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684B1 -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684B1
KR100972684B1 KR1020090114901A KR20090114901A KR100972684B1 KR 100972684 B1 KR100972684 B1 KR 100972684B1 KR 1020090114901 A KR1020090114901 A KR 1020090114901A KR 20090114901 A KR20090114901 A KR 20090114901A KR 100972684 B1 KR100972684 B1 KR 10097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edimentation basin
guide rail
scra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전국
Original Assignee
김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전국 filed Critical 김전국
Priority to KR102009011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의 바닥면에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수중대차가 로프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하면서 침전지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 수중대차의 가이드레일은 스크레이퍼의 양측단부가 침전지의 양측부와 간극을 두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레일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 구성으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중대차는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한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침전지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이송하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된 수중대차와, 상기 수중대차의 구동휘일은 로프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되게 하되 상기 침전지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의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지지대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구동휘일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 연결대로 수중대차의 하단부에 연결된 구성과, 상기 수중대차의 전,후방 양측단에 가이드로울이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구성에 의해 침전지의 양측부에 밀착 완충된 상태로 전,후방 이송이 되는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침전지, 수중대차, 가이드레일, 가이드로울, 스크레이퍼

Description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Underwater of bogie sewage disposal unit}
본 발명은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침전지의 바닥면에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수중대차가 로프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하면서 침전지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 수중대차의 가이드레일은 스크레이퍼의 양측단부가 침전지의 양측부와 간극을 두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레일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 구성으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중대차는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한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전지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구성으로 침전지의 전,후방으로 수중 이송되게 한 수중대차의 전,후단부에 스크레이퍼가 각각 장착되어 침전지의 후방 끝단부에서부터 슬러지를 수집이송할 수 있도록 하되 전, 후단부 스크레이퍼가 회전가이드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강하여 침전지의 바닥면에 접촉된 다음 수중대차에 의해 전방이송 하면서 슬러지를 수집이송하여 슬러지 수집호퍼 입구에 도달하게 되면 전,후단부 스크레이퍼가 회전가이드에 의해 동시에 회전상승하여 슬러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면 전단부의 스크레이퍼는 슬러지 수집호퍼로 쓸어내리는 작용을 하게 되고 후단부 스크레이퍼에 의해 후방 끝단에서 수집이송하여 전,후단부 사이에 놓여진 슬러지를 수집이송한 것은 전단부 스크레이퍼가 슬러지 수집호퍼에 도달하게 될 때 함께 이송되게 한 구성으로 침전지의 후방 끝단에서 슬러지를 수집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수중대차의 이송수단은 침전지의 전,후방 양측 바닥면에 가이드레일을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 상면에 올려지는 형태로 수중대차의 구동휘일이 올려진 형태로 수중대차가 전,후방 이송되게 한 것이어서 바닥면에 가이드레일 부분에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지 못하고 양측 가이드레일 사이에서만 스크레이퍼가 바닥면에 접촉하여 슬러지 수집이송을 하게 되므로 가이드레일 부분은 슬러지 수집이송을 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은 수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슬러지가 수평면에 쉽게 달라붙어서 구동휘일의 구름작용에 지장을 초래하고 가이드레일의 내구성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중대차는 로프와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끌어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 레일의 상측에 올려진 구동휘일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수중대차가 쉽게 흔들리게 되면서 스크레이퍼에 의한 수집이송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중대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침전지의 바닥면에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수중대차가 로프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하면서 침전지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침전지의 양측벽에 원형봉으로 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수중대차의 구동휘일이 구름이송되게 한 구성으로 스크레이퍼의 양측단부가 침전지의 양측부와간극을 두지 않고 슬러지의 수집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러지 제거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바닥면과 이격된 원형봉의 가이드레일에는 이물질이 쉽게 탈락되므로 구동휘일의 구름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레일의 내구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한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대차의 전,후방 양측단은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침전지의 양측부에 밀착완충되게 한 가이드로울을 설치하여 수중대차가 흔들림없이 전,후방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전지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이송하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된 수중대차와, 상기 수중대차의 구동휘일은 로프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되게 하되 상기 침전지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의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지지대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구동휘일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 연결대로 수중대차의 하단부에 연결된 구성과, 상기 수중대차의 전,후방 양측단에 가이드로울이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구성에 의해 침전지의 양측부에 밀착 완충된 상태로 전,후방 이송이 되는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는 침전지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의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지지대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가이드레일을 원형봉으로 구비되어 가이드레일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고 쉽게 탈락되므로 가이드레일에 의한 구름이송작용이 원활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어 침전지의 바닥면에서 슬러지의 수집 이송없는 사각지대를 방지하여 슬러지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며, 수중대차의 양측단은 침전지의 양측부에 완충 밀착되어 전,후방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울이 설치하여 수중대차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므로 수중대차에 설치되는 스크레이퍼의 슬러지 수집 이송이 정확하고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이송하기 위한 스크레이퍼(30)가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된 수중대차(20)와, 상기 수중대차(20)의 구동휘일(22)은 로프(26)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되게 하되 상기 침전지(1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의 전,후방 양측벽(12)과 같은 양측부에 지지대(42)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레일(40)과, 상기 가이드레일(40)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구동휘일(22)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 연결대(24)로 수중대차(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수중대차(20)의 구름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레이퍼(30)는 안내로울(34)이 구비된 회전작동간(32)이 설치되어 수중대차(20)에 의해 침전지(10)의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후방에 설치된 회전가이드(36)에 의해 전,후단부 스크레이퍼(30)는 동시에 회전하강하여 침전지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슬러지 수집호퍼(14) 방향으로 슬러지를 수집이송하고 슬러지 수집호퍼(14)의 입구에 도달하면 전방에 설치된 회전가이드(36)에 의해 전,후단부 스크레이퍼(30)는 동시에 회전상승하여 슬러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면서 전단부의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슬러지 수집호퍼(14)로 쓸어내리는 기능을 하는 것은 주지된 기술내용에 해당된다.
상기 스크레이퍼(30)의 작동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전,후단부 스크레이퍼(30)는 각각의 회전가이드(36)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전,후단부 스크레이퍼(30)는 하나의 회전가이드(36)에 의해 각각 연동되게 작동하는 구성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할 수 있게 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스크레이퍼(3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가이드레일(40)의 하부 위치에서 침전지(10)의 양측벽(12)과 같은 양측부와 인접하는 바닥면까지 슬러지를 수집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가 되며, 이는 가이드레일(40)이 바닥면과 이격된 양측벽(12) 등의 양측부에 설치되므로 스크레이퍼(3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침전지(10)의 바닥면 전체에 접촉시킬 수 있는 길이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원형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침전지(1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측에 설치되고 원형봉으로 된 가이드레일(40)의 표면은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고 쉽게 탈락이 되어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침전되도록 하며, 특히 가이드레일(40)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중대차(20)의 전,후방 양측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로 울(50)과, 상기 가이드로울(50)은 스프링(52)으로 탄성지지되어 침전지(10)의 양측벽(12)과 같은 양측부에 밀착완충되어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수중대차(20)가 흔들림없이 전,후방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의 구성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침전지(10)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중대차(20)의 전,후단부에 스크레이퍼(30)가 각각 장착되고 수중대차(20)의 구동휘일(22)은 로프(26)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하되 전,후단부 스크레이퍼(30)는 후방의 끝단부분에 설치된 회전가이드(36)에 의해 동시에 회전 하강하여 침전지의 바닥면에 접촉된 다음 슬러지를 수집하여 전방이송을 하게 되고 슬러지 수집호퍼(14)의 입구부분에 설치된 전방 회전가이드(36)에 의해 전,후단부 스크레이퍼(30)가 동시에 회전상승하여 슬러지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면서 전단부의 스크레이퍼는 슬러지 수집호퍼(14)로 슬러지를 쓸어내리게 되는 작용을 전,후방으로 왕복 이송하면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중대차(20)의 전,후단부에 설치된 스크레이퍼(30)에 의해 슬러지의 수집이송 및 제거를 하되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40)은 침전지(1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의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양측벽(12)과 같은 양측부에 지지대(42) 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레일(40)은 원형봉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40)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고 쉽게 탈락이 되어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침전되기 때문에 가이드레일(40)의 표면은 수중대차(20)의 구동휘일(22)이 구름이송하는 접촉저항을 줄여서 수중대차(20)의 전,후방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레일(40) 및 구동휘일(22)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가이드레일(40)이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설치되지 않고 침전지(10)의 양측벽(12)와 같이 양측부에 설치되므로 스크레이퍼(3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가이드레일(40)의 하부에서 침전지(10)의 양측부에 인접한 바닥면까지 슬러지를 수집이송할 수 있는 위치까지 설치가 되기 때문에 스크레이퍼(3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침전지(10)의 바닥면 전체에 접촉시켜 슬러지의 수집 이송이 가능하므로 슬러지 제거효율을 크게 높여 주게 된다.
즉, 스크레이퍼(30)가 침전지(10)의 바닥면 전체에 접촉되어 슬러지를 수집 이송하므로 종래와 같이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스크레이퍼(30)로 슬러지를 수집 이송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중대차(20)는 로프(26)로 연결되어 로프(26)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을 할 때 수중대차(20)의 전,후방 양측단에 가이드로울(50)이 설치되고 스프링(52)으로 탄성지지된 구성에 의해 침전지(10)의 양측부에 밀착 완충된 상태로 전,후방 이송을 하게 되므로 수중대차(2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게 되어 수중대차(20)에 연결된 스크레이퍼(30)에 의한 슬러지의 수집이송의 정확성을 높여주고 수중대차(20)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침전지(10)의 양측벽(12) 사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에서 돌출된 구획돌출부(60)가 형성되고 그 구획돌출부(60) 양측으로 2열로 수중대차(20)가 배치되어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서는 수중대차(20)의 어느 한쪽은 양측벽(12)과 이격된 구성으로 가이드레일(40)을 설치할 수 없는 구성을 감안하여 구획돌출부(6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지지대(62)를 고정 설치하고 그 수평지지대(62)의 양측에 가이드레일(40)을 각각 설치한 양측부를 구성하여 2열로 배치되는 양측의 수중대차(20)의 구동휘일(22)이 전,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대차 이송장치 부분을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대차의 이송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대차가 적용된 침전지의 개략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의 수중대차에 설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슬러지의 수집 이송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의 수중대차가 전방 이송하여 스크레이퍼에 의해 슬러지를 수집호퍼에 밀어내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단 수중대차가 하나의 회전가이드에 의해 각각 연동되게 작동하는 구성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할 수 한 또 다른 구성 실시예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대차 이송장치에 가이드로울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침전조에 2열로 수중대차가 배치되어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전지 12 : 측벽
14 : 슬러지 수집호퍼 20 : 수중대차
22 : 구동휘일 24 : 연결대
26 : 로프 30 : 스크레이퍼
32 : 회전작동간 34 : 안내로울
36 : 회전가이드 40 : 가이드레일
42 : 지지대 50 : 가이드로울
52 : 스프링 60 : 구획돌부
62 : 수평지지대

Claims (5)

  1.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이송하기 위한 스크레이퍼(30)가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된 수중대차(20)와,
    상기 수중대차(20)의 구동휘일(22)은 로프(26)의 밀고 당기는 작용으로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전,후 왕복 이송되게 하되
    상기 침전지(1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상측의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지지대(42)로 연결 설치된 원형봉 형태의 가이드레일(40)과,
    상기 가이드레일(40)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구동휘일(22)이 상하로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 연결대(24)로 수중대차(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3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가이드레일(40)의 하부에서 침전지(10)의 양측부와 인접한 바닥면까지 슬러지를 수집이송할 수 있는 위치까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대차(20)의 전,후방 양측단은 가이드로울(50)이 설치되어 침전지(10)의 양측부를 따라 전,후방 이송 안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울(50)은 스프링(52)으로 탄성지지되어 침전지(10)의 양측부에 밀착 완충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KR1020090114901A 2009-11-26 2009-11-26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KR10097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901A KR100972684B1 (ko) 2009-11-26 2009-11-26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901A KR100972684B1 (ko) 2009-11-26 2009-11-26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684B1 true KR100972684B1 (ko) 2010-07-27

Family

ID=4264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901A KR100972684B1 (ko) 2009-11-26 2009-11-26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51B1 (ko) * 2014-10-30 2015-04-16 하이안이엔지 주식회사 콤팩트형 슬러지 수집기
KR101568382B1 (ko) 2015-04-13 2015-11-12 황소용 위치방향 표시장치가 탑재된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026A (ja) * 1997-03-01 1998-09-08 Hoei Sangyo Kk ロ−ラ−コ−スタ−
KR200267432Y1 (ko) * 1999-06-23 2002-03-09 강준 넌레일식 슬러지제거용 수중대차
KR200279028Y1 (ko) * 2002-02-14 2002-06-21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20020067432A (ko) * 2001-02-14 2002-08-2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 심볼들을 확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79028A (ko) * 2001-04-12 2002-10-19 비멕 주식회사 스테인리스 스틸 허니컴 코아 및 그 제조장치
JP2008142619A (ja) 2006-12-08 2008-06-26 Jfe Engineering Kk 浮上物掻き寄せ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026A (ja) * 1997-03-01 1998-09-08 Hoei Sangyo Kk ロ−ラ−コ−スタ−
KR200267432Y1 (ko) * 1999-06-23 2002-03-09 강준 넌레일식 슬러지제거용 수중대차
KR20020067432A (ko) * 2001-02-14 2002-08-2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에서 심볼들을 확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79028A (ko) * 2001-04-12 2002-10-19 비멕 주식회사 스테인리스 스틸 허니컴 코아 및 그 제조장치
KR200279028Y1 (ko) * 2002-02-14 2002-06-21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JP2008142619A (ja) 2006-12-08 2008-06-26 Jfe Engineering Kk 浮上物掻き寄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51B1 (ko) * 2014-10-30 2015-04-16 하이안이엔지 주식회사 콤팩트형 슬러지 수집기
KR101568382B1 (ko) 2015-04-13 2015-11-12 황소용 위치방향 표시장치가 탑재된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956B1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KR100973792B1 (ko)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2078337B1 (ko) 커버가 부착된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0894174B1 (ko) 오니 수집장치
CN106760261B (zh) 屋面扫雪机器人
KR100972684B1 (ko)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CN107215598A (zh) 一种垃圾车的车厢自动清扫装置
CN102900044A (zh) 一种扫地清洁车
JP4633705B2 (ja) 汚泥掻寄装置
KR101151305B1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기
KR200413347Y1 (ko) 수중대차
CN209500904U (zh) 一种便于清理池底污泥的沉淀池
KR200267432Y1 (ko) 넌레일식 슬러지제거용 수중대차
CN214398660U (zh) 一种皮带机尾滚筒积料自清理装置
JP5668190B2 (ja) 沈降滞留物除去装置
CN110612952B (zh) 沙蚕自动捕获装置
KR101816904B1 (ko)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JP2005230601A (ja) 汚泥掻寄機
CN210505628U (zh) 格栅除污机卸污装置
KR20150052478A (ko) 다단의 스크래퍼가 구비된 대차 왕복이동식 슬러지 수집기
CN218490486U (zh) 一种带有防黏料结构的固废处理废渣车料斗
KR200460499Y1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CN218060225U (zh) 一种基于视觉检测技术的水面垃圾收集机构
CN219899201U (zh) 一种石英砂布料机输送轨道的防堵结构
CN206624362U (zh) 一种输送带雨水清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