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219B1 -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 Google Patents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219B1
KR100980219B1 KR1020020074622A KR20020074622A KR100980219B1 KR 100980219 B1 KR100980219 B1 KR 100980219B1 KR 1020020074622 A KR1020020074622 A KR 1020020074622A KR 20020074622 A KR20020074622 A KR 20020074622A KR 100980219 B1 KR100980219 B1 KR 10098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ade
winding shaft
assembled
winding
compon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094A (ko
Inventor
콜리발리압둘
벨리벨보아지즈
빈더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124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802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6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윈도우 셰이드 유닛(window shade unit)은 조립 이후에 권취 위치(wound position)에 스프링 드라이브(spring drive)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저지 디바이스(blocking device)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디바이스와 권취 샤프트(windup shaft)로 구성된다. 윈도우 셰이드 유닛을 차량 또는 적당한 하우징에 설치한 후에, 상기 저지 디바이스는 상기 권취 샤프트를 작동시킴으로써 해제된다.
Figure R1020020074622
차량, 윈도우 셰이드, 권취 위치, 스프링 드라이브, 저지 디바이스, 베어링 디바이스, 권취 샤프트

Description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Preassembled Window Shade Component Group}
도 1은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스프링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권취 샤프트의 위치에서의 베어링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가동식 저지 부재와 고정식 저지 부재 사이의 상이한 결합 위치의 개략적인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반경방향 해제 장치(radial unblocking device)를 갖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의 베어링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6은 파단 핀(break-off pin)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의 베어링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 : 윈도우 셰이드 웨브
3 : 견인 로드 4 : 권취 샤프트
5, 6 : 베어링 요소 7 : 플랜지 플레이트
8 : 사각형 핀 9 : 베어링 핀
11 : 디텐트 홈 12 : 수용 핀
13 : 나선형 스프링 14 : 스프링 루프
15 : 리벳 16 : 스트립
17, 18 : 디텐트 래칫 19, 21 : 디텐트 러그
22, 23 : 판 스프링 24 : 베어링 부시
25 : 튜브형 연장부 26 : 칼라
27 : 판 스프링 28 : 디텐트 러그
29 : 디텐트 컷아웃 31 : 측벽
32 : 바닥부 33 : 정면
자동차 내에 윈도우 셰이드(window shade)용 공간이 충분하면, 상기 윈도 세이드는 하우징 또는 설치 프레임과 함께 완성품으로서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전체 유닛은 조립 라인으로 운반되고 전체적으로 그곳에서 설치된다.
상기 조건은 예를 들어, 후방 윈도우 셰이드와 관련하여 효과적이다. 그러나, 윈도우 셰이드가 자동차의 도어 또는 측면 패널 뒤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조건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 또는 측면 패널의 공간은 미리 조립된 완전한 유닛을 장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지 않다. 그런 경우에는, 차체상의 적당한 요소에 권취 샤프트(windup shaft)용 베어링 디바이스를 체결하고, 나중에 윈도우 셰이드를 상기 권취 샤프트에 체결한 상태로 삽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때에는 윈도우 셰이드가 전기적으로 작동될지라도, 일반적으로 윈도우 셰이드는 상기 권취 샤프트에 장착된 스프링 드라이브에 의해 수축(retract)되어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스프링 드라이브가 그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히 권취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따라서 윈도우 셰이드 웨브(web)가 완전히 권취되었을 때조차 상당한 권취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조립 라인에서의 스프링 드라이브의 이러한 권취는, 특히 정확하게 예정된 횟수의 권취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예비장력이 너무 크게 설정되면, 윈도우 셰이드 웨브를 완전히 연장하고자 할 때 스프링 드라이브가 한계에 도달하게 되어서 더 이상의 연장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가 불충분하게 권취되면, 예비장력이 불충분하므로 윈도우 셰이드 웨브가 권취되었을 때 덜걱거림(rattle) 없이 장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드라이브가 미리 권취된 상태로 배달(deliver)될 수 있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에 의해 달성된다.
윈도우 셰이드 웨브가 하나의 에지에서 체결되어 있는 권취 샤프트는 상기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의 일부이다. 스프링 드라이브는 권취 샤프트의 내부에 위치되며 윈도우 셰이드 웨브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 샤프트가 예비장력을 받도록 설계된다. 스프링 드라이브의 일단부는 권취 샤프트상에 체결된다. 스프링 드라이브의 타단부는 차량 또는 하우징 내에 권취 샤프트를 위치시키기 위해 권취 샤프트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디바이스상에서 제위치에 고정된다.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해제될 수 있는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이 미리 조립되어 있을 때에, 스프링 드라이브를 저지하기 위한 베어링 디바이스와 권취 샤프트 사이에 작용하여 윈도우 셰이드 웨브가 권취 샤프트상에 권취된 위치에서 저지 상태를 만들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이 설치된 후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영구적으로 해제 위치(unblocking position)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몇가지 상이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피벗가능한 래칫(ratchet)은 베어링 디바이스상에 제공되어 권취 샤프트상의 고정 리세스(recess) 또는 포켓(pocket)과 함께 작동한다. 상기 래칫은 해제 방향을 향하여 예비장력을 받으며 스프링 드라이브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전개되는 힘에 의해 상기 리세스 또는 포켓 내에 유지된다. 상기 래칫은 권취 샤프트를 감겨 있는 것을 푸는 방향(unwinding direction; 이하 '풀림 방향'이라고 함)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포켓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상기 예비장력으로 인해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제 2 실시예는 권취 샤프트 내의 포켓과 함께 작동하며 베어링 핀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고정 부재를 제공하여 구성된다.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는 핀이 제공되어 있는 베어링 디바이스에 대한 권취 샤프트의 회전을 저지한다. 설치 도중에, 상기 베어링 핀은 권취 샤프트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추가의 실시예는 소정의 파단 지점에 의해 상기 베어링 디바이스상에 저지 부재를 견고하게 장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정의 파단 지점은 첫번째 작동시에 분리되고, 그후 권취 샤프트가 자유롭게 가동한다. 상기 소정의 파단 지점은 스프링 드라이브에 의해 손상될 수 없는 크기로 제조되지만, 한편으로는, 상기 소정의 파단 지점은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가 상기 저지 부재를 파단하기 위해 당겨질 때 윈도우 셰이드 웨브를 손상시킬 수 없을 정도로만 약하다.
상기 세가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저지 부재 또는 래칫은 권취 샤프트상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은 베어링 디바이스 내에 견고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모든 실시예에서 해제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덜걱거리는 경향이 있는 불안정한 구성요소를 갖지 않는 방식으로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파단될 수 있는 저지 부재의 경우에, 상기와 같은 설계는, 상기 저지 부재가 접착제 또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대응 수용 포켓에 위치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모든 다른 변형에서도, 구성요소가 덜걱거리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결정해야 할 일이다.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가 저지 효과를 통해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되는, 포위식으로(captively) 위치된 제 1 저지 수단과 포위식으로 위치된 제 2 저지 수단을 구비하면, 목적지에서의 조립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추가의 단순화는 저지 수단 중 하나가 가동하고 다른 하나가 견고하게 합체되면 달성된다.
가동식 저지 수단이 상기 해제 위치에서 예비장력을 받으면, 소망의 영구적인 해제 위치가 달성된다. 파단 가능한 저지 부재 또는 저지 수단을 사용할 때, 두 저지 수단은 기본적으로 고정식이다. 소정의 파단 지점을 분리시킨 후에, 권취 샤프트에 남아있는 구성요소는 권취 샤프트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삭제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들은 그들의 권취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도어에 윈도우 셰이드를 배열함에 있어서는, 기계 요소를 상기 도어의 힌지에 가능한 가깝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기계적인 권취 요소상에 작용하는 힘은 가능한 작게 유지된다. 상기 요소들이 힌지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가속력이 커진다.
이것을 고려하여, 특정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권취 샤프트의 양 권취 방향에 적합한 정도로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를 대칭으로 구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기술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청구된 특징들의 조합을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된다.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도 1에 도시된다. 설치 후에,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측면 윈도우용 윈도우 셰이드, 후방 윈도우 셰이드 또는 화물 공간용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견인 로드(3)를 갖는 윈도우 셰이드 웨브(2), 개략적으로 보이는 권취 샤프트(4) 및 두개의 베어링 요소(5, 6)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을 구성한다.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는 견인 로드(3)로부터 먼 쪽의 에지에서 권취 샤프트(4)에 체결된다.
도 2는 좌측 베어링 요소(6)의 구조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다. 상기 베어링 요소(6)는 플랜지 플레이트(flange plate: 7)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7)는 권취 샤프트(4)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권취 샤프트(4)에서 멀리 가리키는 측면에서 사각형 핀(8)을 지지한다. 상기 사각형 핀(8)은 차량의 일부분에 제공되는 대응 사각형 리세스 또는 사각형 개구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각형 핀(8)에 의해, 베어링 요소(6)가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도록 수용된다.
권취 샤프트(4)를 향하는 측면에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7)는 사각형 핀(8)에 대해 동축이며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베어링 핀(9)을 지지한다. 플랜지 플레이트(7)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상기 베어링 핀(9)은 디텐트(detent) 홈(11)을 포함한다. 더욱 연장된 지점에서, 상기 베어링 핀(9)은 리벳(15)상의 루프(14)에 의해 체결되는 나선형 스프링(13)을 위한 수용 핀(12)을 구성한다. 상기 리벳(15)은 상기 수용 핀(12) 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고 스프링 루프(14)의 고정 지점으로서 사용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나선형 스프링(13)의 다른 단부는 권취 샤프트(4) 내에 체결되므로, 상기 나선형 스프링(13)은 윈도우 셰이드 웨브(2)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 샤프트(4)에 예비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 드라이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권취 샤프트(4)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짧은 스트립(16)은 상기 베어링 핀(9)과 동일한 측면에서 플랜지 플레이트(7)상에 위치된다. 상기 스트립(16)은 이행부에서 플랜지 플레이트(7)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개의 디텐트 래칫(detent ratchet: 17, 18)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두개의 래칫은 대략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에서 상기 원통형 베어링 핀(9)의 둘레로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디텐트 래칫(17)은 단부가 디텐트 러그(19 ; lug)로서 끝나고, 상기 디텐트 래칫(18)은 단부가 디텐트 러그(21)로서 끝난다. 두개의 디텐트 러그(19, 21)는 그들의 기능에 의해 결정되는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다. 상기 기능에 의해 결정된 거리는 하기에 추가로 제공되는 기능 설명시에 설명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플랜지 플레이트(7)는 상기 사각형 핀(8)의 양측에 두개의 판 스프링(22, 23)을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판 스프링은 플랜지 플레이트(7)들 사이에서 덜걱거림이 없게 유지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군(1)에 미리 규정된 축방향 예비장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요소(6)는, 양호하게는 열가소성 물질 또는 듀로플라스틱 (duroplastic) 물질로 제조된 사출성형품이다.
베어링 부시(24 ; bearing bush)는 상기 좌측 베어링 요소(6)에 할당되는 권취 샤프트(4)의 측면에서 권취 샤프트(4) 내로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24)는 권취 샤프트(4) 내로 끼워맞춰지는 튜브형 연장부(25)와, 권취 샤프트(4) 밖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상에서 상기 튜브형 연장부로부터 이행된 칼라(26 ; collar)로 구성된다. 칼라(26)로부터 떨어진 측부상에서, 베어링 부시(24)의 튜브형 부분은, 등거리로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단에 디텐트 러그(28)를 갖는 세개의 판 스프링(27)을 형성한다. 세개의 디텐트 러그(28)는 디텐트 홈(11)에 고정되도록 설정된다.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칼라(26)의 외향 정면은 플랜지 플레이트(7)의 인접하는 편평한 측면에 위치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24)는 튜브형 권취 샤프트 내부에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적절한 방식으로 체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어링 부시는 상기 권취 샤프트 내부에 부착된다.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열되는 두개의 디텐트 포켓 또는 컷아웃(29)은 칼라(26)의 원통형 외주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두개의 디텐트 컷아웃(29) 중 하나만이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다. 다른 디텐트 컷아웃(29)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도 3 및 도 4에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상기 디텐트 컷아웃(29)은 평행한 측벽(31)과 바닥부(32)로 형성된다. 원주방향에서 보았을 때, 바닥부(32)의 깊이는 상기 베어링 부시(24)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변한다. 상기 바닥부는 원통형 외주면에서 출발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언더컷이 되는 반경방향으로 경사진 정면(33)에서 끝난다.
반대쪽의 베어링 요소(5)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베어링 요소(6)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상기 베어링 요소(5)에서는 디텐트 래칫(17, 18)을 배제할 수 있다. 스프링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나선형 스프링(13)은 어떤 경우에는 베어링 요소(5)에서 생략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24)는 동일한 형태의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제조자에 의해 윈도우 셰이드 웨브(2)의 에지를 따라 튜브형 권취 샤프트(4)에 연결된다.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는 권취 샤프트상에 권취된다. 그후, 베어링 부시(24)에 대응하는 베어링 부시가 미리 위치되어 있는 베어링 요소(5)가 적당한 측면으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는 예를 들어, 권취 샤프트(4)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권취 샤프트(4)의 내부에 접착된다. 사용시에, 상기 베어링 부시는 베어링 요소(5)의 베어링 핀상에서 회전한다.
먼저, 상기 베어링 부시(24)는 상기 디텐트 홈(11)에 디텐트 러그(28)가 맞물릴 때까지 권취 샤프트(4)의 타단부에 있는 베어링 핀(9)상으로 밀린다. 그후, 나선형 스프링(13)의 스프링 루프(14)가 핀(15)에 체결된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13)의 타단부에는, 예를 들어 권취 샤프트(4) 내부의 대응 길이방향 홈에서 연동식으로 변위될 수 있지만 상대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되는 적절한 접촉 또는 고정 요소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준비한 후에, 상기 베어링 부시(24), 나선형 스프링(13) 및 베어링 요소(6)로 구성되는 부품군은 권취 샤프트(4)의 적당한 단부에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24)는 권취 샤프트(4)에서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상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은 접착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핀을 사용하는 체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제,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이 자동차에 조립될 준비를 갖추게 되었다.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만이 아직 권취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를 권취하기 위해, 베어링 요소(5)는 권취 샤프트(4)에 대한 적당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의 횟수는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가 권취된 상태에서의 스프링 드라이브의 필요한 예비장력에 대응한다. 소정의 권취 위치를 달성한 후에, 적당한 디텐트 래칫(17 또는 18)은 관련 컷아웃(29) 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리고, 베어링 요소(6)를 유지하는 힘이 제거된다.
감긴 나선형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각각의 컷아웃(29)의 정면(33)은 개별적으로 선택된 디텐트 래칫(17 또는 18)의 전방 단부(19 또는 21)상에 대응하는 힘으로 정착된다. 접촉 위치에서, 상기 전방 단부(19 또는 21)는 정면(33)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데, 이는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단부는 외부에서 볼 때, 일종의 언더컷이 만들어지는 방식으로 배향되므로, 토크에 의해 힘이 발생되고, 상기 힘은 경사지게 형성된 정면(33)과 함께 관련 컷아웃(29) 내로 디텐트 래칫(17 또는 18)을 당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디텐트 래칫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각각의 디텐트 래칫(17 또는 18)상에 외부로부터 더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을 지라도, 각각의 디텐트 래칫(17 또는 18)은 자신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권취 샤프트(4)는,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가 감길 때 사각형 핀(8)의 방향으로부터 권취 샤프트(4)의 각각의 전방 단부상에서 보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는 상기 디텐트 래칫(17)이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텐트 래칫(17)은 상기 컷아웃(29)과 함께, 상기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상보적으로 배향된 컷아웃(29)에 관련되는 디텐트 래칫(18)은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를 반대 방향으로 권취하기 위한 회전 방향을 위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베어링 요소(5)가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설계되면, 상기 래칫은 상기 베어링 요소(5)의 영역에서 윈도우 셰이드를 다른 방식으로 변경하지 않아도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최종적으로 미리 조립되고, 스프링(13)은 소정의 방식으로 권취된다.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조립 라인에 배달되어 그곳에서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설치 이후에, 견인 로드(3)를 당김으로써,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를 권취 샤프트(4)로부터 약간 푼다. 디텐트 래칫(17)에서의 굽힘 예비장력으로 인해, 상기 래칫은 상기 수용 컷아웃(29)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그때부터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디텐트 래칫(17)의 전방 단부(19)는 칼라(26)의 외경보다 약간 큰, 베어링 핀(9)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그로부터, 권취 샤프트(4)는 디텐트 래칫(17)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으로 위치되는 디텐트 래칫에 의해 반경방향 고정이 제공된다. 축방향 배향이 반경방향 배향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적당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다. 이미 설명된 부품들이 반복되는 범위까지는 재차 설명하지 않고 이전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도 5에 따른 배치에서, 판 스프링으로서 구현되는 디텐트 래칫(36)은 사각형 핀(8)의 편평한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베어링 부시(24)의 칼라(26)를 향하는 방향으로 플랜지 플레이트의 에지에서 리세스(37)를 통과하여 돌출된다.
상기 칼라(26)는 두개의 컷아웃(cutout)을 포함하는데, 그중 하나의 컷아웃(38)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컷아웃은 홈 형상으로 만곡되는 벽(39)에서 끝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37)에서 보아서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컷아웃 역시 일종의 언더컷을 형성한다. 상기 컷아웃(38)은 칼라(26)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므로, 두개의 컷아웃 사이의 영역에서 캠(cam) 형상을 취한다. 상기 두개의 컷아웃(38)은 반대로 배향된다. 즉, 상기 벽(39)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컷아웃의 기능적으로 대응되는 벽과는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다.
조립시에, 구성이 완성되고, 소망의 권취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나선형 스프링(13)을 감도록 사각형 핀(8)이 회전된 후에, 판 스프링으로 구현된 디텐트 래칫(36)은 상기 컷아웃(38)의 바닥부상에 위치될 때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린다. 사각형 핀(8)을 해제한 후에, 상기 사각형 핀은 상기 권취 샤프트(4)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상기 디텐트 래칫(36)의 자유단은 오목한 벽(39)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로 밀리며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인해 그 벽 안에 걸려 포위식으로(captively) 유지되므로, 상기 디텐트 래칫(36)은 외측으로는 스냅될 수 없다. 상기 디텐트 래칫을 외측으로 스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 샤프트를 풀림 방향으로 약간만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회전 때문에, 상기 디텐트 래칫(36)의 자유단은 벽(39)에 의해 형성된 반원통형 공간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스냅될 수 있다. 해제 위치에서, 디텐트 래칫의 자유단은 베어링 부시(24)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어서, 디텐트 래칫(36)이 상기 칼라의 부분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디텐트 래칫(17, 18)과 컷아웃(29), 디텐트 래칫(36)과 컷아웃(38) 및 벽(39)과 같은 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텐트 래칫(17, 18), 상기 디텐트 래칫(36)은 가동식 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컷아웃(29), 컹아수(38)과 벽(39)은 고정식 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권취 샤프트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윈도우 셰이드 유닛에는 조립 이후에 스프링 드라이브를 권취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지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윈도우 셰이드 유닛을 차량 또는 적당한 하우징에 설치한 후에, 상기 저지 디바이스는 권취 샤프트를 작동시킴으로써 해제된다. 상기 저지 디바이스는 윈도우 셰이드 부품이 설치된 후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영구적으로 해제 위치(unblocking position)로 전환될 수 있다.

Claims (26)

  1. 두개의 단부들을 갖는 권취 샤프트(4 ; windup shaft)와,
    상기 권취 샤프트(4)상에 하나의 에지가 체결되는 윈도우 셰이드 웨브(2 ; window shade web)와,
    상기 권취 샤프트(4)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 샤프트(4)에 예비장력을 주도록 설계되며, 하나의 작동 단부가 상기 권취 샤프트(4)에 고정되는 두개의 작동 단부를 갖는 스프링 드라이브(13 ; spring drive)와,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13)의 다른 작동 단부가 고정되고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 수단(8)을 갖는, 상기 권취 샤프트(4)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디바이스(6, 24)와,
    저지 수단(17, 18, 29; 36, 38, 39)을 갖는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지 수단은,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가 상기 권취 샤프트(4) 상에 감긴 것에 대응하는 예비장력을 상기 권취 샤프트(4)가 받는 상태일 때, 상기 베어링 디바이스(6, 24)와 상기 권취 샤프트(4) 사이에서 작동하는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13)를 저지하기 위한 저지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저지수단은,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디바이스와 상기 권취 샤프트 사이에서 스프링 드라이브(13)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권취 샤프트로부터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를 푸는 방향으로 권취 샤프트(4)를 회전시켜 공구없이 해제될 수 있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상기 권취 샤프트(4)로부터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가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 샤프트(4)를 작동시킴으로써 해제 상태로 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된 포위식으로(captively) 유지되는 제 1 저지 수단(17,18; 36 또는 29; 38,39)과 포위식으로 유지되는 제 2 저지 수단(29; 38, 39 또는 17, 18; 36)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수단들 중 하나는 상기 권취 샤프트(4)에 연결되어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베어링 디바이스(6, 24)에 연결되어 상대 회전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 수단(17, 18, 29; 36, 38, 39) 중 하나는 가동식 저지수단(17,18;36)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식 저지수단(29;38,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저지 수단(17,18;36)은 해제 상태를 향하여 예비장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지 수단과 제2저지 수단은 그들의 형상 때문에, 단지 상기 권취 샤프트(4)와 상기 베어링 디바이스(6, 24) 사이에서 작용하는 예비장력에 의해 상기 제1저지 수단과 제2저지 수단이 상호 결합 상태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저지 수단(17,18;36)은 상기 권취 샤프트(4)의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한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저지 수단(17,18;36)은 상기 권취 샤프트(4)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상기 윈도우 셰이드 웨브(2)가 권취될 때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가 상기 권취 샤프트(4)의 권취 방향과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반대 회전 방향으로 작동하는 두개의 가동식 저지 수단(17,18; 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각각 상기 가동식 저지 수단(17,18; 36) 중 하나와 함께 작동하는, 두개의 고정식 저지 수단인 컷아웃(29; 38: cutou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지용 디바이스는 수 개의 고정식 저지 수단(29;38,39)을 구비하며, 이 고정식 저지 수단들 각각은 상기 가동식 저지 수단(17,18; 36) 중 하나와 함께 작동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저지 수단(17,18;36)은 디텐트 래칫(detent ratchet)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저지 수단은 컷아웃(29;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자동차용 윈도우 셰이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0. 제 1 항에 있어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1)은 자동차의 화물 공간용 커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4)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는 상기 권취 샤프트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드라이브는 나선형 스프링(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4)는 타단부에 제 2 베어링 디바이스(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샤프트(4)는 상기 제 2 베어링 디바이스(5)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 디바이스(5)는 상기 권취 샤프트(4)에 포위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 디바이스(5)는 상기 권취 샤프트(4)에 연결된 베어링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KR1020020074622A 2002-01-17 2002-11-28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KR10098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86.7 2002-01-17
DE10201786A DE10201786B4 (de) 2002-01-17 2002-01-17 Vormontierte Rollo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94A KR20030063094A (ko) 2003-07-28
KR100980219B1 true KR100980219B1 (ko) 2010-09-09

Family

ID=771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622A KR100980219B1 (ko) 2002-01-17 2002-11-28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2983B2 (ko)
EP (1) EP1329349B2 (ko)
JP (1) JP4467893B2 (ko)
KR (1) KR100980219B1 (ko)
DE (2) DE1020178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625B2 (en) * 2002-03-19 2009-06-09 Canimex Inc. Brak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E10353778A1 (de) 2003-11-18 2005-06-23 Bos Gmbh & Co. Kg Fahrzeugrollo mit vereinfachter Ankoppelung der Führungsschienen
DE102004024682A1 (de) 2004-05-19 2005-12-15 Bos Gmbh & Co. Kg Rollo mit Spiralfederantrieb
DE102004038756A1 (de) 2004-08-09 2006-02-23 Bos Gmbh & Co. Kg Sonnenschutzrollo für Glasdächer
DE102004042415B4 (de) * 2004-09-02 2006-10-12 Daniel Trost Aufbewahrungsrolle
DE102004053356B4 (de) * 2004-11-02 2014-11-06 Exte-Extrudertechnik Gmbh Springrollo
US7537265B2 (en) * 2005-11-22 2009-05-26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structure
DE102005062973A1 (de) * 2005-12-28 2007-07-12 Bos Gmbh & Co. Kg Rollo mit vereinfachter Montage der Wickelwelle
US7401840B2 (en) * 2006-05-09 2008-07-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Window shade
DE102006021586B3 (de) * 2006-05-09 2008-04-10 Webasto Ag Rolloanordnung
JP5410311B2 (ja) 2010-01-20 2014-02-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AU2011207646B2 (en) 2010-01-22 2016-11-03 Hunter Douglas Inc. Power assist module for roller shades
GB201005709D0 (en) 2010-04-06 2010-05-19 Louver Lite Ltd Spring assembly
TWI604124B (zh) * 2012-02-23 2017-11-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模組
FR2988661B1 (fr) * 2012-03-30 2014-04-25 Cera Cache-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US20140014281A1 (en) * 2012-07-13 2014-01-16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Shade with a Shear Pin and Method for Pretensioning a Shade
GB2522417B (en) * 2014-01-22 2016-09-14 Ford Global Tech Llc Roll cover assembly
JP5980830B2 (ja) 2014-03-13 2016-08-31 八千代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ロールシェード装置
FR3019505B1 (fr) * 2014-04-08 2016-05-27 Centre Detude Et De Rech Pour Lautomobile Cera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JP6306432B2 (ja) * 2014-05-23 2018-04-04 林テレンプ株式会社 巻取装置
KR20170040580A (ko) * 2015-10-05 201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커튼의 회전축 유동구조
SE540336C2 (en) 2016-07-01 2018-07-10 Ikea Supply Ag Locking device for a roller blind
DE102016125284B4 (de) * 2016-12-21 2018-07-05 Webasto SE Fahrzeugdach mit Trägerabschnitt und Rolloanordnung
US10501988B2 (en) * 2017-02-02 2019-12-10 Hunter Douglas Inc. Power assist modul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EP3447231A1 (de) 2017-08-23 2019-02-27 Planet GDZ AG Fingerschutzvorrichtung
KR102026066B1 (ko) * 2017-11-24 2019-09-27 곽재석 줄 없이 작동되는 안전 블라인드
KR102083829B1 (ko) * 2018-10-26 2020-03-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353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디젤엔진의 기어지지부재
KR19980063722A (ko) * 1996-12-04 1998-10-07 하나와 요시카즈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JP2000282767A (ja) * 1999-03-31 2000-10-10 Nifco Inc サンシェ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7209A (en) * 1932-07-29 1933-11-28 Higgin Mfg Co Tension controlling device for rolling closures
IT946632B (it) * 1972-01-17 1973-05-21 Masi Lamberto Visiera parasole avvolgibile per il parabrezza di autoveicoli
JPS53152814U (ko) * 1977-05-07 1978-12-01
US4222601A (en) 1978-10-16 1980-09-16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compartment cover
US4674550A (en) 1984-08-06 1987-06-23 Newell Co. Window shade motor and roller assembly
US4762358A (en) 1985-12-06 1988-08-09 J. Viola, Jr. Automotive sun screen
EP0701039A1 (fr) 1994-09-10 1996-03-13 Para-Press S.A. Dispositif de réglage de la tension d'un enrouleur automatique de store
US5676415A (en) * 1994-11-19 1997-10-14 Baumeister + Ostler Gmbh & Co. Kg Luggage compartment cover for a motor vehicle
FR2752874B1 (fr) 1996-08-28 1999-05-21 Farnier Et Penin Snc Rouleau enrouleur de store prebande
DE19640846B4 (de) 1996-10-03 2006-10-12 Bos Gmbh & Co. Kg Rollowelle zum Auf- und Abrollen eines flexiblen Flächengebildes
DE29821879U1 (de) * 1998-12-08 1999-02-04 Lin Yung Ching Sonnenblendenanordnung mit senkrecht verlaufenden Schienen
DE19903811C1 (de) 1999-02-02 2000-05-04 Butz Peter Verwaltung Wickelvorrichtung für eine Werkstoffbahn einer Rückhaltevorrichtung od. dgl. eines Fahrzeugs, wie z. B. eines Kombinationskraftwagens
FR2825114B1 (fr) 2001-05-28 2005-10-07 Wagon Automotive Snc Store a moyens de solidarisation temporaire des pali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722A (ko) * 1996-12-04 1998-10-07 하나와 요시카즈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KR19980052353A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디젤엔진의 기어지지부재
JP2000282767A (ja) * 1999-03-31 2000-10-10 Nifco Inc サンシェ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9349B2 (de) 2009-09-30
DE10201786A1 (de) 2003-08-07
EP1329349B1 (de) 2004-10-20
DE10201786B4 (de) 2004-09-09
JP4467893B2 (ja) 2010-05-26
EP1329349A1 (de) 2003-07-23
US20030131953A1 (en) 2003-07-17
US7082983B2 (en) 2006-08-01
KR20030063094A (ko) 2003-07-28
JP2003211957A (ja) 2003-07-30
DE50300111D1 (de)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219B1 (ko) 미리 조립된 윈도우 셰이드 부품군
EP0652136B1 (en) Security cover with a spring motor subassembly
US7621559B2 (en) Pillar ramp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curtain airbag
US5934354A (en) Security shade support assembly
EP1676748B1 (en) A device for creating an angular biasing force
EP2152996B1 (en)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a vehicle
US5813449A (en) Vehicle security shade with telescoping end pieces
EP2011697A2 (en) Flat cable connector with locking clip and centering mechanism
US4482137A (en) Compartment shade
EP0855312A2 (en) A wiring harness arranging construction
US20080173082A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and mounting method
US4834433A (en) Plastic door handle
EP2527174B1 (en) Sunshade device
EP2066511A1 (en) A vehicle door and a side impact beam for such
EP2397369B1 (en) Cargo net device
EP2514618A2 (en) Sheet winding apparatus for vehicle
CA2015471A1 (en) Visor mount
US20170066309A1 (en) Vehicle roll shade device
JP2007106407A (ja) 交換可能なアダプタ部分を有する保護装置
US20180339577A1 (en) Roof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a roof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8770256B2 (en) Fixed motor spring shade
US6094868A (en) Handle unit of a manual window apparatus
KR102096838B1 (ko) 자체 잠금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
US7549457B2 (en) Silicone shade
JP4573837B2 (ja) 自動ロック式ベルト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