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921B1 -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921B1
KR100979921B1 KR1020080014619A KR20080014619A KR100979921B1 KR 100979921 B1 KR100979921 B1 KR 100979921B1 KR 1020080014619 A KR1020080014619 A KR 1020080014619A KR 20080014619 A KR20080014619 A KR 20080014619A KR 100979921 B1 KR100979921 B1 KR 10097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rown
group
cloud mushroom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203A (ko
Inventor
김종평
강학수
박순혜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1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9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꽃구름버섯 (Stereum ostrea) 추출물, 그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그의 분리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며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오스타락톤 A를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갈색꽃구름버섯(Stereum ostrea), 리파아제 활성, 오스타락톤 A

Description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Stereum ostrea extracts, lacton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and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갈색꽃구름버섯 (Stereum ostrea) 추출물, 그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그의 분리 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며 리파아제(lipase) 저해 활성을 갖는 오스타락톤(ostalactone) A를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에 수반하여, 영양 과다 등의 원인에 의해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동맥 경화증의 위험 인자의 하나이기도 하고, 또 당뇨병이나 고지혈증과도 관련이 있어 심각한 문제로 되고 있다.
비만은 신체에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이므로,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는 원인은 지방의 과잉 섭취이다. 식품 성분 중, 가장 고칼로리인 지방 (트리글리세리드) 이 췌장 리파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되면, 디아실글리세롤, 모노아실글리세롤을 거쳐 글리세롤과 지방산이 생기고, 소장으로부터 흡수되는데, 섭취 칼로리의 과잉 은 췌장 칼로리를 증가시키도록 작용한다. 즉, 과잉된 지방 섭취에 의해 비만 또는 고지혈증, 동맥 경화증이 된다 (Kopelman et al . Nature , 404, 635-643, 2000 and Pi-Sunyer et al. Obesity Research, 10, 97-104, 2002). 그래서, 비만에 이르는 이들 경로의 일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작용이 얻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지방 과잉 섭취로부터 비만에 이르는 경로를 저해하는 지질 분해 효소 저해 작용에 의해 콜레스테롤 저하,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저하를 가져와, 비만 방지가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Bray et al. Nature, 404, 672-677, 2000).
이와 관련하여, 리파아제(lipase) 저해 작용이 있는데, 이는 지방 (트리글리세리드) 섭취로부터 비만에 이르는 경로를 저해하는 작용을 일컫는다. 지방은 췌장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소장으로부터 흡수되기 때문에, 리파아제의 효소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혈중의 트리글리세리드를 저하시켜 항비만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관(腸管)으로부터의 지방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혈청 지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항고지혈증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Yamamoto et 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 24, 758-764, 2000).
항비만 작용을 갖는 여러가지 화합물 중 화학 합성 화합물은 투여에 있어서 안전성 문제로 인해 불안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식품에 항비만제를 배합하여 일상 생활 중에서 비만 예방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더라도, 화학 합성 화합물인 점이나, 투여량의 많음으로 인해 복용시에 불쾌감을 나타내는 예도 많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하여, 천연물 유래의 항비만제가 다수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시트릭 애시드 (hydroxycitric acid), 노지리마이신 (nojirimycin), 프로시아니딘 (procyanid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 이들의 배당체, 카테킨류, 히노키티올 (hinokitiol), 벤조페논 유도체, 트리테르펜류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스클레로티오린 (sclerotiorin), 카우렐로페닌(caulerpenin), 콜레우스포스콜린 (Coleus Forskolin) 등, 상당히 많은 항비만 작용을 갖는 성분이 특정되어 왔다.
이들 성분은 식물, 해초 등의 추출물로부터 정제 또는 추출물의 상태 그대로 사용된다. 이들 천연물 유래 성분의 소화 효소에 대한 저해 작용은 기질 특이성이 낮기 때문에 항비만 작용은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며, 또한 용량에 따라서는 소화 불량 등과 같은 부작용의 원인이 되는 것도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보다 더 강력하면서도 독성이 없는 항비만 활성을 갖는 새로운 물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이 발견된다면 비만 치료제 개발이나 화장품첨가제 및 식품첨가제 등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하며, 약리활성을 가지면서도 독성이 없는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상기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상기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4 과제는 상기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ostalactone) A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1
식중,
R은 수소,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의미한다.
상기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색꽃구름버섯(Stereum ostrea) 균사체 배양액으로부터 제1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1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의 제1 유기용매 추출물로부터 제2 유기 용매로 분액추출하여 제2 유기용매 분획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1, 2 유기용매 분획을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1의 오스타락톤 A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4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2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 버섯류 또는 약용식물 등 각종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리파아제 저해물질을 탐색하던 중,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약학적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을 포함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3
식중,
R은 수소,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방법은 유기용매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갈색꽃구름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제1 유기용매, 예를 들어 갈색꽃구름버섯의 균사체를 아세톤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제2 유기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액 추출하여 제2 유기용매 분획을 얻은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은 천연성분으로서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리파아제 저해활성은 상기 분획 중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이 없어 안전하므로 의약품 및 화장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특히 리파아제 저해활성 기능과 같은 강한 항비만활성을 나타내므로 생체 내 항비만제 분야에 특히 유용하며, 그 이외에도 식품 소재분야 그리고 화장품 소재분야 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은 흡착과 크기 배제의 원리로 물질이 분리되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의 선택과 실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겔 컬럼과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혼합용 액에서 메탄올의 농도를 변화시켜 용출하였으며, 또한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메탄올 또는 이에 상응하는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평형화한 다음 동일 용매로 용출하였다. 상기 과정으로 얻은 활성분획을 다시 소수성의 실리카켈을 수지로 하는 컬럼에 활성분획을 주입하여 리파아제 저해활성이 있는 단일 물질을 분리하였다. 이 결과 얻어진 단일물질은 상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였다.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비만제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조제약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약학적 조제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운반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실제로 투여되는 본 화합물의 양은, 대개는, 대상 질환, 선택된 투여 경로, 실제 투여되는 화합물, 나이, 체중 및 개별 환자의 반응, 증상의 심함 정도 등을 포함한 관련된 정황들을 고려하여 의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투여량은 1일 1회 또는 수회 투여로 10mg에서 500mg까지 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구강, 직장, 경피, 피하, 정맥, 근육 내 및 비강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의도한 전달 경로에 따라 주사용 또는 경구용 조성물 중 하나로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원액 유동성 희석액(bulk liquid dilutions) 또는 현탁액, 또는 원액 분말(bulk powders)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일반적으로는, 정확한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위 투여량 형태로 제공된다. "단위 투여량 형태(unit dosage forms)"라는 용어는 환자 및 다른 포유동물에 투여할 한번의 투여량으로 적합한, 완전히 분리된 단위를 지칭하는데, 각 단위에는 원하는 치료적 효과를 내도록 계산되어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물질이 적절한 약학적 부형제와 결합된 형태로 들어 있다. 일반적인 단위 투여량 형태는 액상 조성물이 미리 채워지고 측정되어 있는 앰풀(ampule) 또는 주사기, 또는 고체 조성물의 경우 환약(pill), 정제(tablet), 캡슐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상 형태에는 완충액, 현탁 및 분산제, 착색제, 향신료 등과 함께 적절한 수액성 또는 비수액성 운반체가 포함될 수 있다. 고형의 조제물에는, 예를 들면 다음의 성분들 또는 그와 유사한 성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미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트래거캔스 고무(gum tragacanth) 또는 젤라틴 등의 결합제; 전분 또는 유당(lactose) 등의 부형제; 알긴산(alginic acid), 프리모겔(Primogel) 또는 옥수수 전분 등의 분해제(disintegrating agent);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등의 윤활제; 교질성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등의 활택제(glidant); 자 당(sucrose) 또는 사카린(saccharin) 등의 감미제; 또는, 박하, 살리실산메틸(메틸 salicylate) 또는 오렌지 향(orange flavoring) 등의 향신제.
주사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주사용 멸균 식염수나 PBS(phosphate-buffered saline) 또는 기타 당업계에 알려진 주사용 담체에 기초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런 조성물 내의 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소수 성분이며 보통 주사용 담체 등의 잔여물을 합친 중량의 약 0.05 내지 10%를 차지한다.
경구 투여용 또는 주사용 조성물에 대한 상기 성분들은 단지 대표적인 것들일 뿐이다. 기타의 물질 및 처리 방법 등은 레밍턴즈 파마슈티칼 사이언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 개시되어 있다(참조: Part 8 of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ition, 198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서방형(sustained release form) 또는 서방성 약물 전달시스템(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으로 투여될 수 있다. 대표적인 서방형 물질은 레밍턴즈 파마슈티칼 사이언스의 첨가 물질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갈색꽃구름버섯(Stereum ostrea)의 균사체배양물로부터 추출한 항비만 활성을 갖는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추출물은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이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 버섯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배양물로부터 항비만 활성을 갖는 추출물의 제조
갈색꽃구름버섯(Stereum ostrea) 균사체를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약 2주간 배양하였다. PDA 고체배지에서 배양된 버섯균사체를 YPS 액체배지에 옮겨 500ml 삼각플라스크를 이용하여 28℃ 및 140rpm으로 일주일간 seed 배양한 후, 5L 발효기(fermentor)에 3L의 YPS 배지를 채우고 여기에 seed 배양액을 접종하여 약 2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사체의 아세톤 추출물과 배양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액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리파아제 저해물질을 생산하는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를 2008년 1월 10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내 유전자은행에 기탁번호 KCTC 11262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갈색꽃구름버섯의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의 분리방법
갈색꽃구름버섯의 균사체 배양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분액추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높이며 용출하여 분획하였다. 각 분획 중 리파아제(lipase)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모아 이것을 세파덱스(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였다. 이 중 활성분획을 메탄올 수용액에서 역상 C-18 컬럼을 사용하여 HPLC하여, 오스타락톤 A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의 화학구조 규명 및 물리화학적 특성
상기 실시예 2에서 추출분리 정제된 오스타락톤 A 화합물의 화학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질량분석, 자외선 및 가시광선 분광 분석, 적외선 분광 분석, 수소 및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스타락톤 A
물질의 성상: 투명한 오일
분자량: 224
분자식: C12H16O4
질량분석: ESIMS m/z 223 [M - H]-, m/z 247 [M + Na]+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IR (KBr) ν max: 3413, 2924, 2860, 1811, 1635, 1627, 1571 cm-1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pm (MeOH-d 4 , 400MHz): ◎1.68 (3H, s), 2.51 (1H, dd, J = 15.0, 7.6 Hz, H-8a), 2.67 (1H, dd, J = 15.0, 7.6 Hz, H-8b), 2.68 (1H, d, J = 20.0 Hz, H-6a), 2.81 (1H, dd, J = 20.0, 5.0 Hz, H-6b), 3.94 (2H, s, H-12), 4.15 (2H, s, H-13), 4.91 (1H, d, J = 5.5 Hz, H-7), 5.45 (1H, t, J = 7.6 Hz, H-9), 5.60 (1H, s, H-4)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pm (MeOH-d 4 , 400MHz): ◎14.1 (C-11), 28.3 (C-8), 38.4 (C-6), 61.5 (C-13), 68.4 (C-12), 76.2 (C-13), 80.4 (C-7), 119.3 (C-9), 123.1 (C-4), 140.3 (C-10), 149.2 (C-5), 175.1 (C-2)
화학구조: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4
실시예 4: 오스타락톤 A 화합물의 리파아제(lipase) 저해활성
오스타락톤 A의 리파아제 저해활성은 인간 판크레아틴 리파아제를 사용하였으며 4-MU를 기질로 사용하였다. DMSO에 농도별로 녹인 오스타락톤 A 시료 25 ㎕ 13 mM tris-HCl 버퍼에 녹인 4-MU (4-methylumbelliferone) 50 ㎕ 와 동일한 버퍼에 녹인 리파아제 25 ㎕를 96 웰 플레이트에서 혼합한 후 36 ℃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pH 4.2의 0.1 M 시트르산 나트륨 용액 5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으며 플루오로메트리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Fluorometrical microplate reader) (excitation at 355nm, emission at 460nm)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리파아제 활성 저해율을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수학식 1>
리파아제 저해활성 (%) = (A-B)/A ㅧ 100
A: 시료대신 DMSO를 첨가하여 리파아제와 반응시킨 대조구의 형광도
B: 시료와 리파아제를 반응시킨 실험구의 형광도
오스타락톤 A의 리파아제 활성 저해율은 50 % 저해활성을 갖는 농도로 정의되는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오스타락톤 A의 IC50 값은 2 ㎍/ml로 리파아제 저해활성이 대조 화합물인 오리스타트(oristat)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IC50에 대한 결과
IC50 (㎍/ml)
오스타락톤 A 2
Oristat 4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5
    식중,
    R은 수소,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이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물.
  3. 갈색꽃구름버섯(Stereum ostrea)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제1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1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갈색꽃구름버섯 균사체의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제2 유기 용매로 분액추출하여 제2 유기용매 분획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용매 분획을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 오스타락톤 A를 분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꽃구름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6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갈색꽃구름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7. 하기 화학식 1의 베타락톤계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08012048625-pat00007
    식중,
    R은 수소,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KR1020080014619A 2008-02-18 2008-02-18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KR10097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619A KR100979921B1 (ko) 2008-02-18 2008-02-18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619A KR100979921B1 (ko) 2008-02-18 2008-02-18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03A KR20090089203A (ko) 2009-08-21
KR100979921B1 true KR100979921B1 (ko) 2010-09-03

Family

ID=4120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619A KR100979921B1 (ko) 2008-02-18 2008-02-18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968B1 (ko) * 2008-12-04 2012-03-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베타락톤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익동 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과학기술부 주관 연구보고서 (보고서번호 : BSGC1030-2000075-2) (200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03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688B2 (ja) 糖尿病またはレトロウイルス関連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医薬の製造におけるスチルベン化合物の使用
CN102526165A (zh) 一种红景天有效部位、其制备方法、其药物组合物及用途
EP3240772B1 (en) Compounds from antrodia camphorat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6302102B2 (ja) ベニコウジカビ(monascus purpureus)から単離された化合物、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EP2419415A1 (en) Compounds affecting glycemic index
US20060121132A1 (en) TNF-alpha production inhibitor comprising kavalactone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509554B1 (ko) 골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식품, 그리고 그 조성물을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제제
CN106279200B (zh) 具有降血脂活性的松香烷型二萜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WO2021080129A1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3128823B2 (ja) 制癌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979921B1 (ko) 갈색꽃구름 버섯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락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 비만제 조성물
CN108659089B (zh) 一种具有抗氧化作用的甾醇化合物及其在制备药物中的应用
KR100957205B1 (ko)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를 저해하는벤조나프토크산테논계 화합물 및 그 용도
JP2001122871A (ja) エストロゲン様作用薬剤
CN110946986B (zh) 一种寡肽在制备防治非酒精性脂肪肝病药物中的应用
JPH08231396A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薬
US7115655B2 (en) Pyranocoumarin derivatives
JP2012097003A (ja) ビキシン誘導体及び細胞保護剤
KR101119968B1 (ko) 베타락톤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JP7393457B2 (ja) フランアスピドスペルミン二量体又は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及びその製造方法と適用、ならびに医薬組成物
CN110204477B (zh) 一种具有抗氧化作用的二萜生物碱及其在制备药物中的应用
KR101145237B1 (ko)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오수유 유래의 알카로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4377B1 (ko) 비자로부터 얻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효소 1b 저해용신규 화합물
KR101776942B1 (ko) 코우메스탄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01693659A (zh) 环戊烯基脂肪酸,其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