21)의 빛을 가이드하여 상부하우징(11)의 투광성 영역으로 전달하는 도광부재(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도광부재(32)는 프레임(13)의 가운데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발광부(21)는 도광부재(32)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광부재(32)의 하면에는 제1발광부(21)의 광이 하우징(11)(12)의 내부에서 소멸되지 않도록 반사판(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제1발광부(21)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제2발광부(40)는 도광부재(3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2발광부(40)는 낮에 태양광이 있을 때나 조명 블럭(1)의 주위에 있는 가로등 또는 상가의 불빛을 수용하여 축적하고 있다가 조명 블럭(1)의 주위가 어두울 때 그 광을 상부 하우징의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킨다.
제2발광부(40)는 도광부재의 상면에 축광 안료가 도포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발광부(40)는 태양광이나 주변의 광을 흡수하여 전자가 들뜬 상태에 있다가 빛에너지를 방출하며 바닥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이 있는 축광 안료를 도광부재(32)의 상면에 도포함으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제2발광부(40)는 투명한 시트에 축광안료가 도포된 것을 도광부재(32)에 접착시킴으로써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2발광부(40)는 제1발광부(21)가 켜져야 할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그만큼 태양전지(22)에 의하여 축전지(23)에 저장된 에너지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의하면, 프레임(13)의 일측에는 제2발광부(40)가 방출하는 광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1광센서(51)와 조명 블럭(1)에 입사되는 외부의 광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2광센서(52)가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조명 블럭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조명 유닛(10)은 제2발광부(40)의 밝기가 기준치 이하이면 제1발광부(21)를 점등시키 는 점멸스위치(60)를 구비하고 있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점멸스위치(60)는 제2발광부(40)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1광센서(51) 및 제1광센서(51)에서 측정된 값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제1발광부(21)를 점멸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61)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점멸스위치(60)는 제1광센서(51) 외에 하우징(11)(12)의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2광센서(52)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1)는 제2광센서(52)에서 감지된 값 및 제1광센서(51)에서 감지된 값을 각각의 기준치와 비교하고 제1광센서(51) 및 제2광세서(52)에서 감지된 값들이 각각의 기준치 이하일 때, 제1발광부(21)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명유닛(10)은 주야를 구분할 수 있도록 타이머(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1)는 타이머(53)에 의하여 야간으로 인식되는 시간이 도래된 후부터 제2발광부(40)의 밝기가 기준치까지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제1발광부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발광부(21)의 온(켜짐) 여부는 다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제2광센서(52)에 의하여 조명 블럭(1) 주위의 밝기를 감지한다(SA2). 다음으로 감지된 밝기가 기준치보다 낮은지를 검출한다(SA3). 만약 감지된 밝기가 기준치보다 낮으면(예를 들어, 조명 블럭(1)이 옥외에 있는 경우이면 밤일 때이고, 옥내에 있는 경우 다른 조명이 꺼져 있는 때가 될 것이다), 제2발광부(40)의 밝기 를 제1광센서(51)에 의하여 감지하고(SA4), 기준치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SA5). 판단 결과, 제2발광부(40)의 밝기가 기준치보다 낮으면 점멸 스위치(60)는 제1발광부(21)를 켜게 된다(SA6). 따라서, 제1발광부(21)는 적어도 제2발광부(40)에 의하여 조명이 충분한 경우 켜지지 않으므로 그만큼 태양전지(22)에 의하여 저장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제1발광부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53)에 의하여 제1발광부(21)의 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타이머(53)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추출하고(SB2), 그 추출된 시각이 내장된 값과 비교하여 현재 시각이 밤인지를 결정하며(SB3), 만약 현재 시각이 밤이라면 제1광센서(51)에 의해 제2발광부(40)의 밝기를 감지하고(SB4), 제2발광부(40)의 밝기가 기준치보다 낮은지를 판별하여(SB5), 제2발광부(40)의 밝기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제1발광부(21)를 켜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조명 블럭(1)의 단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제2발광부(40)는 상부 하우징(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발광부(40)는 상부 하우징(11)에 축광 안료를 직접 도포하거나 투명 시트에 축광 안료가 인쇄된 것을 부착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센서(140)는 하나로 줄일 수 있다. 여타의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광고벽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8에 의하면, 조명 블럭(1)은 광고를 위한 벽이나 세워진 구조물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조명 블럭(1)은 여러 개가 모여서 큰 이미지를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22)의 배치는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블럭에 의하면, 제2발광부가 적어도 일정 시간동안 태양광이나 주변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제1발광부의 작동 시간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외부의 전력 공급없이 자체적으로 조명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블럭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인접된 보도 블럭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1발광부;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상기 하우징 주위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조명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제2발광부의 밝기가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점멸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 블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스위치는,
    상기 제2발광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1광센서; 및
    상기 제1광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발광부를 점멸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 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제2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광센서에서 감지된 값 및 상기 제1광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각각의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제1광센서 및 제2광세서에서 감지된 값들이 각각의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을 주야를 구분할 수 있도록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야간으로 인식되는 시간이 도래된 후부터 상기 제2발광부의 밝기가 기준치까지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제1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블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부는 축광 안료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블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발광부의 광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도광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축광 안료는 도광부재 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블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하우징의 내면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 블럭.
  10. 광고를 위한 벽이나 세워진 구조물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 투광성 영역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1발광 부; 및
    상기 표지판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 또는 상기 표지판 주위의 광을 저장하여 그 광으로 상기 투광성 영역을 조명시키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조명 블럭.
KR1020070043729A 2007-05-04 2007-05-04 조명 블럭 KR2008009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729A KR20080098265A (ko) 2007-05-04 2007-05-04 조명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729A KR20080098265A (ko) 2007-05-04 2007-05-04 조명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265A true KR20080098265A (ko) 2008-11-07

Family

ID=4028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729A KR20080098265A (ko) 2007-05-04 2007-05-04 조명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826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31B1 (ko) * 2009-02-16 2011-07-26 주식회사 성안조명 블럭형 발광유닛의 연속 배열이 가능한 조명장치
KR20200031237A (ko) * 2018-09-14 2020-03-24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KR102139436B1 (ko) * 2019-11-07 2020-07-29 김광일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WO2020200954A1 (en) 2019-03-29 2020-10-08 Signify Holding B.V. Sensing for controlling luminaires
KR102528725B1 (ko) * 2022-02-17 2023-05-09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축광석과 조명을 활용한 경관시설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30092211A (ko) * 2021-12-17 2023-06-26 (주)이지위드 바닥 조명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31B1 (ko) * 2009-02-16 2011-07-26 주식회사 성안조명 블럭형 발광유닛의 연속 배열이 가능한 조명장치
KR20200031237A (ko) * 2018-09-14 2020-03-24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WO2020200954A1 (en) 2019-03-29 2020-10-08 Signify Holding B.V. Sensing for controlling luminaires
CN113631856A (zh) * 2019-03-29 2021-11-09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用于控制灯具的传感
US11415305B2 (en) 2019-03-29 2022-08-16 Signify Holding B.V. Sensing for controlling luminaires
KR102139436B1 (ko) * 2019-11-07 2020-07-29 김광일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광 보도블럭
KR20230092211A (ko) * 2021-12-17 2023-06-26 (주)이지위드 바닥 조명모듈
KR102528725B1 (ko) * 2022-02-17 2023-05-09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축광석과 조명을 활용한 경관시설 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913B1 (ko) 도로교통 안전 표지판
KR20080098265A (ko) 조명 블럭
KR10193797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JP2007050173A (ja) 消火器ボックス
KR200407384Y1 (ko) 솔라셀을 이용한 무선 유도 표시 시스템
KR100977879B1 (ko) 자전거 도로 표지판
KR100996934B1 (ko) 엘이디 슬릿현상을 이용한 교통안내 및 광고 표지판
KR100932917B1 (ko) 안개 조명등이 함께 부착된 복합 조명 가로등
KR10097200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충전방식의 led 지주간판
KR20140054835A (ko) El 도로 교통안전 표지판
KR20110038544A (ko) 가로명 사인시스템
KR101066652B1 (ko) 도로표지판
JP7373784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7426601B2 (ja) 照明システム
KR20180021487A (ko) 광고물 조명 장치
US20180293922A1 (en) Sign Illuminating Device
KR200448173Y1 (ko) 가로명 사인 장치
KR200447428Y1 (ko) 태양전등이 구비되는 버스승강장 표지판
KR20070113341A (ko) 고휘도 발광 표지판
KR101456666B1 (ko) 디밍모듈 장착형 led 등기구
KR102101424B1 (ko) 건물 번호판
KR102288251B1 (ko) 전광판 수단을 갖는 등기구
JP3055207U (ja) 地中埋設型照明装置
CN220962714U (zh) 一种发光组件及旗面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