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472A -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472A
KR20130002472A KR1020110063442A KR20110063442A KR20130002472A KR 20130002472 A KR20130002472 A KR 20130002472A KR 1020110063442 A KR1020110063442 A KR 1020110063442A KR 20110063442 A KR20110063442 A KR 20110063442A KR 20130002472 A KR20130002472 A KR 2013000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t
connecting members
frame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메탈프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탈프린스 filed Critical (주)메탈프린스
Priority to KR102011006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472A/ko
Publication of KR2013000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붙박이장의 기둥을 형성하되 알루미늄(Al)으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되는 다수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기 통공을 통해 연결되되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연결아암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들을 붙박이장이 시공되는 방의 천장, 방의 방바닥 및 방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형성되는 연결아암들이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부를 형성하는 제1 간격유지구와, 상기 제1 간격유지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간격유지구를 구비하는 다수의 간격유지부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교차되게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가로 프레임; 상기 제1 가로 프레임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2 가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격벽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제2 연결부재; 한 쌍의 상기 세로 프레임, 상기 제1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격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붙박이장의 측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전면부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레일 프레임; 상기 도어 레일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도어; 및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외측으로 시공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 완료된 붙박이장의 좌우상하에 틈새(gap)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시공현장으로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와 달리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기 시 환경 및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으로도 우수하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CONSTRUCTURE FOR FURNITURE USING ALUMINUM FR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 완료된 붙박이장의 좌우상하에 틈새(gap)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시공현장으로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와 달리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기 시 환경 및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으로도 우수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에는 수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붙박이장이 설치된다.
붙박이장은 일측 벽면을 매몰시켜 장을 형성하거나 아니면 벽면 전체를 하나의 통 구조로 만들어 수납공간을 형성한 것으로서 일반 장롱에 비해 벽면의 공간을 컴팩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붙박이장에는 외측도어를 비롯하여 내측도어, 중간도어 등 다양한 도어들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한편, 붙박이장은 방의 사이즈를 미리 재단한 후 재단된 정보에 맞게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하여 시공현장으로 옮긴 다음, 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가 보편적인데, 이러한 경우, 제작 및 조립 공차로 인해 붙박이장의 좌우상하에 틈새(gap)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장에서 붙박이장을 조립하여 시공현장으로 옮기는 경우, 붙박이장의 운반 및 이동이 번거로우며, 특히 조립 또는 재단된 붙박이장을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통해 시공현장으로 옮기는 일에 더더욱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붙박이장 전체를 PB 합판(인조합판) 또는 MDF 합판 등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며, 특히 붙박이장을 교체 또는 해체하여 폐기할 때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폐기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기 시 환경 및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는 단점이 야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 완료된 붙박이장의 좌우상하에 틈새(gap)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시공현장으로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와 달리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기 시 환경 및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으로도 우수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붙박이장의 기둥을 형성하되 알루미늄(Al)으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되는 다수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기 통공을 통해 연결되되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연결아암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들을 붙박이장이 시공되는 방의 천장, 방의 방바닥 및 방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형성되는 연결아암들이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부를 형성하는 제1 간격유지구와, 상기 제1 간격유지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간격유지구를 구비하는 다수의 간격유지부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교차되게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가로 프레임; 상기 제1 가로 프레임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2 가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격벽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제2 연결부재; 한 쌍의 상기 세로 프레임, 상기 제1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격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붙박이장의 측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전면부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레일 프레임; 상기 도어 레일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도어; 및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외측으로 시공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 완료된 붙박이장의 좌우상하에 틈새(gap)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시공현장으로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와 달리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기 시 환경 및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1 연결부재 영역의 확대 조립 구조도,
도 3은 제2 연결부재 영역의 확대 조립 구조도,
도 4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1 연결부재 영역의 확대 조립 구조도, 도 3은 제2 연결부재 영역의 확대 조립 구조도, 그리고 도 4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붙박이장은 종래와 달리 알루미늄으로 된 다수의 부품들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되는 것으로서, 세로 프레임(10), 제1 연결부재(20), 간격유지부재(30), 제1 가로 프레임(40), 제2 가로 프레임(50), 격벽 프레임(60), 제2 연결부재(70), 패널(80)들이 다수 개 소요되며, 최종적으로는 도 4처럼 도어 레일 프레임(91), 내측 및 외측 도어(92,93), 그리고 마감부재(94)가 설치된다.
이러한 부속물 중에서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제2 가로 프레임(50), 그리고 격벽 프레임(60)은 조립되는 위치 혹은 방향, 그리고 그 길이가 서로 상이할 뿐 동일한 형상의 압출재이다. 즉 알루미늄에 의한 압출에 의해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제2 가로 프레임(50), 그리고 격벽 프레임(60)이 제작될 수 있다.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제2 가로 프레임(50), 그리고 격벽 프레임(60)에는 각각 중앙에 통공(10a,40a,50a,60a)과 사이드에 슬롯(10b,40b,50b,60b)이 형성된다.
다른 것들과 달리 붙박이장의 기둥을 형성하는 세로 프레임(10)의 길이가 제일 길며, 세로 프레임(10)들은 시공현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1 가로 프레임(4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20) 사이에서 세로 프레임(10)과 교차되게 제1 연결부재(20)들에 결합된다. 제2 가로 프레임(50)은 제1 가로 프레임(4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역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20) 사이에서 제1 연결부재(20)들에 결합된다. 그리고 격벽 프레임(60)은 세로 프레임(10)들 사이에서 제1 가로 프레임(4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 및 제1 가로 프레임(40)과 함께 패널(80)이 설치되는 틀을 형성한다. 격벽 프레임(60)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패널(80)의 사이즈를 고려하면 격벽 프레임(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1 연결부재(20)들은 세로 프레임(10)들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배치되어 세로 프레임(10)들과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40,50)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30)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1 연결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그리고 제2 가로 프레임(50)의 통공(10a,40a,50a)들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연결아암(31)이 형성된다.
간격유지부재(30)는 제1 연결부재(20)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세로 프레임(10)들을 붙박이장이 시공되는 방의 천장, 방의 방바닥 및 방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치별로 그 방향만이 상이할 뿐 간격유지부재(30)들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이러한 간격유지부재(30)는 제1 연결부재(20)에 형성되는 연결아암(31)들이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부(32)를 형성하는 제1 간격유지구(31)와, 제1 간격유지구(31)의 나사부(32)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간격유지구(33)를 구비한다. 이에, 도 2의 확대 그림처럼 제1 간격유지구(31)를 제1 연결부재(20)의 연결아암(31)에 연결시키고, 제2 간격유지구(33)를 예컨대 천장 등에 배치한 후, 제1 및 제2 간격유지구(31,33)를 상대 회전시키면 나사부(32)의 작용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간격유지구(31,33)가 서로 좁혀지거나 벌어지면서 세로 프레임(10)들을 붙박이장이 시공되는 방의 천장, 방의 방바닥 및 방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제2 연결부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10)들 사이에서 제1 가로 프레임(40)과 나란하게 격벽 프레임(60)을 조립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연결부재(70)에는 세로 프레임(10)의 슬롯(10b)에 레일식으로 맞물림되면서 삽입되는 삽입부(71)가 형성된다.
패널(80)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및 격벽 프레임(6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붙박이장의 측벽을 형성한다. 즉 패널(80)은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및 격벽 프레임(60)에 형성되는 슬롯(10b,40b,60b)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어 붙박이장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레일 프레임(91)은 세로 프레임(10)들의 전면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측 및 외측 도어(92,93)는 도어 레일 프레임(9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붙박이장의 전면을 개폐한다. 마감부재(94)는 방의 벽면과 세로 프레임(10)들 사이에 시공되어 외장의 미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공현장에서 붙박이장의 기둥을 형성하되 알루미늄(Al)으로 제작된 다수의 세로 프레임(1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는 세로 프레임(10)들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연결부재(20)의 일측을 삽입한다.
다음, 제1 연결부재(20)의 상부, 하부 및 양측부에 간격유지부재(30)를 결합시켜 세로 프레임(10)들을 붙박이장이 시공되는 방의 천장, 방의 방바닥 및 방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시킨다.
다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20) 사이에 세로 프레임(10)과 교차되게 다수의 제1 가로 프레임(40)과 다수의 제2 가로 프레임(50)을 제1 연결부재(20)들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다음, 제1 가로 프레임(40)이 연결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들에 각각 제2 연결부재(70)를 삽입한 후에 제2 연결부재(70)를 통해 제1 가로 프레임(40)과 나란하게 격벽 프레임(60)을 설치한다. 그리고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 제1 가로 프레임(40) 및 격벽 프레임(6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패널(80)을 삽입하여 붙박이장의 측벽을 형성한다.
다음, 세로 프레임(10)들의 전면부 일측에 도어 레일 프레임(91)을 설치한 후, 도어 레일 프레임(91)에 내측 및 외측 도어(92,93)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나서 최종적으로 마감부재(94)를 시공함으로써 붙박이장을 종래와 달리 간편하게 현장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본 실시예의 붙박이장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 완료된 붙박이장의 좌우상하에 틈새(gap)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시공현장으로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와 달리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기 시 환경 및 공해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붙박이장은 안방 등의 장롱으로 활용될 수도 있고 드레스룸의 옷장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붙박이장은 천장과 후벽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나 이 곳에도 마감패널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세로 프레임 20 : 제1 연결부재
30 : 간격유지부재 40 : 제1 가로 프레임
50 : 제2 가로 프레임 60 : 격벽 프레임
70 : 제2 연결부재 80 : 패널
91 : 도어 레일 프레임 92,93 : 내측 및 외측 도어
94 : 마감부재

Claims (1)

  1. 붙박이장의 기둥을 형성하되 알루미늄(Al)으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되는 다수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기 통공을 통해 연결되되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연결아암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들을 붙박이장이 시공되는 방의 천장, 방의 방바닥 및 방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시키되,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형성되는 연결아암들이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부를 형성하는 제1 간격유지구와, 상기 제1 간격유지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간격유지구를 구비하는 다수의 간격유지부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교차되게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1 가로 프레임;
    상기 제1 가로 프레임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들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2 가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제1 가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격벽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제2 연결부재;
    한 쌍의 상기 세로 프레임, 상기 제1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격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붙박이장의 측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전면부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레일 프레임;
    상기 도어 레일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도어; 및
    상기 세로 프레임들의 외측으로 시공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KR1020110063442A 2011-06-29 2011-06-29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KR20130002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442A KR20130002472A (ko) 2011-06-29 2011-06-29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442A KR20130002472A (ko) 2011-06-29 2011-06-29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72A true KR20130002472A (ko) 2013-01-08

Family

ID=4783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442A KR20130002472A (ko) 2011-06-29 2011-06-29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4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0966A (zh) * 2018-12-28 2019-04-09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一种垛位架及搭设方法
KR20230030878A (ko) * 2021-08-26 2023-03-07 김건영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0966A (zh) * 2018-12-28 2019-04-09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一种垛位架及搭设方法
CN109590966B (zh) * 2018-12-28 2023-10-27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一种垛位架及搭设方法
KR20230030878A (ko) * 2021-08-26 2023-03-07 김건영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004B2 (en) Reconfigurable room partitioning system
KR101381408B1 (ko) 조립주택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조립주택 시공방법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130002472A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JPH10102643A (ja) 間仕切り構造
KR102380240B1 (ko) 학습용 부스
JP2016164337A (ja) 建物の外壁構造および外壁パネル
US20220162900A1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20130002473A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방법
JP2016037750A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ドア装置
KR20080057962A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JP2022158222A (ja) 組立式二段ベッドと組立式二段ベッド組立方法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JP5453833B2 (ja) 間仕切り壁の構造
CN211472866U (zh) 一种具有可拼装骨架的音乐房
JPS588859Y2 (ja) 建物用無目の構造
JP2018123601A (ja) 間仕切り用パネル
JP2009121155A (ja) 建具構造
JP2019085800A (ja) 屋内居住空間リフォーム構法及び屋内居住空間リフォーム体
JP7155828B2 (ja) 収納システム
KR100763978B1 (ko) 베란다의 분할조립형 세대간 칸막이
JP2010018963A (ja) 間仕切り用格子構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施工方法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JP7087312B2 (ja) 建築物
KR101558128B1 (ko) 욕실용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