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736B1 -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 Google Patents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736B1
KR100977736B1 KR1020080052869A KR20080052869A KR100977736B1 KR 100977736 B1 KR100977736 B1 KR 100977736B1 KR 1020080052869 A KR1020080052869 A KR 1020080052869A KR 20080052869 A KR20080052869 A KR 20080052869A KR 100977736 B1 KR100977736 B1 KR 10097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hollow
vertical frame
roll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662A (ko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권 filed Critical 이용권
Priority to KR102008005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7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 E05D13/006Anti-dropping devices fixed to the wing, i.e.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4Doors disappearing in pockets of a wall, e.g. so-called pocket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 관한 것으로, 상하의 가로 프레임과 양측의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 있어서, 상기 양측 세로 프레임의 중공 내측벽 및 외측벽 하단을 일부 절개하여 롤러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 설치공에 롤러 하우징을 이용하여 롤러를 각각 1개씩 설치하되, 상기 롤러 하우징은 세로 프레임의 중공 폭과 같은 크기의 폭을 갖는 롤러 하우징 몸체와,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 양측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중공 폭을 벋어나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과 맞 닫도록 형성된 정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조립체를 양측 세로 프레임의 하부로 부터 끼워 넣기만 하면 좌우 유격 없이 고정되므로, 롤러 조립체를 용이하게 문짝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고, 롤러 조립체가 양측 세로 프레임의 중공에 갇히게 되므로 롤러 조립체가 유동 없이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롤러 조립체가 언제나 알루미늄 문짝 프레임의 하단 좌측 끝과 하단 우측 끝에 배치되어 문을 여닫는 동안 롤러 조립체를 중심으로한 문짝 전체의 회전이 없게 되므로, 문이 미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언제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알루미늄 문짝, 중공, 롤러, 피봇

Description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STRUCTURE OF ALUMINUM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중공을 갖도록 압출 성형한 문짝 프레임의 하부에 구름용 롤러가 마련하고, 상부에는 가이드용 피봇이 마련된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은 상하의 가로 프레임과 양측의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프레임 내부에는 유리나 판재가 끼워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상하의 가로 프레임(17a, 17b)의 외측에 양측의 세로 프레임(1a, 1b)이 조립된다.
근래에는 좁은 개구에 문짝을 3짝이상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특히, 포켓 등에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포켓문에 있어서는 문짝이 높이에 비하여 폭이 좁은 3짝이상의 문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으로 높이에 비하여 폭이 좁은 문짝을 성형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서 그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알루미늄 문짝을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17a, 17b) 및 세로 프레임(1a, 1b)은 모두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내부가 중공(中空) 형태를 갖기 때문에, 하부에 롤러 조립체를 설치하거나 상부에 가이드용 피봇을 설치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종래 알루미늄 문짝에서 하부의 롤러 조립체는 하부 가로 프레임(17a)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고정하였다. 또한 종래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서 문짝의 슬라이딩을 가이드를 위하여 문짝 상부에 피봇을 설치한 예는 아직까지 없었다. 구조적으로 세로 프레임이 중공 형태를 갖기 때문에 피봇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롤러 조립체가 종래의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서와 같이 하부의 가로 프레임(17a)에 설치될 경우, 특히 문짝의 높이(세로 프레임의 길이)에 비하여 폭(가로 프레임의 길이)이 작을 경우 문을 여닫는 동안 문이 미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롤러의 구름 운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 것은 롤러가 비교적 문짝 하부의 중심부에 배치됨으로서 롤러를 중심으로 한 문짝 전체의 회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특히,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 피봇을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기울음 현상이 더 쉽게 일어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서는 롤러 조립체를 하부 가로 프레임(17a)에 설치하기 때문에, 가로 프레임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내부 공간에 롤러 조립체를 고정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웠고, 롤러 조립체를 고정한 경우에도 내부 공간이 가로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롤러 조립체의 고정 부위가 풀려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본 발명은 문짝의 높이에 비하여 폭이 매우 좁은 문짝에 적용하여 문을 여닫는 동안 문이 미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언제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 조립체를 용이하게 문짝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롤러 조립체를 유동없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상하의 가로 프레임과 양측의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 있어서, 상기 양측 세로 프레임의 중공 내측벽 및 외측벽 하단을 일부 절개하여 롤러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 설치공에 롤러 하우징을 이용하여 롤러를 각각 1개씩 설치하되, 상기 롤러 하우징은 세로 프레임의 중공 폭과 같은 크기의 폭을 갖는 롤러 하우징 몸체와, 상기 롤러 하 우징 몸체 양측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중공 폭을 벋어나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과 맞 닫도록 형성된 정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 양측의 정지턱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이 접하는 선을 따라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이 일부 삽입되도록 그루브를 더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단에는 문짝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봇을 피봇 홀더에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피봇 홀더는 중심부에 피봇 설치공이 마련되고 외곽 크기가 상기 세로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진 홀더 몸체와, 상기 홀더 몸체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홀더 몸체가 세로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로 프레임의 내측벽 및 외측벽 상단 모서리에 걸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조립체를 양측 세로 프레임의 하부로 부터 끼워 넣기만 하면 좌우 유격 없이 고정되므로, 롤러 조립체를 용이하게 문짝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고, 롤러 조립체가 양측 세로 프레임의 중공에 갇히게 되므로 롤러 조립체가 유동 없이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롤러 조립체가 언제나 알루미늄 문짝 프레임의 하단 좌측 끝과 하단 우측 끝에 배치되어 문을 여닫는 동안 롤러 조립체를 중심으로한 문짝 전체의 회전이 없게 되므로, 문이 미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언제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으로부터 롤러 조립체(100), 피봇(300) 및 피봇 홀더(200)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은 상부 및 하부에 가로 프레임(17a, 17b)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양측에 세로 프레임(1a, 1b)을 나사나 피스로 조립한다. 따라서, 세로 프레임(1a, 1b)이 문짝의 가장 외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17a, 17b)과 세로 프레임(1a, 1b)은 모두 용융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7)을 갖도록 압출 성형되므로 그 무게가 목재 문짝에 비하여 매우 가볍다. 본 발명은 문짝의 세로 프레임(1a, 1b)이 갖는 상기 중공(7)과 상기 중공(7)의 하단에 삽입되는 롤러 조립체(100) 및 상기 중공(7)의 상단에 삽입되는 피봇(300)을 이용하여, 문짝의 여닫이시 문짝이 기우는 문제와 롤러 조립체의 이탈 문제 및 롤러 조립체 설치의 곤란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100)를 외측 정지턱(103)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를,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100)를 내측 정지턱(111)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를,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100)의 정면도를,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와 세로 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롤러 조립체(100)는 롤러 하우징(101, 103, 105)과 롤러 하우징 내부에 축(10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1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101)를 문짝의 세로 프레임(1a, 1b)의 중공(7) 폭과 같은 크기의 폭을 갖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101) 양측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1a, 1b)의 중공(7) 폭을 벋어나도록 정지턱(103, 111)을 형성한 점과,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짝의 세로 프레임(1a, 1b)의 하단의 중공 외측벽(5a)과 내측벽(5b)의 하단 일부를 상기 정지턱(103, 111)의 단면 형상대로 절개하여 롤러 설치공(9, 13)을 형성함으로써, 롤러 조립체(100) 조립시 롤러 하우징의 정지턱(103, 111)이 상기 롤러 설치공(9, 13)의 테두리살(11, 15)에 걸리도록 한 점에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롤러 조립체(100)를 상기 중공(7)에 하방으로 부터 상방으로 삽입 하는 것만으로도 롤러 조립체(100)의 설치가 끝나고, 롤러 조립체(100)가 문짝의 양측 하단에 배치되므로 문짝의 여닫이시 문짝이 기우는 문제가 해결되며, 롤러 조립체(100)가 세로 프레임(1a, 1b)의 중공(7) 내부에 갇히게 되므로 롤러 조립체(100)의 이탈이 없게 되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 하우징(101) 몸체 양측의 정지턱(103, 11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롤러 설치공(9, 13)의 테두리살(11, 15)이 접하는 선을 따라 상기 롤러 설치공(9, 13)의 테두리살(11, 15)이 일부 삽입되도록 그루브(10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외측 정지턱(103)에 그루브(105)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내측 정지턱(111)에 그루브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양측 정지턱(103, 111)에 모두 그루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세로 프레임(7)의 중공(7) 하단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곳에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101)를 하방으로 부터 밀어 넣어 삽입할 수 있다. 롤러 하우징 몸체(101)의 폭이 상기 중공(7)의 폭과 일치하고, 롤러 하우징의 외측 정지턱(103)의 단면 형상 또는 그루브(105)의 단면 형상이 세로 프레임(1a)의 외측벽(5a)에 형성된 외측 롤러 설치공(9)의 형상과 일치하며, 롤러 하우징의 내측 정지턱(111)의 단면 형상이 세로 프레임(1a)의 내측벽(5b)에 형성된 내측 롤러 설치공(13)의 형상과 일치하므로, 롤러 하우징 몸체(11)를 중공(7)의 하단으로 부터 상방으로 밀어 넣어 정지턱(103, 111) 또는 정지턱에 형성된 그루브(105)가 테두리 살(11, 15)에 걸리게 하는 것만으로도 롤러 조립체(100)가 세로 프레임(1a)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 홀더와 피봇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 홀더와 세로 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세로 프레임(1a)의 상단 중공(7)에 문짝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봇(300)을 피봇 홀더에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피봇 홀더(200)의 중심부에는 피봇 설치공(201)을 마련하고, 홀더 몸체는 외곽 크기가 상기 세로 프레임(1a)의 중공(7)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하며, 상기 홀더 몸체(203)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되어 홀더 몸체(203)가 세로 프레임(1a)의 중공(7)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로 프레임(1a)의 내측벽(5b) 및 외측벽(5a) 상단 모서리에 걸치는 돌출턱(205)을 형성한 데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봇(300)을 알루미늄 문짝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봇(300)의 흔들림이나 이탈이 없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조립체(100) 및 피봇 홀더(200)는 항상 문짝의 양측 세로 프레임(1a, 1b)에 모두 설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조립체(100) 및 피봇 홀더(200)를 양측 세로 프레임(1a, 1b)의 하부 및 상부로부터 끼워 넣기만 하면 이들이 좌우 유격없이 고정되므로, 롤러 조립체(100) 및 피봇 홀더(200)를 용이하게 문짝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 조립체(100) 및 피봇 홀더(200)가 양측 세로 프레임의 중공(7)에 갇히게 되므로 롤러 조립체(100) 및 피봇 홀더(200)가 유동 없이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알루미늄 문짝처럼 가벼운 문짝에서, 문짝 상단 및 하단의 양측 끝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문을 여닫는 동안 롤러 조립체를 중심으로 한 문짝 전체의 회전이 없게 되므로, 문이 미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언제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으로부터 롤러 조립체, 피봇 및 피봇 홀더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를 외측 정지턱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를 내측 정지턱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조립체와 세로 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 홀더와 피봇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봇 홀더와 세로 프레임간의 결합관계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 세로 프레임 3a : 전면벽
3b : 후면벽 5a : 외측벽
5b : 내측벽 7 : 중공
9 : 외측 롤러 설치공 11 : 테두리살
13 : 내측 롤러 설치공 15 : 테두리살
17a, 17b : 가로 프레임 100 : 롤러 조립체
101 : 롤러하우징 몸체 103 : 외측 정지턱
105 : 그루브 107 : 롤러
109 : 회전축 111 : 내측 정지턱
200 : 피봇 홀더 201 : 피봇 설치공
203 : 홀더 몸체 205 : 돌출턱
300 : 피봇

Claims (3)

  1. 상하의 가로 프레임과 양측의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에 있어서,
    상기 양측 세로 프레임의 중공 내측벽 및 외측벽 하단을 일부 절개하여 롤러 설치공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 설치공에 롤러 하우징을 이용하여 롤러를 각각 1개씩 설치하되,
    상기 롤러 하우징은 세로 프레임의 중공 폭과 같은 크기의 폭을 갖는 롤러 하우징 몸체와,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 양측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중공 폭을 벋어나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과 맞 닫도록 형성된 정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하우징 몸체 양측의 정지턱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이 접하는 선을 따라 상기 롤러 설치공의 테두리살이 일부 삽입되도록 그루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단 중공에는 문짝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피봇을 피봇 홀더에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피봇 홀더는 중심부에 피봇 설치공이 마련되고 외곽 크기가 상기 세로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진 홀더 몸체와, 상기 홀더 몸체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홀더 몸체가 세로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로 프레임의 내측벽 및 외측벽 상단 모서리에 걸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KR1020080052869A 2008-06-05 2008-06-05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KR10097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69A KR100977736B1 (ko) 2008-06-05 2008-06-05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869A KR100977736B1 (ko) 2008-06-05 2008-06-05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662A KR20090126662A (ko) 2009-12-09
KR100977736B1 true KR100977736B1 (ko) 2010-08-24

Family

ID=4168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869A KR100977736B1 (ko) 2008-06-05 2008-06-05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77B1 (ko) * 2011-04-11 2013-09-04 안중식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613947B1 (ko) 2015-09-08 2016-04-20 고종길 도어용 하단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KR20160096489A (ko) 2015-02-05 2016-08-16 정영호 개폐 안내가 원활한 미닫이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399A (ja) * 1995-08-21 1997-03-04 Kuriki Seisakusho:Kk 戸 車
JPH09125800A (ja) * 1995-11-02 1997-05-13 Enomoto Kinzoku Kk 引戸用の戸車ユニット
JPH09317303A (ja) * 1996-05-31 1997-12-09 Shinkansai Bearing Kk 室内引戸用の戸車ユニット
JPH10205207A (ja) 1996-11-19 1998-08-04 Tomio Yoshimura 戸 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399A (ja) * 1995-08-21 1997-03-04 Kuriki Seisakusho:Kk 戸 車
JPH09125800A (ja) * 1995-11-02 1997-05-13 Enomoto Kinzoku Kk 引戸用の戸車ユニット
JPH09317303A (ja) * 1996-05-31 1997-12-09 Shinkansai Bearing Kk 室内引戸用の戸車ユニット
JPH10205207A (ja) 1996-11-19 1998-08-04 Tomio Yoshimura 戸 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77B1 (ko) * 2011-04-11 2013-09-04 안중식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60096489A (ko) 2015-02-05 2016-08-16 정영호 개폐 안내가 원활한 미닫이문
KR101613947B1 (ko) 2015-09-08 2016-04-20 고종길 도어용 하단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662A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736B1 (ko)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0483878Y1 (ko) 커튼러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커튼레일 조립체
JP6449037B2 (ja) 建具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156070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000019689A (ko)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JP2009046929A (ja) 扉の下部ランナー走行機構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200334771Y1 (ko)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US20020194800A1 (en) Adjustable shutter level
KR200281172Y1 (ko)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JP6659328B2 (ja) 建具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JP6585004B2 (ja) 建具
JPS6115189Y2 (ko)
KR100623085B1 (ko) 유리도어 힌지바아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0525637B1 (ko) 리어 셀프 트림 조립체
JPS6141905Y2 (ko)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20180003417U (ko) 방충창의 롤러 일체형 마감구
JP4650957B2 (ja) 折戸用金具
JP6659327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