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901B1 -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901B1
KR102614901B1 KR1020230044176A KR20230044176A KR102614901B1 KR 102614901 B1 KR102614901 B1 KR 102614901B1 KR 1020230044176 A KR1020230044176 A KR 1020230044176A KR 20230044176 A KR20230044176 A KR 20230044176A KR 102614901 B1 KR102614901 B1 KR 10261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proofing material
waterproofing
bentonite
expos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순주
Original Assignee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테코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테코이코 filed Critical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37Clays
    • E02D2300/004Bentonite or bentonite-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벽, CIP벽, 토류벽, 지하벽, 지중벽, 굴착벽, 기둥벽, 연속벽, H파일벽, 흙막이벽, 슬러리월, 그라우팅벽, 시이트파일벽, 다이어프럼월, 지중연속벽, 터널, 암거, 지하실, 지하철, 주차장, 지하공간, 지하시설, 지하주차장, 지하구조체, 지하공간물, 지하저장고, 지하공동구, 지하단독구, 지하전력구, 지하통신구,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등과 관련되는 방수, 방근, 방근방수, 차수, 건설, 공사, 시공, 축조 방법이나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Water and root proofing,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wall, CIP wall, retaining wall, underground wall, parking lot,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a) 방수재, 방근방수재, 벤토매트, BentoMat, 벤토쉬트, BentoSheet,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쉬트, 벤토나이트 방수재, 벤토나이트 방근방수재; b)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합벽, CIP, 토류벽, 지하벽, 굴착벽, 연속벽, H파일벽, 흙막이벽, 가시설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 터널, 암거, 지하실, 지하철, 주차장, 지하주차장, 지하구조체, 지하공간물, 지하저장고, 지하공동구, 지하단독구, 지하전력구, 지하통신구,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c) 이중 하나의 방수, 방근, 차수, 방근방수, 건설, 공사, 시공, 축조, 방법, 공법;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시설, 벽체, 구조물, 시설물, 주차장 등은 외부의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상시설은 우수, 강우 등이 유입되지 못하고, 지하시설은 지하수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적정의 방수를 하게 된다. 통상 방수 공사는 본 구조물 공사와 병행하여 시행되기 때문에 본 구조물 공사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토사, 이물질 등이 방수 대상면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우수, 강우 등의 경우나 우수, 강우 등이 내린 며칠 동안은 습기, 수분, 물기 등이 방수 대상면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지하시설의 경우 지하에 지하수, 용출수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분, 물기 등이 방수 대상면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방수 대상면은 항상 매끈, 청결, 평평한 것이 아니고 요철, 파손, 관통부, 파이프 등이 존재하게 된다.
과거로부터 다양한 건물, 시설, 벽체, 주택, 시설물, 구조물, 주차장, 아파트 등이 건설되고 있다. 상기의 건물 내지 아파트 등은 인간의 생활이나 산업 활동에 필수적이다. 상기의 건물 내지 아파트 등에는 터널, 암거, 지하실, 지하철, 주차장, 지하공간, 지하시설, 지하주차장,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최근에 들어 도시화가 가중되고 도시에서 지상의 개발이 포화상태가 되어 지하에 상기 터널 내지 지하시설물 등의 건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건물 내지 아파트, 터널 내지 지하시설물 등에는 또는 등의 건설에는 합벽, CIP, 토류벽, 지하벽, 굴착벽, 연속벽, H파일벽, 흙막이벽, 슬러리월, 지하연속벽, 지중연속벽 등이 수반되거나 필요하게 된다.
상기 합벽 내지 지중연속벽, 터널 내지 지하구조물 등은 지중에 설치되고 주변에는 지하수, 식물, 나무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하수, 뿌리 등의 유입이나 차단을 위하여 방수, 차수, 방근 등이 필요하다.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은 지하에 설치되고 토공사와 병행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흙, 토분, 습기, 수분, 흐름수 등이 많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흙, 토분, 습기, 수분 등이 존재하는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을 방수하거나, 또는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에 방수재를 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기존에 사용되는 방수재로는 수지방수재, 고분자방수재, PE방수재, EVA방수재, PVC방수재, PE방수재, LDPE방수재, HDPE방수재, 자착식방수재, 멤브레인방수재, 플라스틱방수재, 아스팔트방수재 등이 있다. 이들 방수재는 프라이머도포, 접착제도포, 용접, 융착, 가열용접, 열융착 등의 공정이 필수적인데 상기와 같이 흙, 토분, 습기, 수분 등이 많은 조건이나 환경에서는 방수재의 시공이 어렵고, 설령 시공이 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의 바탕면과 접촉이 불량하여 들뜨거나, 방수재 이음부가 불량하게 접합되어 누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자착식 방수재라 하더라도 흙, 토분, 습기, 수분 등이 많은 경우에는 바탕면이나 이음부에 자착이 불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기존 방수재는 자연재료가 아닌 화학재료, 인공재료 등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지 않고 장기적으로 화학변화가 되어 내구성, 부착성, 방수성, 차수성 등이 저감, 열화 등이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의 방수를 위한 기존 특허기술로는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한국 등록 10-1438727), 보호재일체형합벽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합벽복합방수시공공법(한국 등록 10-2146629), 방수겸용 지하합성구조체(한국 등록 10-2066495),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한국 등록 10-2360174),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한국 등록 10-1098953),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한국 등록 10-1352429),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한국 등록 10-0930421), Method for waterproofing underground structures(미국 등록 09790657), Prefabricated waterproofing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s(일본 출원 09133367), Underground waterproofing work construction technology(중국 공개 110206074)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방수 대상면에 수분, 물기, 분진, 먼지, 토사, 이물질, 요철, 파손, 관통부, 파이프, 나무뿌리 등이 존재하는 경우 기존 방수재의 경우에는 방수 대상면에 부착, 접합, 설치, 포설, 시공 등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플라이머를 도포하는 방수재, 열융착하여 이음하는 방수재 등은 적용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문제점을 처리하는데 상당한 시간, 노력, 비용 등이 수반되게 된다. 왜냐하면 방수 대상면에 수분, 물기, 토사, 이물질 등이 존재하게 되면 플라이머의 부착, 열융착에 의한 이음부 부착 등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 현장, 대상면 조건에 부합되는 적정의 방수재, 방수공법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시대에 있어서 쾌적한 지하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에 기재된 기존기술보다 개선된 방수 및 방근 기술이 고안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그리고 자연재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흙, 토분, 습기, 수분 등이 존재하는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의 방수 및 방근을 용이하게 하는 방수재, 방근방수재, 방수공법, 건설공법이 개발된다면 더욱 유익할 것이다.
상기에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연 또는 자연의 재료나 광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흙, 토분, 습기, 수분, 식물, 나부, 뿌리 등이 존재하는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의 방수 및 방근을 용이하게 하는 방수재, 방근방수재, 방수방법, 건설공법 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연재료 또는 천연재료인 벤토나이트, 광물, 반응제, 첨가제 등이 함유되는 벤토매트, 벤토쉬트,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쉬트, 벤토나이트의 방수재 및 방근방수재 등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을 효과적으로 방수, 방근, 건설, 시공하는 방법, 공법, 기술 등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재료, 천연재료, 벤토나이트, 점토, 광물, 반응제, 첨가제 등의 친환경 재료가 사용되고, 상기 재료가 포함되는 친환경의 방수재, 방근방수재, 벤토매트, 벤토쉬트,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쉬트, 벤토나이트 방수재, 벤토나이트 방근방수재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료 및 방수재 및 방근방수재는 팽창성, 내구성, 부착성, 방수성, 차수성, 복원성, 셀프점착, self cohesive, 셀프접착, self adhesive, 셀프마감, self detailing, 셀프밀봉, self seaming, 셀프메움, self sealing, 셀프힐링, self healing, 셀프복원, self restorative 등의 특징을 가지거나, 또는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수재 및 방근방수재는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장기적으로 열화, 훼손, 분해, 분열, 변화, 화학변화, 물리변화 등이 없어 영구적인 차수성을 가진다. 그리고 팽창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소규모의 파손이나 천공에 대하여 씰프실링되어 자가치유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방수재 및 방근방수재는 프라이머도포, 접착제도포, 용접, 융착, 가열용접, 열융착 등의 공정이 필요없고, 단순 포설 시공으로 도포기, 용접기, 융착기 등의 특수장비가 필요없다. 따라서 시공 속도가 빠르고 장비, 인력, 경비 등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방수재 및 방근방수재는 바탕면이 흙, 토분, 습기, 수분 등이 많은 조건이나 환경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흙, 토분, 습기, 수분 등이 많이 존재하는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등의 방수 및 차수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방수재는 바탕면과의 접촉이 완벽하게 되고 차수재 이음부가 완벽하게 접착되어, 기존 방수재의 문제점인 바탕면과 접촉이 불량하여 들뜨거나 이음부가 불량하게 접합되는 것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벽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및 바닥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CIP 공사 및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CIP벽과 CIP합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CIP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류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앵카 보강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시설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벽, 지하시설, 이에 적용되는 방수재, 방수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벽 캡 부분의 방수시공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구조물 상부 모서리 부분의 방수시공 상세도
본 발명의 명칭은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으로서, 이는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 중 하나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중 하나의 공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시트, 매트, 벤토매트, 벤토쉬트, 벤토나이트 등의 방수재 또는 방근방수재를 이용한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건설, 공사, 시공, 방수방근 방법도 포함된다. 상기 공법, 방법은 공법, 방법, 방안, 대책, 공정, 절차 등이 해당된다. 상기 건설은 건설, 공사, 시공, 건축, 조성, 축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은 a) 합벽(40), composite wall, CIP, cast inplace pile, CIP벽(41), 토류벽(41), 지하벽, underground wall, 지중벽, 지반벽, ground wall, 굴착벽, excavated wall, 기둥벽, column wall, 연속벽, continuous wall, H파일벽, H pile wall, 옹벽, retaining wall, 흙막이벽, 임시벽, temporary wall, 가시설벽, 슬러리월, slurry wall, 현장타설벽, 지하옹벽, 지하기둥벽, 지하파일벽, 지하판넬벽, 지하굴착벽, 그라우팅벽, grouting wall, 시이트파일벽, sheet pile wall, 다이어프럼월, diaphragm wall, 소일시멘트월, soil cement wall, 심층시멘트믹싱월, cement mixing wall, 지하연속벽, underground continuous wall, 지중연속벽; b) 상기 터널 내지 지하구조물(130); c) 상기 합벽 내지 지중연속벽 중 하나(40, 41, 42)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슬라브(55); d) 상기 슬라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재(56), 토사층, 복토층, 식생대, 식생대층(76); e) 상기 합벽 내지 식생대층 등이 포함되는 상기 터널 내지 지하구조물; f) 지하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g) 상기 중 하나의 본벽, 내벽 외벽, 본체벽, 구체벽, 2중벽, 추가벽, 내력벽, 복합벽, 콘크리트벽, 철근콘크리트벽; h) 상기 합벽 내지 지중연속벽 중 하나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또는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본벽 내지 철근콘크리트벽; i) 상기 중 하나의 방수, 방근, 차수, 공사, 시공, 건설, 설치; j) 상기 중 하나의 방법, 방식, 공법, 자재, 재료, 장비, 장치, 시설; k) 벤토나이트 방수재가 시공 또는 설치되는 상기 합벽 내지 시설; ℓ) 상기 합벽 내지 시설 등에 시공 또는 설치되는 방수재, 방근재, 방근방수재, 벤토나이트 방수재, 벤토나이트 방근방수재; m) 벤토나이트 방수재 또는 방근방수재를 이용한 상기 합벽 내지 시설; n) 벤토나이트 방수재 또는 방근방수재에 의하여 방수, 방근, 차수되는 상기 합벽 내지 시설; o) 벤토나이트 방수재 또는 방근방수재를 이용한 상기 합벽 내지 시설의 방수 및 방근 및 차수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수재, 방근방수재, 벤토나이트 방수재, 벤토나이트 방근방수재 등은 a) 상기 합벽 내지 지하구조물; b) 이중 하나의 면, 일면, 양면, 단면, 내면, 외면, 상부, 상면, 벽면, 노출면, 일측, 양측, 내측, 외측, 노출측, 내부, 외부, 중앙, 사이; c) 합벽의 중앙, 내벽와 외벽의 사이, 흙막이벽과 구체벽의 사이, 흙막이벽과 본체벽의 사이, 흙막이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 슬라브와 보호재 사이, 슬라브와 토사층 사이; 등에 설치 또는 시공된다. 본 발명에서 지하벽은 상기 합벽 내지 지중연속벽; 이중 하나에 추가되는 추가벽, 상기 CIP 내지 지중연속벽 중 하나와 추가벽으로 구성된 합벽;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추가벽은 추가벽, 추가되는 벽, 상기 본벽 내지 철근콘크리트벽 등이 해당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방수재는 방수재, waterproof material, 일면이 직포면이고 타면이 부직포면인 방수재(25), 직포와 벤토나이트와 부직포의 순으로 구성된 방수재(25), 직포 및 부직포와 이의 사이에 삽입된 벤토나이트로 구성된 방수재(25), 일면이 시트면이고 타면이 벤토나이트면인 방수재(25), 시트와 이에 부착된 벤토나이트로 구성된 방수재(25) 등이 있는데, 여기서 직포, 직포면, 부직포, 부직포면, 시트, 시트면,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면 등이 지하벽(41), 본체벽(42), 노출면(47), 합벽(40) 등으로 향하도록 방수재가 시공 또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근방수재는 방수재, waterproof material, 방근재, rootproof material, 방근방수재, root and water proof material, 방수방근재, water and root proof material, 물을 방수하는 방수재, 뿌리에 저항하는 방근재, 뿌리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근재, 뿌리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물을 방수하는 방근방수재 등이 해당된다.
삭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지하벽(41)이나 가시설벽(41)을 방수하는데 있어서, 1) 지하, 지중, 지반 등에 벽, 월, wall, 지하벽, 연속벽 등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조성하는 방법에는 지하를 보링하면서 고화제를 주입 또는 그라우팅하여 벽 또는 그라우팅벽을 조성, 지하를 굴착하면서 지반과 시멘트를 교반하여 벽 또는 DCM벽(deep cement mixing wall)을 조성, 지하를 굴착하고 이의 굴착부에 철근망과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벽 또는 CIP벽을 조성, 지하를 굴착하면서 슬러리를 투입하고 상기 굴착 후에 철근망과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벽 또는 슬러리월을 조성 등이 있다. 2) 상기 지하에 조성된 지하벽의 일면이나 주변을 굴착하는 단계; 3) 상기 굴착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의 일면이 노출되는 단계; 4) 상기 노출된 면인 노출면(47)에 돌출된 돌출물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돌출물은 못, 핀, 앵카, 네일, 볼트, 철근, 락볼트, 파이프, 폼타이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돌출물, 못, 핀, 앵카, 네일, 볼트, 철근, 락볼트, 파이프, 폼타이핀 등은 지하벽; 이의 설치, 시공, 조성, 형성, 지지, 지보, 지탱; 등에 사용된 것이다. 상기 폼타이핀은 지하벽의 시공을 위하여 사용된 폼, 형틀, 판넬, 거푸짐 등을 조립, 지지, 지보, 지탱, 결합, 고정, 체결, 결합, 타이, tie, 묶음 등을 하는 핀이다. 이의 간단한 형태는 양측에 이격되어 판넬이 설치되고, 상기 양측의 판넬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양측의 판넬을 고정되게하는 핀이다. 상기 양측의 판넬의 내부로는 철근, 콘크리트 등이 투입되어 벽체, 지하벽 등을 형성한다. 여기서 투입된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판넬은 해체되고, 핀은 그대로 존치된다. 여기서 지하벽의 외부로 돌출된 핀이나 돌출물은 절단되고, 이가 절단된 노출 부위 또는 선단 부위는 방수처리(81) 또는 마감처리(81)되고, 상기 절단된 지하벽에 또는 상기 방수처리 또는 마감처리된 상부에 방수재(25)가 설치된다.
5) 상기 절단된 돌출물을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50)나 벤토매스틱(50)으로 에워싸는(81) 단계; 6) 상기 노출면(41)의 조인트부(46)를 관찰하는 단계; 7) 상기 조인트부(46)에 형성된 틈, 균열, 공간, 슬롯, 조인트, 2cm 이상의 틈이나 균열 등을 몰탈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50) 또는 벤토매스틱(50)으로 채우는 단계; 8) 상기 틈, 균열, 공간, 슬롯, 조인트, 2cm 이상의 틈이나 균열 등이 몰탈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50) 또는 벤토매스틱(50)으로 채움되어 상기 조인트부가 매끈하게 되는 단계; 9) 상기 노출면의 굴곡과 요철을 다듬어 평활하게 하는 단계; 10) 상기 평활하게 되지 못한 상기 굴곡과 요철의 부위에 합판을 설치하는 단계; 11)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에 몰탈을 채우는 단계; 12)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이 몰탈로 채움되어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이 메움되는 단계; 13) 상기 노출면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부위에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14) 상기 배수판의 하단을 수로, 채널, 오픈채널, 집수구, 집수정, 트렌치, 하수구, 배수로, 배수구 등에 연결하는 단계; 15) 상기 노출면의 젖은 부위에 막, 천, 필름, 비닐, 비닐막, 방수포, PE필름, 멤브레인 등을 설치하는 단계; 16) 일면이 직포면이고 타면이 부직포면인 방수재의 상기 직포면 또는 부직포면이 상기 노출면을 향하도록 거치 또는 설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직포, 직포면, 부직포, 부직포면, 시트, 시트면,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면 등이 지하벽(41), 본체벽(42), 노출면(47), 합벽(40) 등으로 향하도록 방수재가 시공 또는 설치되는 단계;
17) 일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방수재가 2롤 또는 2개 이상 설치되는 단계, 일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2롤 또는 2개 이상의 방수재가 이웃하여 설치되는 단계, 일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2롤 또는 2개 이상의 방수재가 일정의 폭만큼 중첩 또는 오버랩되어 설치되는 단계, 기 설치된 방수재에 이웃하여 다른 방수재가 설치되는 단계; 직전에 설치된 방수재에 이웃하여 다음의 방수재가 설치되는 단계; 직전에 설치된 방수재에 이웃하여 일정의 이음폭을 두어 다음의 방수재가 설치되는 단계; 기 설치된 방수재에 이웃하여 일정의 폭만큼 중첩 또는 오버랩하여 다른 방수재가 설치되는 단계; 기 설치된 방수재에 이웃하여 10∼30cm 중첩 또는 오버랩하여 다른 방수재가 설치되는 단계; 기 방수재에 10∼30cm 중첩 또는 오버랩하여 다음 방수재 설치를 2회 이상 반복하는 단계; 18) 상기 10∼30cm, 중첩부, 오버랩, 겹침부, 이음부; 또는 기 방수재와 다음 방수재의 속, 사이, 내부, 외부, 중첩부, 오버랩, 겹침부, 이음부 사이, 중첩부 사이, 중첩부 내부, 오버랩 사이, 오버랩 내부, 이음부 사이; 등에 점토, 본드, 수지, 폴리머, SAP, 폴리아크릴레이트, 못, 핀, 접착제, 점착제, 실링제,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 가루, 벤토나이트 분만, 벤토나이트 입자, 벤토나이트 반죽물, 벤토나이트 된반죽, 벤토씰, 벤토매스틱, 벤토나이트 실링제, 테이프, 씰스트랩, 씰테이프 등을 포설 또는 거치하는 단계; 19) 상기 방수재, 설치된 방수재, 10∼이음부 사이 등에 일정한 간격으로 못이나 핀을 박는 단계;
20) 상기 거치 또는 설치에 의하여 상기 직포면 또는 부직포면과 노출면의 사이에 마찰력과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또는 상기 직포 내지 벤토나이트면 등과 노출면의 사이에 마찰력과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21)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못이나 핀으로 상기 노출면에 고정하는 단계; 22) 상기 고정을 위하여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관통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못이나 핀으로 박아 상기 노출면에 고정하는 단계; 타카나 망치 또는 타정기에 의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관통하여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재가 노출면에 고정되는 단계; 23) 상기 고정된 방수재의 상단에 마감쫄대를 설치하는 단계; 24) 상기 마감쫄대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마감쫄대와 방수재를 관통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는 단계; 25) 상기 설치된 마감쫄대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의 상단이 상기 노출면에 고정되는 단계; 26) 상기 마감쫄대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의 방향으로 압착력이 작용하는 단계; 27) 상기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마감쫄대가 설치된 상기 방수재가 또는 상기 방수재의 일정 부위가 상기 지하벽이나 노출면에 압착되는 단계; 28) 상기 방수재가 상기 못이나 핀, 마찰력, 마감쫄대,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이나 노출면에 부착되는 단계; 29) 상기 부착에 의하여 방수재와 지하벽이나 노출면의 사이에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30) 상기 방수재가 또는 방수재의 무게가 상기 못이나 핀, 마찰력, 마감쫄대, 압착력, 부착력 등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계;
31) 상기 방수재에 이격되어 철근이 배근되는 단계; 32) 상기 방수재 또는 철근에 이격되어 형틀이 설치되는 단계; 33) 상기 형틀에 또는 형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 34)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단계; 35) 상기 양생 후 상기 형틀이 해체되는 단계; 36) 상기 해체되어 콘크리트벽이 형성되는 단계; 37)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의하여 합벽이 조성되는 단계; 38)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에 또는 상기 합벽의 내부에 상기 방수재가 존치되는 단계; 39) 상기 존치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 콘크리트벽, 합벽을 방수하는 단계; 40) 그리고 지하, 지중, 지하수, 지하벽, 콘크리트벽, 지하벽의 틈이나 균열, 콘크리트벽의 틈이나 균열, 합벽, 합벽의 틈이나 균열, 직포, 부직포, 직포면, 부직포면 등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상기 방수재에 물, 수분, 습기, 물기 등이 접촉되는 단계; 41) 상기 접촉된 물, 수분, 습기, 물기 등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에 포함된 벤토나이트가 수화(hydration) 또는 수화반응(hydration reaction)되어 팽창(膨脹, expansion), 팽윤(澎潤, swelling), 15배 팽창, 20배 팽창, 10∼20배 팽창 등이 되는 단계; 42) 상기 수화 또는 수화반응에 의하여 벤토나이트겔(bentonite gel)이 형성되는 단계; 43) 상기 벤토나이트겔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자착(自着, self adhesion) 또는 스스로부착되는 단계; 44) 상기 팽창이나 팽윤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에 팽창압이나 팽윤압이 발생되는 단계; 45) 상기 수화, 팽창, 팽창압, 팽윤압 등에 의하여 일정의 압력, 10-10∼10kg/cm2의 압력, 팽창의 압력, 15배 팽창의 압력, 20배 팽창의 압력, 10∼20배 팽창의 압력 등을 가진 벤토나이트방수층이 형성되는 단계; 46) 상기 벤토나이트겔 또는 벤토나이트방수층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에 방수기능이 발현되는 단계; 47) 상기 팽창 또는 팽창압 또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상기 거치 또는 부착 시(時)보다 더욱 압착(壓着) 또는 밀착(密着)되는 단계; 48) 상기 팽창, 팽창압, 압력, 압착, 밀착 등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 콘크리트벽, 노출면, 바탕면, 지하벽의 바탕면, 콘크리트벽의 바탕면, 지하벽의 노출면, 콘크리트벽의 노출면 등과 상기 방수재의 사이에 틈, 틈새, 공간, 이격, 들뜸, 들뜸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 단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상기 기재된 단계가 포함되어 또는 상기 1) 내지 48) 단계 등이 포함되어 지하벽이나 가시설벽을 방수하는데 있어서 부자재가 사용된다. a) 상기 부자재에 과립형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 실링제, 마감쫄대, 고정 못, 타카 핀, 타정기 핀, 보호재 등이 포함된다. b) 상기 과립형 벤토나이트는 상기 방수재의 포설 중에 방수재 간의 이음부에 살포되거나, 또는 물과 반죽되어 상기 노출면의 균열이나 요철부에 메움되고, c) 상기 벤토나이트 실링제는 벤토나이트와 첨가제의 혼합물 또는 벤토매스틱(Bento Mastic)으로서 상기 지하벽 또는 노출면의 틈, 홀, hole, 균열, 공극, 간극, 조인트부, 관통부, 앵카(anchor)가 관통되는 관통부, 폼타이핀(form tie pin)이 관통되는 관통부, 돌출물이 관통되는 관통부, 통공부, 파이프 통공부, 균열부 등에 메움되고, d) 상기 마감쫄대는 상기 방수재의 상단 또는 단부에 못이나 핀으로 고정되게 거치되고, e) 상기 고정 못은 길이 25mm 이상의 콘크리트용 못으로서 상기 방수재를 관통하여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재를 상기 노출면에 정착시키는 것이고, f) 상기 타카 핀은 길이 25mm 이상의 콘크리트용 핀으로서 상기 방수재를 관통하여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재를 상기 노출면에 정착시키는 것이고, g) 상기 보호재는 상기 방수재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방수재 또는 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두께 5~10mm의 보호재, 보호판, 수지판, 플라스틱판 등이고, h) 상기 방수재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과립형 천연소디움 벤토나이트가 고르게 포설되고, 상기 직포와 벤토나이트와 부직포가 바느질로 일체화되어, 벤토나이트가 직포와 부직포 사이에서 이동 또는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된 벤토나이트매트 방수재이고, i) 상기 방수재에 포함되는 벤토나이트의 팽윤지수 시험이 수행되고, j) 상기 방수재에 대하여 단위면적당 무게, 투수계수, 인장강도, 인장신도, 꿰뚤림강도, 섬유층분리강도 시험이 수행되고, k) 상기 벤토나이트의 팽윤지수는 24 mℓ/2g 이상이고, ℓ) 상기 방수재의 단위면적당 무게는 4,800g/m2 이상이고, m) 상기 방수재의 투수계수는 e×10-9 cm/sec 이하 또는 e×10-9∼12 cm/sec 이고, n) 상기 e는 상수, 숫자, 수치, 1.0∼9.9 등이고, o) 상기 방수재의 인장강도는 400N 이상이고, p) 상기 방수재의 인장신도 10% 이상이고, q) 상기 방수재의 꿰뚤림강도는 445N 이상이고, r) 상기 방수재의 섬유층분리강도는 66N/m 이상이고, s) 상기 방수재의 시공 또는 설치 후에 검사가 실시되고, t) 상기 검사의 대상은 방수재의 시공상태, 모서리부의 방수재 시공상태, 코너부의 방수재 시공상태, 방수재의 이음 위치, 방수재의 이음 폭, 방수재의 이음 상태, 방수재의 고정상태, 방수재의 파손여부, 방수재의 손상여부, 방수재의 굴곡여부, 방수재의 마감상태, 방수재의 단부 처리상태, 방수재의 마감부분 시공상태, 방수재의 취약지점 시공상태, 방수재를 관통하는 관통체와 방수재의 연결상태, 방수재의 보호상태, 방수재에 포설된 보호재의 설치상태 등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벤토매스틱(50, BentoMastic)은 a) 비중 1.1∼1.3, 색상 갈색, 팽윤율 200% 이상, 벤토나이트 함량 55중량% 이상, 포장용기 18리터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씰링재; b) 또는 상기 집진 벤토나이트(9)가 포함된 씰링재; 상기 집진 벤토나이트(9)와 접착제(51)가 교반된 씰링재; 상기 집진 벤토나이트(9)와 고무 본드(51)가 교반된 씰링재; c) 상기 방수재(16, 23, 15)의 포설 전에 상기 방수재가 포설되는 방수 대상면을 처리 또는 충진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씰링재; d) 상기 대상면의 홀(44), 구멍(44), 요철(43), 요부(43), 오목부(43), 파손부(43), 관통부(44), 파이프(44) 중 하나 이상을 충진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씰링재; e) 상기 방수재의 포설 후에 상기 방수재의 이음부 또는 이의 내부에 바름되는 상기 씰링재; 등(50)이 해당된다.
상기 씰스트랩(60, SealStrap)은 a) 폭 8∼15cm, 두께 1∼10mm, 길이 10∼50m/롤인 하기 테이프 내지 접착 테이프; b) 자신에 자착된 이형지(64)를 제거하여 부착하는 또는 아크릴수지 모노머 이용의 접착층(63)을 가진 테이프, 이음재, 롤 테이프(61), 접착 테이프, 일정의 폭을 가진 롤 테이프, 일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롤형식(61)으로 감겨진 접착 테이프; c) 접착성을 가진 접착제로 된 접착층(63) 또는 수지계 또는 고무계 재질의 유동성 접착제로 된 접착층(63)과,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부착되어 접착층을 보호하는 수지시트, PVC시트, HDPE시트로 중 하나로 된 보호층(62)과, 상기 일면의 반대인 타면에 부착되나 사용시 탈착되는 이형지(64)를 포함하는 상기 테이프 내지 접착 테이프; d) 상기 접착층(63)이 아크릴수지 모노머와 용재를 혼합, 가열, 중합반응하여 조성된 폴리머인 상기 테이프 내지 접착 테이프; e) 상기 방수재의 포설 후에 상기 방수재의 이음부(26) 또는 이의 외부(27)에 부착되는 상기 테이프 내지 접착 테이프; f) 상기 이음부(26)에 형성되는 이음선(29)에 상기 폭의 중앙(29)이 위치되도록 부착되는 상기 테이프 내지 접착 테이프; 등(60)이 해당된다.
상기 벤토씰(70, BentoSeal)은 a) 폭 20∼30mm, 두께 10∼20mm, 길이 5∼10m/롤인 하기 지수재; b) 2층의 망사(72) 사이에 접착제와 같이 혼합된 벤토나이트(73)가 삽입된 지수재; c) 2층의 망사(72) 사이에 접착제에 의하여 자신의 입자 군(群)이 일체화된 벤토나이트(73)가 삽입된 지수재; d) 입자성의 벤토나이트가 접착제에 혼합되어 입자들이 일체화된 벤토나이트(73)가 2층의 망사(72) 사이에 삽입된 지수재; e) 입도를 분류하는 체 넘버(sieve number) #10∼40 사이의 입경을 가진 벤토나이트 사용의 상기 지수재; f) 롤식(71)으로 감겨진 상기 지수재; g) 일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상기 지수재; h) 1개 상자에 10개 롤(71)이 내장되어 포장된 상기 지수재; i) 상기 벤토나이트(73)가 비중 2.4∼2.8, 팽윤도 24∼30mℓ/2g를 만족하는 상기 지수재; j) 상기 방수 대상면을 가진 대상(40, 41, 42)의 축조 시 상기 대상; 이의 하나인 콘크리트 구체(42), 흙막이벽(41)의 측면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벽(42); 중 하나의 조인트부(46)에 삽입되는 지수재, 또는 상기 축조 시 상기 대상의 조성을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부위인 조인트부(46)의 지수를 위하여 삽입되는 상기 지수재; 등(70)이 해당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지하벽은 a) 합벽, 合壁, CIP, CIP벽, 지하벽, 地下壁, 지반벽, 지중벽, 임시벽, 토류벽, 지하벽체, 地下壁體, 합벽, 지하합벽, 지중합벽, 흙막이벽, 임시벽, 가시설벽, 지하흙막이벽, 지하연속벽, 지하임시벽, 지하가시설벽, 슬러리월, 시멘트 슬러리월, 벤토나이트 슬러리월, 다이어프럼월, H파일벽, 그라우팅벽, 시이트파일벽, 지중교반벽, 지중주입벽, 주열식 벽, 주열식 현장타설 기둥, 주열식 현장타설 기둥벽, 2개 이상 기둥의 기둥군(column群)으로 형성된 주열식 벽, SCW(soil cement wall), DCM(deep cement mixing), DCM벽, retaining wall, underground retaining wall, 지반에 형성된 벽, 지하에 형성된 벽, 지중에 형성된 벽체, 지중에 경화제 주입벽, 지중에 그라우팅제 주입벽, H파일와 토류판으로 구성된 벽, H파일와 토류판으로 구성된 토류벽, H파일와 토류판으로 구성된 H파일벽, 상기 합벽 내지 지중연속벽; b) 지중에 몰탈, 자갈, 쇄석, 골재, 몰탈, 시멘트, 레미콘, 채움재, 충진재, 벤토나이트, 콘크리트, 경화제, 그라우팅제, 빔, 관, 강관, 철근, 철골, H빔, 철근망, 보강재, H파일, 철근케이지 등이 투입되어 형성된 벽, 벽체, wall, 지중연속벽; c) 상기 합벽 내지 지중연속벽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벽;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합벽은 a) 합벽, 合壁, 맞벽, 2중벽, 2개벽, 지하벽, composite wall, 합체된 2개벽, 초벽과 본벽으로 구성된 벽 또는 합벽,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된 벽 또는 합벽,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된 벽 또는 합벽, 지하벽과 본체벽으로 구성된 벽 또는 합벽, 가시설벽과 본체벽으로 구성된 벽 또는 합벽, 흙막이벽과 본체벽으로 구성된 벽 또는 합벽; b) 상기 CIP 내지 지중연속벽 등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본벽, 내벽, 외벽, 본체벽, 구체벽, 2중벽, 추가벽, 첨가벽, 복합벽, 콘크리트벽, 철근콘크리트벽; c) 상기 CIP 내지 지중연속벽 등과 상기 본벽 내지 철근콘크리트벽 등으로 구성되는 합벽 또는 2중벽;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합벽, 지하벽, 지하합벽, 지중합벽 등은 흙막이벽+본체벽, 가시설벽+본체벽, 지하벽+본체벽, 흙막이벽+추가벽, 가시설벽+추가벽, 지하벽+추가벽, 흙막이벽 + 추가 본체벽, 가시설벽+추가 본체벽, 지하벽+추가 본체벽, 흙막이벽+방수재+본체벽, 가시설벽+방수재+본체벽, 지하벽+방수재+본체벽, 흙막이벽+방수재+추가벽, 가시설벽+방수재+추가벽, 지하벽+방수재+추가벽, 흙막이벽+방수재+추가 본체벽, 가시설벽+방수재+추가 본체벽, 지하벽+방수재+추가 본체벽 등도 가능하다.
상기 CIP는 CIP, CIP벽, CIP기둥, CIP파일, 지하벽, 지하연속벽, 현장타설벽, 현장시공벽, 지하기둥, 지하파일, CIP지하벽, 현장타설기둥, 현장타설파일, 지하기둥벽, 지하파일벽, 현장타설기둥벽, 현장타설파일벽, 현장콘크리트말뚝, 제자리콘크리트말뚝, 현장철근콘크리트말뚝, 제자리철근콘크리트말뚝, CIP 기둥으로된 지하벽, 2개 이상의 CIP 기둥으로 형성된 지하벽, 2개 이상의 CIP 기둥으로 형성된 CIP벽, cast in place pile, cast-in place pile, cast-in-place pile, cast-in-place pile wall, 2개 이상의 cast-in-place pile로 구성된 wall 등이 해당된다. CIP의 예로는 오거로 지반을 굴착 또는 보링하고 H빔이나 철근망을 삽입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막이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상기 CIP벽은 CIP이나 CIP의 파일로 조성된 벽체(wall)이다.
삭제
상기 토류벽은 토류벽, 土留壁, retaining wall, 흙을 지지하는 벽, 절토 및 성토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벽, 엄지말뚝벽, H파일+토류판으로 구성된 벽 등이다. 이는 오거나 T-4 등의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1∼2m 간격으로 천공후 H-파일을 삽입하여 엄지말뚝을 형성하고 굴착단계에서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여 벽체 또는 토류벽을 조성하는 공법이다. 토류판은 목재토류판, 강재토류판, 토류벽콘크리트 등이다. 이의 장점은 굴착에 따라 자연히 지하수가 낮아지므로 수압이 작용하지 않음, 공기가 짧고 엄지말뚝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널말뚝에 비하여 경제적임, 엄지말뚝을 보링한 후에 설치하면 소음과 진동이 적음 등이다. 이의 담점은 하수위의 저항에 따른 토사유출 가능성이 크므로 별도의 차수대책이 필요, 지층이 연약하여 굴착 후 흙막이판 설치까지 자립이 안되면 적용이 어려움, 굴착저면에서 히빙이나 보일링이 일어나기 쉬운 지반인 경우에는 적용시에 이를 검토해야 함, 흙막이판과 굴착면 사이를 밀착하여 설치하지 않을 경우 지반변형이 발생함 등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그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나 청구항을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벽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a)는 토류합벽(40)의 방수로서, 보링공에 삽입 또는 항타로 지중(75)에 설치된 H파일(90), 지반(75)을 굴착하면서 노출되는 H파일 간의 사이에 거치된 또는 끼움된 토류판(91), 파일(90)이나 H파일(90)과 토류판(91)으로 구성된 토류벽(41), 토류벽의 노출면(47), 이에 설치된 방수재(25), 기초 또는 매트의 슬라브 상부로 15cm 이상 설치된 방수재(25), 토류벽의 외부로 노출된 앵카 또는 이의 두부(頭部)를 처리한 처리부(81), 토류벽의 외부로 노출된 앵카(120)를 절단하고 이를 벤토매스틱으로 에워쌈(81) 또는 방수 처리함(81), 토류벽(41)이나 방수재(25)의 측면이나 외면이나 노출부에 조성된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 또는 현장타설콘크리트벽, 토류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또는 토류합벽(40), 토류벽과 본체벽의 사이(49) 또는 합벽의 내부(49)에 설치된 방수재(25) 등을 보여준다. 상기 방수재의 이음폭 또는 접합폭은 10cm, 20cm, 30cm, 10∼30cm 등으로 하고, 이음부는 10cm, 20cm, 30cm, 10∼30cm 간격 등으로 못이나 핀이나 타카핀을 박아 방수재 또는 이음부를 바탕면에 고정시킨다. 방수재의 상단은 지하벽, 구체벽, 합벽 등의 상단에서 접어 지하벽, 구체벽, 합벽 등의 상단면에 걸치게 하고, 필요시 못이나 핀으로 방수재를 상단면에 고정한다. 상기 토류판(91)과 토류판(91), 토류판(91)과 H파일(90), 토류판(91)과 지반(75) 간의 틈새가 2cm 이상이면 틈새를 메움, 충진, 주입, 매움재로 메움, 충진재로 충진, 그라우팅 주입, 합판, 합판을 대고 충진, 그라우팅, 그라우팅재로 메움 등을 실시한다.
도 1 (b)는 CIP합벽의 방수로서, 오거로 지반(75)을 굴착하여 형성된 보링공의 내부에 삽입된 H파일(90) 또는 철근망, 상기 보링공에 호스나 트레미관(102)을 통하여 투입 또는 타설된 몰탈 또는 콘크리트(92), H파일(90)과 콘크리트(92)로 구성된 기둥 또는 CIP기둥(94), 2개 이상의 기둥 또는 CIP기둥(94)으로 형성된 CIP벽(41) 또는 주열식벽 또는 기둥이 열을 이루는 벽, 벽이나 CIP벽의 노출면(47), 벽이나 CIP벽의 굴곡면(47) 또는 기둥 굴곡면(47), 상기 굴곡면(47)에 설치된 합판(82), 상기 굴곡면(47)과 합판(82)의 사이 공간에 투입 또는 채움 또는 다짐되는 모래 또는 몰탈 또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상기 노출면(47) 또는 굴곡면(47) 또는 합판(82)에 설치된 방수재(25), 기초 또는 매트의 슬라브 상부로 15cm 이상 설치된 방수재(25), CIP벽의 외부로 노출된 앵카 또는 이의 두부(頭部)를 처리한 처리부(81), CIP벽의 외부로 노출된 앵카를 절단하고 이를 벤토매스틱으로 에워쌈(81), CIP벽(41)이나 방수재(25)의 측면이나 외면이나 노출부에 조성된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 CIP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또는 CIP합벽(40), CIP벽과 본체벽의 사이(49) 또는 합벽의 내부(49)에 설치된 방수재(25) 등을 보여준다. 상기 H파일, 토류판, 기둥, 토류벽, 토류합벽, CIP, CIP벽, CIP합벽 등의 배면 또는 지반면 또는 비굴착면에 틈이나 공간이 형성된 경우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틈이나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및 바닥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a)는 벽체(40, 41, 42)의 방수로서, 벽체(40, 41, 42), 이의 시공시 시공조인트 또는 콘크리트 이어치기부에 설치된 벤토씰(70) 또는 벤토씰 지수재(70), 상기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또는 벽체와 벽체가 만나는 코너 또는 모서리의 충진 또는 보강처리(85), 여기서 충진 또는 보강처리(85)는 벤토나이트 알갱이 포설 또는 벤토매스틱 도포 또는 삼각쫄대 설치, 상기 벽체 또는 이의 표면이나 바탕면에 설치된 방수재(25), 이의 이음부 또는 접합부(26), 이에 거치되는 벤토나이트알갱이 또는 테이프(60) 또는 씰스트랩(60), 상기 방수재(25)의 산단에 설치되는 마감쫄대(83), 이에 박히는 못이나 핀, 못이나 핀에 의하여 바탕면에 고정되는 마감쫄대(83), 못이나 핀에 의하여 바탕면에 고정되어 방수재 및 이의 상단을 바탕면에 고정시키는 마감쫄대(83), 상기 벽체(40, 41, 42)에 되메움되는 되메움 토사(76), 토사층, 복토층, 식생대(76), 식생대층(76) 등을 보여준다. 상기 방수재, 이의 노출면, 방수재(25)와 되메움 토사(76) 또는 토사층(76)의 사이 등에는 보호재, 보호판, 팽창폼, 팽창재, 완충재, 단열재, 단열폼, 스티로폼 등(56)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 (b)는 바닥, 건물바닥, 구조물바닥, 지하실바닥, 주차장바닥, 지하철바닥 등(57)의 방수로서, 원지반 정리, 흙 다짐 또는 원지반 다짐, 버림 콘크리트(45), 방수재(25), 보호재 또는 보호 몰탈(58), 벤토씰(70) 또는 벤토씰 지수재(70),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57), 이에 삽입된 철근(95) 등을 보여준다. 상기 바닥 슬라브(57)는 건물, 교량, 아파트, 구조물, 지하실, 주차장, 지하철 등의 바닥 슬라브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CIP 공사 및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서 a는 오거 또는 굴착기(100)를 이용하여 지반(75)을 굴착 또는 보링하여 굴착공 또는 보링공(101)을 형성하는 것이고, b는 보링공(101)에 철근망, 와이어망, 철근케이지 등(93)을 투입하는 것이고, c는 보링공(101)에 빔, 철골, 파일, H빔, H파일 등(93)을 삽입하는 것이고, d는 보링공(101)에 인력, 관, 호스, 타설기, 타설관, 이송관, 트레미관 등(92)을 이용하여 몰탈, 시멘트, 레미콘, 주입재, 충진재, 고결재, 경화재, 콘크리트 등(92)을 투입하는 것이고, e는 상기 보링공(101)에 투입된 재료(92, 93)에 의하여 지중에 조성된 기둥(94), 이의 둘 이상으로 형성된 지하벽(41), 이의 표면이나 노출면이나 굴착면에 설치된 방수재(25), 이의 이음부(26), 상기 방수재(25)의 상단 또는 단부에 설치된 쫄대 또는 마감쫄대(83), 상기 지하벽(41)이나 방수재(25)의 측면에 설치된 본체벽(42), 상기 지하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상기 지하벽(41)과 방수재(25)와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CIP벽과 CIP합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에는 H빔(93), 철근망(93), 콘크리트(92), 철근망(93)을 구성하는 철근(95)과 이의 길이를 따라 2회 이상 주위를 에워싸는 철사 또는 와이어(96), 이들로 구성된 기둥(94), 이의 둘 이상으로 형성된 지하벽(41), 이에 설치된 합판(82), 상기 지하벽(41)이나 합판(82)에 설치된 방수재(25), 상기 지하벽(41)이나 방수재(25)에 추가된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 상기 본체벽(42)의 시공에 이용된 형틀이나 거푸집(97), 상기 지하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상기 지하벽(41)과 방수재(25)와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a는 지하벽 또는 CIP벽(41)에 합판(82)을 대고, 지하벽 또는 CIP벽과 합판의 사이 또는 공간을 모래, 토사, 몰탈, 시멘트, 콘크리트 등으로 충진하고, 합판(83)의 표면에 방수재(25)를 시공하는 것이다. b는 지하벽 또는 CIP벽(41)의 굴곡면이나 원효면을 따라 방수재(25)를 시공하는 것이다. c는 H빔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CIP기둥 1개, 철근망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CIP기둥 3개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조성된 주열식 지하벽(41)에 합판(83)을 대고 합판(83)의 내부를 모래 등으로 채우고 합판(83)의 노출면에 방수재(25)를 시공하는 것이다. d는 주열식의 지하벽 또는 CIP벽(41), 이에 일면이 설치된 방수재(25), 상기 방수재(25)의 타면에 설치된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 이의 콘크리트 타설 시에 사용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해체 또는 탈거되는 형틀 또는 거푸집(97), 상기 지하벽과 본체벽으로 조성된 합벽(40) 등을 보여준다. 상기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은 지하실, 지하철, 주차장, 지하공간, 지하시설, 지하주차장 등으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CIP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지하에 설치된 CIP 또는 기둥(94), 이의 둘 이상으로 조성된 주열벽 또는 CIP벽(41), 이에 접하여 설치된 띠장(110), 띠장(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12), 이격된 띠장(110)과 띠장(110)이나 이격된 CIP벽(41)과 CIP벽(41)의 사이에 설치되는 버팀대(11), CIP벽(41)의 노출면(47), CIP벽(41)이나 노출면(47)에 설치된 방수재 등을 보여준다. 상기 띠장(110)은 빔, H빔, I빔, 철골, 형강, wale 등이고, 이는 지하벽이나 CIP벽(41)이 넘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버팀대(11)는 봉, 강관, 빔, H빔, I빔, 철골, 형강, strut 등이고, 이는 띠장(110)과 띠장(110)이나 이격된 CIP벽(41)과 CIP벽(41)의 사이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CIP벽(41)이나 방수재(25)에는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이 설치, 이에 의하여 합벽(40) 형성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류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상기 도 5와 유사하고, 다른점은 CIP벽(41) 대신에 H빔(90), 토류판(91) 등으로 구성된 토류벽(41)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토류벽(41) 또는 이의 노출면이나 굴착면에 방수재(25)가 설치되고, 상기 토류벽(41)이나 방수재(25)에는 본체벽(42) 또는 콘크리트벽(42)이 설치, 이에 의하여 합벽(40) 형성 등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앵카 보강벽 및 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지반(75)에 근입된 앵카(120)로 보강된 벽(40, 41, 42), 합벽(40), 지하벽(41), 보강벽(40, 41, 42), 콘크리트벽(40, 41, 42); 벽체(40, 41, 42)의 배면 지반(75)에 근입된 앵카(120); 앵카(120)의 체결부(121); 앵카(120)의 선단을 벽체에 고정하는 체결부(121); 적정의 인발력이 발생되는 앵카(120)의 선단을 벽체에 고정하는 체결부(121); 상기 체결부(121)에 연하여 설치된 띠장(110), 상기 띠장(110)의 보강재(112); 상기 띠장(110)의 사이에 거치된 상기 체결부(121); 방수 시공 시에 해체되는 상기 체결부(121); 벽체(41)의 외부로 돌출된 앵카(120)나 앵카 선단이나 체결부(121)나 해체부를 절단; 벽체(41)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이나 체결부(121)나 절단부나 해체부를 몰탈이나 벤토매스틱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로 처리(81) 또는 마감처리(81) 또는 방수처리(81); 벽체(40, 41, 42)의 외부나 노출면(47)에 설치된 방수재(25); 지하벽(41)의 외부로 돌출된 앵카(120)나 체결부(121)의 해체 후에 설치된 방수재(25); 지하벽(41)이나 방수재(25)의 측면에 시공된 본체벽(42); 지하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지하벽(41)과 방수재(25)와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등을 보여준다.
상기 앵카(120)는 지반 보링, 보링에 의하여 보링공 형성, 보링공에 앵카 또는 보강재 투입, 보링공을 그라우팅, 보링공에 그라우트재 주입, 상기 그라우트재가 양생, 지반에 그라우팅 구근 형성, 지반 내에 앵카 또는 보강재와 그라우트재에 의한 앵카체(120) 또는 보강체(120) 형성, 상기 앵카(120) 또는 앵카체(120)의 선단이 벽체(40, 41, 42)의 외부로 노출, 상기 노출된 앵카(120) 또는 앵카체(120)의 앵카 또는 보강재를 당김 또는 인발, 적정의 인발력이 발생되도록 앵카 또는 보강재의 두부(頭部)를 벽체(40, 41, 42)에 고정 또는 체결(121), 상기 인발력에 의하여 벽체가 지지 또는 저항 또는 토압에 저항 등이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벽체(40, 41, 42), 기둥(94), CIP기둥(94), 2개 이상의 기둥(94)으로 조성된 벽체(40, 41, 42), 이에 설치되는 방수재(25), 방수재(25)의 이음부(26)에 설치되는 테이프 또는 씰스트랩(60), 방수재(25)의 선단에 설치되는 쫄대(83) 또는 마감쫄대(83), 방수재(25)와 쫄대(83)에 박히는 못이나 핀이나 심(84), 못이나 핀이나 심(84)에 의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방수재(25)와 쫄대(83) 등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지하벽(41), 이의 노출면에 설치된 방수재(25), 원지반 정리, 흙 다짐 또는 원지반 다짐, 바닥의 버림 콘크리트(45), 이의 상부에 포설된 방수재(25), 이 상부의 보호재 또는 보호 몰탈(58), 이의 상부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57), 상기 바닥 슬라브(57)의 상부와 상기 지하벽(41)이나 방수재(25)의 측면에 설치된 본체벽(42), 상기 지하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상기 지하벽(41)과 방수재(25)와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이들이 포함되는 지하실(130), 이들이 포함되는 건물(131) 등을 보여준다.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실, 지하시설, 지하공간,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 등(130)의 방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지하벽(41), 이의 노출면에 설치된 방수재(25), 원지반 정리, 흙 다짐 또는 원지반 다짐, 바닥의 버림 콘크리트(45), 이의 상부에 포설된 방수재(25), 이 상부의 보호재 또는 보호 몰탈(58), 이의 상부에 설치된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57), 상기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57)의 상부와 상기 지하벽(41)이나 방수재(25)의 측면에 설치된 본체벽(42), 상기 지하벽(41)과 본체벽(42)으로 구성된 합벽(40), 상기 본체벽(42)이나 합벽(4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슬라브(55), 이의 상부에 설치된 방수재(25) 또는 방근방수재(25), 이의 상부에 설치된 보호재 또는 보호몰탈(56), 이들이 포함되는 지하구조물(130), 이의 상부에 포설된 복토층(76), 토사층, 되메움층(76), 식생대(76), 식생층(76), 식생대층(76) 등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벽, 지하시설, 지하공간, 지하주차장, 이에 적용되는 방수재, 방수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시설(131), 건물(131), 구조물, 지하벽, 지하시설(130), 지하주차장(130), 지하합벽(40), 흙막이벽(41), 본체벽(42); 이중 하나 바닥의 원지반 정리, 흙 다짐 또는 원지반 다짐, 보조층(45) 또는 버림콘크리트(45), 상부 또는 측면의 복토층(56) 또는 보호몰탈(56) 또는 누름콘크리트(56); 상기 중 하나의 콘크리트 이어치기부(46)에 삽입되는 벤토씰(70); 상기 중 하나의 바탕을 처리하는 벤토매스틱(50); 상기 중 하나에 포설되는 방수재(25) 등을 보여준다. 상기 시설(130)의 외면, 내면, 바닥, 상부, 사면; 시설(130)의 바닥(57)과 보조층(45) 사이, 시설의 슬라브(55)와 보호재(56) 또는 복토층(56) 사이 등에는 방수재, 방근방수재, 차수방수재, 누수방수재, 지하방수재 등(25)이 설치된다.
도 12의 a)는 흙막이벽(41), 본체벽(42) 등의 콘크리트 이어치기부(46)에 설치되는 벤토씰(70), b)는 흙막이벽(41), 본체벽(42) 등의 콘크리트 이어치기부(46)에 설치되는 벤토씰(70); 요철부(43) 및 관통부(44)에 충진되는 벤토매스틱(50); 및 흙막이벽(41), 본체벽(42) 등의 외부(48)에 설치되는 방수재(25), c)는 흙막이벽, 본체벽 등의 내부(47)에 설치되는 방수재(25), d)는 흙막이벽, 본체벽 등의 외부(48)에 설치되는 방수재(25), e)는 흙막이벽, 본체벽 등의 콘크리트 이어치기부에 설치되는 벤토씰(70); 요철부 및 관통부에 충진되는 벤토매스틱(50); 및 흙막이벽과 본체벽 사이(49)에 설치되는 방수재(25), f)는 흙막이벽, 본체벽 등의 외부(48), 내부(47), 사이(49)에 설치되는 방수재(25), g)는 흙막이벽, 본체벽 등의 요철부(43) 및 관통부(44)에 충진되는 벤토매스틱(50); 및 흙막이벽, 본체벽 등의 내부, 외부 등에 설치되는 방수재(25), h)는 본체벽(42)의 콘크리트이어치기부(46)에 설치되는 벤토씰(70); 흙막이벽(41)의 요철부(43) 및 관통부(44)에 충진되는 벤토매스틱(50); 흙막이벽(41)의 내부(47) 또는 본체벽(42)의 외부(48)에 설치되는 방수재(25); 등을 보여준다. 도 12의 e, f, g에서 보면 지하합벽(40)의 경우 흙막이벽(41)의 내측(47), 본체벽(42)의 외측(48), 상기 내측과 외측 사이에 방수재(25)가 포설되는 부위, 흙막이벽과 본체벽의 사이(49)는 동일한 위치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합벽, CIP, 지하벽, 토류벽, 주차장, 지하공간, 지하시설, 지하주차장 등의 벽면은 외벽 또는 단벽 또는 단일벽인 경우 지하벽 설치, 지하벽의 외부 바탕 정리, 지하벽의 외면에 방수재 설치, 보호재 설치, 뒤채움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합벽인 경우는 지하벽 설치, 지하벽의 내부 굴착, 상기 굴착된 지하벽의 노출면 정리, 상기 노출면에 방수재 설치, 철근 조립,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 형틀 해체, 이에 의하여 콘크리트 본체벽 완성, 상기 지하벽과 본체벽으로 구성된 합벽 완료, 상기 지하벽과 방수재와 본체벽으로 구성된 합벽 완료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바닥은 원지반 정리, 흙 다짐 또는 원지반 다짐, 버림 콘크리트 타설(45), 방수재 시공(25), 보호재 또는 보호몰탈 설치(58),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 설치(57)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벽 캡 부분의 방수시공 상세도이다. 지하벽이나 가시설벽(41)의 상부에는 캡, cap, 카바, cover, 덮개 등(98)이 설치되고, 지하 콘크리트벽(42)이나 본체벽(42)과 지하벽(41), 가시설벽(41), 캡(98), 카바(98), 덮개(98)의 사이에 벤토나이트매트 등의 방수재(25)가 설치되고, 상기 방수재(25)는 지상 100mm 상부까지 설치되고, 지상으로 돌출된 상기 방수재(25)의 단부에는 쫄대(83)가 거치되고, 상기 쫄대(83)와 방수재(25)를 관통하여 콘크리트벽이나 본체벽(41)에 못(84)이나 핀(84)이 박힌다. 상기 쫄대(83)와 못(84)에 의하여 방수재(25)는 콘크리트벽이나 본체벽(41)에 고정된다. 지상으로 돌출된 상기 방수재(25)의 단부에는 점착제나 벤토매스틱(50)을 발라 방수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하구조물의 방수시스템은 지하구조물 내부(150), 본체벽(42), 방수재(25), 가설벽(41), 지반(75), 지하구조물 외부(151)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는 그림 a) 참조. 지하구조물에 연결되는 지상구조물의 외벽(42)을 석재, 벽돌, 루바, 외장재, 보호재 등의 마감재(99)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상으로 돌출된 방수재(25)의 외부에 마감재(99)를 설치하여 마감재(99)로 방수재(25)가 보호되고, 외부의 물이 방수재(2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는 그림 b) 참조.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구조물 상부 모서리 부분의 방수시공 상세도이다. 지하 콘크리트벽(42)이나 본체벽(42)과 지하벽(41)이나 가시설벽(4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재(25)가 지하벽(41)이나 가시설벽(41)의 캡(98), 카바(98), 덮개(98)의 상부에 약 200mm 정도 그리고 상향으로 약 200mm 정도 설치되고, 지하구조물 상부 슬라브(55)의 모서리 외부를 따라 수평 500mm, 하향 500mm 크기의 ㄱ자 형상으로 추가의 방수재(25')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에서 하향으로 절곡되게 설치된 추가의 방수재(25')가 상기 상향으로 설치된 방수재(25)의 외부에 약 100mm 정도 오버랩되어 설치되고, 상기 오버랩 부위는 하향 방수재(25'), 상향 방수재(25)를 관통하여 콘크리트벽(42)에 못이나 핀이 박혀 고정된다. 상기 수평으로 설치된 추가의 방수재(25')의 수평 단부에는 못(84)을 박고 점착제나 벤토매스틱(50)을 바른다. 상기 슬라브(55)의 외면에 설치되는 방수재(25'')가 슬라브(55) 외면의 직선부를 따라 수평되게 설치된 후에 상기 슬라브(55)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수평 및 하향으로 설치된 추가 방수재(25')의 외면을 따라 하향 500mm 정도까지 ㄱ자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는 그림 a) 참조.
지하구조물 상부 슬라브(55)와 지하벽(41)이나 가시설벽(41) 캡(98)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지하 본체벽(42)과 지하벽(4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재(25)가 상기 슬라브(55)의 모서리를 따라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설치되고, 상기 절곡되게 설치된 방수재(25)와 이의 좌우측 상부에 추가의 방수재(25')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브(55)의 외면을 따라 수평되게 설치되는 방수재(25'')가 상기 추가의 방수재(25')의 외면을 거쳐 상기 지하벽(41) 캡(98)의 단부까지 설치된다. 상기 지하 본체벽(42)과 지하벽(41)의 사이에 설치된 방수재(25)는 지하벽(41)의 캡(98) 부위에 못이나 핀 등(84)으로 고정된다. 상기는 그림 b) 참조.
지하구조물 상부 슬라브(55) 보다 지하벽(41) 캡(98)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지하 본체벽(42)과 지하벽(4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재(25)가 상기 캡(98)의 상단까지 수직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슬라브(55)의 모서리에서 절곡되게 수평방향으로 약 300mm 정도 설치된다. 상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방수재(25)의 단부는 못이나 핀(84)으로 고정되면서 벤토매스틱(50)이 충진된다. 상기 슬라브(55)의 외면을 따라 수평되게 설치되는 방수재(25'')가 상기 수평방향으로 약 300mm 정도 설치된 방수재(25)의 외면을 거쳐 상기 캡(98)의 상단까지 수직되게 설치된 방수재(25)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수재(25'')와 방수재(25)가 접하는 부분은 별도의 보강, 점착제 바름, 벤토매스틱(50) 충진, 벤토나이트 충진, 벤토나이트반죽물 충진 등을 한다. 상기는 그림 c) 참조.
삭제
이상에 기재 또는 설명된 용어, 단어, 숙어, 구절, 어구, 자구, 어절, 글자, 글귀, 문구, 문장, 단락, 설명, 해설, 표현, 표기, 도면, 그림, 내용, 청구항 내용 등은 본 발명의 내용, 청구항, 청구범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어 내지 내용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7 : 분사회수 9 : 분진 벤토나이트
10 : 벤토나이트, 첨가제 포함 벤토나이트 11 : 이송
12 : 살포기 13 : 직포 14 : 부직포 15 : 니즐펀칭
20 : 접착제 21 : HDPE쉬트 16, 23, 25 : 방수재
30 : 집진기 40 : 합벽 41 : 지하벽, 차수벽, 흙막이벽, 가시설벽
42 : 본벽, 본체벽, 콘크리트벽, 시설벽, 지하구조물벽, 지하주차장벽
50 : 벤토매스틱 60 : 씰스트랩 70 : 벤토씰 75 : 지반

Claims (11)

  1. 지하벽을 방수하는 방법으로서,
    지하에 벽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지하에 조성된 지하벽의 일면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굴착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의 일면이 노출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면인 노출면에 돌출된 돌출물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돌출물을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로 에워싸는 단계;
    상기 노출면의 조인트부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2cm 이상의 틈을 몰탈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로 채우는 단계;
    상기 틈이 몰탈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로 채움되어 상기 조인트부가 매끈하게 되는 단계;
    상기 노출면의 굴곡과 요철을 다듬어 평활하게 하는 단계;
    상기 평활하게 되지 못한 상기 굴곡과 요철의 부위에 합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에 몰탈을 채우는 단계;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이 몰탈로 채움되어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이 메움되는 단계;
    상기 노출면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부위에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판의 하단을 집수구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노출면의 젖은 부위에 PE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일면이 직포면이고 타면이 부직포면인 방수재의 상기 직포면 또는 부직포면이 상기 노출면을 향하도록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에 의하여 상기 직포면 또는 부직포면과 노출면의 사이에 마찰력과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못이나 핀으로 상기 노출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을 위하여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관통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고정된 방수재의 상단에 마감쫄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마감쫄대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마감쫄대와 방수재를 관통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마감쫄대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의 상단이 상기 노출면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마감쫄대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의 방향으로 압착력이 작용하는 단계;
    상기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마감쫄대가 설치된 상기 방수재의 일정 부위가 상기 지하벽이나 노출면에 압착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가 상기 못이나 핀, 마찰력, 마감쫄대,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이나 노출면에 부착되는 단계;
    상기 부착에 의하여 방수재와 지하벽이나 노출면의 사이에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가 또는 방수재의 무게가 상기 못이나 핀, 마찰력, 마감쫄대, 압착력, 부착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에 이격되어 철근이 배근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 또는 철근에 이격되어 형틀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형틀에 또는 상기 형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단계;
    상기 양생 후 상기 형틀이 해체되는 단계;
    상기 해체되어 콘크리트벽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의하여 합벽이 조성되는 단계;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에 또는 상기 합벽의 내부에 상기 방수재가 존치되는 단계;
    상기 존치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합벽을 방수하는 단계;
    상기 방수재에 물이 접촉되는 단계;
    상기 접촉된 물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에 포함된 벤토나이트가 수화되어 팽창되는 단계;
    상기 수화에 의하여 벤토나이트겔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벤토나이트겔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자착되는 단계;
    상기 팽창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에 팽창압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수화 또는 팽창 또는 팽창압에 의하여 일정의 압력을 가진 벤토나이트방수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벤토나이트겔 또는 벤토나이트방수층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에 방수기능이 발현되는 단계;
    상기 팽창 또는 팽창압 또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상기 거치 또는 부착 시보다 더욱 압착 또는 밀착되는 단계;
    상기 팽창, 팽창압, 압력, 압착 또는 밀착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 및 콘크리트벽과 방수재의 사이에 틈새가 또는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의 방수 방법
  2. 지하에 벽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지하에 조성된 지하벽의 일면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굴착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의 일면이 노출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면인 노출면에 돌출된 돌출물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돌출물을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로 에워싸는 단계;
    상기 노출면의 조인트부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2cm 이상의 틈을 몰탈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로 채우는 단계;
    상기 틈이 몰탈이나 벤토나이트반죽물이나 벤토나이트실링제로 채움되어 상기 조인트부가 매끈하게 되는 단계;
    상기 노출면의 굴곡과 요철을 다듬어 평활하게 하는 단계;
    상기 평활하게 되지 못한 상기 굴곡과 요철의 부위에 합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에 몰탈을 채우는 단계;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이 몰탈로 채움되어 상기 부위와 합판의 사이 공간이 메움되는 단계;
    상기 노출면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부위에 배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수판의 하단을 집수구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노출면의 젖은 부위에 PE필름을 설치하는 단계;
    일면이 직포면이고 타면이 부직포면인 방수재의 상기 직포면 또는 부직포면이 상기 노출면을 향하도록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치에 의하여 상기 직포면 또는 부직포면과 노출면의 사이에 마찰력과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못이나 핀으로 상기 노출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을 위하여 상기 거치된 방수재를 관통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고정된 방수재의 상단에 마감쫄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마감쫄대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마감쫄대와 방수재를 관통하여 못이나 핀이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설치된 마감쫄대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의 상단이 상기 노출면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마감쫄대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의 방향으로 압착력이 작용하는 단계;
    상기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마감쫄대가 설치된 상기 방수재의 일정 부위가 상기 지하벽이나 노출면에 압착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가 상기 못이나 핀, 마찰력, 마감쫄대, 압착력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이나 노출면에 부착되는 단계;
    상기 부착에 의하여 방수재와 지하벽이나 노출면의 사이에 부착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가 또는 방수재의 무게가 상기 못이나 핀, 마찰력, 마감쫄대, 압착력, 부착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에 이격되어 철근이 배근되는 단계;
    상기 방수재 또는 철근에 이격되어 형틀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형틀에 또는 상기 형틀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단계;
    상기 양생 후 상기 형틀이 해체되는 단계;
    상기 해체되어 콘크리트벽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의하여 합벽이 조성되는 단계;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에 또는 상기 합벽의 내부에 상기 방수재가 존치되는 단계;
    상기 존치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합벽을 방수하는 단계;
    상기 방수재에 물이 접촉되는 단계;
    상기 접촉된 물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에 포함된 벤토나이트가 수화되어 팽창되는 단계;
    상기 수화에 의하여 벤토나이트겔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벤토나이트겔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자착되는 단계;
    상기 팽창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의 사이에 팽창압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수화 또는 팽창 또는 팽창압에 의하여 일정의 압력을 가진 벤토나이트방수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벤토나이트겔 또는 벤토나이트방수층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에 방수기능이 발현되는 단계;
    상기 팽창 또는 팽창압 또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방수재가 상기 지하벽과 콘크리트벽에 상기 거치 또는 부착 시보다 더욱 압착 또는 밀착되는 단계;
    상기 팽창, 팽창압, 압력, 압착 또는 밀착에 의하여 상기 지하벽 및 콘크리트벽과 방수재의 사이에 틈새가 또는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단계; 가 포함되어 지하벽을 방수하는데 있어서, 부자재가 사용되고,
    상기 부자재에 과립형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 실링제, 마감쫄대, 고정 못, 타카 핀, 보호재가 포함되고,
    상기 과립형 벤토나이트는 상기 방수재의 포설 중에 방수재 간의 이음부에 살포되거나, 또는 물과 반죽되어 상기 노출면의 요철부에 메움되고,
    상기 벤토나이트 실링제는 벤토나이트와 첨가제의 혼합물로서 상기 지하벽 또는 노출면의 조인트부, 관통부, 균열부에 메움되고,
    상기 마감쫄대는 상기 방수재의 상단 또는 단부에 못이나 핀으로 고정되게 거치되고,
    상기 고정 못은 길이 25mm 이상의 콘크리트용 못으로서 상기 방수재를 관통하여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재를 상기 노출면에 정착시키는 것이고,
    상기 타카 핀은 길이 25mm 이상의 콘크리트용 핀으로서 상기 방수재를 관통하여 상기 노출면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재를 상기 노출면에 정착시키는 것이고,
    상기 보호재는 상기 방수재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방수재에 부착되는 두께 5~10mm의 보호재이고,
    상기 방수재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과립형 천연소디움 벤토나이트가 고르게 포설되고, 상기 직포와 벤토나이트와 부직포가 바느질로 일체화되어, 벤토나이트가 직포와 부직포 사이에서 이동 또는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된 벤토나이트매트 방수재이고,
    상기 방수재에 포함되는 벤토나이트의 팽윤지수 시험이 수행되고,
    상기 방수재에 대하여 단위면적당 무게, 투수계수, 인장강도, 인장신도, 꿰뚤림강도, 섬유층분리강도 시험이 수행되고,
    상기 벤토나이트의 팽윤지수는 24 mℓ/2g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의 단위면적당 무게는 4,800g/m2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의 투수계수는 e×10-9 cm/sec 이하이고,
    상기 e는 1.0∼9.9이고,
    상기 방수재의 인장강도는 400N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의 인장신도 10%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의 꿰뚤림강도는 445N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의 섬유층분리강도는 66N/m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의 시공 또는 설치 후에 검사가 실시되고,
    상기 검사의 대상은 방수재의 시공상태, 모서리부의 방수재 시공상태, 코너부의 방수재 시공상태, 방수재의 이음 위치, 방수재의 이음 폭, 방수재의 이음 상태, 방수재의 고정상태, 방수재의 파손여부, 방수재의 손상여부, 방수재의 굴곡여부, 방수재의 마감상태, 방수재의 단부 처리상태, 방수재의 마감부분 시공상태, 방수재의 취약지점 시공상태, 방수재를 관통하는 관통체와 방수재의 연결상태, 방수재의 보호상태, 방수재에 포설된 보호재의 설치상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벽의 방수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44176A 2023-04-04 2023-04-04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KR10261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76A KR102614901B1 (ko) 2023-04-04 2023-04-04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176A KR102614901B1 (ko) 2023-04-04 2023-04-04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901B1 true KR102614901B1 (ko) 2023-12-19

Family

ID=8938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176A KR102614901B1 (ko) 2023-04-04 2023-04-04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9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746A (ja) * 2000-10-19 2002-05-09 Izaki Kogyo:Kk 打継目防水構造
KR100921405B1 (ko) * 2008-09-24 2009-10-14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구조체 외벽 방수공법 및 그 밀착부재
KR20140042124A (ko) * 2012-09-28 2014-04-07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및 차수용 벤토쉬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71841A (ko) * 2013-12-19 2015-06-29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및 차수용 벤토텍스 및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614443B1 (ko) * 2015-08-06 2016-04-22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벽체 외벽면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구조 및 시공방법
KR20210009482A (ko) * 2019-07-16 2021-01-27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차수, 방근, 방근방수용 벤토텍스, 벤토쉬트, gcl방수재 및 이의 적용 시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9746A (ja) * 2000-10-19 2002-05-09 Izaki Kogyo:Kk 打継目防水構造
KR100921405B1 (ko) * 2008-09-24 2009-10-14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구조체 외벽 방수공법 및 그 밀착부재
KR20140042124A (ko) * 2012-09-28 2014-04-07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및 차수용 벤토쉬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71841A (ko) * 2013-12-19 2015-06-29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및 차수용 벤토텍스 및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614443B1 (ko) * 2015-08-06 2016-04-22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벽체 외벽면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구조 및 시공방법
KR20210009482A (ko) * 2019-07-16 2021-01-27 한국파라마운트 주식회사 방수, 차수, 방근, 방근방수용 벤토텍스, 벤토쉬트, gcl방수재 및 이의 적용 시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4142B (zh) 一种群桩改柱扩建地下室及其施工工法
KR101292316B1 (ko) 유체 보수 물질을 구조물에 설치 후 주입하기 위한 다층 장치 및 유체 보수 물질을 구조물에 제공하는 방법
CN104594387A (zh) 改进的后浇带超前止水施工方法
US8635833B2 (en) Top-down method for constructing below-grade structures
CN111980181B (zh) 地下无窗侧双重防水膜组件以及其制造和使用方法
US10227749B2 (en) Landfill liner system
CN105256810B (zh) 一种圆形地下连续两墙合一结构的建造方法
CN108842817A (zh) 一种地铁车站预铺防水卷材结构及其施工工艺
KR101819641B1 (ko) 토목섬유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다층구조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1997036057A1 (en) Reinforcement frame fo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structures utilizing the same reinforcement frame
CN108842816A (zh) 一种地铁车站防水结构及其施工工艺
CN111779006A (zh) 一种绿色装配式边坡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207211188U (zh) 地下结构外墙hcmw工法叠合墙
CN207228173U (zh) 一种地下工程防水结构
CN113152430A (zh) 一种兼做临时立柱的抗拔桩桩头节点防水结构及施工方法
KR102614901B1 (ko) 합벽, cip벽, 지하벽, h파일벽, 흙막이벽,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의 방수, 방근, 조경, 건설, 공사, 방근방수 공법
KR101380782B1 (ko) 친환경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RU2333321C1 (ru) Способ гидроизоляции подземной части здания и сооружения
CN218027813U (zh) 一种pc工法桩间逆向模筑挡土墙支模结构
CN112854841B (zh) 一种底泥处理厂的土建结构施工方法
KR102309857B1 (ko) 벤토텍스, 벤토쉬트, gcl방수재, 벤토씰, 씰스트랩, 벤토매스틱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차수, 복토, 방근, 방근방수 시설, 방법
KR102309856B1 (ko) 방수, 차수, 방근, 방근방수용 벤토텍스, 벤토쉬트, gcl방수재 및 이의 적용 시설, 방법
CN113737809A (zh) 格构柱穿交叉管廊防水施工方法
CN113638443A (zh) 一种地下综合管廊的施工工艺
CN113338340A (zh) 一种保证现有管线正常使用的竖井逆作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