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123B1 -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123B1
KR100979123B1 KR1020100015518A KR20100015518A KR100979123B1 KR 100979123 B1 KR100979123 B1 KR 100979123B1 KR 1020100015518 A KR1020100015518 A KR 1020100015518A KR 20100015518 A KR20100015518 A KR 20100015518A KR 100979123 B1 KR100979123 B1 KR 10097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olding bicycle
folding
wh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동환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염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염동환 filed Critical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01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23B1/ko
Priority to PCT/KR2010/007684 priority patent/WO20111025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후 핸들 및 바퀴의 고정시 최적의 위치를 특정하여 설계된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는,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한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X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을 접은 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핸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HANDLE AND WHEELS OF FOLDING BICYCLE}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후 핸들 및 바퀴의 고정시 최적의 위치를 특정하여 설계된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 접이식 자전거로 구분된다.
접이식 자전거의 경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한 것으로서, 가운데 탑 튜브를 접이장치로 연결하여 접고, 핸들바는 스템에 접이장치를 연결하여 스템을 접게 된다.
이렇게 접이된 자전거는 양쪽 바퀴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핸들바는 앞바퀴측으로 접히게 된다. 자전거를 접는 경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과 스템을 접은 후 핸들과 바퀴를 고정시켜 주어야 휴대시 접이된 부분이 펼쳐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접은 후 핸들이나 바퀴가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특히, 접은 후 두 바퀴를 평행하게 하여 굴려서 이동할 때 두 바퀴가 정위치를 유지해야 이동이 편리하나,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이동의 불편함은 더욱 문제가 된다.
종래에는 핸들을 접은 후 핸들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기술이 전혀 개시되어 있으 않으며, 프레임(바퀴)을 고정하는 경우는 고정자석을 이용한 예가 있지만, 고정자석을 장착하기 위해 앞 포크 및 뒷바퀴 프레임 부분에 고정자석 부착용 브라켓을 별도로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앞 포크에 별도의 고정자석 부착용 브라켓을 용접에 의해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뒷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자석 부착용 브라켓은 앞바퀴의 고정자석과 정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자석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를 접은 후 핸들과 바퀴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특정시켜 접이식 자전거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핸들 고정시에는 스템과 앞 포크에 접은 후의 위치를 고려하여 마운팅하고, 바퀴 고정시에는 앞 포크와 뒷바퀴 프레임에 접은 후의 위치를 고려하여 마운팅하여 자전거를 접은 후 핸들과 바퀴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는,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한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X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을 접은 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핸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는,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한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리어 프레임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프레임을 접은 후,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제4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양바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는,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한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X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 프레임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을 접은 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핸들을 고정시키는며,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제4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양바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3 고정부재는 돌기부를 갖는 수소켓이고, 상기 제2 및 제4 고정부재는 요홈을 갖는 암소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소켓은 외부 중앙 상측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탄성적으로 업-다운되는 반구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소켓 내부로 상기 수소켓이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암소켓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자전거를 접은 후 핸들과 바퀴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특정시켜 접이식 자전거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핸들 고정시에는 스템과 앞 포크에 접은 후의 위치를 고려하여 마운팅하고, 바퀴 고정시에는 앞 포크와 뒷바퀴 프레임에 접은 후의 위치를 고려하여 마운팅하여 자전거를 접은 후 핸들과 바퀴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고정장치가 장착된 구조도이다.
도 2는 자전거가 접혔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고정장치가 체결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바퀴 고정장치가 장착된 구조도이다.
도 4는 자전거가 접혔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바퀴 고정장치가 체결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의 구조와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고정장치가 장착된 구조도이며, 도 2는 자전거가 접혔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고정장치가 체결된 구조도이다.
도 1의 (A)는 핸들(11)과 스템(12)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스템(12) 상단측에 제1 고정부재(13)가 장착된 구조를 보인 것이며, 도 1의 (B)는 앞 바퀴(16) 측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앞 포크(14) 배면 측부에 제2 고정부재(15)가 장착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상에서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가정한다.
이러한 기준하에 제1 고정부재(13)는 스템(12)의 상단측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고, 제2 고정부재(15)는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14)에 장착되며 -X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제1 고정부재(13)와 제2 고정부재(15)의 장착위치는 스템(12)을 접어 핸들(11)을 아래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1 고정부재(13)와 제2 고정부재(15)가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하여야 한다.
제1 고정부재(13)는 수소켓 구조를 가지며, 제2 고정부재(15)는 암소켓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고정부재(13)에 암소켓을 제2 고정부재(15)에 수소켓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자전거를 접으면 도 2와 같은 접이 형상이 되며 이때 제1 고정부재(13)와 제2 고정부재(15)는 정위치에서 결합(A)되게 되어 접이후 핸들(11)을 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바퀴 고정장치가 장착된 구조도이며, 도 4는 자전거가 접혔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바퀴 고정장치가 체결된 구조도이다.
도 3의 (A)는 앞 바퀴(26) 측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앞 포크(24) 하단측에 제3 고정부재(23)가 장착된 구조를 보인 것이며, 도 3의 (B)는 뒤 바퀴(26) 측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뒷바퀴 프레임(22) 하단측에 제4 고정부재(25)가 장착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상에서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가정한다.
이러한 기준하에 제3 고정부재(23)는 앞 포크(24)의 하단측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고, 제4 고정부재(25)는 뒷바퀴 프레임(22)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제3 고정부재(23)와 제4 고정부재(25)의 장착위치는 프레임(미도시)을 접어 앞바퀴(26) 측 또는 뒷바퀴(27) 측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켰을 때 제3 고정부재(23)와 제4 고정부재(25)가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하여야 한다.
제3 고정부재(23)는 수소켓 구조를 가지며, 제4 고정부재(25)는 암소켓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 고정부재(23)에 암소켓을 제3 고정부재(25)에 수소켓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자전거의 중앙 프레임을 접으면 도 4와 같은 접이 형상이 되며 이때 제3 고정부재(23)와 제4 고정부재(25)는 정위치에서 결합(A)되게 되어 접이후 두 바퀴(26, 27)를 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3 고정부재(13, 23)는 수소켓(35)을 장착하고, 제2 및 제4 고정부재(15, 25)는 암소켓(33)을 장착하게 된다. 암소켓(3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구조이며, 수소켓(35)은 암소켓(3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며 상단측은 돌기부(35a)가 형성된다. 돌기부(35a)는 하단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업-다운되는 반구 형상을 갖어, 수소켓(35)이 암소켓(33)으로 삽입시 수소켓(35)이 암소켓(33)에 탄성지지되도록 한다.
암소켓과 수소켓을 영구자석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프레임 고정시는 바퀴의 하중으로 영구자석으로 고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영구자석을 대체할 수 있는 소켓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핸들 12 ; 스템
13 ; 제1 고정부재 14, 24 ; 앞 포크
15 ; 제2 고정부재 16, 26 ; 앞바퀴
17, 27 ; 뒷바퀴 22 ; 뒷바퀴 프레임
23 ; 제3 고정부재 25 ; 제4 고정부재
33 ; 암소켓 35 ; 수소켓
35a ; 돌기부

Claims (5)

  1.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를 좌측, 앞바퀴를 우측에 위치한 기준으로 전후진 방향을 X축, 지면과 상부 방향을 Y축, 양바퀴의 축과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X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스템을 접은 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핸들을 고정시키고,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앞포크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3 고정부재와;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뒷바퀴 프레임에 장착되며, -Z축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접이식 자전거의 프레임을 접은 후, 상기 제3 고정부재와 제4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양바퀴를 고정시키는,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고정부재는 돌기부를 갖는 수소켓이고, 상기 제2 및 제4 고정부재는 요홈을 갖는 암소켓인,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켓은 외부 중앙 상측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탄성적으로 업-다운되는 반구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소켓 내부로 상기 수소켓이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암소켓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결합되는,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KR1020100015518A 2010-02-22 2010-02-22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KR10097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18A KR100979123B1 (ko) 2010-02-22 2010-02-22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PCT/KR2010/007684 WO2011102591A1 (ko) 2010-02-22 2010-11-03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18A KR100979123B1 (ko) 2010-02-22 2010-02-22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123B1 true KR100979123B1 (ko) 2010-08-31

Family

ID=4276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518A KR100979123B1 (ko) 2010-02-22 2010-02-22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9123B1 (ko)
WO (1) WO20111025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05B1 (ko) * 2013-12-05 2015-08-19 백상기 회전가능한 뒷차축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KR101652765B1 (ko) * 2015-05-20 2016-09-09 이승재 카트 겸용 접이식 자전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08U (ko) * 1989-11-27 1991-07-30
JPH03130318U (ko) * 1990-04-06 1991-12-27
US6267401B1 (en) * 1997-07-21 2001-07-31 Urban Solutions B.V. Foldable bicycle
JP2005001530A (ja) * 2003-06-12 2005-01-06 A & A:Kk 折り畳み式の二輪車両用の、施錠機構を備える、折り畳み車体開き防止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708U (ja) * 2000-08-18 2001-03-06 巨大機械工業股▲分▼有限公司 折畳み自転車の掛け留装置及びこの掛け留装置を備えた折畳み自転車
JP2004338489A (ja) * 2003-05-14 2004-12-02 Takara Co Ltd 折畳み二輪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08U (ko) * 1989-11-27 1991-07-30
JPH03130318U (ko) * 1990-04-06 1991-12-27
US6267401B1 (en) * 1997-07-21 2001-07-31 Urban Solutions B.V. Foldable bicycle
JP2005001530A (ja) * 2003-06-12 2005-01-06 A & A:Kk 折り畳み式の二輪車両用の、施錠機構を備える、折り畳み車体開き防止連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05B1 (ko) * 2013-12-05 2015-08-19 백상기 회전가능한 뒷차축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KR101652765B1 (ko) * 2015-05-20 2016-09-09 이승재 카트 겸용 접이식 자전거
WO2016186309A1 (ko) * 2015-05-20 2016-11-24 이승재 카트 겸용 접이식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2591A1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3503C (en) Vehicle rear grip structure
JP7488187B2 (ja) ベビーカー
CN202703785U (zh) 带可调节儿童座椅的三轮自行车
KR100979123B1 (ko) 접이식 자전거의 핸들 및 바퀴 고정장치
US20100219608A1 (en) frame for cycles, in particular for mountain bikes
JP200513235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マウンティング構造
JP2016034797A (ja) ハンドル構造
US10093378B2 (en) Side mirror for straddle vehicle
KR200413288Y1 (ko)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JP2013112293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ガードパイプの取付け構造
JP2011235884A (ja) 子供用自転車シートの装着アセンブリ
CN102358372A (zh) 一种折叠电动车的车架总成
CN104002905A (zh) 载重泥除一体式碳纤维变形自行车
JP3193432U (ja) 折りたたみ自転車のハンドル収納構造
CN217260476U (zh) 摩托车
CN214823855U (zh) 一种多功能儿童三轮车
JP2006088939A (ja) 鞍乗型車両
CN210455032U (zh) 一种童车车架
KR20110047557A (ko) 접이식 자전거
KR101545405B1 (ko) 회전가능한 뒷차축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TWI775163B (zh) 自行車用兒童座椅
CN110606157B (zh) 一种折叠电动车的电动模块与车架模块的通用接口机构
JP3152232U (ja) 三輪車改装部材用締付構造
CN210338128U (zh) 电动车/自行车用车座减振结构
CN207389421U (zh) 一种折叠结构及代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