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240B1 - 음료수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음료수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240B1
KR100975240B1 KR1020077007898A KR20077007898A KR100975240B1 KR 100975240 B1 KR100975240 B1 KR 100975240B1 KR 1020077007898 A KR1020077007898 A KR 1020077007898A KR 20077007898 A KR20077007898 A KR 20077007898A KR 100975240 B1 KR100975240 B1 KR 10097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cold water
beverag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171A (ko
Inventor
다까노부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26Heate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인 박스(22)의 주수구(23)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5)의 각 하류 단부를, 병설된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에 각각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양 탱크의 각 바닥부측을 연통하는 연통관(28)에, 상기 연통관 내를 개폐하는 전자기 개폐 밸브(29)를 설치했다. 그리고, 온수 탱크에서 가열된 온수를, 자연 대류에 의해 분기관으로부터 주수관을 경유하여 냉수 탱크에 유입시키고, 또한 연통관을 통해 온수 탱크 내에 순환시키도록 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의 순환용 펌프 등을 폐지할 수 있으므로, 기기류 자체의 비용의 저감화와, 배관 구조의 간소화 등이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백 인 박스, 주수구, 분기관, 냉수 탱크, 연통관, 개폐 밸브

Description

음료수의 디스펜서{DISPENSER FOR DRINKING WATER}
본 발명은 음료수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 탱크 내의 온음료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 계통 전체에 순환시켜 살균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수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음료수의 디스펜서로서는, 종래부터 다양한 것이 제공되고, 그 중 하나로서 이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개략을 설명하면, 이 디스펜서는, 냉장고 내에 수용된 음료수가 채워 넣어진 용기(백 인 박스)로부터 음료수를 공급 배관을 통해 음용에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공급 배관 중에, 음료수를 저류하는 가열기를 구비한 온수 탱크와, 냉각기를 구비한 냉수 탱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를 연통 배관에 의해 연통시키고 있는 동시에, 상기 연통 배관에 순환용 펌프와 순환용 전자기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야간이나 휴일 등의 상기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순환용 전자기 밸브를 개방 작동시켜 상기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를 연통 배관에 의해 연통시키는 동시에, 상기 순환용 펌프를 작동시키고, 가열기에 의해 비교적 고온이 된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 계통의 전체에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배관 계통을 살균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1-190577호 공보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디스펜서에 있어서는, 온수 주출(注出) 코크와 냉수 주출 코크가, 삼방 커넥터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사용되면, 공급 배관 내의 음료수의 수위가 저하한다. 이로 인해, 배관 계통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순환용 펌프를 이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순환용 펌프 기기나 이것의 제어 기기 자체의 비용의 증가가 부득이한 동시에, 장치의 유지 보수에 드는 공정수가 증가해 버린다. 또한, 기기류의 증가에 의해 전체의 배관 구조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 작업 능률의 저하와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순환용 펌프 등의 기기류를 폐지하는 동시에, 배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배관 계통을 살균할 수 있는 음료수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음료수가 채워 넣어진 용기의 주수구(注水口)로부터 주출된 음료수를, 배관 계통을 통해 음료수 주출 코크로부터 공급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이며, 상기 배관 계통 중에, 음료수를 각각 저류하는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냉수 탱크는 냉각기를 갖는 동시에, 상기 온수 탱크는 가열기를 갖고, 상기 주수구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통로의 각 하류측을, 상기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에 각각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양 탱크를,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갖는 연통로에 의해 연통하고,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를, 상기 주수구보다 낮고 또한 상기 분기 통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사용되어, 배관 계통 내의 음료수의 수위가 저하해도, 음료수 주출 코크의 배치 위치가 상기 분기 통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음료수는,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의 양방에 가득 채워진 상태가 되는 것은 물론, 분기 통로 내에도 충분히 가득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가령 배관 계통 내의 음료수의 수위가 소정 이하로 저하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을 행하기 위해 온수 탱크의 온수가 분기 통로로부터 냉수 탱크로, 또한 연통로를 통해 온수 탱크 내에 항상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예로 들어, 배관 계통 내의 음료수의 수위가 소정 이하로 저하해도, 배관 계통을 항상 효과적으로 살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관 계통 내의 음료수의 수위가 저하하고, 음료수 주출 코크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할 수 없게 되면, 사용자는, 음료수가 채워 넣어진 용기 내의 음료수가 비어 있는 것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순환용 펌프 등의 기기류가 완전히 불필요해지므로, 비용이나 유지 보수에 드는 공정수의 저감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배관 구조를 충분히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 작업이 용이해지고, 이 점에서도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연통로에 의해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부측과 상기 온수 탱크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배관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수 탱크 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 계통 전체에 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코크와,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따르면, 온음료수 및 냉음료수를 음용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장치의 배관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수 탱크 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계 전체에 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따르면, 냉음료수를 음용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장치의 배관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수 탱크 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계 전체에 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들의 발명에 따르면, 온음료수를 음용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장치의 배관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수 탱크 내에서 가열된 온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계 전체에 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을, 상기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이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큰 것이기 때문에, 온수 탱크 내에서 만들어진 고온 다량의 온수를 냉수 탱크를 포함하는 배관 계통 전체에 충분하고 또한 신속하게 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살균 효과가 향상한다.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수 탱크의 상단부를 상기 냉수 탱크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했기 때문에, 가열기에 의한 온수 탱크 내의 온수의 가열 효율이 향상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음료수의 디스펜서의 각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즉,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펜서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스형의 냉장고(21) 내에 수용되고, 음료수가 채워 넣어진 용기인 백 인 박스(bag-in-box)(22)와, 상기 백 인 박스(22)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내부에 주수구(23)가 형성된 주수관(24)과, 상기 주수관(24)의 하류 단부에 접속되고, 통로가 좌우로 분기된 분기 통로인 대략 수평한 분기관(25)과, 상기 분기관(25)의 양단부측 하류부가 접속된 냉수 탱크(26) 및 온수 탱크(27)와, 상기 양 탱크(26, 27)의 바닥부(26a, 27a)측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로인 연통관(28)과, 상기 연통관(28)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관(28)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인 전자기 개폐 밸브(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백 인 박스(22) 내의 음료수는, 미네랄 워터가 채워져 있지만, 반드시 미네랄 워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는, 병렬로 배치되어 바닥부(26a, 27a)의 높이가 대략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온수 탱크(27)의 쪽이 상방으로 약간 연장되어 냉수 탱크(26)보다도 큰 용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6)의 상단부 외주에는 내부의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기(30)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 온수 탱크(27)의 하단부 외주에는 내부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히터 가열기(3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의 각 상단부에는 냉수, 온수 주출관(32, 33)이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이 각 주출관(32, 33)에 냉수 주출 코크(34)와 온수 주출 코크(3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주출관(32)에는 가열 히터(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27)의 상단부에는, 내부의 음료수의 가열 팽창을 흡수하는 흡수용 관(37)이 대략 수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 개폐 밸브(29)는, 일방향 밸브이며,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로부터 전자기 코일에 출력된 제어 전류에 의해 개폐 작동하고, 디스펜서의 통상 사용시에는,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전류가 차단되어, 내부의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가 연통관(28)을 폐지하는 반면, 심야 등의 소정의 시간대가 되면,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제어 전류에 의해 연통관(28)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주출 코크(34)와 온수 주출 코크(35)는, 그 높이 위치(H)가, 상기 각 주출관(32, 33)을 통해 상기 백 인 박스(22)의 주수구(23)보다 낮고 또한 상기 분기관(25)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 주출 코크(34, 35)의 내부의 상단부가 주수구(23)보다 낮고, 또한 양 주출 코크(34, 35)의 내부의 하단부가 분기관(25)의 내부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 추출 코크(34, 35)의 내부의 상단부가 상기 냉장고(21)의 내부의 하단부보다 낮고, 또한 양 추출 코크(34, 35)의 내부의 하단부가 분기관(25)의 내부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 추출 코크(34, 35)는, 서로 다른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디스펜서의 통상의 사용시에는, 장치의 상부에 장착된 백 인 박스(22) 내의 음료수는, 냉장고(21) 내에서 약 4 ℃ 내지 10 ℃로 냉각되면서 잡균의 번식이 억제되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주수구(23)로부터 분기점(P)을 거쳐서 분기관(25) 내에서 좌우로 분류되면서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 내에 직접 또한 동시에 공급된다.
그 후, 각 탱크(26, 27) 내에서, 냉각기(30)나 히터 가열기(31)에 의해 약 4 ℃ 내지 10 ℃로 냉각 혹은 약 80℃ 내지 90 ℃로 가열되어, 각 냉수 주출 코크(34) 및 온수 주출 코크(35)로부터 음용에 제공되는 것이 된다.
한편, 심야 등의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전자기 개폐 밸브(29)가 연통관(28)을 개방하는 동시에, 냉각기(30)의 작동이 정지되고, 또한 히터 가열기(31)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를 살균 능력이 있는 온도, 예를 들어 약 49 ℃ 이상에서 소정의 시간 가열한다.
가열된 온수는, 도1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연 대류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27) 내로부터 상승 유동하여, 그 일부가 온수 주출관(33) 내에 유입되어 온수 주출 코크(35)의 각 부를 살균하는 동시에, 그 대부분이 분기관(25) 내에 유입되고, 또한 냉수 탱크(26) 내에 유입된다. 여기서 냉수 탱크(26) 내의 냉수에 대류에 의해 혼합하여 음료수를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분기관(25) 내의 온수는, 그 일부가 주수관(24) 내에 유입되어 주수관(24)의 각 부도 살균한다.
그 후, 냉수 탱크(26) 내에서 약간 온도가 저하된 온수는, 냉수 탱크(26)의 바닥부(26a)로부터 연통관(28) 내를 통류하여 온수 탱크(27) 내로 복귀하고, 여기서 다시 가열되어 냉수 탱크(26) 등을 포함하는 배관 계통 전체에 고루 퍼져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각 부를 살균한다.
또한, 상기 냉수 탱크(26) 내의 온수는, 그 일부가 냉수 주출관(32) 내에 유입되어 냉수 주출 코크(34)의 각 부도 살균한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열 히터(36)를 작동시켜 냉수 주출관(32) 내와 냉수 주출 코크(34)의 각 부를 적극적으로 가열 살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가 약 80 ℃ 내지 90 ℃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 탱크(27), 온수 추출관(33) 및 온수 추출 코크(35)는 항상 살균되어 있는 상태에 있지만,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가 살균 능력이 없는 온도, 예를 들어 약 49 ℃보다 아래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자연 대류에 수반하여, 온수 탱크(27), 온수 추출관(33) 및 온수 추출 코크(35)도 가열 살균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 인 박스(22)로부터 주출된 음료수는, 분기관(25)에 의해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의 양방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를 대략 동일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 주출 코크(35)와 냉수 주출 코크(34)의 양방을 상기 양 탱크(26, 27) 상방의 높은 위치, 즉 장치의 상방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매우 양호해진다.
또한, 장치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백 인 박스(22)의 적재 높이를 내리고, 온수 내지 냉수의 주출구 코크(34, 35)의 높이를 올리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순환용 펌프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와 같은 순환용 펌프나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 기기 등이 완전히 불필요해지므로, 배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즉, 배관 계통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27) 내의 온수를, 분기관(25)으로부터 주수관(24) 및 냉수 탱크(26)에, 또한 연통관(28)을 통해 온수 탱크(27)로 온수를 자연 대류에 의해 배관 계통 전체에 순환시키므로, 상기 디스펜서의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배관 계통을 효과적으로 살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배관 구조를 충분히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또한,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가 사용되어, 배관 계통 내의 음료수의 수위가 저하해도, 온수 주출 코크(35)와 냉수 주출 코크(34)의 배치 위치(H)가 상기 분기관(25)보다도 높은 위치 있기 때문에, 음료수는, 도2의 흑색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상 냉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7)의 양방에 가득 채워진 상태에 있는 동시에, 분기관(25) 내에도 가득 채워진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각 주출 코크(34, 35)로부터 냉수나 온수를 주출할 수는 없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을 행하기 위해 온수 탱크(27)의 온수가 분기관(25)으로부터 주수관(24) 및 냉수 탱크(26)로, 나아가서는 연통관(28)을 통해 온수 탱크(27) 내로 항상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가령, 배관 계통 내의 음료수가 부족해도,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배관 계통을 효과적으로 살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주출 코크(34, 35)로부터의 주출을 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이 상태에 의해 백 인 박스(22) 내의 음료수가 비어 있는 것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다. 즉, 백 인 박스(22)의 교환 시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27)의 용적이 냉수 탱크(26)의 용적보다도 크기 때문에, 온수 탱크(27) 내에서 만들어진 고온 다량의 온수를 냉수 탱크(26)를 포함하는 배관 계통 전체에 충분하고 또한 신속하게 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냉수 탱크(26) 내 등의 음료수의 온도 상승 속도가 빨라지는 동시에, 살균 효과가 향상한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27)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했기 때문에, 히터 가열기(31)에 의한 온수 탱크(27) 내의 온수의 대류성이 양호해져 가열 효율이 향상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기본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위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온수 탱크(27)측의 온수 주출 코크(35)를 폐지하여, 냉수 탱크(26)측의 냉수 주출 코크(34)만을 설치한 것이고, 따라서, 음료수로서는 냉수만의 사용으로 된다.
그리고, 디스펜서의 통상의 사용시에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히터 가열기(31)로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27) 내의 물은 대략 상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30)는, 제어기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작동되어, 냉각 탱크(26) 내의 음료수가 소정 온도까지 냉각된다. 이때, 전자기 개폐 밸브(29)는, 제어기에 의해 폐 작동 상태로 제어되고, 냉각 탱크(26)와 온수 탱크(27)와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야간 등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히터 가열기(31)에 통전되어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반면, 상기 냉각기(30)에는, 상기 히터 가열기(31)로의 통전 후, 소정 시간까지 통전되어 냉각 탱크(26) 내의 음료수를 냉각한다. 동시에 전자기 개폐 밸브(29)를 개방 작동시켜, 연통관(28)을 통해 냉각 탱크(26)와 온수 탱크(27)를 연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의 미사용시에는, 히터 가열기(31)를 작동시켜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온수를 주수관(23)이나 분기관(25) 및 냉각 탱크(26), 연통관(28) 등을 포함한 배관계 전체가 가열되어, 상기 배관 계통 전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이 가열 온도는 약 56 ℃ 내지 60 ℃ 정도로 설정되고, 또한 가열 시간은 적어도 약 10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의 가열 조건을 만족하면, 충분한 살균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배관의 길이나 탱크 용량 등에 의해 가열 온도나 가열 시간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상기 냉각기(30)를 당초 일시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냉각 탱크(26) 내와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의 온도차나 밀도차가 커지기 때문에, 배관계 내의 음료수의 자연 대류가 활발해져 배관 계통 전체의 음료수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냉각기(30)로의 통전은, 당초의 일정한 시간만이기 때문에, 냉각 탱크(26) 내의 음료수도 온수 탱크(27) 내로부터 자연 대류해 온 온수에 의해 신속하게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펜서의 미사용시에는, 냉수 주출관(32)에 설치된 가열 히터(36)도 작동시켜도 좋고, 상기 냉수 주출관(32) 및 상기 냉수 주출관(32) 내에 체류한 음료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살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수 주출 코크(35)를 폐지하는 동시에, 디스펜서의 사용시에는 히터 가열기(31)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배관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는 것은 물론,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기본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위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수 탱크(26)측의 냉수 주출 코크(34)를 폐지하여, 온수 탱크(27)측의 온수 주출 코크(35)만을 설치한 것이고, 따라서, 음료수로서는 온수만의 사용으로 된다.
그리고, 디스펜서의 통상의 사용시에는, 상기 냉각기(30)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작동이 정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냉각 탱크(26) 내의 음료수가 상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히터 가열기(31)에 통전되어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가 소정의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전자기 개폐 밸브(29)는, 제어기에 의해 폐 작동 상태로 제어되어, 냉각 탱크(26)와 온수 탱크(27)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또한, 야간 등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 가열기(31)에 소정 시간만 연속하여 통전되어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반면, 상기 냉각기(30)는, 디스펜서의 미사용 시간이 된 시점에서 시작하여 일시적으로 통전되어 냉각 탱크(26) 내의 음료수를 냉각한다. 동시에 전자기 개폐 밸브(29)를 개방 작동시켜, 연통관(28)을 통해 냉각 탱크(26)와 온수 탱크(27)를 연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히터 가열기(31)에 의한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의 가열 온도나 가열 시간 등은 제2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의 미사용시에는, 히터 가열기(31)의 작동을 계속시켜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온수를 주수관(23)이나 분기관(25) 및 냉각 탱크(26), 연통관(28) 등을 포함한 배관계 전체가 가열되어, 상기 배관 계통 전체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기(30)를 당초 일시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냉각 탱크(26) 내와 온수 탱크(27) 내의 음료수의 온도차나 밀도차가 커지기 때문에, 배관계 내의 음료수의 자연 대류가 활발해져 배관 계통 전체의 음료수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냉각기(30)로의 통전은, 당초의 일정한 시간만이기 때문에, 냉각 탱크(26) 내의 음료수도 온수 탱크(27) 내로부터 자연체해 온 온수에 의해 신속하게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도, 냉수 주출 코크(34)를 폐지하는 동시에, 디스펜서의 사용시에는 냉각기(3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배관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는 것은 물론,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백 인 박스(22)는 반드시 냉장고(21)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상기 백 인 박스(22)의 하단부에, 내부에 주수구(23)가 형성된 주수관(24)이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 양 추출 코크(34, 35)는, 그 높이 위치(H)가, 상기 각 추출관(32, 33)을 통해 상기 백 인 박스(22)의 주수구(23)와 동등하고 또한 상기 분기관(25)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 추출 코크(34, 35)의 내부의 상단부가 주수구(23)와 동등하고, 또한 양 추출 코크(34, 35)의 내부의 하단부가 분기관(25)의 내부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주출관(24)에 백 인 박스(22)로부터 분기관(25) 방향으로만 음료수의 통류를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27) 내의 온수가 백 인 박스(22)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1)

  1. 음료수가 채워 넣어진 용기의 주수구로부터 주출된 음료수를, 배관 계통을 통해 음료수 주출 코크로부터 공급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이며,
    상기 배관 계통 중에, 음료수를 각각 저류하는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냉수 탱크는 냉각기를 갖는 동시에, 상기 온수 탱크는 가열기를 갖고,
    상기 주수구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통로의 각 하류측을, 상기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에 각각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양 탱크를,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연통로에 의해 연통하고,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를, 상기 주수구보다 낮고 또한 상기 분기 통로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자연 대류에 의해 배관 계통 전체에 순환시켜,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배관 계통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에 의해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부측과 상기 온수 탱크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코크와,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코크와,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주출 코크는,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코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을, 상기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을, 상기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을, 상기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을, 상기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용적을, 상기 냉수 탱크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를, 상기 냉수 탱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통로의 각 하류측을, 상기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의 상단부에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통로는 상기 주수구의 하류측의 분기점으로부터 상기 냉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로 연장되는 분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KR1020077007898A 2004-10-07 2005-09-15 음료수의 디스펜서 KR100975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4410 2004-10-07
JP2004294410 200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171A KR20070070171A (ko) 2007-07-03
KR100975240B1 true KR100975240B1 (ko) 2010-08-12

Family

ID=3614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898A KR100975240B1 (ko) 2004-10-07 2005-09-15 음료수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11552B2 (ko)
KR (1) KR100975240B1 (ko)
CN (1) CN101035734B (ko)
TW (1) TW200626856A (ko)
WO (1) WO2006038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300A2 (ko) * 2011-08-10 2013-02-14 Heo Chang Ki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920112Y (zh) * 2006-07-03 2007-07-11 于乔治 带有热水杀菌系统的桶装水饮水机
JP2010143600A (ja) * 2008-12-17 2010-07-01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JP5728776B2 (ja) * 2009-09-30 2015-06-03 スパーク株式会社 加熱殺菌のできるディスペンサ
JP5059135B2 (ja) * 2010-01-22 2012-10-24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JP5529317B1 (ja) * 2013-03-26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513007B2 (ja) * 2015-09-30 2019-05-1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の殺菌方法、及び、飲料供給装置
JP6727809B2 (ja) * 2016-01-05 2020-07-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並びに、飲料供給装置の運転方法及び殺菌方法
CN108571843B (zh) * 2018-06-07 2024-03-19 慈溪市吉瑞电器有限公司 一种制冰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88A (ja) * 1992-07-24 1994-02-22 Suntory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0229699A (ja) * 1999-02-08 2000-08-22 Sanyo Electric Co Ltd 水タンクの給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6605B2 (ja) * 1997-12-26 2006-02-1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0335691A (ja) * 1999-05-31 2000-12-05 Fuji Electric Co Ltd 飲料水ディスペンサ
JP2001153523A (ja) *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JP2002156159A (ja) * 2000-11-20 2002-05-31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給湯装置
JP2002349964A (ja) * 2001-05-22 2002-12-04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電気温水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5249266A (ja) * 2004-03-03 2005-09-1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5308297A (ja) * 2004-04-21 2005-11-0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88A (ja) * 1992-07-24 1994-02-22 Suntory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0229699A (ja) * 1999-02-08 2000-08-22 Sanyo Electric Co Ltd 水タンクの給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300A2 (ko) * 2011-08-10 2013-02-14 Heo Chang Ki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KR101239251B1 (ko) * 2011-08-10 2013-03-05 방건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WO2013022300A3 (ko) * 2011-08-10 2013-05-30 Heo Chang Ki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6856A (en) 2006-08-01
JPWO2006038445A1 (ja) 2008-07-31
CN101035734B (zh) 2011-11-02
CN101035734A (zh) 2007-09-12
KR20070070171A (ko) 2007-07-03
WO2006038445A1 (ja) 2006-04-13
JP4511552B2 (ja)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240B1 (ko) 음료수의 디스펜서
KR101419751B1 (ko) 순간 냉각장치
US20120318823A1 (en) Hot water supply device and cold/hot water dispenser using the same
KR20150133822A (ko) 워터 서버
JP2016153308A (ja) 飲料水供給装置
JP3699662B2 (ja) 液体の高温充填装置
JP2005249266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ES2400850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agua de auto-desinfección con un depósito para agua tratada que incluye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JP5072039B2 (ja) 飲料サーバー
JP5633018B2 (ja) 飲料サーバー
JP5980375B2 (ja) 液体注出装置、開閉弁、及び遮断部材
JP2017154807A (ja) 飲料供給機
CN102166100B (zh) 饮料水供给装置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JP200634755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418321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給水装置
JPH0923977A (ja) 湯ざまし供給機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10170929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1763331B1 (ko)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JP5090298B2 (ja) 液体充填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405522B1 (ko)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JP2005308332A (ja) 冷温水機
JP6136275B2 (ja) 飲料供給方法及び飲料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29

Effective date: 201005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99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29

Effective date: 201005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