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744B1 -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744B1
KR100927744B1 KR1020090069148A KR20090069148A KR100927744B1 KR 100927744 B1 KR100927744 B1 KR 100927744B1 KR 1020090069148 A KR1020090069148 A KR 1020090069148A KR 20090069148 A KR20090069148 A KR 20090069148A KR 100927744 B1 KR100927744 B1 KR 10092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value
time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코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맨텍 filed Critical (주)코맨텍
Priority to KR102009006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조명을 감지한후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근거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형광등이나 엘이디등과 같은 조명등을 한개씩 순차적으로 점소등 제어토록하여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는 사이에 광감지에 따른 조명등의 점소등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감지부(20)와, 기준조도 입력부(30)와, 광감지 타임 설정부(40)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와, 평균조도 연산부(60)와, 오프셋 입력부(70) 및 광량 기억용 메모리(81) 및 마이컴(80)과 제 1 조명등(110) 및 제 2 조명등(12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하되 광감지 타임 설정부가 지정한 시간동안 평균 광량값을 확보하여 기준 광량값 이하이면 제 1 조명등 점등신호를 출력후 제 1 조명등의 광량값을 메모리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평균광량값이 아직도 기준 광량값 이하이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점등시점의 광량값 이하이면 일정시간후 제 2 조명등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광감지, 조명등, 단계별, 자동절전장치, 자동절전방법

Description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A Automatic Lighting Unit by Steps Using Photosensing and Ligh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조명을 감지한후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근거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형광등이나 엘이디등과 같은 조명등을 한개씩 순차적으로 점소등 제어토록하여 점등상황이나 소등상황시에 순차적 점소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는 사이에 광감지에 따른 조명등의 점소등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지하다시피,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특정 장소를 밝혀주는 조명등은 현대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조명등은 다양한 장소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 또한 광범위해지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조명등으로는 도로를 밝혀주는 가로등과 집이나 건물의 실내/외를 밝혀주는 형광등이나 백열등 또는 엘이디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환경에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상술한 조명등을 점등시켜 주는 종래의 점등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조명등으로 공급함에 있어 특정한 장소및 환경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AC 전압을 공급해 줌으로 조명등을 점등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조명등의 전기 에너지 공급방법에 의하면 일정한 전력이 필요없는 특정 환경에서는 불필요한 낭비 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그 만큼 조명등의 수명이 짧아져 소비자나 국가 차원에서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이나 공장 등의 사무실에 있어 형광등을 사용하는데 창가 쪽에 날씨가 좋아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는데 항상 켜져 있어 창가 쪽의 형광등을 자동으로 점멸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일정한 조도 이상이면 형광등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일정한 기준점을 넘나들면 자주 점소등이 반복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소등시점을 별도로 지정해야 하므로 사용환경에 따른 기준점을 일일이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조도의 변화가 심하면 연속적인 점멸상태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매우 불편함을 느꼈던 것이다.
또한,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형광등으로부터 입력되는 광등과 같이 조도를 센싱하는데 따른 에러요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조명등 절전장치를 실제 사용하기에는 아직까지 해결해야할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광감지를 이용한 자동 절전장치 및 방법(등록특허 제 10-0660615)을 제안하였는바, 그 기술을 간단히 요약하면, 전원 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주변의 조사광을 감지함에 따라 내부 저항이 조사광 에너지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광감지부와; 상기 광감지부에 의해 입력되는 광의 입력 타임을 결정하는 광감지 타임 설정부와; 상기 광감지 타임 설정부에 서 지정한 시간동안 입력되는 조도를 평균하여 램프의 오프 시점을 결정하여 통보하는 평균 조도 연산부와; 상기 광감지 타임 설정부의 지정된 타임을 계속적으로 지연시켜 초기 데이터를 소거하고 나중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조도 데이터를 평균내어 출력하는 지연조도 연산부와; 램프 점소등을 위한 갭을 설정하는 것으로 기준 조도값이 설정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플러스 마이너스로 구분하여 일정한 갭을 설정토록 하는 출력범위 설정부와; 램프를 무조건 점등해야 하는 광량값을 지정하는 점등조도 수동 입력부와; 광감지부와, 광감지 타임 설정부와, 평균조도 연산부와, 지연조도 연산부와 점등조도 수동 입력부 및 출력범위 설정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하되 광감지 타임 설정부가 지정한 시간동안 평균 데이터를 확보하여 소등타임을 확정하고, 아울러 평균조도 연산부가 출력한 데이터를 기준조도로 설정하여 지연조도 연산부의 데이터가 출력범위 설정부의 설정범위이내인가를 판단하며 이를 점등조도 수동 입력부의 조도 데이터와 비교후 램프 점소등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자동으로 기준조도값이 설정되어 별도로 기준조도값을 설정하지 않아도 동작되며, 점등조도 수동 입력부를 통해 점등되어야할 조도값을 지정하면 상기 조도값 아래로 현재조도가 내려가면 무조건 점등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 것이다.
그러나, 실험 결과 한개의 조명세트에 적어도 2개의 형광등이 설치되는 설치되는 조명등을 한꺼번에 소등하거나 점등시키면 빛의 밝음과 어두움이 순간적으로 인지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즉, 학교에서 많이 사용되는 조명세트는 통상 2개의 형광등이 한개의 조명세트에 삽입되어 있는바, 기준조도를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감지되어 상기 2개의 형광등을 한꺼번에 점소등 제어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빛의 밝음과 어두움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형광등이 설치되었을 경우 한번에 조명세트의 모든 형광등을 점소등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한개씩 점소등 시키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빛의 명암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명등의 점소등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램프 및 전기 제어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주변의 조사광을 감지함에 따라 내부 저항이 조사광 에너지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광감지부(20)와;
광감지 기준 조도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조도 입력부(30)와;
상기 광감지부에 의해 입력되는 광의 입력 타임을 결정하는 광감지 타임 설정부(40)와;
광을 감지하는 시간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에서 지정한 시간동안 광감지 타임 설정부에서 지정한 시간간격으로 광감지 데이터를 입력하여 조도값을 평균하여 통보하는 평균 조도 연산부(60)와;
사용자가 입력한 기준조도를 입력하고, 아울러 제 1 조명등 또는 제 2 조명 등을 점등했을때의 광량이나 제 1 조명등 또는 제 2 조명등을 소등했을때의 광량을 메모리하는 광량 기억용 메모리(81)와;
상기 광감지부(20)와, 기준조도 입력부(30)와, 광감지 타임 설정부(40)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와, 평균조도 연산부(60)와, 광량 기억용 메모리(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하되 광감지 타임 설정부가 지정한 시간동안 평균 광량값을 확보하여 기준 광량값 이하이면 제 1 조명등 점등신호를 출력후 제 1 조명등의 광량값을 메모리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평균광량값이 아직도 기준 광량값 이하이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점등시점의 광량값 이하이면 일정시간후 제 2 조명등 점등신호를 출력하며, 평균 광량값이 기준 광량값 이상이면 제 1 조명등 소등신호를 출력하고 제 1 조명등 소등 시점의 광량을 메모리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평균광량값이 아직도 기준 광량값 이상이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소등 시점의 광량값 이상이면 제 2 조명등을 소등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80)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제 1 조명등 출력부(91)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제 2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제 2 조명등 출력부(92)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조명등 램프가 무조건 점등되는 광량값을 지정하기 위한 오프셋 입력용 딥스위치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시스템의 마이컴에 광감지 타임과 오프셋 값을 지정하는 단계(S10)와;
이후,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키면 마이컴을 구동하는 단계(S20)와;
마이컴이 조도 센서로부터 현재 조도 측정값을 입력하고, 오프셋 광량값이 지정되어 있으면 현재 측정된 광량값과 미리 지정된 오프셋값을 비교하는 단계(S30)와;
비교결과 현재 조도(광량)값이 오프셋값보다 높으면 비교적 밝은 상태이므로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지 않고, 현재 조도값이 수동 입력된 오프셋값보다 낮으면 비교적 어두운 상태이므로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40)와;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고 일정시간(5초)후 다시한번 현재 광량을 측정하여 오프셋 값보다 낮으면 제 2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50)와;
오프셋 광량값이 지정되지 않았으면, 램프 점등 이후에 지정된 타임동안(약 5분 정도) 평균광량값을 계산하되 지정된 타임동안 초기 데이터는 버리고 최종 데이터를 합산시킨 다음 평균을 내어 그 평균값과 광량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60)와;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 보다 높으면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하는 단계(S70)와;
이때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하였을때의 조도값을 기억하고, 일정시간후 현재 평균광량값을 측정하는 단계(S80)와;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평균광량값이 여전히 기준 광량값보다 더 높으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할때의 광량값을 초과하면 계속적으로 밝기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시간후에 나머지 제 2 조명등 램프를 소등시키는 단계(S90)와;
이후, 측정된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보다 낮으면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100)와;
이때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하였을때의 조도값을 기억하고, 일정시간후 평균광량값을 측정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보다 낮으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하였을때의 광량값보다 더 낮으면 더욱 어두워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시간후 나머지 제 2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120)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다수개의 형광등이 설치되었을 경우 한번에 조명세트의 모든 형광등을 점소등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한개씩 점소등 시키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빛의 명암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명등의 점소등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계별 자동 점등방법 동작 플로오챠트로서,
본 발명은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전원공급부(10)와, 광감지부(20)와, 기준조도 입력부(30)와, 광감지 타임 설정부(40)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와, 평균조도 연산부(60)와, 오프셋 입력부(70)와, 마이컴(80)과, 광량 기억용 메모리(81)와, 제 1 조명등 출력부(91)와, 제 2 조명등 출력부(92)와, 제 1 조명등(110)과, 제 2 조명등(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 및 정류하여 출력하며, 각종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를 구동시키도록 하며, 메인전원을 램프에 출력하여 램프(100)를 점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감지부(20)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CdS센서로 호칭되는 것으로서, CdS(황화 카드뮴)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전도 셀(CdS Photoconductive cells)을 사용한다. 이러한 광감지부(10)는 CdS 광도전 셀의 특징에 의해 주변 빛의 밝기에 의하여 내부 저항이 조사광 에너지에 대응하여 변환한다.
즉, 광감지부(20)는 감지된 주변의 조사광에 상응하여 변환되는 내부저항의 비율적 광감지신호를 마이컴(80)으로 출력한다.
이때, 광감지부(20)는 주변 조사광(입사광 에너지)이 클수록 낮은 저항값을 출력하고, 주변 조사광이 작을 수록 큰 저항값을 출력하여 빛에너지가 거의 없는 곳에서는 거의 절연체에 가깝게 동작하고, 조사광의 입사에너지가 크기에 따른 내부저항에 의하여 전류를 흘려보내게 된다.
상기 광감지 타임 설정부(40)는 광감지부(20)에 의해 입력되는 광의 입력 타임을 설정하는 것으로, 예컨대 1초를 설정하게 되면 광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를 1초 단위로 체크하여 마이컴에 전송토록 한다. 그리고, 광감지 타임 설정부를 2초로 설정하게 되면 광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를 2초 단위로 체크하여 마이컴에 전송토록 한다.
상기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는 광을 감지하는 시간구간을 설정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을 5분으로 지정하게 되면 현재 시점에서 5분간 측정된 광감지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광감지 타임 설정부에 의해서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광감지 데이터를 지정된 지연시간동안 취합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계속해서 들어오는 신규한 광감지 데이터를 기준점으로 역산하여 예컨대 5분을 지정하였으면 5분간의 데이터를 취합하며 과거의 데이터는 버리고 새로운 데이터를 계속하여 합산한다.
상기 평균조도 연산부(60)는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에서 지정한 시간동안 들어온 광감지 데이터를 평균하여 이때 평균한 값이 기준 조도를 초과하는지를 계산하여 마이컴에 출력한다.
상기 광량 기억용 메모리(81)는 사용자가 입력한 기준조도를 입력하고, 아울러 제 1 조명등 또는 제 2 조명등을 점등했을때의 광량이나 제 1 조명등 또는 제 2 조명등을 소등했을때의 광량을 메모리한다. 즉,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기준광량을 메모리하고, 제 1 조명등을 점등시켰을때나 소등시켰을때 변화된 광량등 총 2개의 데이터를 메모리한다.
상기 마이컴(80)은 평균조도 연산부(60)의 평균광량 데이터와 기준광량을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까지의 평균광량이 기준광량 이하이면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킨다. 이때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킨 시점 이후 일정시간(약 5초) 동안 광감지의 측정을 중단시킨다. 상기와 같이 일정시간 측정을 중단시키는 이유는 전등이 안정적으로 조사되는 것이 유지되었을때 이를 데이터로 받아들이기 위해서이다. 만약에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곧바로 광량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되면 갑자기 밝거나 아니면 정상보다 어두운 광이 센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시간 이후에 제 1 조명등의 광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한다.
그리고,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킨 이후에 평균광량값이 기준광량값을 초과하면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킨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제 1 조명등을 점등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평균광량값이 기준광량값을 초과하지 못하면 일정시간후 제 2 조명등을 점등시킨다. 즉, 제 1 조명등을 점등시켜도 여전히 어두어서 현재까지의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을 초과하지 못하면 일정시간후 제 2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킨후 일정시간후 평균광량을 채크한 결과 기준광량을 초과하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을 점등하면서 메모리한 광량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제 1 조명등을 소등시킨다.
즉, 제 1 조명등을 점등하였을때 평균광량값이 기준광량값을 초과하면 곧바로 제 1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준광량값을 초과하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을 점등하였을때 메모리한 광량을 평균광량값이 모두 초과한 경우에 한하여 제 1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광량값을 계속하여 초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 1 조명등과 제 2 조명등이 일정한 시간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명이 점등되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로 업무 또는 학습을 하게 되어 일 또는 학습을 하는데 조명이 신경에 거슬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조명등(110)과 제 2 조명등(120)을 모두 점등시킨 상태에서 햇빛등이 투사되어 감지되는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값을 넘어서면서 동시에 조명등을 모두 점등하였을때의 메모리된 광량값을 초과하면 일단 제 1 조명등(110)을 소등시키고 일정시간후 광량값을 메모리한다. 그러나,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값을 넘어섰어도 조명등을 모두 점등하였을때 메모리된 광량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조명등을 소등시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기준광량과 조명등을 점등하였을때의 광량값을 모두 초과한 경우에만 조명등중 하나를 소등시키는 이유는 평균광량값이 기준광량값을 넘나들면서 잦은 점소등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광량값과 조명등을 점등하였을때 메모리된 광량값을 모두 초과한 경우에 한하여 제 1 조명등을 소등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일정시간후 평균광량값을 제 1 조명등을 소등한 상태의 메모리된 광량값 및 기준광량값과 비교하여 여전히 기준광량값 및 메모리된 광량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일정시간후 제 2 조명등을 소등시킨다.
따라서, 현재 광량값이 계속 증가되는 경우에는 제 1 조명등(110)과 제 2 조명등(120)이 일정한 시간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소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명이 소등되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로 업무 또는 학습을 하게 되어 일 또는 학습을 하는데 조명이 신경을 거슬리게 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등 출력부(91) 및 제 2 조명등 출력부(92)는 마이컴(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조명등과 제 2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통상 스위칭 작용을 하는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다이액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자가 스위칭되면 램프가 점등하고 상기 소자가 스위칭되지 않으면 램프가 소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프셋 입력부(70)를 구비하는바, 상기 오프셋 입력부(70)는 조명등이 무조건 점등되어야할 광량값을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측정된 광량과 비교하여 오프셋 입력부(70)에서 입력한 기준값 이하이면 무조건 점등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는 학교와 같이 조도 기준값이 법으로 지정되있는 장소나 특별히 조도값을 지정해야 하는 시설에 점등조도를 제작자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오프셋 입력부(70)를 배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지점에서 무조건 조명등 램프(110, 120)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마이컴(80)은 오프셋 입력부(70)의 데이터 값과 현재 광감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광감지 데이터가 수동 입력된 데이터보다 낮으면 다른 데이터를 무시하고 항상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오프셋 입력부(70)는 무조건 점등하여야할 기준 광량을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에 아침에 조명장치를 점등하기 위해 스위치를 온 시켰을 경우 오프셋 입력부(70)에서 지정한 광량보다 현재 측정된 광량이 높으면 조명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프셋 입력부(70)에서 지정한 광량에 현재 측정된 광량이 미치지 못하면 제 1 조명등(110)을 점등시키고, 일정시간(예컨대 5초)후 다시한번 현재 광량을 측정하여 그래도 오프셋 입력부(70)에서 지정한 광량에 현재 측정된 광량이 미치지 못하면 제 2 조명등(120)을 점등시킨다.
또한, 만약에 오프셋 입력부(70)에 의해서 오프셋 광량값이 지정되면 마이컴(80)은 기준광량값과 평균광량값에 따른 일체의 제어동작을 진행하지 않고, 오직 오프셋 광량값을 현재 광량값이 초과하는지의 판단에 따라서 조명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프셋 입력부(70)에 의해서 광량값을 지정하는 경우는 매우 특수한 경우로서 시력이 덜 발달되어 되도록이면 밝은 상태를 유지하여야할 유치원이나 유아원 같은 어린이 시설이나 시각장애 시설등 특별히 기준광량값을 최대한 낮추어 통상의 성인보다 조명 점등 기준을 낮춘 것으로 조금만 어두어져도 조명등을 점등시켜 밝은 상태를 유지시켜야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플로우챠트를 통해 본원발명의 제어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의 마이컴에 광감지 타임과 오프셋 값을 지정한다.
이후,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키면 마이컴을 구동한다.
상기 마이컴은 조도 센서로부터 현재 조도 측정값을 입력받고, 오프셋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현재 조도값이 오프셋값보다 높으면 비교적 밝은 상태이므로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지 않고, 현재 조도값이 수동 입력된 오프셋값보다 낮으면 비교적 어두운 상태이므로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고 5초후 다시한번 현재 광량을 측정하여 오프셋 값보다 낮으면 제 2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킨다.
램프 점등 이후에 지정된 타임동안(약 5분 정도) 조도의 평균값을 계산하되 지정된 타임동안 초기 데이터는 버리고 최종 데이터를 합산시킨 다음 평균을 내어 그 평균광량값과 기준 광량값을 비교한다.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 보다 높으면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하고, 이때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하였을때의 조도값을 기억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현재 평균광량값이 여전히 기준값보다 더 높으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할때의 광량값을 초과하면 계속적으로 밝기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시간후에 나머지 제 2 조명등 램프를 소등시킨다.
이후,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보다 낮으면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때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하였을때의 조도값을 기억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보다 낮으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하였을때의 광량값보다 더 낮으면 더욱 어두원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시간후 나머지 제 2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킨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 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조명등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3개나 4개 또는 그 밖에 다수개의 조명등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것은 2개의 조명등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것의 확장개념에 불과하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며, 따라서 다수개의 조명등을 순차적으로 소등시키거나 점등시키는 것은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계별 자동 점등방법 동작 플로오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원공급부
20: 광감지부
30: 기준조도 입력부
40: 광감지 타임 설정부
50: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
60: 평균조도 연산부
70: 오프셋 입력부
80: 마이컴
81: 광량 기억용 메모리
91: 제 1 조명등 출력부
92: 제 2 조명등 출력부
110: 제 1 조명등
120: 제 2 조명등

Claims (3)

  1. 램프 및 전기 제어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주변의 조사광을 감지함에 따라 내부 저항이 조사광 에너지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광감지부(20)와;
    광감지 기준 조도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준 조도 입력부(30)와;
    상기 광감지부에 의해 입력되는 광의 입력 타임을 결정하는 광감지 타임 설정부(40)와;
    광을 감지하는 시간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에서 지정한 시간동안 광감지 타임 설정부에서 지정한 시간간격으로 광감지 데이터를 입력하여 조도값을 평균하여 통보하는 평균 조도 연산부(60)와;
    사용자가 입력한 기준조도를 입력하고, 아울러 제 1 조명등 또는 제 2 조명등을 점등했을때의 광량이나 제 1 조명등 또는 제 2 조명등을 소등했을때의 광량을 메모리하는 광량 기억용 메모리(81)와;
    상기 광감지부(20)와, 기준조도 입력부(30)와, 광감지 타임 설정부(40)와, 광감지 지연시간 설정부(50)와, 평균조도 연산부(60)와, 광량 기억용 메모리(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광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하되 광감지 타임 설정부가 지정한 시간동안 평균 광량값을 확보하여 기준 광량값 이하이면 제 1 조명등 점등신호를 출력후 제 1 조명등의 광량값을 메모리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평균 광량값이 아직도 기준 광량값 이하이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점등시점의 광량값 이하이면 일정시간후 제 2 조명등 점등신호를 출력하며, 평균 광량값이 기준 광량값 이상이면 제 1 조명등 소등신호를 출력하고 제 1 조명등 소등 시점의 광량을 메모리하고 일정시간후 측정된 평균광량값이 아직도 기준 광량값 이상이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소등 시점의 광량값 이상이면 제 2 조명등을 소등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80)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제 1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제 1 조명등 출력부(91)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제 2 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제 2 조명등 출력부(9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명등 램프가 무조건 점등되는 광량값을 지정하기 위한 오프셋 입력용 딥스위치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3. 시스템의 마이컴에 광감지 타임과 오프셋 값을 지정하는 단계(S10)와;
    이후, 전원 스위치를 온 시키면 마이컴을 구동하는 단계(S20)와;
    마이컴이 조도 센서로부터 현재 조도 측정값을 입력하고, 오프셋 광량값이 지정되어 있으면 현재 측정된 광량값과 미리 지정된 오프셋값을 비교하는 단계(S30)와;
    비교결과 현재 조도(광량)값이 오프셋값보다 높으면 비교적 밝은 상태이므로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지 않고, 현재 조도값이 수동 입력된 오프셋값보다 낮으면 비교적 어두운 상태이므로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40)와;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고 일정시간(5초)후 다시한번 현재 광량을 측정하여 오프셋 광량값보다 낮으면 제 2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50)와;
    오프셋 광량값이 지정되지 않았으면, 램프 점등 이후에 지정된 타임동안(약 5분 정도) 평균광량값을 계산하되 지정된 타임동안 초기 데이터는 버리고 최종 데이터를 합산시킨 다음 평균을 내어 그 평균값과 광량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60)와;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 보다 높으면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하는 단계(S70)와;
    이때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하였을때의 조도값을 기억하고, 일정시간후 현재 평균광량값을 측정하는 단계(S80)와;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평균광량값이 여전히 기준 광량값보다 더 높으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램프를 소등할때의 광량값을 초과하면 계속적으로 밝기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시간후에 나머지 제 2 조명등 램프를 소등시키는 단계(S90)와;
    이후, 측정된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보다 낮으면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 등시키는 단계(S100)와;
    이때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하였을때의 조도값을 기억하고, 일정시간후 평균광량값을 측정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현재 평균광량값이 기준 광량값보다 낮으면서 동시에 제 1 조명등 램프를 점등하였을때의 광량값보다 더 낮으면 더욱 어두워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시간후 나머지 제 2 조명등 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S1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 방법.
KR1020090069148A 2009-07-29 2009-07-29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KR10092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48A KR100927744B1 (ko) 2009-07-29 2009-07-29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48A KR100927744B1 (ko) 2009-07-29 2009-07-29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744B1 true KR100927744B1 (ko) 2009-11-18

Family

ID=4160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148A KR100927744B1 (ko) 2009-07-29 2009-07-29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11B1 (ko) 2010-04-28 2012-09-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플래쉬 제어방법 및 상기 플래쉬 제어방법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
KR101193210B1 (ko) * 2012-01-18 2012-10-19 주식회사 드리미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KR101463503B1 (ko) * 2013-07-02 2014-11-19 주식회사 유니룩스 스텝센서등의 작동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316A (ko) * 2004-03-26 2005-09-29 최진영 광을 이용하는 전원 자동점멸장치
KR20090062092A (ko) * 2007-12-12 2009-06-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조도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조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316A (ko) * 2004-03-26 2005-09-29 최진영 광을 이용하는 전원 자동점멸장치
KR20090062092A (ko) * 2007-12-12 2009-06-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조도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조도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11B1 (ko) 2010-04-28 2012-09-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플래쉬 제어방법 및 상기 플래쉬 제어방법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
KR101193210B1 (ko) * 2012-01-18 2012-10-19 주식회사 드리미 가로등유닛의 제어방법
KR101463503B1 (ko) * 2013-07-02 2014-11-19 주식회사 유니룩스 스텝센서등의 작동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7731B2 (en) Closed loop daylight harvesting light control system having auto-calibration
US7122976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1124478B1 (ko)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JP6290373B2 (ja) 不正変更対策の昼光採光システム
KR100927745B1 (ko) 기준 조도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제어하는 단계별 조명등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KR101278947B1 (ko) 디밍제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방법
US200801916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illumination electrical switching
KR100927744B1 (ko) 광감지를 이용한 조명등의 단계별 자동 점등장치 및 방법
US9220153B2 (en) Illumin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keeping a constant total brightness of ambient light and light produced by the illuminating apparatus
CN107658958B (zh) 一种光电系统及光电控制方法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KR200432738Y1 (ko) 광감지를 이용한 자동 절전장치
US20130257293A1 (en) Automatic system enabled daylight sensor
CN108289363A (zh) 一种智能节能型电灯
CN114222392A (zh) 一种工矿灯亮度自适应调节系统及方法
US20170332455A1 (en) Light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individuals by using light having a different spectrum
US20110069871A1 (en) Indoor energy-saving system
JP2013149574A (ja) 照明装置
KR100695481B1 (ko) 가구용 자동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60615B1 (ko) 광감지를 이용한 자동 절전장치 및 방법
KR200432739Y1 (ko) 가구용 자동 조명 제어장치
KR101690040B1 (ko) 조도 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인버터 상태표시장치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50006A (ko) 태양광 가로등
WO2007018414A1 (en) System for emergency pilot lamp
KR20130003487U (ko) 재실 및 주변 조도에 반응하는 엘이디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