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331B1 -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331B1
KR101763331B1 KR1020150123677A KR20150123677A KR101763331B1 KR 101763331 B1 KR101763331 B1 KR 101763331B1 KR 1020150123677 A KR1020150123677 A KR 1020150123677A KR 20150123677 A KR20150123677 A KR 20150123677A KR 101763331 B1 KR101763331 B1 KR 10176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torage tank
piping
unit
beverag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132A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15012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3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음료를 이용한 순환 살균이 수행된 후, 냉음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진 주변 배관부 내로 이동되어져 정체 중이던 온음료를 다시 한번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순환 이동시킴으로써, 순환 살균이 수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용자가 냉음료의 취수를 요구하더라도 고온의 온음료 또는 미지근한 상태의 냉음료가 취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CONTROLLING SYSTEM OF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본 발명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음료를 제공받아 정수과정을 거친 뒤 냉, 온음료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기를 비롯해 정수되어진 음료가 저장된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정수된 음료를 제공받아 냉, 온음료를 생성한 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냉온음료 공급기에 이르기까지, 내부 배관 구조를 갖춘 이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들의 경우 지속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는 온음료 저장탱크 및 온음료 저장탱크 주변의 연결되어진 배관을 제외하고는 배관 내부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음료의 수질이 불량해질 수 있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내부 배관에 대한 자체 살균이 구석구석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살균 시스템들이 연구되어져 왔는데, 그 중에서도 온음료 저장탱크에서 가열되어 고온의 상태로 만들어진 온음료를 이용하여 내부 배관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관련하여 온수 탱크 내부에서 가열되어진 물을 냉수 탱크 내부로 이동시켜 냉수 탱크 내부를 살균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073호의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온음료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을 갖춘 음료 공급 장치의 경우, 온음료를 이용해 내부 배관 또는 냉음료 저장탱크들을 살균 시키는 과정이 완료되고 난 뒤, 냉음료 저장탱크 및 주변 배관부로 이동되어져 정체되어 있던 온음료가 온음료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의 작동이 이루어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용자가 취수를 제공받고자 하는 과정에서 냉음료의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아니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온음료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을 갖춘 음료 공급 장치들은 온음료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이 가동되어지고 난 뒤, 일정 시간 내에서 사용자가 냉음료를 취수하고자 하면 냉음료를 제공받고자 하였음에도 고온의 온음료가 취수되어지거나 미지근한 냉음료가 취수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온음료를 이용한 내부 배관 및 냉음료 저장탱크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진지 얼마되지 아니하여 사용자가 냉음료의 취수를 제공받고자 함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되어져 차갑지 아니한 음료가 취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은,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가열하여 저장하며, 상측에 연결되어 배기 경로를 이루는 배기관부 및 상기 배기관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온음료 저장탱크;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음료 저장탱크;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취수 코크; 상기 음료 저장용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취수 코크를 상호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유로를 이루는 순환 배관; 상기 순환 배관를 이루는 일부 배관부에 설치되는 밸브유닛;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에 연결되어지는 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온음료가 상기 순환 배관 내 유로를 순환하도록 가압하는 순환펌프부; 및 상기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온음료가 상기 순환 배관을 이동하여 상기 순환 배관 내부가 순환 살균되도록 상기 배기용 밸브,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진 배관부 내부로 이동된 음료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배기용 밸브,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 배관은, 음료 저장용기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될 수 있도록 일단에 니들 구조가 형성된 니들 배관, 상기 니들 배관의 타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배관 및 제2분기배관으로 이루어진 3방향 배관부; 상기 제1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1배관부; 상기 제1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배관부; 상기 제2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3배관부; 및 상기 제3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4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3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펌프부는 상기 제1배관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배기용 밸브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1제어부분; 및 상기 제2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2제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분는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2배관부의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 측과 연결된 단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 측과 연결된 단부 내로 이동되어진 음료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2제어부분은 상기 제2밸브부를 개방시키는 동안 상기 제2밸브부의 개방 시간 보다 짧게 상기 순환펌프부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분은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배기용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2제어부분은 상기 제1제어부분의 제어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제2밸브부 및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 배관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와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5배관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과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6배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5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밸브부; 및 상기 제6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밸브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분는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6배관부 내로 이동되어진 음료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제어부가 온음료를 이용해 순환 배관 내부를 순환 살균시킴으로써, 온음료 저장탱크 주변 외에 나머지 냉온음료 공급기 내부 구성들에 대한 살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음료의 수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1제어부에 의한 순환 살균이 수행된 후, 냉음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진 주변 배관부 내로 이동되어져 정체 중이던 온음료를 제2제어부가 다시 한번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이동시킴으로써, 순환 살균이 수행된지 얼마 되지 않아 사용자가 냉음료의 취수를 요구하더라도 온음료 또는 미지근한 상태의 음료가 취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 및 도3는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제1제어부의 작동에 따른 살균 순환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 및 개념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제2제어부의 작동에 따른 순환 이동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 및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설명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의 초기 급수 제어시스템은 온음료 저장탱크(100); 냉음료 저장탱크(200); 취수 코크(300); 순환 배관(400); 밸브유닛(500); 순환펌프부(600); 및 제어유닛(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은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져 공급되는 음료를 이용해 냉음료 및 온음료를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냉음료 또는 온음료가 이용자의 출수밸브 개방에 의해서 취수 코크(300)를 통해 취수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온음료 저장탱크(100)는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를 공급받은 뒤, 내부 또는 일측에 마련된 가열모듈(130)을 통해 공급된 음료를 가열시켜 온음료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여기서, 히터와 같은 장치로 마련되는 가열모듈(130)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에 의해 연동되어져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를 구비하여,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 후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받아 가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음료 저장탱크(100)의 일측에는 온음료 저장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어졌거나 가열모듈을 이용해 공급된 음료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공기층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부(110) 및 공기층의 배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배기용 밸브부(115)가 형성되어 진다.
또한, 온음료 저장탱크(100)의 일측에는 인위적인 배수를 통해 온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제1배수관부(120) 및 제1배수관부(120)의 개폐를 통해 온음료의 배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배수용 밸브부(125)가 형성된다.
냉음료 저장탱크(200)는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를 공급받은 뒤, 내부 또는 일측에 마련된 냉각모듈(220)을 통해 공급된 음료를 냉각시켜 냉음료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여기서, 냉매를 이용해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에 저장되어진 음료와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각 기능을 일으키는 냉각모듈(220)은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에 의해 연동되어져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를 구비하여, 냉온음료 공급기의 전원 인가 후 별도의 전원 인가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받아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압축기를 가동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음료 저장탱크(200)의 일측에는 인위적인 배수를 통해 냉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관부(210) 및 제2배수관부(210)의 개폐를 통해 온음료의 배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배수용 밸브부(215)가 형성된다.
취수 코크(3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및 냉음료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음료를 사용자의 취수밸브 개방 신호 입력에 따라 취수밸브가 개방되어질 시 외부로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100, 200, 300)은 각종 배관부들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지고, 이와 같은 배관부들은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유로를 형성하여 순환 배관(400)을 이룬다.
여기서, 순환 배관(400)을 이루는 각종 배관부들 중 일부에는 배관부 내 음료의 이동을 개폐하여 흐름의 조절 기능을 가진 밸브부가 설치되고, 이러한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순환 배관(400)에 설치되어진 각종 밸브부는 전체 밸브유닛(500)을 이룬다.
이러한 순환 배관(400) 및 밸브유닛(50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순환 배관(400)은 3방향 배관부(410), 제1배관부(420), 제2배관부(430), 제3배관부(440), 제4배관부(450), 제5배관부(460) 및 제6배관부(470)를 포함하여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배관 구조를 형성한다.
3방향 배관부(410)는 음료 저장용기(10)의 일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일단에 내부 음료의 토출구를 마련하기 위한 첨단(尖端)형태의 니들 구조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관통되어져 내부로 이동한 배관 내부로 유입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된 니들 배관(411)이 1방향을 이루고, 니들 배관(411)의 타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배관(412) 및 제2분기배관(413)이 2방향 및 3방향을 이루어 T자형 배관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니들 배관(411)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진 음료는 제1분기배관(412)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 또는 냉음료 저장탱크(200)로 이동되어진다.
또한, 3방향 배관부(410)는 별도의 니들 승강장치(80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어져 동작을 제어받게 되는데, 니들 승강장치(800)에 의해 승강되어지는 3방향 배관부(410)의 상태에 따라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의 음료 토출 여부가 결정되어진다.
다시 말해, 니들 승강장치(800)는 3방향 배관부(410)를 상승 이동시켜 니들 배관(411)이 음료 저장용기(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음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음료 저장용기(10)의 사용이 완료되고 나면 니들 승강장치(800)는 3방향 배관부(410)를 하강 이동시켜 외부로 노출되어지지 않도록 한다.
제1배관부(420)는 제1분기배관(412)과 온음료 저장탱크(100)를 연결하여 니들 배관(411)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가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급수되기 위한 급수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배관부(420)는 3방향 배관부(410)의 승강 운동에 의해 제1분기배관(412)의 위상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음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의 구조적 변형이 용이한 연결부재를 통해 제1분기배관(412)과 연결되어 진다.
또한, 제1배관부(420)의 일측에는 순환펌프부(600)가 설치되어지는데, 이와 같은 순환펌프부(6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저장되어진 온음료가 순환 배관(400) 내 각종 배관부를 통해 형성된 유로를 순환하도록 가압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 순환펌프부(6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가열되어진 온음료를 이용하여 순환 배관(400)의 살균 순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료의 이동을 가압을 통해 유발하는 구성으로써, 순환펌프부(60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가열되어진 온음료가 제1배관부(420)를 통해 배출되어 아래 설명되어질 제3배관부(440)를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가압을 수행한다.
제2배관부(430)는 제1배관부(420)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져 냉음료 저장탱크(200)에 연결되어지는 배관부로써, 니들 배관(411)을 통해 음료 저장용기(10)로부터 토출되어지는 음료가 냉음료 저장탱크(200) 내부로 급수되기 위한 급수경로를 형성한다.
제3배관부(440)는 제2분기배관(413)와 온음료 저장탱크(100)를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관부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앞 서 설명한 제1배수관부(120)가 제3배관부(440)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3배관부(440)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1밸브부(510)가 설치되어져 제3배관부(440) 내부를 지나는 음료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3방향 배관부(410)의 승강 운동에 의해 제1분기배관(412)의 위상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음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의 구조적 변형이 용이한 연결부재를 통해 제1분기배관(412)과 연결되어 진다.
제4배관부(450)는 제3배관부(440)의 일측과 냉음료 저장탱크(200)를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관부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추후 설명되어질 냉음료의 취수 경로를 형성하는 제6배관부(470)가 제4배관부(450)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4배관부(450)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2밸브부(520)가 설치되어져 제4배관부(450) 내부를 지나는 음료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5배관부(460)는 온음료 저장탱크(100)와 취수 코크(300)를 연결하여 온음료의 취수경로를 형성하는 배관부로써,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3밸브부(530)가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제3밸브부(530)는 온음료의 취수밸브로써 기능한다.
제6배관부(470)는 제4배관부(450)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취수 코크(300)에 연결됨으로써, 냉음료의 취수경로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의 제4밸브부(540)가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제4밸브부(540)는 냉음료의 취수밸브로써 기능한다.
그리고 이러한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저장되어진 온음료를 이용한 순환 살균 및 순환 살균 후 냉음료의 취수가 가능하도록 냉음료 저장탱크(200) 주변에 위치된 음료의 순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은 제어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700)은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에 저장된 온음료가 배출되어 순환 배관(400)을 이동한 뒤 다시 온음료 저장탱크(100)로 유입되어지는 과정을 통해 순환 배관(400) 내부가 순환 살균되어지도록 배기용 밸브(115), 밸브유닛(500)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710)와 제1제어부(710)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어 순환 배관(400) 중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진 배관부(430, 450) 내부로 이동된 음료가 온음료 저장탱크(100) 측으로 이동되도록 배기용 밸브(115), 밸브유닛(500)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71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용 밸브(115), 제1밸브부(510) 및 제2밸브부(520)의 개폐 상태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여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에 저장된 온음료가 제1배관부(420)를 통해 배출되어져 순환 배관(400) 내 특정 배관부들을 순환한 뒤 다시 제3배관부(440)를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유입되어지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제어부(7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동안 배기용 밸브(115)를 개방한 뒤, 제1밸브부(510)의 개방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온음료가 제1배관부(420)-3방향 배관부(410)-제3배관부(440)를 거쳐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지도록 하는 제1제어방식(점선)과 소정의 시간동안 배기용 밸브(115)를 개방한 뒤, 제2밸브부(520)의 개방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온음료가 제1배관부(420)-제2배관부(410)-제4배관부(450)-제3배관부(440)를 거쳐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지도록 하는 제2제어방식(실선)의 두가지 제어방식을 특정 조합으로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710)는 제어유닛(700)으로 입력되어지는 제어명령신호를 기반으로 제1제어방식과 제2제어방식을 기 설정된 조합 방식으로 반복 수행하여 순환배관(400) 전체에 대한 순환 살균을 수행할 수 도 있고,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이 도래하면 제1제어방식과 제어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제2제어부(7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용 밸브(115)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1제어부분(721)과 제2밸브부(520)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순환펌프부(600)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2제어부분(721)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제어부분(721)은 제1제어부(710)의 제어 동작이 완료된 시점을 감지하여 제1제어부(710)을 통한 순환 살균이 이루어지고 나면 바로 배기용 밸브(115)를 개방시켜 우선적으로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에 채워진 공기층을 외부로 배기시킨다.
아울러, 제2제어부분(722)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분(721)의 제어 동작이 완료된 후, 제2밸브부(520)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순환펌프부(600)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켜 제1제어부(710)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어 제2배관부(430)의 냉음료 저장탱크(200) 측과 연결된 단부 및 제4배관부(450)의 냉음료 저장탱크(200) 측과 연결된 단부 내로 이동되어진 음료를 온음료 저장탱크(100) 측으로 순환 이동시킨다.
또한, 제2제어부분(722)은 앞서 설명한 순환 이동의 제어를 통해 제1제어부(710)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어 제6배관부(470) 내로 이동되어진 음료 역시 온음료 저장탱크(100) 측으로 순환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제2제어부분(722)은 1제어부(710)의 살균 순환 동작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되어 살균 순환이 이루어진 뒤, 냉음료 저장탱크(200)와 연결되며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배관부(430), 제4배관부(450) 및 제6배관부(470)의 냉음료 저장탱크(200) 측 공간에 위치하게 된 온음료를 제4배관부(450)의 온음료 저장탱크(100) 측과 연결된 단부 또는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이동시켜 냉음료 저장탱크(200)로부터 출수되어지는 냉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아울러, 추후 사용자의 취수 명령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4밸브부(540)의 개방 및 냉음료 취수 시 고온의 온음료 또는 미지근한 상태의 냉음료가 취수되지 않도록 한다.
2.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의 살균 순환 및 순환 이동 형태에 대한 설명
먼저, 도2 내지 도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내 제1제어부(710)의 의한 제어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제1제어부(7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동안 배기용 밸브(115)를 개방한 뒤, 제1밸브부(510)의 개방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온음료가 제1배관부(420)-3방향 배관부(410)-제3배관부(440)를 거쳐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지도록 하는 제1제어방식(점선)과 소정의 시간동안 배기용 밸브(115)를 개방한 뒤, 제2밸브부(520)의 개방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온음료가 제1배관부(420)-제2배관부(410)-제4배관부(450)-제3배관부(440)를 거쳐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지도록 하는 제2제어방식(실선)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하나의 제어방식만을 수행하여 순환 배관(400)을 구성하는 각종 배관부에 대한 살균을 온음료 저장탱크(100) 내 마련된 온음료를 이용해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1제어부를 통한 순환 살균 과정을 거치고 나면, 온음료가 순환 되어졌던 순환 배관(400) 내 모든 배관부에는 온음료의 아직 고온의 상태로 체류하게 되는데, 특히나 냉음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진 제2배관부(430), 제4배관부(450) 및 제6배관부(470)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음료는 사용자가 냉음료를 취수하고자 제4밸브부(540)를 개방시켜 냉음료 저장탱크(200)로부터 냉음료가 취수코크(300)를 통해 출수되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취수되는 냉음료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냉음료를 사용자가 취수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1제어부(710)를 통한 순환 살균 기능의 수행에 의해 고온의 온음료 또는 미지근한 냉음료가 출수되어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2제어부(720)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관부(430), 제4배관부(450) 및 제6배관부(470)의 냉음료 저장탱크(200) 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1제어부(710)에 의해 이동되어져 온 온음료를 제2밸브부(520)의 개방 및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을 통해 온음료 저장탱크(100)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제어부(720) 내 제2제어부분(722)은 제1제어부분(721)에 의한 배기용 밸브(115)를 개방 및 이를 통해 배기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제2밸브부(520)의 개방시간 동안에 순환펌프부(600)를 작동시키고, 제2밸브부(520)의 개방시간과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시간은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시간이 더 짧게 설정되어진다.
아울러, 순환펌프부(600)의 작동시간은 제2밸브부(520)의 개방시간의 정 가운데 설정되어져, 제2밸브부(520)의 개방시간 중 순환펌프부(600)의 작동 전 시간과 작동 후 시간이 동일하게 설정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분(722)은 7초간 제2밸브부(520)를 개방시키고, 제2밸브부(520)가 개방되어진지 3초가 경과된 후 순환펌프부(600)를 1초간 작동시키도록 설정되어질 수 있다.
즉, 제2제어부(720)를 통한 1제어부(710)에 의해 제2배관부(430), 제4배관부(450) 및 제6배관부(470)의 내부로 이동되어진 온음료의 순환 이동은 순환 살균의 기능의 수행 후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아 사용자가 냉음료를 취수하도라도, 기 설정되어진 온도 수준을 갖춘 냉음료가 출수되어질 수 있도록 냉음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온음료 저장탱크
110 : 배기관부 115 : 배기용 밸브부
120 : 제1배수관부 125 : 제1배수용 밸브
130 : 가열모듈
200 : 냉음료 저장탱크
210 : 제2배수관부 215 : 제2배수용 밸브부
220 : 냉각모듈
300 : 취수 코크
400 : 순환 배관
410 : 3방향 배관부 420 : 제1배관부 430 : 제2배관부
440 : 제3배관부 450 : 제4배관부 460 : 제5배관부
470 : 제6배관부
500 : 밸브유닛
510 : 제1밸브부 520 : 제2밸브부
530 : 제3밸브부 540 : 제4밸브부
600 : 순환 펌프부
700 : 제어유닛
710 : 제1제어부
720 : 제2제어부
721 : 제1제어부분 722 : 제2제어부분
10 : 음료 저장용기

Claims (6)

  1.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가열하여 저장하며, 상측에 연결되어 배기 경로를 이루는 배기관부 및 상기 배기관부에 설치되는 배기용 밸브를 포함하는 온음료 저장탱크;
    상기 음료 저장용기로부터 유입되는 음료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음료 저장탱크;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및 냉음료 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취수하기 위해 마련된 취수 코크;
    상기 음료 저장용기, 온음료 저장탱크, 냉음료 저장탱크 및 취수 코크를 상호 연결하여 음료의 순환을 위한 내부 유로를 이루는 순환 배관;
    상기 순환 배관을 이루는 일부 배관부에 설치되는 밸브유닛;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에 연결되어지는 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온음료가 상기 순환 배관 내 유로를 순환하도록 가압하는 순환펌프부; 및
    상기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온음료가 상기 순환 배관을 이동하여 상기 순환 배관 내부가 순환 살균되도록 상기 배기용 밸브,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순환 배관 중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진 배관부 내부로 이동된 음료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배기용 밸브, 밸브유닛 및 순환펌프부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배관은,
    상기 음료 저장용기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될 수 있도록 일단에 니들 구조가 형성된 니들 배관, 상기 니들 배관의 타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된 제1분기배관 및 제2분기배관으로 이루어진 3방향 배관부;
    상기 제1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1배관부;
    상기 제1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배관부;
    상기 제2분기배관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3배관부; 및
    상기 제3배관부 일측과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4배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3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밸브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펌프부는 상기 제1배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배기용 밸브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키는 제1제어부분; 및
    상기 제2밸브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부를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2제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분은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2배관부의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 측과 연결된 단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상기 냉음료 저장탱크 측과 연결된 단부 내로 이동되어진 음료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분은 상기 제2밸브부를 개방시키는 동안 상기 제2밸브부의 개방 시간 보다 짧게 상기 순환펌프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분은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배기용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2제어부분은 상기 제1제어부분의 제어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제2밸브부 및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은,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와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5배관부; 및
    상기 제4배관부의 일측과 상기 취수 코크를 연결하는 제6배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5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밸브부; 및
    상기 제6배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밸브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분는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온음료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6배관부 내로 이동되어진 음료를 상기 온음료 저장탱크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KR1020150123677A 2015-09-01 2015-09-01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KR10176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677A KR101763331B1 (ko) 2015-09-01 2015-09-01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677A KR101763331B1 (ko) 2015-09-01 2015-09-01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32A KR20170027132A (ko) 2017-03-09
KR101763331B1 true KR101763331B1 (ko) 2017-07-31

Family

ID=5840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677A KR101763331B1 (ko) 2015-09-01 2015-09-01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3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339A (ja) * 2012-04-05 2013-10-24 Suntory Beverage & Food Ltd ウォーターサー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339A (ja) * 2012-04-05 2013-10-24 Suntory Beverage & Food Ltd ウォーター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32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WO2018139341A1 (ja) 飲料供給装置
JP4511552B2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JP2006347557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5249266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763331B1 (ko)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JP2006021793A (ja) 飲料サーバー
JP7130329B2 (ja) 給湯システム
EP3305999A2 (en) Electronic toilet capable of implementing switching between cold water and hot water, and control method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101642837B1 (ko) 냉온음료 공급기
US7566430B2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pasteurizing, and/or disinfecting a pumpable or free flowing medium
JP3153851U (ja) 飲料水供給装置
JP2009002599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2013233937A (ja) ウォーターサーバ
KR101763330B1 (ko) 냉온음료 공급기의 배관 내 공기 제거시스템.
JP418321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給水装置
KR101849075B1 (ko) 수처리장치 및 그 살균방법
KR101636894B1 (ko) 냉온음료 공급기 제어시스템
KR101731947B1 (ko) 냉온음료 공급기
EP4112535B1 (en) Cold and hot drinking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ng circuit
KR10170929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JP3088932B2 (ja) 牛乳の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