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689A -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689A
KR20000019689A KR1019980037920A KR19980037920A KR20000019689A KR 20000019689 A KR20000019689 A KR 20000019689A KR 1019980037920 A KR1019980037920 A KR 1019980037920A KR 19980037920 A KR19980037920 A KR 19980037920A KR 20000019689 A KR20000019689 A KR 2000001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uide rail
doors
slide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3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689A/ko
Publication of KR2000001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나아가 착탈 구조로 하여 청소, 보수 등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는,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수납공간부의 전면 개방부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가 그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경사지고, 그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경사지게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에서 그 각각의 경사진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본 발명은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reach-in) 타입 쇼케이스(show-cas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부의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을 경사지게 구성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닫힘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품진열용 내장고인 쇼케이스의 도어는 슬라이딩 타입과 회동형 타입으로 구분되고, 그 슬라이딩 타입도 직립형과 경사형 내지 수평형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직립형의 슬라이딩 타입 도어를 지니는 경우 대개 2도어 타입으로 구성되고 각 도어가 서로 반대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상업용 냉장(동)고의 경우 특히 자주 도어를 열고 닫기 때문에 자칫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 두기 쉬워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닫힘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상술한 직립형 슬라이딩 도어 타입인 리치-인 타입에 있어서의 자동 닫힘 구조가 미국 특허 제3,328,105호로 개시된 구조를 일예로 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슬라이드 도어(14,15)를 지니는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10)는, 가이드 홈(17,20,23,24)이 형성된 하부 및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16,22)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3)에 각각 고정되고 그 가이드 홈(17,20,23,24)에 슬라이드 도어(14,15)의 상하단부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딩,개폐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슬라이드 도어(14,15)를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26)의 중량을 이용하고 있다.
즉, 슬라이드 도어(14,15)를 개방시킨 때에 추(26)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추(26)의 중량이 슬라이드 도어(14,15)에 폐쇄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와이어(37)의 일단을 슬라이드 도어(14,15)의 상부에 고정수단(40)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편(30)에 의해 측부 프레임(13)에 고정되는 와이어 안내부재(31,41)를 개재하여 추(26)에 고정된다. 또한, 그 추(26)는 상하로 승강을 안정화시키고 안전을 위해 그 추(26)의 주위를 수납케이스(25)로 둘러싸며, 또한, 슬라이드 도어(14,15)의 최대 개방을 제한하기 위해 추(26)가 그 최대 상승위치를 제한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는 와이어로프(37)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부의 고정편(30) 내지 와이어 안내부재(31,41)에 추(26)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14,15)를 개방시킨 때에 와이어로프(37)를 개재하여 추(26)가 상승하게 되고, 그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14,15)를 자동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는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무거운 추(26), 와이어로프(37), 고정편(30) 내지 와이어 안내부재(31,41)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와이어로프(37) 내지 와이어 안내부재(31,41)가 마모함에 따라 잦은 보수를 필요로 하며, 이 또한, 번거롭고 비용상승의 문제로 된다.
또, 상업용인 쇼케이스의 경우, 다량의 피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해 슬라이드 도어(14,15)를 개방상태로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도 별도의 개방정지수단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면서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나아가 착탈 구조로 하여 청소, 보수 등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reach-in) 타입 쇼케이스의 개략정면도,
도 2는 도어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도 1의 선 2-2 단면도,
도 3은 일측 도어부분만을 도시한 도 2의 선 3-3 단면도,
도 4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다른 부분을 생략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6은 도어의 상부와 하부를 생락한 도 5의 선 6-6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의 경사 가이드 레일의 일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정지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 7의 선 8-8 부분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좌우 롤러부재의 구조의 차이를 도시한 롤러부재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11,51: 상부 프레임
12,52: 하부 프레임 13,53: 측부 프레임
14,54: 우측 슬라이드 도어 15,55: 좌측 슬라이드 도어
16,22: 하부 및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 17,20,23,24: 가이드 홈
25: 수납 케이스 26: 추
30: 고정편 31,41: 와어어 안내부재
37: 와이어로프 40: 고정수단
50': 전면 개방부 50": 수납공간부
56: 상부 도어 프레임 57: 하부 도어 프레임
60,70: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 61,71: 롤러
62,72: 롤러 브러켓 62',72': 고정 플랜지
63,73: 회전축
80,85: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 81,82,86,87: 가이드 홈
90: 경사 가이드 레일 91,92: 측벽부
93: V자 단면형상부 94: 스톱 홈
94': 스톱 돌기 95: 스토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는,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수납공간부의 전면 개방부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가 그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경사지고, 그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경사지게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에서 그 각각의 경사진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에 따르는 슬라이드 도어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게 되어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도 없으며, 특수한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 폐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은 측벽부와 V자 단면형상부로 구성된 M자 형상 단면 구조이며, 상기 V자 단면형상부에 형성되는 스톱 홈 내지 스톱 돌기을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정지수단으로서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각각 개방상태에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이 각각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경사 가이드 레일을 분리시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구름접촉을 통해 원활하게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정사각 내지 직사각형 구조로 하고 그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의 설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의 경사에 대응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미관을 도모함과 동시에 그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는 롤러, 그 롤러를 회전축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러켓 및 그 롤러의 최저단부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설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높이차이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로 구성시킴으로써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가 간편하게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스토퍼가 경사 가이드 레일의 단부 근처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고 그 스토퍼를 완충재로 함으로써 개방시 충돌력을 흡수,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54,55)의 구조가 도 2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도시되며, 도 6에는 도어의 상부와 하부를 생락한 도 5의 선 6-6 단면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54,55)의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구조의 일예가 사시도로서 도시되며, 도 8 및 도 9에는 각각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정지수단의 예들이 도 7의 선 8-8 부분단면도로서 도시되고, 도 10 및 도 11에는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의 구조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정면도로서 도시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좌우 슬라이드 도어(54,55), 경사 가이드 레일(90,90) 및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슬라이드 도어(54,55)는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50")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실선과 이점쇄선의 상태사이의 좌우방향으로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그 수납공간부(50")의 전면 개방부(50')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그 경사 가이드 레일(90)은 슬라이드 도어(54,55)가 자중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 가이드 레일(90,90)은 측벽부(91,92)와 V자 단면형상부(93)로 구성된 M자 형상 단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자 단면형상부(93)에 스톱 홈(94) 내지 스톱 돌기(94')을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방정지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쇼케이스로부터 분리 내지 분해될 수 있는 구조로 고정될 수 있으며,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착가능하게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0)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51)에 고정나사(51')를 개재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슬라이드 도어(54,55)가 각각의 경사진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기에 충분한 깊이의 가이드 홈(81,82)을 지닌다. 즉, 이점쇄선의 개방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단의 높이가 더 높게 되므로 이 높이를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81,82)의 깊이가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부에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86,87)이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52)에 고정나사(52',52')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이 각각 제거가능하게 그 가이드 홈(86,87)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름접촉을 통해 원활하게 슬라이드 도어(54,5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를 정사각 내지 직사각형 구조로 할 수 있도록 그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의 설치 높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경사에 대응시킬 수 있다. 그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는 도 10 및 도 11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61,71), 그 롤러(61,71)를 회전축(63,73)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러켓(62,72)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62',7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롤러(61,71)의 최저단부로부터 그 고정 플랜지(62',72')까지의 높이(H,h)를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대응 높이 차이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도 6에 도시도니 바와 같이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개방 단부 근처에 스토퍼(95)가 설치될 수 있다. 그 스토퍼(95)는 완충재로 형성함으로써 개방시 충돌력을 흡수,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좌측의 슬라이드 도어(55)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이점쇄선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스토퍼(95)에 의해 그 개방이 제한되며, 경사진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타고 자중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려 하지만, 우측 롤러부재(70)의 롤러가 도 8의 스톱 홈(94) 내지 스톱 돌기(94')에 걸려 개방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개방정지상태에서 약간만 폐쇄방향 즉,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주면 그 자중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한 폐쇄상태까지 자동으로 폐쇄되게 된다.
한편, 그 슬라이드 도어(55)를 완전개방위치이전 즉, 이점쇄선의 상태이전의 위치까지 약간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대로 놔두더라도 자중에 의해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자동으로 폐쇄되게 되어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에 따르는 슬라이드 도어(54,55)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게 되어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도 없으며, 특수한 폐쇄장치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 폐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90)을 측벽부(91,92)와 V자 단면형상부(93)로 구성된 M자 형상 단면 구조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5)의 가이드 홈(86,87)에 장탈착시킬 수 있으며, 삽입,장착시에는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슬라이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가이드 레일(90)이 M자 형상 단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간편하게 그 가이드 홈(86,87)에 삽입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게 되고 슬라이드 도어(54,55)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게 되고, 탈착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5)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도 완벽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V자 단면형상부(93)에 스톱 홈(94) 내지 스톱 돌기(94')을 용이하게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어 별도의 개방정지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를 서로 상이한 높이로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를 정사각 내지 직사각형 구조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의 구성도 롤러(61,71)의 최저단부로부터 상이한 높이로 고정플랜지(62',72')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롤러부재가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도어(54,55)의 제조도 간단하게 되고 슬라이드 도어(54,55)의 미관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단순히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채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이면서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나아가 착탈 구조로 하여 청소, 보수 등에 있어서도 편리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50")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수납공간부(50")의 전면 개방부(50')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54,55);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가 그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 개방부(50')를 폐쇄하도록 경사지고, 그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경사지게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 레일(90,90); 및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부에서 그 각각의 경사진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90)은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를 각각 개방상태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개방정지수단(94,9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은 측벽부(91,92)와 V자 단면형상부(93)로 구성된 M자 형상 단면 구조이며, 개방정지수단(94,94')은 상기 V자 단면형상부(93)에 형성되는 스톱 홈(94) 내지 스톱 돌기(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이 각각 제거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86,87)이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52)에 고정되는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5)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방을 제한하는 스토퍼(95)가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단부 근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와 경사 가이드 레일(90)사이에 구름접촉을 하도록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가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는 정사각 내지 직사각형 구조로서 그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의 설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경사에 대응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는 롤러(61,71), 그 롤러(61,71)를 회전축(63,73)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브러켓(62,72) 및 그 롤러(61,71)의 최저단부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설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높이차이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62',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KR1019980037920A 1998-09-15 1998-09-15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KR20000019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920A KR20000019689A (ko) 1998-09-15 1998-09-15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920A KR20000019689A (ko) 1998-09-15 1998-09-15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89A true KR20000019689A (ko) 2000-04-15

Family

ID=1955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920A KR20000019689A (ko) 1998-09-15 1998-09-15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68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55B1 (ko) * 1998-12-03 2004-04-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0419156B1 (ko) * 1998-12-03 2004-04-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WO2007075075A1 (en) * 2005-12-29 2007-07-05 Kwang-Seok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ow closing in the sliding window system
KR200445221Y1 (ko) * 2007-10-08 2009-07-10 임영진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KR100975437B1 (ko) * 2010-01-22 2010-08-11 대호공영 주식회사 도어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KR101018297B1 (ko) * 2008-10-09 2011-03-04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200471142Y1 (ko) * 2012-11-20 2014-02-07 신종철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KR101371335B1 (ko) * 2006-12-29 2014-03-06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KR101853920B1 (ko) * 2017-11-30 2018-05-02 오세성 낙석 방지책의 롤러형 완충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55B1 (ko) * 1998-12-03 2004-04-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0419156B1 (ko) * 1998-12-03 2004-04-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WO2007075075A1 (en) * 2005-12-29 2007-07-05 Kwang-Seok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ow closing in the sliding window system
KR101371335B1 (ko) * 2006-12-29 2014-03-06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KR200445221Y1 (ko) * 2007-10-08 2009-07-10 임영진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KR101018297B1 (ko) * 2008-10-09 2011-03-04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100975437B1 (ko) * 2010-01-22 2010-08-11 대호공영 주식회사 도어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KR200471142Y1 (ko) * 2012-11-20 2014-02-07 신종철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KR101853920B1 (ko) * 2017-11-30 2018-05-02 오세성 낙석 방지책의 롤러형 완충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6376B1 (en) Storage box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4705187A (en) Enclosure for a machine tool
JPH09280727A (ja) 冷蔵庫
KR20000019689A (ko)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KR102516646B1 (ko) 냉장고용 냉기커버 부착형 선반
US6027193A (en) Two-part undermount drawer guide assembly with pivot member
KR200445221Y1 (ko)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KR100419156B1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0408956B1 (ko) 리치-인타입쇼케이스의자동닫힘슬라이드도어구조의도어정지구조
KR100977736B1 (ko) 미닫이용 알루미늄 문짝 구조
KR101654994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19155B1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1212099B1 (ko) 냉장고
ES2701881T3 (es) Aparato doméstico, en particular aparato de refrigeración y/o aparato de congelación
EP1154211A1 (en) Cover element for a refrigerator crisper
CN219515721U (zh) 一种抽拉式储物装置
KR100281782B1 (ko)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쇼케이스
JP3886371B2 (ja) 貯蔵庫の扉構造
KR20000038042A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2207963B1 (ko) 반자동 슬라이딩 도어
JP7197093B2 (ja) キャビネット
JP2561769Y2 (ja) パネル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装置
KR100461528B1 (ko) 수납장 문의 슬라이딩 로울러 구조
JP2873365B2 (ja) シューズボックス
JP3640574B2 (ja) スライド扉用のレ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