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174B1 -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0174B1 KR102360174B1 KR1020210135881A KR20210135881A KR102360174B1 KR 102360174 B1 KR102360174 B1 KR 102360174B1 KR 1020210135881 A KR1020210135881 A KR 1020210135881A KR 20210135881 A KR20210135881 A KR 20210135881A KR 102360174 B1 KR102360174 B1 KR 102360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heet
- wall
- waterproofing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7/00—Adhesives based on reclaimed rub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5—Composi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8—Membranes multi-laye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IP나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벽의 내벽에 합판을 설치하는 합판 설치 단계; 상기 합판의 내벽에 유공패널을 설치하는 패널 설치 단계; 및 상기 유공패널의 내벽에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를 포함하여, 우수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며, 시공 후 유공패널이 고정된 벽체의 기능을 수행하여 방수 성능이 안정적으로 장기간 동안 발현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구조물 시공시 흙막이 벽체인 CIP, 토류벽에 유공패널 및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역시공하여 우수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며, 시공 후 합판이 부식되더라도 유공패널이 고정된 벽체의 기능을 수행하여 방수 성능이 안정적으로 장기간 동안 발현될 수 있는 역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 지하 외벽, 지하주차장,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에 오수 및 빗물 또는 지하수가 침투했을 경우 건축물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이 저하되면서 석회질이 부식되어 흘러내림으로써 응고될 수 있다. 이렇게 물이 침투가 된 콘크리트 부분은 공극이 발생되어 균열이 발생되어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 시공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건축물의 외벽이나 옥상 등과 같이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대해서는 건축물의 벽면에 대하여 방수재를 도포하는 도막 방수 공법,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시트 방수 공법 및 도막 방수와 시트 방수 공법이 결합된 복합 방수 공법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하 구조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지하 공간의 흙이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토류벽, CIP 등의 흙막이 벽이나 기타 구조물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직접 방수 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맞닿아 있는 토류벽, CIP 등의 흙막이 벽에 방수 시공을 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역방수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이 시공된 후 토류벽이나 CIP를 지탱하고 있는 H빔을 제거해야 하는데, 역방수 공법이 적용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H빔이 인접한 구조물과 심하게 밀착되어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H빔을 제거하기 위해 진동이나 흔들어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지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라 방수층이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시공 과정이나 시공 이후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지반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여 방수층의 불량이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방수 성능이 우수하면서 지반이나 콘크리트의 거동에 따른 움직임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결로를 방지하여 방수층의 불량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역방수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하 구조물 시공시 흙막이 벽체인 CIP, 토류벽에 유공패널 및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시공하여 우수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한 역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 시공방법은,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혹은 토류벽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의 내벽에 합판을 설치하는 합판 설치 단계; 상기 합판의 내벽에 유공패널을 설치하는 패널 설치 단계; 및 상기 유공패널의 내벽에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부착 단계 이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공패널은 이음부에서 테이프로 마감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는 이음부에서 일부가 겹쳐지는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는, 재활용 고점착씰을 포함하는 고점착씰층; 상기 고점착씰층 상에 배치되는 중심재층; 상기 중심재층 상에 배치되는 아스팔트층; 및 상기 아스팔트층 상부에 배치되는 규사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점착씰층은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15 중량부, 신재고무 3~12 중량부, 검레진 2~10 중량부, 접착증진제 1~12 중량부 및 개질제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은, 유공패널에 의한 1차 방수 효과와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에 의한 2차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방수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유공패널 및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의 구조물 거동 대응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지반의 거동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공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이 단열층으로 기능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IP, 토류벽 등과 같이 굴곡진 면을 평면상으로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합판이 썩어서 손상되거나 소실되더라도 유공패널이 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공한 뒤 장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방수면의 형태 및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역방수 구조체의 절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유공패널(20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유공패널(20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지하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방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역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역방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직접 방수층을 도포,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에 매립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과 맞닿아 있는 벽면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하에 매립된 영역에서의 방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역방수 구조체의 절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이하, "역방수 시공방법"이라 함)은, CIP나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벽(10)의 내벽에 합판(100)을 설치하는 합판 설치 단계; 상기 합판(100)의 내벽에 유공패널(200)을 설치하는 패널 설치 단계; 및 상기 유공패널(200)의 내벽에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역방수 시공방법은, 지하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내측 벽면에 역방수 구조체를 시공하는 것이므로, 각 "면재의 내벽, 내면에 시공한다"고 기재하였다. 즉, "내벽이나 내측에 시공한다"는 의미는 각 면재에서 외부로 노출된 면부에 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하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굴착공사 후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사 벽면에 CIP나 토류벽을 설치하여 토사 벽면을 보강한다.
이러한 CIP나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벽(합벽)은 외부로 노출되는 벽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아 방수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균일한 두께와 일정한 형상을 갖는 안정적인 방수층 시공을 위해 상기 흙막이 벽(10)의 내벽에 합판(100)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합판(100)의 내벽에 유공패널(200)을 설치하여 단열, 방수 기능을 부여한다. 동시에 목재로 형성된 합판(100)이 썩어서 손상되거나 소실되더라도 판상의 유공패널(200)이 평평하고 단단한 벽면을 형성하는 합판(100)의 기능을 대신하므로, 역방수 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공패널(200)의 내벽에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가 설치되어, 지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방수 성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합판(100), 유공패널(200) 및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가 적층된 역방수 구조체가 형성된 후,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의 내벽쪽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의 내벽쪽에 철근이 배근된 뒤, 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구조체(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흙막이 벽(10)과 합판(100) 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 및 모래가 타설될 수 있다.
상기 합판 설치 단계는, CIP나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벽(합벽, 10)의 내벽에 합판(1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합판(100)은 건축, 건설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목재 합판(100)으로, 못, 타카,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구를 통해 상기 흙막이 벽(1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합판(100)은 흙막이 벽의 전체 면을 커버하기 위해 복수개로 설치되며, 각 합판(100)은 이음부에서 겹치지 않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보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설치 단계는, 상기 합판(100)의 내벽에 유공패널(2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공패널(200)은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공극을 채우고 있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 기능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 지하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면체의 접착면에서의 접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방수 기능을 가지므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공패널(200)은 합판(100)의 전체 면을 커버하기 위해 복수개로 설치되며, 이음부에서 겹치지 않도록 나란히 설치되되, 이음부에서 테이프로 마감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이음부의 미세한 틈이 막혀, 이음부를 통한 수분이나 이물질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부착 단계는 상기 유공패널(200)의 내벽에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는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적층 시트 형태를 가지며,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대응 성능이 우수하고, 날씨나 환경변화에 따른 변화가 적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방수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는 유공패널(200) 내벽을 커버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 복수개가 나란히 시공되며, 이웃하는 시트들이 만나는 이음부에서 일부가 겹쳐지도록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시공된다.
이와 같이 겹침부가 형성됨에 따라 이음부에서의 미세한 슬릿이나 구멍을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인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겹침부는 최대 100mm가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부착 단계 이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철근이 배근된 뒤, 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체(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흙막이 벽(10)과 합판(100) 사이의 빈 공간에도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여, 상기 빈 공간도 함께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단계를 거쳐 형성된 합판(100), 유공패널(200) 및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의 적층체인 역방수 구조체는, 유공패널(200)과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에 의해 다중 방수 구조를 가지므로 방수 성능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공패널(200) 내부의 공극이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결로를 방지하여 수분에 의한 역방수 구조체의 방수 성능 저하, 접착 불량 등과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거동 대응 성능이 우수한 유공패널(200)과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를 포함하여 지반이나 구조물의 거동에 의해 역방수 구조체의 방수 성능이 저하되거나, 역방수 구조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따.
또한, 장시간이 지나 목재인 합판(100)이 썩어서 손상 또는 소실되는 경우에 유공패널(200)이 합판(100)의 기능을 대신하므로 역방수 구조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의 최내부층이 규사로 형성되어, 동일한 무기물 재질인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며, 규사로 인해 형성된 요철부에 의해 접착 면적 증가에 따른 결합력의 추가 증진 효과가 얻어지므로, 역방수 구조체,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와 콘크리트 구조체(20) 사이의 강력한 결합력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체(20)의 외벽을 보강하고, 방수 및 단열 성능을 보다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상기 유공패널(20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유공패널(200)은 완충 및 단열 기능을 하는 층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경질패널일 수 있다.
상기 유공패널(200)은 못, 타카, 나사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합판(1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공패널(20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 폴리메틸메타크릴산 및 석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mm 두께의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격막을 통해 복수개의 빈 공간이 형성된 판형 또는 이중패널 구조일 수 있다.
일 예로, 유공패널(200) 내부의 빈 공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격막이 배열될 수 있고, 상기 격막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거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둑판 형상의 격자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공패널(200)의 내부에 격막이 격자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유공패널(2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은 외부 충격에 대하여 완충 역할을 하여 역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빈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유공패널(200) 내, 외부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할 수 있어 결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유공패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딱딱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유공패널(200)이 단단한 평면 형태의 바탕층으로 기능하는 합판(100)의 역할을 함께 혹은 대신할 수 있으며, 토사 되메우기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혼입될 수 있는 거칠거나 날카로운 이물질, 또는 토사 및 콘크리트의 마찰에 의해 찢기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공패널(200)을 수직으로 부착시키는 경우에, 내부에 형성된 격막으로 인하여 수직저항력과 직립유지력이 향상되어 쉽게 꺾이거나 휘어지지 않고, 방수시공의 마무리 작업으로 토사 되메우기 또는 누름 콘크리트 시공할 때나,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침하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공패널(200)의 두께와 상기 격막 사이의 너비는 1 : 0.1~2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율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수직저항력 및 직립유지력이 형성되지 못하여 침하압력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거나 충분한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아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는, 재활용 고점착씰을 포함하는 고점착씰층(310); 상기 고점착씰층(310) 상에 배치되는 중심재층(320); 상기 중심재층(320) 상에 배치되는 아스팔트층(330); 및 상기 아스팔트층(330) 상부에 배치되는 규사층(3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지반의 거동, 계절, 환경 변화에 따른 변형이나 손상이 거의 없어 방수 성능이 오래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점착씰층(310)은, 재활용 고점착씰을 포함하는데,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은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15 중량부, 신재고무 3~12 중량부, 검레진 2~10 중량부, 접착증진제 1~12 중량부 및 개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접착력, 내구성, 저온안정성, 고온안정성, 치수안정성,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습윤면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며, 습도가 높은 날에도 접착 성능이 안정적으로 높게 나타나, 계절이나 환경 변화에 의한 변형 저항성이 우수하다.
상기 중심재층(320)은, 고점착씰층(310)과 아스팔트층(330)을 결집시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에틸렌 부직포, 고밀도 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직물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층(330)은, 복합방수시트에 방수, 방청, 방근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뒤 양생하여 제작되며, 아스팔트층(330)을 이루는 아스팔트 컴파운드는 방수, 방청, 방근 성능을 갖춘 아스팔트를 주 성분으로 포함하고, 이러한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도나 다른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 컴파운드에는 아스팔트층(3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충전재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전재로, 탄산칼슘, 탈크, 카본블랙, 클레이, 유리섬유, 마이카, 실리카, 활석, 납석, 운모, 벤토나이트 및 규조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컴파운드에는 아스팔트층(330)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고무가 포함될 수 있다. 고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BR), 변성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변성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SBS),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SEBS) 고무,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고무(SIS),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디엔(EPDM) 고무, 하이팔론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고무, 아크릴 고무, 히드린 고무, 비닐 벤질 클로라이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브로모 메틸 스티렌 부틸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SBS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에는 가소성을 높여 아스팔트 컴파운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가소제로 아로마틱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아마인유, 대두유, 린씨드 오일, 미강유 등의 석유계, 석탄계 또는 식물계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아스팔트 컴파운드에는 작업성, 내열성, 접착성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분산제, 소포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접착강화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량은 아스팔트층(330)의 방수, 방청, 방근, 강도 등의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선에서 적절한 양으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에 아스팔트, 충전재, 고무 및 가소제가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아스팔트 50~82 중량%, 충전재 12~38 중량%, 고무 3~20 중량% 및 가소제 2~15 중량%의 중량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아스팔트 컴파운드에 포함되는 아스팔트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방수, 방청, 방근 성능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충전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력이 부족하여 아스팔트층(33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8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층(330)의 탄성이 부족해져 온도 변화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의해 아스팔트층(330)에 균열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아스팔트 컴파운드에 포함되는 충전재의 함량이 12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강도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아스팔트층(33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3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전재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력이 부족하여 충전재의 탈리, 비산 현상이 발생하여 장기적으로 아스팔트층(330)의 내구성이 불량해지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는 물리적 강도 향상, 저장 안정성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충전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재의 함량이 1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전재에 의한 물성 개선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3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 향상에 의한 작업성 저하, 충전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아스팔트 및 고무의 부족으로 인한 탈리, 균열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2~38 중량%의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무를 포함함에 따라 얻어지는 탄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은 우수하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가소성이 확보되지 않아 아스팔트 컴파운드의 분산성 및 혼련성이 저하되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 컴파운드의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층분리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아스팔트층(330) 상에는 규사층(340)이 형성되어,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300)의 내벽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몰탈 조성물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규사층(340)은 아스팔트층(330)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 아스팔트층(330)에 점성 및 접착력이 존재할 때 아스팔트층(330)에 규사 조성물을 도포하고 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규사 조성물에는 규사가 단독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복합방수시트에 다양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 규사와 안료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고, 컬러 코팅된 규사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규사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규사층(340)에 소정 문양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점착씰층(3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15 중량부, 신재고무 3~12 중량부, 검레진 2~10 중량부, 접착증진제 1~11 중량부 및 개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고점착씰을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은 접착력이 우수하여 다양한 재질의 물질들을 접착시킬 수 있으며, 강도, 내구성, 치수안정성, 방수성, 내열성이 우수하여 건설, 건축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고무, 석유수지 등을 포함하는 폐합성 고무시트에 가용성을 부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종래에는 이와 같이 적어도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고무시트 제품을 이용하여 품질 규격에 맞는 균일한 물성을 갖도록 재활용하는 것과, 재활용 된 제품을 실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여, 일반적으로 매립이나 소각 방식으로 폐기처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폐기처리되던 고무시트를 재활용하여 매립 폐기에 따른 매립지 부족, 환경 부하, 소각 폐기에 따른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과도한 폐기 비용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이러한 폐합성 고무시트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폐합성 고무시트 조각, 철거된 폐합성 고무시트, 불량이 발생한 폐합성 고무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은, 폐합성 고무시트와 아스팔트를 혼합하고 140~180℃로 가열하여, 폐합성 고무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아스팔트, 고무, 석유수지 등을 새로 첨가된 아스팔트와 함께 용융시켜 얻어진 것으로, 용융 후, 폐합성 고무시트와 함께 수거된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과, 폐합성 고무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중심재와 같이 용융되지 않고 남아있는 물질들은 물리적 여과 방식을 통해 제거됨으로써,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의 순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제조될 재활용 고점착씰의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52~86 중량%, 프로세스오일 5~25 중량%, 고무 5~20 중량%, 석유수지 2~17 중량% 및 탄산칼슘 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폐합성 고무시트에 난연제, 가소제, 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열안정제 등의 추가적인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와 같은 첨가제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내에 총 0.01~2.0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조성비가 상기 중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물성이 품질 기준을 벗어나거나, 품질 기준을 만족하더라도 각 제품별 물성이 상이해져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성분 및 성분비를 갖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프로세스 오일은, 재활용 고점착씰에 방수성능 및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석유계, 석탄계 및 식물성계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 이상의 오일이 프로세스 오일로 사용될 수 있다.
석유계 및 석탄계 오일로는 아로마틱계, 나프텐계, 파라핀계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식물성계 오일로는 아마인유, 대두유, 린씨드 오일, 미강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재활용 고점착씰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제조 과정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기 곤란하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성분들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고 층분리가 발생하여 재활용 고점착씰의 접착력, 내구성, 시공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량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신재고무는, 재활용 고점착씰 내에서 자가 가교 결합 반응을 일으켜 재활용 고점착씰의 내구성, 내후성, 탄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신재고무로 사용되는 고무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일 수 있다.
천연고무는 일반적인 천연고무, 또는 천연고무를 변성시켜 얻어진 변성 천연고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에폭시화 천연고무(ENR), 탈단백 천연고무(DPN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일 수 있다.
합성고무는 예를 들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BR), 변성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변성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SBS),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SEBS) 고무,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고무(SIS),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디엔(EPDM) 고무, 하이팔론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고무, 아크릴 고무, 히드린 고무, 비닐 벤질 클로라이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브로모 메틸 스티렌 부틸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재고무로 바람직하게는 SBS 고무가 사용될 수 있는데, SBS 고무의 경우 상용성이 우수하고, 재활용 고점착 실에 SBS 고무가 첨가되는 경우, 점착성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재활용 고점착씰의 온도에 대한 점도 변화율을 낮춰 온도에 따른 점착성 변화가 적어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 안정적인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재고무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접착성 및 물성 향상, 온도에 대한 점도 변화율 감소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균일한 혼합이 어렵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검레진은, 재활용 고점착씰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재활용 고점착씰의 장기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검레진의 함량이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재활용 고점착씰 내의 성분의 분산안정성이 불량해져 장기보관시 재활용 고점착씰의 접착성, 내구성 등의 물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각 성분의 균일한 분산이 곤란하고, 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검레진으로는 구아검,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젤란검, 아라비아검, 펙틴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접착증진제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의 접착력 및 접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이 사용될 수 있다. 콘키올린은 전복, 조개, 굴, 바지락, 진주모 등의 패각류에 포함되어 있는 접착단백질로, 접착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강한 접착력을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재활용 고점착씰에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이 사용됨에 따라, 재활용 고점착씰의 접착력이 향상되며, 다습한 환경에서도 강한 접착력을 발현하는 장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및 스테아로일이눌린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성능 발현을 위해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및 스테아로일이눌린이 1 : 0.1~0.4 : 0.05~0.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증진제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접착력 증진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접착력은 개선되나, 내구성,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량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에 포함되는 개질제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방수성능 및 치수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이러한 개질재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 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 는 케톤이고, R3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알킬실릴기를 포함하는 방향족환기(아릴기)이며, R5는 방향족환기(아릴기)이고, n은 5 ~ 20의 정수임)
개질제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의 중량범위를 갖도록 포함될 수 있는데, 개질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재활용 고점착씰의 방수성능 및 치수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개질제로 인한 개질 효과를 향상시키며, 강도 향상 효과를 추가로 더 얻기 위해,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나타낸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질제가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X는 C1-10 알킬렌임)
(화학식 3)
(화학식 3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2 내지 14의 알킬기임)
화학식 3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R2는 탄소수 2 내지 14의 알킬기이지만, 탄소수 3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4 내지 9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R2의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점을 낮게 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분지쇄의 것이 바람직하다.
개질제로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총 함량은 5~2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24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치수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용성, 분산성 및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1~2 중량비의 범위를 갖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은,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과 프로세스 오일, 신재고무, 검레진, 접착증진제 및 개질제를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와 신재고무 3~12 중량부 및 개질제 1~5 중량부를 100~150℃에서 혼합하는 제1 혼합단계;와 제1 혼합단계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을 60~90℃까지 냉각한 뒤, 상기 혼합물에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검레진 2~10 중량부와 접착증진제 1~12 중량부를 추가로 더 혼합하는 제2 혼합단계;의 2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계 방식으로 혼합이 수행됨으로써, 제1 혼합단계에서 고무와 석유수지 및 개질제가 코폴리머를 형성하거나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개질 반응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재활용 고점착씰의 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재활용 고점착씰 제조
먼저, 이형층, 점착층, 중심층, 아스팔트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2~3mm 두께의 방수 시트의 제조 과정에서, 재단 후 발생한 조각 방수 시트를 모아, 이형층을 제거하고 남은 조각 방수 시트를 아스팔트(AP-3)와 1:1 중량비로 혼합한 뒤, 1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함께 용융시킨 후, 중심층인 PE 부직포층을 여과하고 남은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을 추출하였다.
이때 사용된 조각 방수 시트의 점착층은, 아스팔트, 프로세스 오일, SBS 고무, C5계 석유수지, 탄산칼슘 및 첨가제(방근제, 내열성 향상제)를 포함하고, 아스팔트층은, 아스팔트, SBS 고무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얻어진 폐합성 고무시트 조성물 1,000g 과 신재 SBS 고무 83g, 개질제 32g을 혼합하고 140℃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하여 개질 반응을 수행한 뒤, 상온에서 75℃까지 냉각하고,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87g, 잔탄검 62g 및 접착증진제 72g을 추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여 실시예 1의 재활용 고점착씰을 제조하였다.
이때, 개질제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8 중량부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2 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및 스테아로일이눌린이 1 : 0.25 : 0.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제조
중심재층인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준비하고, 폴리에스터 부직포의 일면에는 앞서 제조된 실시예 1의 재활용 고점착씰을 도포하여 고점착씰층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터 부직포의 타면에는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도포하여 아스팔트층을 형성하였으며, 아스팔트층이 경화되기 전 아스팔트층 상에 규사를 도포하여 규사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복합방수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아스팔트 컴파운드로 아스팔트 67 중량%, 탄산칼슘 20 중량%, SBS 고무 8 중량% 및 프로세스 오일 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먼저, 비교예 1의 재활용 고점착씰(한국등록특허 제10-2113548호)을 준비하고,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재활용 고점착씰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접착강도는, 콘크리트 표면에 재활용 고점착씰을 1kg/m2의 양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PE 필름을 적층한 뒤 일주일간 상온에서 양생하여 접착시킨 후, PE 필름을 90도 각도 및 100mm/min의 속도로 박리시킬 때의 강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시험체를 7일간 상온의 물에 침적한 뒤 꺼내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킨 뒤, 동일한 방식으로 박리시킬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굴곡저항성은, PE 필름 사이에 재활용 고점착씰을 1mm 두께로 도포하여 상온에서 7일간 양생하고, 시험편을 -20℃의 온도 조건에서 약 2시간 동안 정치시킨 뒤, 동일 온도에서 시험편을 170º 각도 및 100mm/min의 속도로 굴곡시켜, 재활용 고점착씰 표면의 잔금 발생 여부, 재활용 고점착씰과 PE 필름 사이의 박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잔금이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둘 중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인장강도는, 1mm 두께로 형성된 재활용 고점착씰의 양 면에 접착력을 제거하기 위해 탄산칼슘 분말을 도포한 뒤,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물림거리 60mm, 인장속도 2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시험편이 파단될 때의 강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온도는 -20℃, 22℃ 및 60℃로 변화시켜가며 측정하여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치수안정성은, 재활용 고점착씰을 약 200×150×1mm의 크기로 제조하고 7일간 양생하여 시편을 준비한 뒤, 양 면에 접착력을 제거하기 위한 탄산칼슘 분말을 도포하고, 열처리 전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측정한 뒤, 5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고 오븐에서 꺼내어,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측정하여 열처리 전 가로와 세로 길이에 대한 수축율을 계산하여 확인하였다.
투수 저항 성능, 습윤면 부착성능, 구조물 거동 대응성능, 수중 유실 저항 성능 및 온도 의존 성능(내열/내한성)은, KS F 4935-08(점착 유연형 고무 아스팔트계 누수 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항목 | 실시예 1 | 비교예 1 | |
접착강도(N/mm) | 일반 | 5.8 | 4.5 |
수침 | 5.1 | 4.3 | |
굴곡저항성 | 양호 | 양호 | |
인장강도(N/mm) | (-20℃) | 9.1 | 9.3 |
(22℃) | 9.4 | 8.7 | |
(60℃) | 7.2 | 6.6 | |
치수안정성(%) | 가로 | 2.0 | 2.3 |
세로 | 1.3 | 1.8 | |
투수 저항성능 | 투수되지 않음 | 투수되지 않음 | |
습윤면 부착성능 | 60초 이상 | 60초 이상 | |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 투수되지 않음 | 투수되지 않음 | |
수중 유실 저항성능(%) | -0.02 | -0.02 | |
온도 의존성능(내열) | 투수되지 않음 | 투수되지 않음 | |
온도 의존성능(내한) | 투수되지 않음 | 투수되지 않음 |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물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구체적으로, 두 재활용 고점착씰 모두 굴곡저항성, 치수안정성 및 구조물 거동대응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조건과 수침 조건에서의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습윤면에 대한 부착 성능이 우수하며 수중 유실이 적어 일반 부착면이나 습윤 부착면에 대한 접착 성능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저온에서부터 고온까지 인장강도가 모두 우수하고, 내열 및 내한 온도 의존성능 시험 결과 투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온도, 날씨, 환경 등의 조건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우수한 접착 및 인장 성능을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비교예 1에 비해 접착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접착 증진 및 안정화 성능이 우수한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및 스테아로일이눌린의 혼합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의 인장성능, 온도의존성능, 접합안정성능 및 내움푹패임성능을 KS F 4934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시험항목 | 기준 | 실시예 1 | |
인장성능 | 인장강도(N/mm) | 3.0 이상 | 15.0 |
신장률(%) | 200 이상 | 1250 | |
고온저항성능 (60℃) |
인장강도(N/mm) | 2.0 이상 | 9.8 |
신장률(%) | 150 이상 | 302 | |
저온저항성능 (-20℃) |
인장강도(N/mm) | 5.0 이상 | 21.3 |
신장률(%) | 50 이상 | 95 | |
접합안정성능 | 내정수압성능 | 투수되지 않을 것 | 투수되지 않음 |
벗김저항성능(N/mm) | 1.5 이상 | 3.2 | |
내움푹패임성능 | 48시간 정치 후 투수되지 않을 것 | 투수되지 않음 |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는 인장성능, 고온 및 저온 저항성능, 접합안정성능 및 내움푹패임성능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고점착씰을 제조하되, 접착증진제의 조성비를 하기 표 3과 같이 변화시켜 제조한 뒤 각 재활용 고점착씰을 이용하여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제조하였다.
이후,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물성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온, 저온 인장강도와 접합안정성능 및 내움푹패임성능을 측정하였다.
콘키올린 |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 스테아로일이눌린 | |
비교예 1 | 1 | - | - |
비교예 2 | 1 | 0.35 | - |
비교예 3 | 1 | - | 0.1 |
실시예 1 | 1 | 0.25 | 0.05 |
실시예 2 | 1 | 0.10 | 0.1 |
실시예 3 | 1 | 0.31 | 0.1 |
실시예 4 | 1 | 0.40 | 0.1 |
실시예 5 | 1 | 0.45 | 0.1 |
시험항목 | 인장강도 (N/mm, 60℃) |
인장강도 (N/mm, -20℃) |
내정수압 성능 |
벗김저항성능 (N/mm) |
내움푹패임 성능 |
비교예 1 | 9.5 | 20.9 | 투수되지 않음 |
1.5 | 투수되지 않음 |
비교예 2 | 9.4 | 21.0 | 1.7 | ||
비교예 3 | 9.8 | 20.6 | 1.5 | ||
실시예 1 | 9.8 | 21.3 | 3.2 | ||
실시예 2 | 9.7 | 21.1 | 2.9 | ||
실시예 3 | 9.5 | 22.8 | 3.4 | ||
실시예 4 | 9.9 | 22.5 | 3.5 | ||
실시예 5 | 8.1 | 18.7 | 2.0 |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전체 시편 모두 기준값과 유사하거나 기준값을 상회하는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비교예들과 실시예들을 비교하면, 이들 시편 모두 내정수압성능과 내움푹패임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온 및 저온에서의 인장강도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벗김저항성능도 기준값 이상으로 나타나 전체 물리적 특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벗김저항성능이 기준값인 1.5N/mm와 근사한 값을 나타내는 반면,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비교예들에 비해 약 두 배 이상의 값을 나타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들보다 현저히 향상된 벗김저항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스테아로일이눌린 중 1~2종을 사용하는 것보다 이들 세 종의 물질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5의 경우에는 벗김저항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인장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접착증진제로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및 스테아로일이눌린의 혼합물을 사용하되, 이들이 1 : 0.1~0.4 : 0.05~0.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흙막이 벽 20: 콘크리트 구조체
100: 합판 200: 유공패널
300: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310: 고점착씰층
320: 중심재층 330: 아스팔트층
340: 규사층
100: 합판 200: 유공패널
300: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310: 고점착씰층
320: 중심재층 330: 아스팔트층
340: 규사층
Claims (7)
-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혹은 토류벽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의 내벽에 합판을 설치하는 합판 설치 단계;
상기 합판의 내벽에 유공패널을 설치하는 패널 설치 단계;
상기 유공패널의 내벽에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는, 재활용 고점착씰을 포함하는 고점착씰층; 상기 고점착씰층 상에 배치되는 중심재층; 상기 중심재층 상에 배치되는 아스팔트층; 및 상기 아스팔트층 상부에 배치되는 규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고점착씰은 상기 유공패널과 접하고, 상기 규사층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하며,
상기 재활용 고점착씰은, 고무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2~15 중량부, 신재고무 3~12 중량부, 검레진 2~10 중량부, 접착증진제 1~12 중량부 및 개질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증진제는, 콘키올린, 에폭시화된 옥틸 톨레이트 및 스테아로일이눌린이 1 : 0.1~0.4 : 0.05~0.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 시공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패널은 이음부에서 테이프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는 이음부에서 일부가 겹쳐지는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패널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경질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881A KR102360174B1 (ko) | 2021-10-13 | 2021-10-13 |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881A KR102360174B1 (ko) | 2021-10-13 | 2021-10-13 |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0174B1 true KR102360174B1 (ko) | 2022-02-09 |
Family
ID=8026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881A KR102360174B1 (ko) | 2021-10-13 | 2021-10-13 |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0174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0548A (ja) * | 2000-01-18 | 2001-07-27 | Asahi Glass Co Ltd | 地下構造物壁面の先防水工法 |
KR20030069494A (ko) * | 2002-02-20 | 2003-08-27 | 홍종화 | 지하구조물의 외단열방법 및 배수용 단열패널을 갖는지하구조물 |
KR20090006361A (ko) * | 2007-07-11 | 2009-01-15 | (주)리뉴시스템 |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
KR100978890B1 (ko) | 2009-11-07 | 2010-08-30 | 주식회사 오피 |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
KR101181230B1 (ko) * | 2011-09-06 | 2012-09-10 | 현대엠코 주식회사 | 지하 구조물의 외방수 시공 방법 |
KR101958451B1 (ko) * | 2018-08-01 | 2019-03-14 | (주)리뉴시스템 |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
KR102113548B1 (ko) * | 2019-10-17 | 2020-05-21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거동 대응형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KR102190385B1 (ko) * | 2020-07-24 | 2020-12-11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단차홀 방지용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KR102241950B1 (ko) * | 2020-12-21 | 2021-04-20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방수·방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시공 방법 |
KR102287902B1 (ko) * | 2021-02-16 | 2021-08-10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차열층을 포함하는 방수·방근 점착복합시트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1
- 2021-10-13 KR KR1020210135881A patent/KR1023601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0548A (ja) * | 2000-01-18 | 2001-07-27 | Asahi Glass Co Ltd | 地下構造物壁面の先防水工法 |
KR20030069494A (ko) * | 2002-02-20 | 2003-08-27 | 홍종화 | 지하구조물의 외단열방법 및 배수용 단열패널을 갖는지하구조물 |
KR20090006361A (ko) * | 2007-07-11 | 2009-01-15 | (주)리뉴시스템 |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
KR100978890B1 (ko) | 2009-11-07 | 2010-08-30 | 주식회사 오피 |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
KR101181230B1 (ko) * | 2011-09-06 | 2012-09-10 | 현대엠코 주식회사 | 지하 구조물의 외방수 시공 방법 |
KR101958451B1 (ko) * | 2018-08-01 | 2019-03-14 | (주)리뉴시스템 |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
KR102113548B1 (ko) * | 2019-10-17 | 2020-05-21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거동 대응형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KR102190385B1 (ko) * | 2020-07-24 | 2020-12-11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단차홀 방지용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KR102241950B1 (ko) * | 2020-12-21 | 2021-04-20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방수·방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시공 방법 |
KR102287902B1 (ko) * | 2021-02-16 | 2021-08-10 |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 차열층을 포함하는 방수·방근 점착복합시트재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1412B1 (ko) |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 |
KR102190385B1 (ko) | 단차홀 방지용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
KR102113548B1 (ko) | 거동 대응형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
KR101976185B1 (ko) | 자착형 부틸고무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방근 시트, 방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02830B1 (ko) |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 |
KR100533231B1 (ko) | 도막방수층 보강을 위한 스트레치 고무 아스팔트 펠트 및그를 이용한 도막 및 펠트 적층방수재 | |
KR100957621B1 (ko) |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 |
WO2007142200A1 (ja) |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 |
KR20180037512A (ko) |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 |
KR100781992B1 (ko) | 자착식 방수시트 | |
EP1712690B1 (en) | Belowgrade damp proofing and/or waterproofing with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 |
Chew | Building facades: a guide to common defects in tropical climates | |
KR102460723B1 (ko) |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
KR100977164B1 (ko) |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 |
KR101998820B1 (ko) | 콘크리트 슬래브의 복합방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20190043897A (ko) | 박리 방지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 |
KR102360174B1 (ko) | 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cip, 토류벽 등의 합벽 역방수 시공방법 | |
JP3553693B2 (ja) | 遮水シート工法 | |
KR101966832B1 (ko) |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 |
CN108868186B (zh) | 一种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 |
CN103602239A (zh) | 一种新型内墙防水涂料 | |
KR102417962B1 (ko) |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흐름 방지 특성을 갖는 고점도 스프레이 방수씰재 및 이를 사용한 합벽방수 시공방법 | |
CN202787687U (zh) | 屋面防水卷材与聚氨酯保温一体化板 | |
KR102398019B1 (ko) |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 |
CN214688351U (zh) | 一种高分子防水卷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