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890B1 -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 Google Patents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890B1
KR100978890B1 KR1020100008061A KR20100008061A KR100978890B1 KR 100978890 B1 KR100978890 B1 KR 100978890B1 KR 1020100008061 A KR1020100008061 A KR 1020100008061A KR 20100008061 A KR20100008061 A KR 20100008061A KR 100978890 B1 KR100978890 B1 KR 10097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layer
waterproof sheet
synthetic rubber
composit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준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
김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 김원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4Placing concrete in mould-pipes, pile tubes, bore-hol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은 합성고무층과,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고무층의 신축력과 수밀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을 갖는 방수층,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제 1 보호층, 제 2 보호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을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는 박리유도층을 갖는 방수보호층, 상기 합성고무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탈부착 가능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가 상기 방수보호층이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면하게 배치하는 단계;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 자리 상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및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해서도 직접 방수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지하내벽에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트렌치 등의 구조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지하내벽에서 누수된 물을 원천적으로 방수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완벽한 방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OPPOSITE WATERPROOF METHOD USING SELF-ADHESION TYPE COMPOSITE SHEET}
본 발명은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있는 상태에서도 방수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방수시 소요되는 시공기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완벽한 방수가 가능하며, H빔 제거 시 방수시트나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외벽에는 지하공간의 특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외벽에 물과 습기가 침투하기 쉬우며, 이는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에 있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건축구조물의 옥상, 주차장, 지하공간 등과 같이 물과 습기의 침투가 용이한 장소의 콘크리트 외벽에 대해서는 방수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 특히 지하공간의 외벽에 물과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침투방수층을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외벽에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접착한다.
하지만, 지하로 깊이 파고 들어가면 지하 내벽 또는 바닥에는 항상 물이 흐르고 있어 방수시공을 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지하바닥은 기초보강부를 먼저 건축 후에 방수를 하고, 그 안에 구조물을 세우기 때문에 기존의 방수시트로는 구조물이 아닌 기초보강부에 시공을 하기 때문에 하자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심에서 지하구조물을 건축할 때에는 터파기 공간이 여의치 않아 토류벽에 방수를 하고 거푸집을 짜서 구조물을 올리거나 숏크리트면에 바로 방수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구조물을 다 올리고 나면 토류벽을 지탱하는 H빔을 제거해야 하는데, H빔이 쉽게 뽑아지지 않기 때문에 진동을 주거나 좌우로 심하게 흔들어서 뽑게 된다.
하지만, 시트를 토류벽과 H빔에 붙여서 시공을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H빔이 흙 사이에 심하게 밀착되어 시트와 거의 붙어 있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H빔을 제거하려 진동을 주고 좌우로 흔들게 되면 시트가 손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이나 구조물의 지하 부분에 균열이 야기되어, 건물이나 구조물의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고,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폐단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방수를 포기하고 지하구조물을 건축한 다음 트렌치를 만들고 블록으로 내벽을 한번 더 쌓아 물이 흐르도록 하고 건물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벽을 하나 더 만드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공간이 협소해지고, 벽을 또 쌓느라 건축비가 증가하게 되며, 공사기간이 상당히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사이로 물이 유입됨에 따라 철근이 녹슬고 팽창하여 지하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의 이음부에 부틸만 노출시켜, 시트 간 이음을 할 때 부틸과 부틸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였는데, 이로 인해, 시공과정에서 부틸을 잡아주는 힘이 없어 부틸이 서로 뭉치거나 이형지를 떼어낼 때 부틸이 같이 떨어지는 등 불편하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 부틸의 특성으로 이음부의 폭을 3cm이상 만들지 못하고, 바탕기재에 잘못 붙였을 경우 다시 붙이려 당기다가 부틸이 끊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해서도 직접 방수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지하내벽에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트렌치 등의 구조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지하내벽에서 누수된 물을 원천적으로 방수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완벽한 방수 시공이 가능하며, H빔 제거 시 방수시트나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착성 합성고무층과,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고무층의 신축력과 수밀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을 갖는 방수층,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제 1 보호층, 제 2 보호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을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게 결합한 박리유도층을 갖는 방수보호층, 상기 합성고무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탈부착 가능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방수보호층을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면하게 배치하는 단계;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 자리 상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및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해서도 직접 방수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지하내벽에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트렌치 등의 구조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지하내벽에서 누수된 물을 원천적으로 방수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 및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완벽한 방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H빔 제거 시 방수시트나 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H빔 주변부 역방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는 크게 방수층(110)과, 상기 방수층(11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수층(110)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보호층(130), 및 상기 방수층(110)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소정의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형지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층(110)은 합성고무층(111)과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고무층(111)은 부틸고무(IIR)를 주폴리머로 하여 보강재, 충진재, 노화방지재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 하면에 균일 코팅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층(111)은 부틸고무 15 중량%, 카본 보강제 10 중량%, 가소제 1 중량%, 첨가제 25 중량%, 및 중탄 충전제 49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합성고무층(111)은 비가황계 합성고무시트로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공중에 발생시키지 않고 신축성과 점착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서로 일체화가 될 수 있는 자착 특성, 우수한 방수성, 방음성, 방식성 및 방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는 이음부(101)가 상기 합성고무층(111)과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으로 구성되어 적어도 2 이상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끼리 접착제 없이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포부(103)의 측벽이나, 틈 사이를 밀봉하여 수분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의 총 폭이 W1이라면, 상기 도포부(103)는 총 폭 W1보다 이음부(101)의 폭 W3만큼 작은 폭 W2를 갖는다.
상기 방수층(110)은 상기 합성고무층(111) 상면에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를 롤형태로 말더라도 상기 합성고무층(111)에는 이형지층(150)이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은 상기 합성고무층(111) 만으로는 부족한 인장력과 신장률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고탄성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시트 또는 EPDM 고무시트의 우수한 물성을 더하여 수밀하고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여 높은 시공성과 품질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시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등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고무시트를 사용한다.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으로서 EPDM 시트를 사용하면 상기 합성고무층(111)에 신축력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인장 강도가 커서 구체의 거동에 강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착식이라 시공이 쉽고, 공정이 단순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시공비가 절감되며, 하자보수가 간단하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113)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시트(TPU)를 이용하면, 신장율이 우수하고 구조물의 진동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구체 균열에 의한 방수층의 파단을 방지하고 가벼우며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합성고무층(111)에 균질코팅되어 고 탄성 연질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형상에도 정밀시공이 가능한 시트로 조인트, 드레인, 관통파이프, 모서리 등에 보강 시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의 방수 보호층(130)은 제 1 보호층(131)과 제 2 보호층(133), 및 상기 제 1 보호층(131)으로부터 상기 제 2 보호층(133)의 박리를 유도하는 박리유도층(13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131, 133)은 상기 방수층(110)을 보호하고 배수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섬유(Glass Fiber) 부직포, 폴리에틸렌(PE) 부직포,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부직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부직포, 또는 직포 중 적어도 1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부직포를 사용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131, 13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131, 133) 중 하나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사용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강하고 용이하게 압착될 수 있어서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벼워서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131, 133)중 적어도 하나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내부에 다수의 중공을 구비하여 부피 대비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충분한 배수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보호층(130)의 상기 제 1 및 제2 보호층(131, 133)은 기계적 결합, 예를 들면 펀칭하여 끈으로 연결이나 봉제 등으로 이루어진 박리유도층(135)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이상의 압력을 받으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를 상기 방수보호층(130)이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면하게 배치하고(S201), 못과 같은 고정구(160)를 이용하여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를 고정한다(S202).
여기서 지하내벽이란, 토벽 또는 기초바닥부로 일반적으로 물이 발생하는 곳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끼리의 이음부(101)에 액상형 비가황부틸고무를 채워(S203) 이음 부위의 들뜸 현상이 없고, 측벽이나 틈 사이를 밀봉하여 수분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다음에는 상기 고정구(160) 자리 상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170)를 일정폭으로 절단하여 부착한다(S204).
이는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170)가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의 합성고무층(111)에 접착되어 부틸면에 동질의 부틸면 끼리 붙게되어 일체화가 잘되고, 반대편의 콘크리트 타설 면에도 상기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170)가 노출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와도 일체화가 잘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 S204 다음에는 철근을 배근하고(S205), 거푸집 설치(S206)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207).
이러한 방법에 따라 방수 시공 시 긴 양생기간이 필요 없고,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와 콘크리트의 완전한 접착이 가능하여 지하외벽 방수를 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는 본 방수와 역방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역방수"란, 일반적인 방수 순서와는 역순으로 방수가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물이 나오는 곳에 직접 방수층을 대면시키지 않고, 보호층을 대면시켜 물을 배수시키고, 방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시트(150)는 양면 접착형이라 프라이머를 도포할 필요가 없으며, 시공 완료 후에도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시트(150)를 덧대어 보강보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의 상하 이음부 연결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토류벽, 숏크리트면, 합벽 구간에 대한 확실한 방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내부 중공벽을 쌓지 않아도 되므로 터파기 면적을 줄이고,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H빔 주변부 역방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100)를 토류벽에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모서리 부위에 H빔(3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상기 H빔(30)이 상기 토류벽을 지탱하도록 하고, 구조물을 다 올리고 나면 상기 H빔(30)을 제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를 시공하기 이전에 제 1 보호층(231)과 제 2 보호층(233)을 배치하고,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의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131, 133)이 그 위에 대면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2 보호층(231, 233) 사이에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는 박리유도층(235)을 갖는 방수보호시트(230)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131, 133)로 된 방수보호시트로 이중으로 H빔(30)이 감싸질 수 있다.
즉, 일정 압력 이상으로 분리되는 상기 박리유도층(2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H빔(3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진동을 주거나 좌우로 심하게 흔들지 않아도 소정의 충격을 줄 경우에 쉽게 H 빔(3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는 보호될 수 있다.
즉, 상기 H빔(30)을 제거하기 위해 아무리 심하게 흔들어도 상기 박리유도층(135, 235)이 쉽게 분리되면서 상기 제 2 보호층(133, 233)이 상기 제 1 보호층(131, 231)으로부터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분리될 뿐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나 구조물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에서 물이 계속 나오는 경우,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가 상기 제 2 보호층(133)이 상기 바닥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100)를 역으로 바닥에 붙여서 배수기능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초보강부 내부에 타설되는 실제 구조물의 콘크리트에도 접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물을 완전 밀폐하여 방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200)는 이음부(201)와 본체부(203)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203)는 합성고무층(211)과, 상기 합성고무층(2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고무층(211)의 신축력과 수밀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합성고무표면보호층(213)으로 이루어진 방수층(210),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213)의 상면에 결합하고 제 1 보호층(231), 제 2 보호층(233),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231, 233)을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는 박리유도층(235)을 갖는 방수보호층(230), 상기 합성고무층(211)의 하면에 배치되어 탈부착 가능한 이형지층(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음부(201)는 상기 합성고무층(211)을 연장하여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2 장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200)끼리 결합시 동질의 재료로 구성된 상기 이음부(201)를 이용하여 보다 완전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301)는 운반시 다른 것에 붙지 않도록 이형지층(250)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고무층(211)만으로는 상기 이음부(201)의 폭을 넓게 신장시킬 수 있는 폭이 제한되며, 또한 상기 이음부(201)를 넓게 신장시킬 때 쉽게 끊어질 수도 있고, 상기 이음부(201)를 바탕기재에 잘못 접합한 경우에 분리하여 사용하려 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합성고무층(211)상에 금속섬유망으로 구성된 메쉬층(215)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쉬층(215)을 이음부(201)의 합성고무층(211)상에만 배치하면 그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음부(201) 신장 시에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약 10cm 정도의 섬유메쉬를 롤 형태로 만든 것을 반은 상기 본체부(203)의 상기 합성고무층(211) 및 합성고무표면보호층(213)사이에 배치되게 하고 나머지 반은 상기 합성고무층(211)상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메쉬층(215)의 일단을 상기 본체부(203)의 상기 합성고무층(211) 및 합성고무표면보호층(213)사이에 합지 고정시켜 둠으로써 상기 이음부(201)의 신장을 보다 좋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200)가 넓게 벽면에 설치되더라도 강성을 가지고 완전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층(215)이 상기 합성고무층(211)과 합성고무표면보호층(213) 사이에 물려 있고, 상기 메쉬층(215) 자체에 힘이 있어서 잘못 붙였을 경우, 다시 붙이려 당기다가 상기 합성고무층(211)이 끊어져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층(210)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메쉬층(215)에 의해 상기 합성고무층(211) 간을 대면적으로 잘 붙게 할 수 있다.
또, 고정구(도 7참조, 160)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200)를 단단히 고정한 후, 상기 고정구(160) 위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도 3 참조, 170)를 일정폭으로 절단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틸 대 부틸 고무 즉, 동질의 재료끼리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완전한 결합 및 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200)로 지하내벽에 시공하는 방법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는 날개부(301), 고정부(302) 및 본체부(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03)은 합성고무층(311)과, 상기 합성고무층(3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고무층(311)의 신축력과 수밀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합성고무표면보호층(313)으로 이루어진 방수층(310),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313)의 상면에 결합하고 제 1 보호층(331), 제 2 보호층(333),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331, 333)을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는 박리유도층(335)을 갖는 방수보호층(330), 상기 합성고무층(311)의 하면에 배치되어 탈부착 가능한 이형지층(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301)는 상기 합성고무층(311)을 연장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302)는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방수보호층(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301)와 상기 고정부(302)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301)와 상기 고정부(302)가 분리되어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301) 상에는 이형지층(350)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합성고무층(311)만으로는 상기 날개부(301)의 폭을 넓게 신장시킬 수 있는 폭이 제한되며, 또한 상기 날개부(301)를 넓게 신장시킬 때 쉽게 끊어질 수도 있고, 상기 날개부(301)를 바탕기재에 잘못 접합한 경우에 분리하여 사용하려 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합성고무층(311)상에 금속섬유망으로 구성된 메쉬층(315)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쉬층(315)을 날개부(301)의 합성고무층(311)상에만 배치하면 그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201) 신장 시에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약 10cm 정도의 섬유메쉬를 롤 형태로 만든 것을 반은 상기 본체부(303)의 상기 합성고무층(311) 및 합성고무표면보호층(313)사이에 배치되게 하고 나머지 반은 상기 합성고무층(311)상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메쉬층(315)의 일단을 상기 본체부(303)의 상기 합성고무층(311) 및 합성고무표면보호층(313)사이에 합지 고정시켜 둠으로써 상기 날개부(301)의 신장을 보다 좋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가 넓게 벽면에 설치되더라도 강성을 가지고 완전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층(315)이 상기 합성고무층(311)과 합성고무표면보호층(313) 사이에 물려 있고, 상기 메쉬층(315) 자체에 힘이 있어서 잘못 붙였을 경우, 다시 붙이려 당기다가 상기 합성고무층(311)이 끊어져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층(310)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메쉬층(315)에 의해 상기 합성고무층(311) 간을 대면적으로 잘 붙게 할 수 있다.
또, 고정구(도 7참조, 160)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를 단단히 고정한 후, 상기 고정구(160) 위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도 3 참조, 170)를 일정폭으로 절단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틸 대 부틸 고무 즉, 동질의 재료끼리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완전한 결합 및 방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러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 간의 이음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를 지하내벽에 대해 대면시키고,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방수보호층(330)으로 이루어진 고정부(302)에 대해서 상기 날개부(302)를 젖혀서 분리해 둔다(a).
그리고 하나의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의 상기 고정부(302) 위로 다른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의 고정부(302)를 겹치고, 고정구(160)로 박아 고정한다(b).
이렇게 상기 고정부(302)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 후, 도면 상 좌측의 복합방수시트(300)의 날개부(303)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160) 주변의 파손부까지 완전하게 상기 고정부(301)에 대해 밀착결합시킨다(c).
다음, 우측의 복합방수시트(300)의 고정부(301)을 이용하여 좌측의 고정부(301)를 완전히 덮도록 한다(d).
이와 같이 결합시킴으로써 고정구(160)로 대면적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300)에 대해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틸 대 부틸 고무 즉, 동질의 재료끼리 날개부(302)로 감싸 완전 밀봉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완전한 결합 및 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Claims (12)

  1. 자착성 합성고무층과,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고무층의 신축력과 수밀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을 갖는 방수층,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제 1 보호층, 제 2 보호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을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게 결합한 박리유도층을 갖는 방수보호층, 상기 합성고무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탈부착 가능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방수보호층을 누수가 발생하는 지하내벽에 대면하게 배치하는 단계;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 자리 상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및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는 본체부와 이음부를 가지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합성고무층을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를 이용하는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음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그 상부에 메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메쉬층은 상기 본체부의 합성고무층과 합성고무표면보호층 사이에 반이 매립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며, 다공성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제 1 보호층 또는 제 2 보호층이 지하 바닥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는 본체부, 고정부, 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날개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1 보호층 또는 제 2 보호층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합성고무층을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그 상부에 메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메쉬층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합성고무층과 합성고무표면보호층 사이에 반이 매립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하나의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지하내벽에 대해 대면시키고,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날개부를 젖혀서 분리해 두는 단계와,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고정부 위로 다른 하나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고정부를 겹치고, 고정구로 박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젖혀진 날개부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상에서 상기 고정부에 대해 밀착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다른 하나의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날개부를 이용하여 상기 날개부를 완전히 커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9. 자착성 합성고무층과,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고무층의 신축력과 수밀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을 갖는 방수층, 상기 합성고무표면보호층의 상면에 결합하고 제 1 보호층, 제 2 보호층,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층을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분리되게 결합하는 박리유도층을 갖는 방수보호층, 상기 합성고무층의 하면에 배치되어 탈부착 가능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지하내벽 모서리에 설치되는 H 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H 빔 둘레에 박리유도층을 갖는 제 1 부직포층과 제 2 부직포층으로 된 제 1 방수보호층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수보호층위에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방수보호층이 대면하게 배치하는 단계;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구 자리 상에 양면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및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H 빔을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는 본체부와 이음부를 가지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합성고무층을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를 이용하는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음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그 상부에 메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메쉬층은 상기 본체부의 합성고무층과 합성고무표면보호층 사이에 반이 매립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KR1020100008061A 2009-11-07 2010-01-28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KR100978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7244 2009-11-07
KR1020090107244 2009-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90B1 true KR100978890B1 (ko) 2010-08-30

Family

ID=4276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061A KR100978890B1 (ko) 2009-11-07 2010-01-28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49B1 (ko) 2014-07-17 2015-03-16 주식회사 대흥산업 방수시트 및 그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KR101517516B1 (ko) 2013-09-11 2015-05-04 (주)삼성건업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CN108150202A (zh) * 2018-01-30 2018-06-12 中铁二十二局集团第工程有限公司 采用反粘式防水板的衬砌防排水结构
KR102175494B1 (ko) * 2019-11-06 2020-11-06 임기우 도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 이음접합부 맞댐 방수 구조 및 방수 공법
KR102360174B1 (ko) 2021-10-13 2022-02-09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92A (ja) 1997-05-23 1998-12-02 Osaka Bosui Constr Co Ltd 地下構造物の先付け防水工法
KR100796019B1 (ko) 2007-04-19 2008-01-21 김기철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92A (ja) 1997-05-23 1998-12-02 Osaka Bosui Constr Co Ltd 地下構造物の先付け防水工法
KR100796019B1 (ko) 2007-04-19 2008-01-21 김기철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16B1 (ko) 2013-09-11 2015-05-04 (주)삼성건업 노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체
KR101502749B1 (ko) 2014-07-17 2015-03-16 주식회사 대흥산업 방수시트 및 그 방수시트의 접합방법
CN108150202A (zh) * 2018-01-30 2018-06-12 中铁二十二局集团第工程有限公司 采用反粘式防水板的衬砌防排水结构
KR102175494B1 (ko) * 2019-11-06 2020-11-06 임기우 도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 이음접합부 맞댐 방수 구조 및 방수 공법
KR102360174B1 (ko) 2021-10-13 2022-02-09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019B1 (ko)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US7565779B2 (en) Device for in-situ barrier
KR100978890B1 (ko)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CN111980181B (zh) 地下无窗侧双重防水膜组件以及其制造和使用方法
JP4108460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の施工方法
JP2007198119A (ja) コンクリート水路目地部遮水構造および遮水工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RU2581066C2 (ru) Элемент опалубки
KR101316718B1 (ko) 터널 방수 시공 방법
JP4287011B2 (ja) 遮水シートの敷設構造及び遮水シートの敷設方法
CN110924451A (zh) 一种用于地库裂缝渗水的疏水方法
JP4589344B2 (ja) シート防水構造及び防水工法
KR20180017859A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US11427983B2 (en) Below grade, blind side, improved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0279292B1 (ko) 방수를 위한 시공방법
KR100956144B1 (ko)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방법
JP2001011837A (ja) 止水用膜状材の接続工法
KR102037135B1 (ko)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용 겹침이음 설치형 보호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외방수공법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0270814A (ja) 埋立てにおける遮水構造及び遮水シート
KR20110080652A (ko) 구간 분리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 방법
JP2849336B2 (ja) 地下外壁の防水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20748292U (zh) 一种适用于隧道的排水结构
KR102614901B1 (ko)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JP6777831B1 (ja) 雨水貯留施設及び雨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