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45U -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545U
KR20120000545U KR2020100007400U KR20100007400U KR20120000545U KR 20120000545 U KR20120000545 U KR 20120000545U KR 2020100007400 U KR2020100007400 U KR 2020100007400U KR 20100007400 U KR20100007400 U KR 20100007400U KR 20120000545 U KR20120000545 U KR 201200005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l
wide
door
rear support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관
Original Assignee
장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관 filed Critical 장봉관
Priority to KR2020100007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545U/ko
Publication of KR20120000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후방지지벽과, 상기 후방지지벽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후방지지벽의 전방 영역에 형성된 전방지지벽과, 상기 후방지지벽과 전방지지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부요입홈과 하부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후방지지벽의 길이방향에서 상하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와이드 도어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와이드방향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요입홈에 삽입된 제 1 판재와; 와이드 도어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와이드방향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 요입홈에 삽입된 제 2 판재와; 상기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를 상기 후방지지벽에 고정하는 다수의 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의 수를 두 개로 줄임으로써, 예컨대 도어에 하나의 큰 디자인(그림, 문양 및 모양 등)을 배치할 때 잘림이나 끊어짐 없이 배치할 수 있어서 도어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두 개의 도어로 붙박이장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를 설치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서 현장 설치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붙박이장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WIDE DOOR FOR FIXED FURNITURE}
본 고안은 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이루는 판재를 가로방향 즉 판재를 와이드 방향으로 위치시켜 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와이드 도어를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수를 줄여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며, 따라서 도어를 설치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서 붙박이장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은 실내의 벽면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롱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붙박이장은 실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장점 때문에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붙박이장에 사용되는 도어는 일명 여닫이식 도어와, 슬라이드식 도어가 있는데, 도어는 대부분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개방되는 여닫이식은 점차적으로 배제하고, 좌/우 슬라이드딩되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는 추세이고, 이들 도어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길이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설치하는 구조만이 있을 뿐이고, 도어의 길이방향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와이드 도어는 제안된바 없는 실정이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략적인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롱(10)의 상부판(천판)(11) 전단에는 상부레일(12)이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판(지판)(13)의 전단 하부에는 하부레일(14)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장롱(10)의 전면에는 내/외측 도어(20)(30)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들 도어(20)(30)의 상, 하부에는 브래킷(21)(31)에 의해 롤러(22)(32)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롤러(22)(32)는 장롱(10)의 전단에 설치되는 상/하부레일(12)(14)에 조립되어 이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장롱의 도어가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종래 붙박이장의 도어(20)(30)는 이를 형성하는 판재의 길이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사용하여 도어 개체를 형성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따라서 하나의 붙박이장에 도어를 다수 개 설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붙박이장의 도어는 도어의 길이방향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를 다수 개 설치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하나의 큰 그림이나 문양 등을 도어에 배치하려 할 때에는 그림이나 문양 등이 끊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어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없어 붙박이장 전체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도어를 다수 개 설치하기 때문에 롤러 등의 부품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현장설치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인건비가 증가하는 한편, 롤러 등의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붙박이장의 원가의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붙박이장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도어를 형성하는 두개의 판재의 길이방향을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이들 복수의 판재를 연결 고정하는 하나의 연결부재로서 두 개의 판재를 고정하여 와이드 도어를 형성함으로서, 도어의 수를 줄여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며, 따라서 도어를 설치하는 부품 수를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붙박이장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후방지지벽과, 상기 후방지지벽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후방지지벽의 전방 영역에 형성된 전방지지벽과, 상기 후방지지벽과 전방지지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상부요입홈과 하부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후방지지벽의 길이방향에서 상하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와이드 도어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와이드방향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요입홈에 삽입된 제 1 판재와; 와이드 도어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와이드방향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 요입홈에 삽입된 제 2 판재와; 상기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를 상기 후방지지벽에 고정하는 다수의 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의 수를 두 개로 줄임으로써, 예컨대 도어에 하나의 큰 디자인(그림, 문양 및 모양 등)을 배치할 때 잘림이나 끊어짐 없이 배치할 수 있어서 도어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두 개의 도어로 붙박이장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를 설치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서 현장 설치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붙박이장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붙박이장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붙박이장의 일부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장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드 도어를 형성하는 두 개의 판재를 하나의 연결부재로서 연결하는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장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드 도어를 형성하는 두 개의 판재를 하나의 연결부재로서 연결하는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조립 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붙박이장에 사용되는 와이드 도어(50)를 구성하기 위해, 제 1 판재(100)와, 제 2 판재(200)와 상기 제 1 판재(100) 및 제 2 판재(200)의 와이드 방향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300)는 길이방향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 좌우 나사공(301)이 다수 형성된 후방지지벽(3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지지벽(302)과 일정한 거리를 둔 전면에는 전방지지벽(3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지지벽(303)과 후방지지벽(302)은 연결부(304)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방지지벽(303)과 후방지지벽(302)의 사이에는 상부요입홈(305)과 하부요입홈(306)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요입홈(305)에는 와이드 도어(50)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제 1 판재(100)의 와이드 방향의 일 측면이 삽입되어 다수의 나사(310)로서 고정되며, 하부요입홈(306)에는 와이드 도어(50)를 형성하며 와이드 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제 2 판재(200)의 와이드 방향의 일 측면이 삽입되어 다수의 나사(310)로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판재(100)와 제 2 판재(200)에 의해 형성된 와이드 도어(50)의 상하면 및 좌우측면은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별도의 테두리부재(도시치 않음)로 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와이드 도어(50)를 구성하는 제 1 판재(100)와 제 2 판재(200)를 하나의 연결부재(300)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도어를 와이드 도어(50)로 형성할 수 있어서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이드 도어의 슬라이딩을 위한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있다.
50 : 와이드도어, 100 : 제 1 판재, 200 : 제 2 판재, 300 : 연결부재, 301 : 나사공, 302 : 후방지지벽, 303 : 전방지지벽, 304 : 연결부, 305 : 상부요입홈, 306 : 하부요입홈, 310 : 나사

Claims (1)

  1.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후방지지벽(302)과, 상기 후방지지벽(302)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후방지지벽(302)의 전방 영역에 형성된 전방지지벽(303)과, 상기 후방지지벽(302)과 전방지지벽(303)을 연결하는 연결부(304)로 이루어져 상부요입홈(305)과 하부요입홈(30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04)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후방지지벽(302)의 길이방향에서 상하 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공(301)이 형성된 연결부재(300)와;
    와이드 도어(50)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와이드방향의 일 측면이 상기 상부요입홈(305)에 삽입된 제 1 판재(100)와;
    와이드 도어(50)를 형성하며 와이드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된 채 와이드방향의 일 측면이 상기 하부요입홈(306)에 삽입된 제 2 판재(200)와;
    상기 제 1 판재(100) 및 제 2 판재(200)를 상기 후방지지벽(302)에 고정하는 다수의 나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구조.
KR2020100007400U 2010-07-14 2010-07-14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KR201200005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00U KR20120000545U (ko) 2010-07-14 2010-07-14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00U KR20120000545U (ko) 2010-07-14 2010-07-14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45U true KR20120000545U (ko) 2012-01-20

Family

ID=4584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400U KR20120000545U (ko) 2010-07-14 2010-07-14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5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9100C2 (ru) Мебельный модуль
KR101199523B1 (ko)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용 창틀프레임
US8605442B2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2233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하부레일
JP2017002580A (ja) 移動間仕切装置
JP2010196427A (ja) 間仕切り壁のフレーム構造及び間仕切り壁
KR20130136664A (ko) 폴딩도어용 롤러
KR101252696B1 (ko) 미서기 또는 미닫이식 창 또는 문짝의 이탈 방지장치
KR20120000545U (ko) 붙박이장용 와이드 도어 결합 구조
RU149758U1 (ru) Профиль дверной коробки и дверная коробк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профиль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101250254B1 (ko) 방화문의 힌지장치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20110000699U (ko)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KR100687802B1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KR20140032683A (ko) 가설 방음판의 후면판넬 및 상기 가설 방음판
KR20160088140A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장
KR20130002472A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KR101418828B1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이장
CN216364281U (zh) 转角柜
JP6669697B2 (ja) 間仕切パネル
KR200379821Y1 (ko) 미닫이 창문이 구비된 책상칸막이
JP2009299442A (ja) サッシ
KR200362220Y1 (ko) 확장 가변형 창호의 창틀결합용 브라켓 개선구조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