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42Y1 -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42Y1
KR200471142Y1 KR2020120010607U KR20120010607U KR200471142Y1 KR 200471142 Y1 KR200471142 Y1 KR 200471142Y1 KR 2020120010607 U KR2020120010607 U KR 2020120010607U KR 20120010607 U KR20120010607 U KR 20120010607U KR 200471142 Y1 KR200471142 Y1 KR 200471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iding door
pair
rails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신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철 filed Critical 신종철
Priority to KR2020120010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 압출성형된 레일설치용베이스와,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한쌍의 경사레일을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특수한 형태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도록 하고, 미닫이문 크기에 맞추어 레일설치용베이스와 경사레일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호환성을 높혀 주도록 하며, 설치 후에는 한쌍의 경사레일이 자연스럽게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므로 한쌍의 경사레일에 각각 미닫이문을 결합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립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사용중 경사레일의 훼손이나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도록 하며, 어느 한쪽의 경사레일이 훼손되면 이를 제거한 후 새로운 경사레일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편리하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는 수평부(110) 하측으로 한쌍의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한쌍의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이 형성되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레일설치용베이스(100)와,
양측단에 미닫이문(20) 하부의 롤러(20a)(20b)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되는 롤러접촉부(210)가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20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양분하고 최상위 높이의 롤러접촉부(210)에 롤러걸림요홈(211)을 형성한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구성하여,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의 수평부(1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에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하여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Sliding door inclined rail formation structure}
본 고안은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문을 열고 난 후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는 경사레일을 저렴한 단가로 신속하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중 훼손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만약 사용중 경사레일이 훼손되면 훼손된 경사레일만을 간편하게 분리 제거한 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은 문틀 프레임에 구비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미닫이문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를 안착시켜 각각의 미닫이문이 서로 겹치는 방향 즉, 좌측의 미닫이문은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고 우측의 미닫이문은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미닫이문 특히, 도 1에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을 진열하는 쇼케이스(10)에 설치되는 미닫이문(20)은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관계로 자주 열고 닫기 때문에 자칫 미닫이문(20)을 열어 놓은 상태로 두면 내부 냉기가 외부로 지속적으로 방출되므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사용량이 증가하고 이와 같이 전력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발생 되는 추가비용은 그대로 업주에게 전가되었다.
따라서, 업주 또는 관리자들은 수시로 열려 있는 미닫이문(20)이 없는지 살펴보아야 하며 미닫이문(20)이 열려있는 경우에는 그 즉시 달려가 닫아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함이 뒤따랐다.
이에 근자에는 미닫이문(20)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구성들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미국 특허 제3,328,105호로 개시된 중량추를 이용하는 구성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미닫이문(20)이 닫힌 상태일때 문틀과 접하는 반대쪽의 미닫이문(20) 상단에 와이어로프(21)의 일측단(21a)을 고정하고, 와이어로프(21)의 타측단(21b)은 미닫이문(20)이 닫히는 쪽의 문틀(미도시)에 설치된 고정편(22)을 경유시킨 상태에서 끝단에 중량추(23)를 고정시킨 구성이다.
이와 같은 중량추(23)를 이용하는 구성은 미닫이문(20)을 손으로 열면 와이어로프(21)가 잡아 당겨지면서 중량추(23)가 상승하게 되고, 미닫이문(20)에서 손을 떼면 자중에 의해 중량추(23)가 하강하여 미닫이문(20)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와이어로프(21), 고정편(22), 중량추(23) 등을 별도로 구입하고 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가 까다로운 것은 물론, 외부로 와이어로프(21), 고정편(22), 중량추(23) 등이 노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외관미가 좋지 못하였다.
한편, 미닫이문(20)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또 다른 구성으로서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경사레일(40)을 이용하는 구성이 있는데, 이는 상면에 롤러접촉부(4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되 최상위 높이의 롤러접촉부(41) 끝단에는 수평으로된 수평레일부(42)가 더 형성되도록 사출성형방법으로 경사레일(40)을 제조하고, 이 사출성형된 경사레일(40)을 문틀(30)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한쌍으로 고정설치한다음 이에 미닫이문(20)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된 경사레일(40)을 이용하는 구성은 미닫이문(20)을 손으로 열면 미닫이문(20)이 경사레일(40)의 상면에 형성된 롤러접촉부(41)를 따라 상향이동하였다가, 미닫이문(20)에서 손을 떼면 미닫이문(20)의 자중에 의해 하향이동하면서 미닫이문(20)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미닫이문(20)을 문틀(30) 끝까지 개방시키면 미닫이문(20) 하부에 설치된 뒷쪽 롤러(20b)가 롤러접촉부(41) 끝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레일부(42)에 위치되어지는데 이와 같이 되면 미닫이문(20) 하부에 설치된 뒷쪽 롤러(20b)와 앞쪽 롤러(20a)의 높이가 수평선상으로 위치되면서 미닫이문(20)의 자중이 뒷쪽으로 분산되면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상기 사출성형된 경사레일(40)을 이용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외관미는 좋으나, 경사레일(40)을 압출성형방법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사출성형된 경사레일(40)을 문틀(30)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한쌍으로 고정설치한다음 이에 미닫이문(20)을 결합하여야 하므로 두 개의 경사레일(40)을 한쌍이 되도록 각각 고정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은 물론, 두 개의 경사레일(40)을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설치하는 작업 또한 쉽지 않았다.
또한, 무엇보다도 쇼케이스(10)의 크기에 따라 미닫이문(20)의 크기가 달라지면 경사레일(40)의 길이 또한 미닫이문(20)의 크기에 알맞도록 달라져야 하므로, 그때 그때 상황에 알맞도록 각각의 경사레일(40)을 일일히 사출성형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따라서 사출성형된 경사레일(40)은 사용상의 호환성이 전혀 없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압출성형된 레일설치용베이스와,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한쌍의 경사레일을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특수한 형태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도록 하며,
미닫이문 크기에 맞추어 레일설치용베이스와 경사레일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호환성을 높혀 주도록 하며,
설치 후에는 한쌍의 경사레일이 자연스럽게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지므로 한쌍의 경사레일에 각각 미닫이문을 결합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립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사용중 경사레일의 훼손이나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도록 하며, 어느 한쪽의 경사레일이 훼손되면 이를 제거한 후 새로운 경사레일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편리하도록 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는 수평부 상측으로 한쌍의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 또는 하측으로 한쌍의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이 형성되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레일설치용베이스와,
양측단에 미닫이문 하부의 롤러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되는 롤러접촉부가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양분하고 최상위 높이의 롤러접촉부에 롤러걸림요홈을 형성한 한쌍의 경사레일을 구성하여,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의 수평부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 또는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에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하여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는 압출성형된 레일설치용베이스와,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한쌍의 경사레일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것이어서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잇점과,
미닫이문 크기에 맞추어 레일설치용베이스와 경사레일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호환성이 매우 높다는 잇점과,
레일설치용베이스에 형성된 레일결합홈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한쌍의 경사레일을 수직으로 결합하고 이들을 볼트로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이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사용중 경사레일의 훼손이나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어느 한쪽의 경사레일이 훼손되면 이를 제거한 후 새로운 경사레일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한 잇점이 발휘된다.
또한, 설치 후에는 한쌍의 경사레일이 자연스럽게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지므로 한쌍의 경사레일에 각각 미닫이문을 결합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은 물론,
미닫이문의 슬라이드 작동상태 또한 서로의 간섭이 없이 매우 원활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잇점들이 복합적으로 발휘된다.
도 1은 쇼케이스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미닫이문의 일 구성상태도.
도 2는 중량추를 이용하는 종래 미닫이문의 일 구성상태도.
도 3, 도 4는 사출성형된 경사레일을 이용하는 종래 미닫이문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3은 압출성형된 경사레일의 구성상태도.
도 4는 압출성형된 경사레일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작동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의 일 구성상태도로서,
도 5는 분해사시도.
도 6은 조립사시도.
도 7은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의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도 8은 분해사시도.
도 9은 조립사시도.
도 10은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를 이용하여 미닫이문을 설치하는 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를 이용하여 설치된 미닫이문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는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2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성형하여서 제작된 레일설치용베이스(100)에 역시 압출성형하여서 제작된 레일소재판(201)을 양분하여서 제작된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와 한쌍의 경사레일(2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는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 하측으로 한쌍의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한쌍의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이 형성되도록 길게 압출성형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경사레일(200)은 양측단에 미닫이문(20) 하부의 롤러(20a)(20b)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되는 롤러접촉부(210)가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20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양분하고 최상위 높이의 롤러접촉부(210)에 롤러걸림요홈(211)을 형성한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의 수평부(1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에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하여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의 수평부(1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한쌍의 경사레일(200)이 레일결합홈(111)(112)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서로 볼트(300)로 체결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구조는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와,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제작하기 위한 레일소재판(201)을 각각 압출성형하는 것이어서 제작단가가 적게 드는 것은 물론,
단일몸체로 압출성형되어진 레일설치용베이스(100)의 수평부(1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에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직으로 결합하여서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하측 문틀(30) 내부에 고정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설치 후에는 한쌍의 경사레일(200)이 자연스럽게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200)에 각각 미닫이문(20)을 결합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슬라이드 작동상태 또한 서로의 간섭이 없이 매우 원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닫이문(20)의 결합시에는 상측 문틀(30) 내부에도 하측의 경사레일(200)과 경사각을 달리하는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더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닫이문(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미닫이문(20)을 손으로 열면 미닫이문(20)이 경사레일(200)의 상면에 형성된 롤러접촉부(210)를 따라 상향이동하였다가, 미닫이문(20)에서 손을 떼면 미닫이문(20)의 자중에 의해 하향이동하면서 미닫이문(20)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미닫이문(20)이 설치된 쇼케이스 내부에 업주 또는 관리자가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품을 집어넣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미닫이문(20)을 문틀(30) 끝까지 개방시켜서 미닫이문(20) 하부에 설치된 뒷쪽 롤러(20b)가 롤러접촉부(210) 끝단에 형성된 롤러걸림요홈(211)에 위치되도록 하면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미닫이문(20) 하부에 설치된 뒷쪽 롤러(20b)가 하강하면서 롤러걸림요홈(211)에 걸림과 동시에 미닫이문(20)의 자중이 뒷쪽으로 분산되면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미닫이문(20)을 개방 정지시킨 상태에서 물품을 전부 채워놓은 다음에는 미닫이문(20)을 살짝 밀어서 미닫이문(20) 하부에 설치된 뒷쪽 롤러(20b)가 롤러걸림요홈(2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주면 뒷쪽으로 분산되었던 미닫이문(20)의 자중이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한편 사용중 어느 한쪽의 경사레일(200)이 훼손되었을 경우에는 레일설치용베이스(100)에 형성된 레일결합홈(111)(11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수직으로 결합하고 이들을 볼트(300)로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한 것이므로 볼트(300)를 풀고 훼손된 경사레일(200)을 레일결합홈(111)(112)으로 부터 빼내 제거한 후 새로운 경사레일(200)로 간편하게 교체하면 된다.
10:쇼케이스 20:미닫이문
20a,20b: 롤러 30:문틀
100:레일설치용베이스 110:수평부
111,112:레일결합홈 200:경사레일
201:레일소재판 210:롤러접촉부
211:롤러걸림요홈 300:볼트

Claims (2)

  1. 수평부(110) 하측으로 한쌍의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한쌍의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이 형성되도록 길게 압출성형된 레일설치용베이스(100)와,
    양측단에 미닫이문(20) 하부의 롤러(20a)(20b)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되는 롤러접촉부(210)가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 레일소재판(20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양분하고 최상위 높이의 롤러접촉부(210)에 롤러걸림요홈(211)을 형성한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구성하여,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의 수평부(1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에 상기 한쌍의 경사레일(200)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설치용베이스(100)의 수평부(110) 하측으로 하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1) 또는 상측으로 상향돌출된 레일결합홈(112)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한쌍의 경사레일(200)이 레일결합홈(111)(112)으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서로 볼트(300)로 체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KR2020120010607U 2012-11-20 2012-11-20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KR200471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07U KR200471142Y1 (ko) 2012-11-20 2012-11-20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07U KR200471142Y1 (ko) 2012-11-20 2012-11-20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42Y1 true KR200471142Y1 (ko) 2014-02-07

Family

ID=5141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07U KR200471142Y1 (ko) 2012-11-20 2012-11-20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11453A1 (it) * 2017-10-05 2019-04-05 Alfredo Pelis Parete composta scorrevole
KR102665913B1 (ko) 2022-12-01 2024-05-13 최익환 반자동 미닫이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746U (ko) * 1977-03-28 1978-10-20
KR20000019689A (ko) * 1998-09-15 2000-04-15 전주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KR100946306B1 (ko)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단열 복합창호
KR20130090638A (ko) * 2012-02-06 2013-08-14 신종철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제조방법 및 경사레일 형성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746U (ko) * 1977-03-28 1978-10-20
KR20000019689A (ko) * 1998-09-15 2000-04-15 전주범 자동 닫힘 슬라이드 도어구조의 리치-인 타입 쇼케이스
KR100946306B1 (ko) 2009-05-18 2010-03-09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단열 복합창호
KR20130090638A (ko) * 2012-02-06 2013-08-14 신종철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제조방법 및 경사레일 형성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11453A1 (it) * 2017-10-05 2019-04-05 Alfredo Pelis Parete composta scorrevole
WO2019069334A1 (en) 2017-10-05 2019-04-11 Pelis Alfredo COMPOSITE SLIDING WALL
KR102665913B1 (ko) 2022-12-01 2024-05-13 최익환 반자동 미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746A (en) Door sill arrangement in an elevator car
US20140137476A1 (en) Apparatus for automatic/semiautomatic door
US10327598B2 (en) Shower door assembly
CN105852709A (zh) 淋浴门
US8651590B2 (en) Leveling assembly for appliance doors
CA2500143A1 (en) Injection molded jamb supports for a sill assembly
KR200471142Y1 (ko)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형성구조
CN204212638U (zh) 一种淋浴房的上导轨结构
KR101355154B1 (ko) 미닫이문용 경사레일 제조방법 및 경사레일 형성구조
KR20150120648A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장치
CN204057607U (zh) 用于电梯的隐藏式导槽地坎
KR102010885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101364042B1 (ko) 자동문의 도어를 조립설치하기 위한 도어행거
KR20042233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CN203570119U (zh) 推拉窗用防坠安全卡合结构
KR101570469B1 (ko) 연동형 자동 도어 시스템
KR101172697B1 (ko) 미닫이 도어의 연동장치
KR101259413B1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의 도어 롤러구조
KR101851251B1 (ko)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EP3486416A1 (en) Fitting
KR20070051535A (ko) 아파트 베란다 창틀 구조.
KR20150009490A (ko) 행거방식 3연동 미닫이문
CN206088706U (zh) 一种电梯层门的防脱装置
CN204081853U (zh) 防外涨滑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