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10B1 -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10B1
KR101193210B1 KR1020120005659A KR20120005659A KR101193210B1 KR 101193210 B1 KR101193210 B1 KR 101193210B1 KR 1020120005659 A KR1020120005659 A KR 1020120005659A KR 20120005659 A KR20120005659 A KR 20120005659A KR 101193210 B1 KR101193210 B1 KR 10119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 light
illuminance
light unit
street
uni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리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리미
Priority to KR102012000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사용량을 줄이면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제1설정조도 이하에서 점등되는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상기 제1설정조도 이상 제2설정조도 이하의 조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가 파악된 경우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street lamp unit}
본 발명은 가로등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도로조명용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로에서는 운전자를 비롯하여 도로 이용자가 도로를 쉽게 식별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특히, 야간에 상기 도로를 식별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므로 여러 안전장치가 요구되게 된다.
이를 위한 안전장치의 하나로써,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운영되는 가로등유닛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종래 가로등유닛이 조명되는 도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로등유닛 복수 개가 적용된 도로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종래의 가로등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8~12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폴대(5)의 상단에 조명용 전구(3)를 설치하여 아래의 도로 사방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로등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도로(20)를 비추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가로등유닛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모든 가로등유닛이 켜지게 됨으로써 설치비용 및 수명과 전력사용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가로등유닛의 경우는 외부 밝기 등에 상관없이 운영되어 경제성 및 운영면에서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로에 복수 개가 배치된 가로등유닛에 있어서, 전력사용을 절감하면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제1설정조도 이하에서 점등되는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상기 제1설정조도 이상 제2설정조도 이하의 조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가 파악된 경우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로 파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 중 오작동이 일어난 가로등유닛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에 인접하는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에 포함되는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제1설정시간 이상에서 점등되는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상기 제1설정시간 이하 제2설정시간 이상의 시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가 파악된 경우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시간 이하 제2설정시간 이상의 시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중 오작동이 일어난 가로등유닛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에 인접하는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에 포함되는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도로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가로등유닛을 두 개 이상의 군으로 분리하되, 각 군마다 서로 다른 조도 또는 시간대에서 점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 밝기에 따라 일부 가로등유닛만을 작동하게 되므로 전력사용량을 낮춤과 동시에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일부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이 존재 시에도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 가로등유닛이 적용된 도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복수 개의 가로등유닛이 적용된 도로를 상부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가로등유닛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가로등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유닛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유닛이 운영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가로등유닛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유닛(100)은 설치프레임(200)과,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설치되는 LED램프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지면에 설치된 폴대의 상부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전선 및 기타 제어회로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LED램프모듈(200)은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LED램프모듈(200)은 복수 개의 LED램프가 다수 행 및 열을 이루며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상기 LED램프모듈(30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열방출부(50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가로등유닛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유닛(100)과 유/무선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와 또한 유/무선적으로 연결되며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170)가 구비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제어부(150) 또는 조도센서(170)는 상술한 가로등유닛(100) 자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도센서(170)가 가로등유닛(100) 자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빛을 감지하여 가로등유닛(100)의 점멸을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LED램프모듈(300)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감지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로등유닛을 이용한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150)에 빛의 밝기 측정의 하나로서 임의의 조도(intensity of illumination)를 설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설정되는 조도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도가 설정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를 설정하여 놓는다. 그리고, 상기 제1설정조도보다 제2설정조도가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도로에 배치된 복수 개의 가로등유닛(100) 중 제1설정조도 이하에서 점등되는 다수의 가로등 유닛 즉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또한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100) 중 상기 제1설정조도 이상 제2설정조도 이하의 조도에서 점등되는 다수의 가로등유닛 즉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일반적인 도로에 있어서 일 열로 배치된 복수 개의 가로등유닛 중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 상기 설정된 조도에 따라 점등되는 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등유닛군은 일정 위치마다 배치되는 가로등유닛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조도센서(170)를 이용하여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조도가 매우 밝은 시간대에는 모든 가로등유닛이 점멸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저녁 시간이 가까워진 경우 즉, 상기 조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로 파악된 경우에는 먼저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에 속하는 가로등유닛(100)만을 점등하게 되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시간이 더 지나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도록 하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오후 6시 정도의 야외 조도가 제2설정조도를 이루며, 오후 7시 정도의 야외 조도가 제1설정조도를 이루는 경우, 조명이 필요하기 시작하는 6시 근방의 조도 즉, 제1설정조도 이상 제2설정조도 이하로 조도값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설정조도보다 어둡게 되는 7시 근방인 제1설정조도 이하의 조도값이 파악 시에는 제1가로등유닛군까지 점등시켜 도로를 보다 밝게 점등시키는 것이다.
한편, 일부 오작동을 일으키는 즉 점등되지 않는 가로등유닛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로 파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 중 오작동이 일어난 가로등유닛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에 인접하는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에 포함되는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하여, 도로의 일부가 어둡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정조도들을 비교하여 가로등유닛의 점등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계절에 따라서 미리 시간대별 조도를 예측하여 시간대별로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제1설정시간 이상에서 점등되는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상기 제1설정시간 이하 제2설정시간 이상의 시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가 파악된 경우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설정시간 이하 제2설정시간 이상의 시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중 오작동이 일어난 가로등유닛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에 인접하는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에 포함되는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복수 개의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유닛을 두 개 이상의 군으로 분리하되, 각 군마다 서로 다른 조도 하에서 점등되거나 모두 점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 일부 가로등유닛만을 작동하게 되므로 전력사용량을 낮춤과 동시에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일부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이 존재 시에도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 가로등 유닛 200: 설치프레임
300: LED램프모듈 500: 열방출부

Claims (4)

  1.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제1설정조도 이하에서 점등되는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상기 제1설정조도 이상 제2설정조도 이하의 조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가 파악된 경우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로 파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 중 오작동이 일어난 가로등유닛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에 인접하는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에 포함되는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2. 삭제
  3.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제1설정시간 이상에서 점등되는 제1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
    복수 개가 적어도 일 열 이상 설치된 가로등유닛 중 상기 제1설정시간 이하 제2설정시간 이상의 시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을 선택하는 단계;
    도로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조도가 제1설정조도와 제2설정조도 사이의 조도가 파악된 경우 상기 제2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조도가 상기 제1설정조도 이하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설정시간 이하 제2설정시간 이상의 시간에서 점등되는 제2가로등유닛군중 오작동이 일어난 가로등유닛이 파악되는 경우에는,
    오작동을 일으키는 가로등유닛에 인접하는 상기 제1가로등유닛군에 포함되는 가로등유닛이 점등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4. 삭제
KR1020120005659A 2012-01-18 2012-01-18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KR10119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59A KR101193210B1 (ko) 2012-01-18 2012-01-18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59A KR101193210B1 (ko) 2012-01-18 2012-01-18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210B1 true KR101193210B1 (ko) 2012-10-19

Family

ID=4728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659A KR101193210B1 (ko) 2012-01-18 2012-01-18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1154A (zh) * 2022-09-19 2022-12-30 中凯智慧物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城市智慧路灯的智能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744B1 (ko) * 2009-07-29 2009-11-18 (주)코맨텍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KR100942244B1 (ko) * 2009-08-05 2010-02-16 주식회사 포트론 다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 조립체의 점등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744B1 (ko) * 2009-07-29 2009-11-18 (주)코맨텍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KR100942244B1 (ko) * 2009-08-05 2010-02-16 주식회사 포트론 다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 조립체의 점등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1154A (zh) * 2022-09-19 2022-12-30 中凯智慧物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城市智慧路灯的智能控制系统及方法
CN115551154B (zh) * 2022-09-19 2023-05-09 中凯智慧物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城市智慧路灯的智能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188B2 (en) Adaptive optical distribution system
KR101124478B1 (ko)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KR101183359B1 (ko)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130334B1 (ko) 주변 조도에 따라서 밝기가 가변하는 led 가로등
KR20140006942A (ko) 시간 관리 기능을 가진 엘이디 조명장치 및 엘이디 조명장치의 수명검증방법
KR20120080442A (ko) 가로등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76896A (ja) Led照明システムの調光方法とその調光装置
JP2012028189A (ja) 照明装置
KR101037093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100107618A (ko) 절전형 led 가로등
JP5861110B2 (ja) 照明器具
KR100997539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KR101193210B1 (ko)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JP2015062185A (ja) 演算機能付きledの照明灯
KR20120016690A (ko) 색온도 제어가 가능한 조명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80092796A (ko) 횡단보도 조명강도 자동조절 시스템
KR20120021955A (ko) 무인 제어기능을 갖는 가로등
KR101020129B1 (ko) 가시광선 통신을 통해 조도 제어가 가능한 등기구를 이용한 실내 조명 제어 방법
KR101202289B1 (ko) 가로등유닛
JP2011081919A (ja) Led照明灯
KR20130064282A (ko) 절전형 led 가로등
KR101042946B1 (ko)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갖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20080041464A (ko) 개별 자동 조도 제어 장치를 내장한 조명 기구
KR20100086421A (ko)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