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156B1 -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 Google Patents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156B1
KR100419156B1 KR10-1998-0052898A KR19980052898A KR100419156B1 KR 100419156 B1 KR100419156 B1 KR 100419156B1 KR 19980052898 A KR19980052898 A KR 19980052898A KR 100419156 B1 KR100419156 B1 KR 10041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oor
slide
closing
guid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051A (ko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1998-005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1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4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with rectilinearly-inclined track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using no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e.g. for refrigerated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동으로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제공한다.
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는, 슬라이드 도어의 프레임 상부에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 슬라이드 도어가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에 작용하는 가압롤러;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고정브라케트;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가 함께 승강가능하도록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부에 외향 턱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 그 슬라이더부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더부의 외주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외주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내향 턱부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외향 턱부가 상승한 때에 그 외향 턱부의 하면에 걸리는 정지위치와 그 외향 턱부가 걸리지 아니하는 폐쇄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부가 손잡이를 이루도록 외부로 돌출하는 회동레버;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에 탄성력을 작용시켜 슬라이드 도어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
본 발명은 리치-인(reach-in) 타입 쇼케이스(show-case)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롤러에 의해 그 경사면을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경사지게 도어가 개폐되지 아니하고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동으로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직립형 슬라이딩 도어 타입인 리치-인 타입에 있어서의 종래의 자동 닫힘 구조가 미국 특허 제3,328,105호로 개시된 구조를 일예로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슬라이드 도어(14,15)를 지니는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10)는, 슬라이드 도어(14,15)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하부 및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16,22)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3)에 각각 고정되고 그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도어(14,15)의 상하단부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딩,개폐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슬라이드 도어(14,15)를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26)의 중량을 이용하고 있다.
즉, 슬라이드 도어(14,15)를 개방시킨 때에 추(26)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추(26)의 중량이 슬라이드 도어(14,15)에 폐쇄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와이어(37)의 일단을 슬라이드 도어(14,15)의 상부에 고정수단(40)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편(30)에 의해 측부 프레임(13)에 고정되는 와이어 안내부재(31,41)를 개재하여 추(26)에 고정된다. 또한, 그 추(26)는 상하로 승강을 안정화시키고 안전을 위해 그 추(26)의 주위를 도시가 생략된 수납케이스로 둘러싸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37)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부의 고정편(30) 내지 와이어 안내부재(31,41)에 추(26)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최대 개방시 슬라이드 도어(14,15)의 관성에 의한 측면 프레임과의 충돌이 회피될 수 있다. 하강시에도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도어(14,15)의 폐쇄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14,15)를 개방시킨 때에 와이어로프(37)를 개재하여 추(26)가 상승하게 되고, 그 자중에 의해 추(26)가 하강하여 슬라이드 도어(14,15)를 자동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도 3에는 경사 가이드 레일에 의한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가 그 경사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도시되며, 도 4에는 경사 가이드 레일의 일예의 구조가 사시도로서 도시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따른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좌우 슬라이드 도어(54,55), 경사 가이드 레일(90,90) 및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슬라이드 도어(54,55)는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실선과 이점쇄선의 상태사이의 좌우방향으로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그 수납공간부(50")의 전면 개방부(50')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그 경사 가이드 레일(90)은 슬라이드 도어(54,55)가 자중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 가이드 레일(90,90)은 측벽부(91,92)와 V자 단면형상부(93)로 구성된 M자 형상 단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자 단면형상부(93)에 스톱 홈(94)이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방정지수단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 가이드 레일(90)을 쇼케이스로부터 분리 내지 분해될 수 있는 구조로 고정될 수 있어 청소 등의 경우에 편리하며, 탈착가능하게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0)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51)에 고정나사(51')를 개재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슬라이드 도어(54,55)가 각각의 경사진 좌우방향 개폐 슬라이딩을 안내하기에 충분한 깊이의 가이드 홈을 지닌다. 즉, 이점쇄선의 개방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단의 높이가 더 높게 되므로 이 높이를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의 깊이가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부에도 더욱 견고하게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도어(54,55)의 하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52)에 고정나사(52',52')를 개재하여 고정되는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이 각각 제거가능하게 그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름접촉을 통해 원활하게 슬라이드 도어(54,5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가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각각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를 정사각 내지 직사각형 구조로 할 수 있도록 그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60,70)의 설치 높이(H,h)를 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대응 높이 차이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개방 단부 근처에 완충재로 된 스토퍼(9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 홈(94)은 우측 롤러 부재(7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도어(55)를 개방상태에서 정지시키고 있도록 경사 가이드 레일(90)의 경사면보더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 그 개방정지상태에서는 폐쇄상태에서 정사각 내지 직사각형으로 도어의 유리창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 그 유리창 프레임 및 슬라이드 도어(55)가 도 5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져 완전한 개방이 어려우며, 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측 롤러 부재(70)만이 그 스톱 홈(94)으로 롤링되어 들어가거나 그 스톱 홈(94)으로부터 굴러나올 때, 특히 마모가 심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할 때 슬라이드 도어(55)의 폐쇄상태에서조차 슬라이드 도어(55)가 기울게 되고, 측면 상부에서 도 3의 측면 프레임(53)과 들뜸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잦은 보수 내지 교환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도 있다.
또, 이러한 경사가이드 레일타입은, 도 3에서와 같이 그 높이(T')의 차이로 인하여 슬라이드 도어(54,55)가 경사지게 개폐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54,55)의 폐쇄상태에서 그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단과 캐비넷의 상부 프레임(51)사이의 높이(T)가 크게 되어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80)을 길게 설치하더라도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게 되어 쇼케이스의 성능을 열화시키고, 고내 온도 상승, 압축기의 과부하, 냉각기의 성애 누적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로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어 냉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시 경사짐이 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고 개방상태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승강하는 추에 의해 종래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리치-인(reach-in) 타입 쇼케이스의 개략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부분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경사 가이드 레일에 의한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도시한 그 경사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경사 가이드 레일의 일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경사 가이드 레일에 의한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정지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 4의 선 5-5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부분의 도 6의 선 8-8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선 9-9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 11-11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11,51: 상부 프레임
12,52: 하부 프레임 13,53: 측부 프레임
14,54: 우측 슬라이드 도어 15,55: 좌측 슬라이드 도어
16,22: 하부 및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 26: 추
30: 고정편 31,41: 와어어 안내부재
37: 와이어로프 40: 고정수단
50': 전면 개방부 51': 고정나사
51a: 암나사 플랜지 55b: 롤러 홈
55': 경사면 60,70: 좌측 및 우측 롤러 부재
80,85: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 80',101b:관통공
90: 경사 가이드 레일 91,92: 측벽부
93: V자 단면형상부 94: 스톱 홈
95: 스토퍼 100: 자동폐쇄 가압롤러부
101: 가이드부 101': 내향 턱부
101a: 숫나사부 102: 스프링 받침부
103: 압축스프링 104: 슬라이더부
104': 외향 턱부 105: 롤러 고정브라케트
106: 가압롤러 110: 회동레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는,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수납공간부의 전면 개방부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를 지니는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프레임 상부에 그 슬라이드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 슬라이드 도어가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그 경사면을 하향으로 가압하면서 그 경사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고,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압롤러; 상기 가압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고정브라케트;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가 함께 승강가능하도록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부에 외향 턱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 그 슬라이더부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더부의 외주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외주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내향 턱부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외향 턱부가 상승한 때에 그 외향 턱부의 하면에 걸리는 정지위치와 그 외향 턱부가 걸리지 아니하는 폐쇄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상부 프레임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부가 손잡이를 이루도록 외부로 돌출하는 회동레버;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에 탄성력을 작용시켜 슬라이드 도어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가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부분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시되고, 도 7에는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부분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회동레버(110)의 구성에 의한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선 8-8 단면도가, 도 9에는 도 8의 선 9-9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6 재지 도 9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는,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수납공간부의 전면 개방부(50')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55')과 자동폐쇄 가압롤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경사면(55')은, 슬라이드 도어(54,55)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슬라이드 도어(54,55)의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동폐쇄 가압롤러부(100)는, 가압롤러(106), 롤러 고정브라케트(105), 슬라이더부(104), 대략 원통형상의 가이드부(101), 회동레버(110) 및 압축스프링(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가압롤러(106)는, 슬라이드 도어(54,55)가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그 경사면(55')을 하향으로 가압하면서 그 경사면(55')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고, 슬라이드 도어(54,55)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상부 프레임(51)의 하단에 가이드부(101), 롤러 고정브라케트(105) 및 슬라이더부(104)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상기 롤러 고정브라케트(105)는, 가압롤러(10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슬라이더부(104)는,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105)가 함께 승강가능하도록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105)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에 외향 턱부(104')가 형성되며, 가이드부(101)의 내주에 안내되어 승강한다.
상기 가이드부(101)는, 그 슬라이더부(104)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더부(104)의 외주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하고, 그 외주에 회동레버(110)가 회동가능하도록 관통공(80',101b)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외향 턱부(104')가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아니하도록 내향 턱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레버(110)는, 가이드부(101)의 관통공(80',101b)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외향 턱부(104')가 상승한 때에 그 외향 턱부(104')의 하면이 걸리는 정지위치와 그 외향 턱부(104')가 걸리지 아니하는 폐쇄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상부 프레임(51)에 힌지축을 개재하여 지지되고, 다른 일단부는 회동을 위한 손잡이를 이루도록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03)은, 슬라이더부(104)에 탄성력을 작용시켜 슬라이드 도어(54,55)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부(101)의 내부에 내장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1)는, 상부 외주에 숫나사부(101a)가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51)에는 암나사 플랜지(51a)가 형성되어 그 암나사 플랜지(51a)에 가이드부(101)의 숫나사부(101a)를 체결함으로써 압축스프링(103)의 탄성력을 조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좌측 슬라이드 도어(55)를 밀어 개방시키면, 경사면(55')에서 가압롤러(106)가 구름운동을 하면서 경사면(55')에 가압되어 압축스프링(10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 슬라이더부(104)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 슬라이더부(104)는 가이드부(101)를 따라 안내되어 그 상승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어느 정도, 슬라이드 도어(55)가 개방된 상태에서 손을 놓으면, 도 7에서 압축스프링(103)의 가압력(F1)이 가압롤러(106)를 개재하여 경사면(55')에 작용하게 되고, 그 가압력(F1)은, 경사면(55')에 대한 면압력(F2)과 슬라이드 도어(55)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력(F3)으로 분력되고, 그 슬라이딩력(F3)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5)가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55)의 하부에서는 단순히 롤러를 설치하고 그 롤러의 구름운동을 안내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도어(55)를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서와는 달리 슬라이드 도어(55)의 상부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게 되어 냉기의 유출이 저감되게 된다. 또, 슬라이드 도어(55)가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지 아니한 채, 슬라이딩 개폐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106)는 도면에서 거의 수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압축스프링(103)의 가압방향이 슬라이드 도어(54,55)의 폐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평분력(F2)이 크게 되어 경사면(55')의 경사각이 작게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 공간부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냉기의 유출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 도어(55)를 완전히 개방시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110)를 정지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부(104)의 외향 턱부(104')에 회동레버(110)의 내측 단부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103)의 작용이 정지되게 되며, 슬라이드 도어(55)는 그 개방위치에서 정지되게 된다.
다시 회동레버(110)를 폐쇄위치로 회동시키면, 상기 내향 턱부(101')에의 걸림이 해제되어 압축스프링(103)이 작용하게 되고, 슬라이더부(104) 및 가압롤러(106)가 경사면(55')을 가압하여 그 수평분력(F3)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5)가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자동으로 폐쇄되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푸시레버(120)의 구성에 의한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8과 유사한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11에는 도 10의 선 11-11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 8 및 도 9에서와 유사하게 슬라이더부(104)에 형성된 다단의 관통공(104")이 푸시레버(120)의 단부(120')가 가이드부(121')에 안내되어 삽입됨으로써 다단으로 슬라이더부(104)의 하강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단으로 슬라이드 도어(55)가 개방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턱(120")이 그 푸시레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단순한 경사면(55'), 압축스프링(103) 및 가압롤러(106), 외향 턱부(104')와 내향 턱부(101') 및 회동레버(110)의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54,55)의 개폐슬라이딩시 그 슬라이드 도어(54,55)가 기울어지거나 경사짐이 없이 슬라이딩되게 되고, 상부 프레임(51)과의 공간부를 작게하여 냉기 유출을 저감시켜 쇼케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 도어(54,55)를 개방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피수납물을 수납공간부에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수납공간부의 전면 개방부(50')를 기밀가능하게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54,55)를 지니는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54,55)의 프레임 상부에 그 슬라이드 도어(54,55)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55');
    슬라이드 도어(54,55)가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그 경사면(55')을 하향으로 가압하면서 그 경사면(55')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고, 슬라이드 도어(54,55)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상부 프레임(51)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압롤러(106);
    상기 가압롤러(10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고정브라케트(105);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105)가 함께 승강가능하도록 그 롤러 고정브라케트(105)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부에 외향 턱부(104')가 형성된 슬라이더부(104);
    그 슬라이더부(104)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더부(104)의 외주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외주에 관통공(80',101b)이 형성되며, 하부에 내향 턱부(101')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가이드부(101);
    상기 가이드부(101)의 관통공(80',101b)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외향 턱부(104')가 상승한 때에 그 외향 턱부(104')의 하면에 걸리는 정지위치와 그 외향 턱부(104')가 걸리지 아니하는 폐쇄위치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상부 프레임(51)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부가 손잡이를 이루도록 외부로 돌출하는 회동레버(110);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104)에 탄성력을 작용시켜 슬라이드 도어(54,55)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가이드부(101)의 내부에 내장되는 압축스프링(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01)는, 상부 외주에 숫나사부(101a)가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51)에는 암나사 플랜지(51a)가 형성되어 그 암나사 플랜지(51a)에 가이드부(101)의 숫나사부(101a)를 체결함으로써 압축스프링(103)의 탄성력을 조정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의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 구조.
KR10-1998-0052898A 1998-12-03 1998-12-03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041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898A KR100419156B1 (ko) 1998-12-03 1998-12-03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898A KR100419156B1 (ko) 1998-12-03 1998-12-03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051A KR20000038051A (ko) 2000-07-05
KR100419156B1 true KR100419156B1 (ko) 2004-04-17

Family

ID=1956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898A KR100419156B1 (ko) 1998-12-03 1998-12-03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168A (zh) * 2010-01-06 2013-03-06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顶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22B1 (ko) * 2005-12-29 2007-06-19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GB2482529A (en) * 2010-08-05 2012-02-08 Quadraco Ltd Self closing door assembly
ITBS20110118A1 (it) * 2011-08-31 2013-03-01 Vetreria Valentini S R L Frigorifero comprendente un modulo di apertura/chiusura con almeno una porta scorrevole
KR101357945B1 (ko) * 2012-10-25 2014-02-03 정장훈 완충기능을 구비한 방충망의 현수부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8105A (en) * 1965-10-22 1967-06-27 True Mfg Co Inc Self-closing, sliding door assembly
JPS5614177U (ko) * 1979-07-14 1981-02-06
KR890002881U (ko) * 1987-07-16 1989-04-08 주식회사 금성사 진열장 문 개폐장치
KR940019967A (ko) * 1993-02-18 1994-09-15 류기철 중력에 의한 자동복귀 미닫이문의 설치구조
KR960033416U (ko) * 1995-04-29 1996-11-19 볼을 이용한 쇼케이스 도어 구조
KR20000019689A (ko) * 1998-09-15 2000-04-15 전주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8105A (en) * 1965-10-22 1967-06-27 True Mfg Co Inc Self-closing, sliding door assembly
JPS5614177U (ko) * 1979-07-14 1981-02-06
KR890002881U (ko) * 1987-07-16 1989-04-08 주식회사 금성사 진열장 문 개폐장치
KR940019967A (ko) * 1993-02-18 1994-09-15 류기철 중력에 의한 자동복귀 미닫이문의 설치구조
KR960033416U (ko) * 1995-04-29 1996-11-19 볼을 이용한 쇼케이스 도어 구조
KR20000019689A (ko) * 1998-09-15 2000-04-15 전주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168A (zh) * 2010-01-06 2013-03-06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顶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05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711B1 (en) Stabilized cabinet enclosure and stabilizer therefor
US3628845A (en) Refrigerator cabinet with self-closing door
US5409308A (en) Overhead cabinet with rotating door
KR102043198B1 (ko) 냉장고
US3325942A (en) Adjustable center hung door pivot
KR101357865B1 (ko) 욕실 수납장의 레일 어셈블리
KR100419156B1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US4430770A (en) Door operating mechanism
US6027193A (en) Two-part undermount drawer guide assembly with pivot member
KR100419155B1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20000019689A (ko)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JP2007303109A (ja) 懸垂引戸式ドアの開閉機構
KR100564412B1 (ko) 냉장고의 서랍 승강장치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US2652305A (en) Service door for refrigerator display cases
KR100408956B1 (ko) 리치-인타입쇼케이스의자동닫힘슬라이드도어구조의도어정지구조
KR20000038042A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KR20210000434A (ko) 냉장고 도어용 힌지 어셈블리
KR100281782B1 (ko)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쇼케이스
KR102456241B1 (ko) 냉장고
KR200497082Y1 (ko) 여닫이문의 자동 닫힘 구조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101071528B1 (ko) 가구용 도어 하부의 보조 댐핑 장치
KR19980011002U (ko) 이동식 절첩문의 상부 슬라이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