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658B1 - 스캐닝 모터 - Google Patents

스캐닝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658B1
KR100978658B1 KR1020080060450A KR20080060450A KR100978658B1 KR 100978658 B1 KR100978658 B1 KR 100978658B1 KR 1020080060450 A KR1020080060450 A KR 1020080060450A KR 20080060450 A KR20080060450 A KR 20080060450A KR 100978658 B1 KR100978658 B1 KR 10097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 mirror
scanning motor
flow guide
bend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816A (ko
Inventor
박상환
차원준
이종호
임동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6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회전 중심을 이루며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며, 상기 폴리곤 미러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캐닝 모터{SCANNING MOTOR}
본 발명은 스캐닝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 프린터 등에서 레이저 스캐닝 유닛에 장착되어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스캐닝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는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여 다각형의 폴리곤 미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캐닝 모터의 폴리곤 미러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과 같은 소정의 광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광드럼 쪽으로 반사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폴리곤 미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스캐닝 모터로서, 스캐닝 모터는 20,000 RPM 이상의 고속 회전을 한다.
따라서 스캐닝 모터에서 폴리곤 미러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회전 상태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즉 스캐닝 모터의 고속 회전으로 말미암아 폴리곤 미러에는 큰 원심력이 걸려 어느 정도 유동하게 될 가능성이 큰데, 만약 폴리곤 미러가 유동하게 되어 스캐닝 모터의 회전 시 진동이 커지게 되면, 이는 큰 소음으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스캐닝 모터의 고속 회전에 따라 폴리곤 미러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 폴리곤 미러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회전 시에 공기 및 공기 중의 먼지와 부딪혀 파찰음을 발생시키며, 장시간 회전시킬 경우 상기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이 먼지 등에 의해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이 오염되면 반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인쇄 농담에 영향을 주어 인쇄물이 옅어지기도 하고, 표면의 오염물질로 말미암아 난반사, 플레어 현상 등이 생겨 반사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가지 못하게 되거나 반사광의 크기가 변하게 되어 인쇄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곤 미러가 다각형이기 때문에 고속 회전 시 모서리 부분에서 공기와의 큰 파찰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곤 미러의 회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으로 말미암은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 오염을 저감시켜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폴리곤 미러와 공기와의 파찰음을 저감시켜 소음을 감소시킬 수있도록 하는 스캐닝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회전 중심을 이루며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로터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폴리곤 미러의 최대 대각 길이와 같거나 그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그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폴리곤 미러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흐름유도부와 연결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샤프트에 압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그 외측 단부가 상기 폴리곤 미러의 측단부와 같거나 그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측으로 벤딩되어 마련되는 상측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며 하측으로 벤딩되어 마련되는 하측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며 하측으로 벤딩되는 제1벤딩부와, 상기 제1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벤딩부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리곤 미러의 측면 유효스캔범위의 상단까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벤딩부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리곤 미러의 측면 유효스캔범위의 상단까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마련되는 흐름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폴리곤 미러의 회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회전 시 공기의 흐름을 다른 곳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 오염을 저감시켜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공기 흐름이 다른 곳으로 유도되므로 폴리곤 미러와 공기와의 파찰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 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닝 모터의 평면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스테이터(10)와, 로터(20), 그리고 상기 로터(20)에 고정되는 샤프트(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20)에 고정되는 폴리곤 미러(30)와, 상기 샤프트(22)에 고정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10)는 상기 샤프트(22)를 감싸며 고정되어 구비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부재로써 구비된다.
상기 로터(20)는 상기 스테이터(10)를 감싸며 상기 스테이터(1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로터 하우징(21)과, 상기 로터 하우징(21)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24)는 폴리곤 미러(30)를 고정시켜 지지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단턱을 마련하여 그 단턱에 폴리곤 미러(30)가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여하한 방법에 의한 지지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24)의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22)가 고정되며, 상기 로터 하우징(21)은 상기 지지부재(24)를 통해 샤프트(2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폴리곤 미러(30)에도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되어 스테이터(10)와 로터 하우징(21) 사이에 소정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이 생기면, 그에 따라 로터 하우징(21)이 회전하며, 이때 상기 로터 하우징(21)에 결합된 지지부재(24)도 함께 회전하고, 또 상기 지지부재(24)에 고정된 샤프트(2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4)에 고정된 폴리곤 미러(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22)의 상단 쪽 소정 위치에는 탄성부재(50)가 구비되는데, 탄성부재(50)의 일 예에 관하여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탄성부재(50)는 상기 샤프트(22)에 고정 지지되어 소정의 탄성력으로 폴리곤 미러(30)를 지지부재(24)에 고정되어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부(52), 탄성지지부(54), 플랜지부(55),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55)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흐름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52)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샤프트(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52)가 상기 샤프트(22)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샤프트(22)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22)의 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고정부는 그 홈에 끼워질 수 있는 소정의 구성을 마련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55)는 상기 폴리곤 미러(30)에 압착되어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탄성지지부(54)는 상기 고정부(52)와 플랜지부(55)를 연결하여 상기 플랜지부(55)가 상기 폴리곤 미러(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54)는 상기 플랜지부(55)가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플랜지부(55)가 상기 폴리곤 미러(30)를 압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50)의 고정부(52)를 샤프트(22)에 압입시켜 끼우는 경우, 탄성지지부(54)의 고정부(52) 쪽 부분은 아래 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탄성력이 발생하여 플랜지부(55)가 폴리곤 미러(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압착력이 제공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타낸 탄성부재(50)의 탄성지지부(54)는 상기 고정부(52)와 상기 플랜지부(55)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54)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벤딩(Bending) 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50)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흐름유도부는 폴리곤 미러(30)가 샤프트(22) 및 로터(2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할 때 주변의 공기 흐름을 자기 쪽으로 유도하여 폴리곤 미러(30) 쪽으로 공기 흐름의 영향이 감소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흐름유도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경이 폴리곤 미러(30)의 최대 대각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 보다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흐름유도부가 폴리곤 미러(30) 보다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더 연장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흐름유도부의 일 예로서 상측벤딩부(56)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벤딩부(56)는 플랜지부(55)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벤딩되어 마련된다.
상측벤딩부(56)의 길이는 충분히 길게 되도록 하여 공기 흐름 유동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의 전체 직경 (D)은 폴리곤 미러(30)의 최대 대각 길이 (d)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곤 미러(30)가 다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어느 일 면과 그 반대쪽 면 사이의 길이 (h) 보다 어느 일 모서리와 그 반대쪽 모서리 사이의 거리(d)가 더 길고 최대 대각 길이가 된다.
즉 탄성부재(50)의 직경(D)은 폴리곤 미러(30)의 면 사이의 거리(h) 보다는 당연히 커야 하고, 폴리곤 미러(30)의 최대 대각 길이(d)와는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크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련되 흐름유도부로서의 상측벤딩부(56)는 폴리곤 미러(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주변 공기의 흐름을 미리 유도하여 자기 쪽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폴리곤 미러(30)에는 공기 흐름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먼지 등에 의해 폴리곤 미러(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곤 미러(30)의 모서리 부분이 공기와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감소시켜 공기와 폴리곤 미러(30) 사이의 파찰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스캐닝 모터와 동일하며, 이에 흐름유도부재(60)에 관한 사항이 더 추가된 특징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곤 미러(30)의 하단에 흐름유도부재(60)를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을 폴리곤 미러(30)의 상부쪽과 하부쪽에서 동시에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폴리곤 미러(30)에 공기 흐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곤 미러(30)의 하단에 구비되는 흐름유도부재(60)는 그 직경이 폴리곤 미러(30)의 최대 대각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 보다 더 길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흐름유도부재(60)는 폴리곤 미러(30)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주변 공기의 흐름을 폴리곤 미러(30)의 하부쪽으로 유도하도록 마련된다.
즉 흐름유도부재(60)의 단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벤딩되거나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벤딩부(62)가 구비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이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스캐닝 모터와 동일하며, 탄성부재(5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탄성부재(50)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탄성부재(50)는 고정부(52), 탄성지지부(54), 플랜지부(55), 그리고 흐름유도부로서 하측벤딩부(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측벤딩부(57)는 플랜지부(5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폴리곤 미러(30) 쪽으로, 즉 하측으로 소정 길이 벤딩되어 마련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곤 미러(30)의 측면은 반사면으로서 측면 전체가 반사면으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영역에서 반사면으로서 기능을 하는데, 그 부분이 도 5에 도시된 유효스캔범위(E)이다.
상기 탄성부재(50)의 하측벤딩부(57)는 아래쪽으로 벤딩되되 상기 폴리곤 미러(30)의 유효스캔범위(E)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까지만 벤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측벤딩부(57)는 상기 폴리곤 미러(3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리곤 미러(30)의 측면 유효스캔범위(E)의 상단까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하측벤딩부(57)가 폴리곤 미러(30)의 반사면을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측벤딩부(57)가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부(55)로부터 위쪽으로 벤딩시켰다가 다시 아래쪽으로 벤딩시켜 하측벤딩부(57)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측벤딩부(57)는 상기 폴리곤 미러(30) 보다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유 도부재를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스캐닝 모터와 동일하며, 탄성부재(5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탄성부재(50)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탄성부재(50)는 고정부(52), 탄성지지부(54), 플랜지부(55), 그리고 흐름유도부로서 제1벤딩부(58)와 제2벤딩부(5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벤딩부(58)는 플랜지부(55)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벤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벤딩부(59)는 상기 제1벤딩부(58)로부터 상측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0)의 제1벤딩부(58)는 아래쪽으로 벤딩되되 상기 폴리곤 미러(30)의 유효스캔범위(E)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까지만 벤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벤딩부(58)는 상기 폴리곤 미러(3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리곤 미러(30)의 측면 유효스캔범위(E)의 상단까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벤딩부(58)가 폴리곤 미러(30)의 반사면을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흐름유도부로서의 제1벤딩부(58)와 제2벤딩부(59)의 구조에 의해 제2벤딩부(59)의 길이를 매우 길게 할 수 있어 공기의 흐름 유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유도부재를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폴리곤 미러의 상태와 종래의 스캐닝 모터의 폴리곤 미러의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효과를 잘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는 종래의 스캐닝 모터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종래의 스캐닝 모터와 도 7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는 동일한 조건에서 구동한 후 임의의 한 부분에서 이물질의 분포가 어떻게 되는지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에서 A 부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캐닝 모터가 일정시간 회전 후 폴리곤 미러의 반사면에 이물질이 매우 많이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7의 (b)에서는 B부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폴리곤 미러에 이물질이 거의 분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서 흐름유도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폴리곤 미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닝 모터의 평면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캐닝 모터에 사용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한 각각의 다른 실시예들에 관하여 각각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이다.
도 7의 (a)와 (b)는 종래의 스캐닝 모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의 오염 방지에 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종래의 스캐닝 모터에 관한 것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모터에 관한 것이다.

Claims (9)

  1.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회전 중심을 이루며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 및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로터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폴리곤 미러의 최대 대각 길이와 같거나 그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그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캐닝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폴리곤 미러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흐름유도부와 연결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샤프트에 압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그 외측 단부가 상기 폴리곤 미러의 측단부와 같거나 그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측으로 벤딩되어 마련되는 상측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며 하측으로 벤딩되어 마련되는 하측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며 하측으로 벤딩되는 제1벤딩부와,
    상기 제1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벤딩부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리곤 미러의 측면 유효스캔범위의 상단까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부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리곤 미러의 측면 유효스캔범위의 상단까지의 범위 내까지 연장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폴리곤 미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폴리곤 미러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마련되는 흐름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모터.
KR1020080060450A 2008-06-25 2008-06-25 스캐닝 모터 KR10097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50A KR100978658B1 (ko) 2008-06-25 2008-06-25 스캐닝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50A KR100978658B1 (ko) 2008-06-25 2008-06-25 스캐닝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16A KR20100000816A (ko) 2010-01-06
KR100978658B1 true KR100978658B1 (ko) 2010-08-30

Family

ID=4181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450A KR100978658B1 (ko) 2008-06-25 2008-06-25 스캐닝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6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611A (ja) * 1989-11-29 1991-07-22 Hitachi Ltd 回転多面鏡装置の支持装置
JP2002267990A (ja) 2001-03-09 2002-09-18 Canon Inc ポリゴンスキャナモータ
KR20030084148A (ko) * 2002-04-25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저항 감소구조를 갖는 회전다면경을 구비한 스캐너 모터
KR20050011838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다면경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611A (ja) * 1989-11-29 1991-07-22 Hitachi Ltd 回転多面鏡装置の支持装置
JP2002267990A (ja) 2001-03-09 2002-09-18 Canon Inc ポリゴンスキャナモータ
KR20030084148A (ko) * 2002-04-25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저항 감소구조를 갖는 회전다면경을 구비한 스캐너 모터
KR20050011838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다면경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16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1238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2015025850A5 (ko)
JP2007219508A (ja) 光走査装置
KR101089869B1 (ko) 축받이 어셈블리 및 스캐닝 모터
KR100978658B1 (ko) 스캐닝 모터
US7554569B2 (en) Light scanning device
KR20130079221A (ko) 광 주사 장치
JP3434727B2 (ja) 光走査装置
JP2007121586A (ja) 光学走査装置
JP2008261963A (ja) レーザ走査装置のハウジング
KR100978657B1 (ko) 스캐닝 모터
KR20110055248A (ko) 스캐너 모터
JP5083084B2 (ja) 動圧空気軸受、ブラシレスモータ、光偏向器および光走査装置
KR100561480B1 (ko) 폴리곤미러장치
JP2009524116A5 (ko)
JP2002267990A (ja) ポリゴンスキャナモータ
JP2002023095A (ja) 光走査装置
JP2962901B2 (ja) 走査光学装置
JPH11202252A (ja) 走査光学装置
JP2004279859A (ja) 偏向走査装置
JP2002328326A (ja) 走査光学装置
KR20080064012A (ko) 광주사장치
JPH08136844A (ja) 光偏向器
JP2005301081A (ja) 光偏向器
JPH1184299A (ja) 光偏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