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339Y1 -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 Google Patents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339Y1
KR200422339Y1 KR2020060012376U KR20060012376U KR200422339Y1 KR 200422339 Y1 KR200422339 Y1 KR 200422339Y1 KR 2020060012376 U KR2020060012376 U KR 2020060012376U KR 20060012376 U KR20060012376 U KR 20060012376U KR 200422339 Y1 KR200422339 Y1 KR 200422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built
rail
door
low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파산업
Priority to KR2020060012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로울러가 장착되는 하부레일의 구조를 하부판(지판)의 전면에 해당되는 일정한 간격만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하부판의 크기를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붙박이장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는 붙박이장의 슬라이드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도어(150)(160)의 하부로울러(162)가 장착되는 하부레일(140)은 전면의 상부에 상향으로 일정한 간격(L)만큼 연장되는 연장면(141)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에는 하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142)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붙박이장, 장롱, 레일, 슬라이드식 도어

Description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The lower part rail of afixture furniture door}
도 1은 일반적인 붙박이장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붙박이장의 일부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붙박이장의 일부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도3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하부레일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장롱 110:상부판
120:하부판 130:상부레일
131,142:가이드홈 140:하부레일
141:연장면 150,160:도어
151,161:브라켓트 152,162:로울러
L:간격
본 고안은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로울러가 장착되는 하부레일의 구조를 하부판(지판)의 전면에 해당되는 일정한 간격만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하부판의 크기를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붙박이장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은 실내의 벽면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롱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붙박이장은 실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붙박이장에 사용되는 도어는 대부분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개방되는 일명 여닫이식 개폐도어를 배제하고, 좌,우 슬라이드딩되는 슬라이드식 개폐도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대체적인 종래의 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롱(10)의 상부판(천판:11) 전단에는 상부레일(12)이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판(지판:13)의 전단 하부에는 하부레일(14)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장롱(10)의 전면에는 내,외측 도어(20)(30)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들 도어(20)(30)의 상,하부에는 브라켓트(21)(31)에 의해 로울러(22)(32)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로울러(22)(32)는 장롱(10)의 전단에 설치되는 상,하부레 일(12)(14)에 조립되어 이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장롱의 도어가 개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는 천판이라고 하는 상부판(11)의 전단면과 지판이라고 하는 하부판(13)의 전단면의 위치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작과정상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상부판(11) 보다는 하부판(13)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이들을 제조시 항상 상,하부판으로 구분하여 제조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에서도 상,하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명확히 구분하여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장롱을 양산하는 제조과정에서 더욱 심화되어 재단, 운반, 보관, 조립 등의 여러 가지 작업과정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원가상승의 주된 요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만약, 상부레일(12)을 상부판(11)의 상면으로 위치시켜 조립하는 구조를 택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는 상부판(11)과 실내 천정면과의 사이에 지나치게 공간이 많이 형성되어 장롱(10)의 내용적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과 동시에 설치작업성 등에 따른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상,하부판(11)(13)의 길이를 달리하더라도 상부레일(12)을 상부판(11)의 전면에 설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붙박이장의 슬라이드식 도어에 있어서 하부레일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조성은 물론이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레일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압출성형하면서도 그 전단에는 장롱의 하부판의 전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일정한 간격만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하여 장롱의 하부판과 상부판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롱의 제작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3 및 도4 에서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장롱의 도어장치를 일부단면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5 및 도6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레일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슬라이드식 도어장치는 장롱(100) 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그 전단면이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이들의 전단에는 상부레일(130)과 하부레일(14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부레일(13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압출성형되어 상부판(110)의 전단면에 밀착되게 고정설치되면서 그 전단에는 내,외측 도어의 로울러가 각각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31)이 갖추어 구성된다.
또, 하부레일(140)은 역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압출성형되면서 전면에 별도의 연장면(141)을 일체로 갖추어 구성되고 하부에는 내,외측 도어의 로울러가 각각 체결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142)이 하향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면(141)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부판(1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마치 하부판(120)을 전면으로 일정한 간격(L)만큼 연장한 것과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되는 연장면(141)의 간격(L)은 상부레일(130)이 상부판(110)으로 부터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간격과 동일한 것으로, 이같이 돌출되는 간격만큼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장면(1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130)이 상부판(110)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구조적인 조건으로 인하여 그 간격(L)만큼을 보상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사각형은 물론이고,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롱(100)의 전면에는 내,외측 도어(150)(160)가 설치되는 것으 로, 이들 도어(150)(160)의 상,하부에는 브라켓트(151)(161)에 의해 상,하부로울러(152)(16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로울러(152)(162)는 장롱(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상,하부레일(130)(140)의 가이드홈(131)(142)에 각각 조립되어 이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장롱(100)의 상,하부판(110)(120)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상,하부판(110)((120)의 전면에 별도의 고정스크류를 이용하여 상,하부레일(130)(140)를 각각 조립하게 된다.
이때, 하부레일(140))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전면의 연장면(141)이 하부판(120)의 전단에 연장되는 형태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가이드홈(142)은 하부판(120)의 하부에서 하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별도의 고정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연장면(141)은 하부판(120)의 전단면에 긴밀히 밀착체결됨으로써 하부판(120)이 일정한 간격(L)만큼 연장되는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하부레일(140)의 고정력을 배가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상,하부판(110)(120)에 상,하부레일(130)(140)이 각각 고정설치되면, 이들의 상,하부레일(130)(140)에는 내,외측도어(150)(160)의 로울러(152)(162)를 체결함으로써 도어장치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판(110)(120)을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여 조립하더라도 그 전단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이고, 상,하부레일(130)(140)의 구조적인 특성 에 의해 하부판(120)에서 발생되는 간격(L)은 연장면(141)에 의해 보상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붙박이장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로울러가 장착되어 슬라이딩작동되는 하부레일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즉, 하부레일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만큼 연장면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붙박이장의 상,하부판의 크기를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등 작업성 및 제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붙박이장의 슬라이드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도어(150)(160)의 하부로울러(162)가 장착되는 하부레일(140)은 전면의 상부에 상향으로 일정한 간격(L)만큼 연장되는 연장면(141)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에는 하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142)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KR2020060012376U 2006-05-09 2006-05-09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KR200422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376U KR200422339Y1 (ko) 2006-05-09 2006-05-09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376U KR200422339Y1 (ko) 2006-05-09 2006-05-09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339Y1 true KR200422339Y1 (ko) 2006-07-25

Family

ID=4177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376U KR200422339Y1 (ko) 2006-05-09 2006-05-09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33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34B1 (ko) 2009-07-06 2012-02-15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KR101232512B1 (ko) 2012-11-20 2013-02-12 석정윤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KR101408894B1 (ko) * 2012-09-18 2014-06-17 차문환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시스템 행거
KR101963432B1 (ko) 2017-09-29 2019-03-28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KR101978854B1 (ko) 2018-11-23 2019-05-15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34B1 (ko) 2009-07-06 2012-02-15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KR101408894B1 (ko) * 2012-09-18 2014-06-17 차문환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시스템 행거
KR101232512B1 (ko) 2012-11-20 2013-02-12 석정윤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KR101963432B1 (ko) 2017-09-29 2019-03-28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KR101978854B1 (ko) 2018-11-23 2019-05-15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33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JP5118822B2 (ja) スライドガラス窓の機構
US9739080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ATE461639T1 (de) Beschlag für eckschränke
KR20170119212A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KR10141581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이동장치
KR101398354B1 (ko) 수납장의 슬림형 미닫이식 도어시스템
US20120256527A1 (en) Piece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sliding door
KR101252696B1 (ko) 미서기 또는 미닫이식 창 또는 문짝의 이탈 방지장치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JP2006249662A (ja) 連動引戸
RU155874U1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профиль
CN210622657U (zh) 一种室内移门的钢架龙骨墙面
RU99297U1 (ru) Комплект профилей, створка двери (варианты) и шкаф-купе
KR10161609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브래킷
KR10165491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롤러 브라켓
KR20130005858U (ko) 레일에 밀착되는 창의 구조
JP2017086417A (ja) 間仕切り収納ユニット
KR20120000545U (ko)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JP5479715B2 (ja) 什器の上部キャビネット構造
KR200379821Y1 (ko) 미닫이 창문이 구비된 책상칸막이
KR20100108766A (ko) 창호 시스템
JP7039360B2 (ja) 建具
KR20110135673A (ko) 서랍장용 레일부재 및 레일부재가 장착된 서랍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