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956B1 -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956B1
KR100917956B1 KR1020090018042A KR20090018042A KR100917956B1 KR 100917956 B1 KR100917956 B1 KR 100917956B1 KR 1020090018042 A KR1020090018042 A KR 1020090018042A KR 20090018042 A KR20090018042 A KR 20090018042A KR 100917956 B1 KR100917956 B1 KR 10091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sedimentation basin
protrusions
p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병선
Original Assignee
현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병선 filed Critical 현병선
Priority to KR102009001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레일형 다단식 수집시스템, 특히 슬러지가 침적되는 침전지의 바닥면에 구조물 설치를 배제하여 주기적으로 침전지 내부의 구조물 청소를 위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슬러지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은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10)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20)로 정방향 슬라이드 또는 호퍼부(20)로부터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10)의 양측벽에 대향하여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과;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에 맞물려 슬라이드되는 복수의 로울러부(200)와; 상기 대향하는 로울러부(200)에 연결되어 이 각 쌍의 로울러부(200)를 지지하는 복수의 대차(300)와; 상기 각 대차(300)의 하부에 연장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래퍼(400)와; 상기 대차(300)와 스크래퍼(4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대차(300)와 스크래퍼(400)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500)와; 상기 각 스크래퍼(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퍼(400)를 슬라이드시키는 와이어(600)와; 상기 각 스크래퍼(400)의 슬라이드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와이어(600)와 스크래퍼(400)를 잇는 복수의 각도조절수단(7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18042
침전지, 호퍼, 대차, 로울러부, 스크래퍼, 와이어, 각도조절수단

Description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Monorail type multistage 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슬러지가 침적되는 침전지의 바닥면에 구조물 설치를 배제하여 주기적으로 침전지 내부의 구조물 청소를 위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슬러지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에는 침전지를 구비하여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침전 후의 원수는 정수장인 경우는 여과지로 공급되고 하수처리장인 경우에는 유기물 정화과정 등을 거친 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그리고 정수장의 침전지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형식에는 수중대차견인형, 체인플라이트형, 진공흡입형 등이 응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수중대차견인 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체인플라이트형은 구조적인 결함으로 침전지 내부의 원수를 방류한 후 주기적으로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여야 하며 체인플라이트 가동시 침전지 유입부에서 플록(floc ; 원수 내의 유기물이나 미생물 등의 미립자를 응집제로 응집시킨 슬러지 덩어리)이 깨지며 부상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진공흡입식은 연속된 흡입으로 슬러지 외에 원수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고효율의 진공도를 얻을 수 있는 제품은 슬러지 흡입능력과 흡입량의 상이한 변화로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사용상 여러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 수집기는 슬러지의 수집형식에 따른 구동방법에 변화를 가하여 제작된 형식으로 슬러지를 수집하는 관점에서의 개선을 도모하였지만 궁극적으로는 슬러지의 수집능력 극대화 및 효율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상기의 단점 이외에도 수중대차견인형, 체인플라이트형, 진공흡입형을 이용한 기존의 슬러지 배출시스템은 침전지의 바닥면에도 스크래퍼를 지지 또는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해서 슬러지가 이 구조물에 쌓이게 되어 침전지 내부의 구조물을 청소해야 하는 등의 이중적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러지가 침적되는 침전지의 바닥면에 구조물 설치를 배제하여 주기적으로 침전지 내부의 구조물 청소를 위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슬러지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킴으로 써 침전지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가 침적되는 침전지의 바닥면에 구조물 설치를 배제하여 주기적으로 침전지 내부의 구조물 청소를 위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슬러지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은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로 정방향 슬라이드 또는 호퍼부로부터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양측벽에 대향하여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침전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맞물려 슬라이드되는 복수의 로울러부와; 상기 대향하는 로울러부에 연결되어 이 각 쌍의 로울러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대차와; 상기 각 대차의 하부에 연장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래퍼와; 상기 대차와 스크래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대차와 스크래퍼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와; 상기 각 스크래퍼의 상부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퍼를 슬라이드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각 스크래퍼의 슬라이드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와이어와 스크래퍼를 잇는 복수의 각도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수단은 양단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중앙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공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양면에 상하방으로 한 쌍의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각면의 돌출돌기 사이에 상기 스크래퍼의 절개된 부분이 끼워지며, 상기 돌출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래퍼의 절개된 부분 양면에는 한 쌍의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상기 개구공이 가이드핀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연동하여 상기 스크래퍼의 슬라이드 기울기가 변동된다.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침전지의 호퍼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스크래퍼 상부가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돌출돌기와 이 돌출돌기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끼워지는 삽입돌기는 상기 스크래퍼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퍼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스크래퍼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침전지의 바닥에서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로 정방향 슬라이드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수직상태에서 이 스크래퍼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스토퍼가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복수의 스크래퍼중 상기 호퍼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스크래퍼의 지지대에는 상기 침전지 바닥의 후면모서리부를 스크래핑 하도록 보조스크래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스크래퍼는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제1링크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래퍼의 기울기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보조스크래퍼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조스크래퍼의 상부는 상호 회전가능한 제2링크로 연결된다.
상기 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시 상기 보조스크래퍼가 침전지 바닥의 모서리에 닿는 경우 충격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링크의 일정부분에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각 로울러부의 일측에는 침전지 측벽에 침적된 플록을 스크랩핑 하기 위해 상부스크래퍼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은
첫째, 상기 스크래퍼의 지지대 및 대차에 부착된 로울러부가 침전지의 측벽에 설치된 모노타입의 가이드레일에 구속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하므로 스크래퍼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래퍼를 다단으로 부착하여 슬러지를 수집하므로 스크래퍼의 크기가 최소화됨에 따라 원수에 대한 스크래퍼의 저항을 감쇠하여 슬러지의 수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대차가 정방향으로 전진할 때에는 스크래퍼가 수직상태로 전환되며 대차가 역방향으로 후진할 때에는 스크래퍼가 자동으로 기울어져 침전지의 바착면으로부터 들려 이동함으로써 슬러지의 수집효율을 더 한층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대차의 길이 및 스크래퍼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스크래퍼가 정,역방향으로 이동시 원수의 내부에 침전된 플럭의 깨짐이나 그 깨짐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의 수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스테인레스 재질의 형강으로 제작된 가이드레일을 침전지의 측벽에 원수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녹발생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대차 및 이 각각의 대차에 연결된 스크래퍼가 최소거리를 이동하면서 침전지 바닥면과 측면벽 및 후면벽의 슬러지를 수집하므로 침전지 내에 누적되는 슬러지량과 스컴(scum)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 은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10)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20)로 정방향 슬라이드 또는 호퍼부(20)로부터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10)의 양측벽에 대향하여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과;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에 맞물려 슬라이드되는 복수의 로울러부(200)와; 상기 대향하는 로울러부(200)에 연결되어 이 각 쌍의 로울러부(200)를 지지하는 복수의 대차(300)와; 상기 각 대차(300)의 하부에 연장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래퍼(400)와; 상기 대차(300)와 스크래퍼(4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대차(300)와 스크래퍼(400)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500)와; 상기 각 스크래퍼(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퍼(400)를 슬라이드시키는 와이어(600)와; 상기 각 스크래퍼(400)의 슬라이드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와이어(600)와 스크래퍼(400)를 잇는 복수의 각도조절수단(7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도 3의 도면부호 110은 가이드레일을 호퍼부의 측벽에 용접에 의해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대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로울러부(200)의 일측에는 침전지(10) 측벽에 침적된 플록을 스크랩핑 하기 위해 상부스크래퍼(9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스크래퍼(900)의 구비로 인해 상기 침전지(10)의 원수 속에서 이동하면서 스크래핑하는 복수의 스크래퍼(400)와 연동하여 상기 침전지(10) 측벽에 침적된 플록을 동시에 스크래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가변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가변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수단(700)은 양단에 와이어(600)가 연결되고, 중앙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공(71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지지대(500)에 일체로 고정되는 가이드핀(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700)은 양면에 상하방으로 한 쌍의 돌출돌기(731,732)가 형성되고, 각면의 돌출돌기(731,732) 사이에 상기 스크래퍼(400)의 절개된 부분이 끼워지며, 상기 돌출돌기(731,732)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래퍼(400)의 절개된 부분 양면에는 한 쌍의 삽입돌기(411,412)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600)의 당김에 의해 상기 개구공(710)이 가이드핀(72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연동하여 상기 스크래퍼(400)의 슬라이드 기울기가 변동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차(300) 및 스크래퍼(400)가 정방향으로 전진할 때에는 스크래퍼(400)가 수직상태로 전환되어 스크래퍼(400)의 하단면이 침전지(10)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침전지(10)의 바닥면에 침적된 슬러지를 스크래핑하게 된다.
상기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차(300) 및 스크래퍼(400)가 역방향으로 후진할 때에는 스크래퍼(400)의 상부 가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져 스크래퍼(400)의 하단부가 상기 침전지(10)의 바닥면으로부터 들려 이동함으로써 정방향으로 이동된 슬러지가 다시 역방향으로 끌려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정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 및 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 및 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로서, 상기 스크래퍼(400)가 상기 침전지(10)의 호퍼부(20)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스크래퍼(400) 상부가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돌출돌기(731,732)와 이 돌출돌기(731,732)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끼워지는 삽입돌기(411,412)는 상기 스크래퍼(40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500)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퍼(400)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511,512)가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700)과 연동하여 상기 스크래퍼(4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스크래퍼(400)에는 하나의 링크부(511)가 일체로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부(512)는 상기 지지대(500)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에서 이 각각의 링크부(511,512)는 회동핀(5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크래퍼(400)가 상기 침전지(10)의 바닥에서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20)로 정방향 슬라이드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500)의 하 단부에는 상기 스크래퍼(400)가 수직상태에서 이 스크래퍼(400)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스토퍼(520)가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차(300) 및 스크래퍼(400)가 정방향으로 전진할 경우 상기 스크래퍼(400)가 원수의 저항으로 뒤로 밀려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500)의 하단면에는 스토퍼(520)가 일체로 부착된다. 이경우 상기 와이어(600)가 각도조절수단(700)을 정방향으로 당김에 의해 각도조절수단(700)에 형성된 개구공(710)은 상기 지지대(500)의 고정브라켓(530)에 부착된 가이드핀(720)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도 2참조).
상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대차(300) 및 스크래퍼(400)가 역방향으로 후진할 경우 상기 스크래퍼(400)가 원수의 저항으로 뒤로 밀려 기울어지게 되어 스크래퍼(400)의 측면이 침전지(10)의 원수로부터 받는 저항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600)가 각도조절수단(700)을 역방향으로 당김에 의해 각도조절수단(700)에 형성된 개구공(710)은 상기 지지대(500)의 고정브라켓(530)에 부착된 가이드핀(720)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도 2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스크래퍼가 정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과 스크 래퍼 및 보조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과 스크래퍼 및 보조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로서, 상기 복수의 스크래퍼(400)중 상기 호퍼(20)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스크래퍼(400)의 지지대(500)에는 상기 침전지(10) 바닥의 후면모서리부를 스크래핑 하도록 보조스크래퍼(8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스크래퍼(800)는 상기 지지대(5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제1링크(910)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래퍼(400)의 기울기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보조스크래퍼(800)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크래퍼(400)의 하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조스크래퍼(800)의 상부는 상호 회전가능한 제2링크(920)로 연결된다.
상기 스크래퍼(400)가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 스크래퍼(400)가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상태를 유지하여 침전지(10)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고, 스크래퍼(400)에 대향하는 상기 보조스크래퍼(800)의 상부에 연결된 제2링크(820)에 의해 보조스크래퍼(800) 또한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상태를 유지하면서 침전지(10)의 바닥면을 스크래핑하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40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 스크래퍼(400)가 진행방향에 대해 하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스크래퍼(400)의 하부에 연결된 제2링크(820)가 스크래퍼(400)의 기울어져 이동하는 거리만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스크래퍼(400)에 대향하는 상기 보조스크래퍼(800)의 상부에 연결된 제2링크(820)에 의해 보조스크래퍼(800)의 상부는 진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침전지(10)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400)가 역방향으로 진행시 상기 보조스크래퍼(800)가 침전지(10) 바닥의 모서리에 닿는 경우 충격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링크(910)의 일정부분에는 탄성스프링(911)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스크래퍼(800)가 침전지(10)의 모서리부(R) 또는 후면벽에 부딪치는 경우에도 상기 탄성스프링(811)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상기 지지대(500) 및 대차(30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은 슬러지가 침적되는 침전지의 바닥면에 구조물 설치를 배제하여 주기적으로 침전지 내부의 구조물 청소를 위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슬러지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침전지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가변상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가변상태도,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정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 및 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 및 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스크래퍼가 정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과 스크래퍼 및 보조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스크래퍼가 역방향으로 진행중 각도조절수단과 스크래퍼 및 보조스크래퍼의 가변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전지 20 : 호퍼
100 : 가이드레일 110 : 고정대
200 : 로울러부 300 : 대차
400 : 스크래퍼 411,412 : 삽입돌기
500 : 지지대 511,512 : 링크부
513 : 회동핀 520 : 스토퍼
530 : 고정브라켓 600 : 와이어
700 : 각도조절수단 710 : 개구공
720 : 가이드핀 731,732 : 돌출돌기
800 : 보조스크래퍼 810 : 제1링크
811 : 탄성스프핑 820 : 제2링크
900 : 상부스크래퍼 R : 모서리부

Claims (10)

  1. 원수가 투입 저수되는 침전지(10)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20)로 정방향 슬라이드 또는 호퍼부(20)로부터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10)의 양측벽에 대향하여 일체로 부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과;
    상기 침전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에 맞물려 슬라이드되는 복수의 로울러부(200)와;
    상기 대향하는 로울러부(200)에 연결되어 이 각 쌍의 로울러부(200)를 지지하는 복수의 대차(300)와;
    상기 각 대차(300)의 하부에 연장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래퍼(400)와;
    상기 대차(300)와 스크래퍼(4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대차(300)와 스크래퍼(400)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500)와;
    상기 각 스크래퍼(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퍼(400)를 슬라이드시키는 와이어(600)와;
    상기 각 스크래퍼(400)의 슬라이드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와이어(600)와 스크래퍼(400)를 잇는 복수의 각도조절수단(7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각도조절수단(700)은 양단에 와이어(600)가 연결되고, 중앙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공(71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지지대(500)에 일체로 고정되는 가이드핀(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조절수단(700)은 양면에 상하방으로 한 쌍의 돌출돌기(731,732)가 형성되고, 각면의 돌출돌기(731,732) 사이에 상기 스크래퍼(400)의 절개된 부분이 끼워지며, 상기 돌출돌기(731,732)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래퍼(400)의 절개된 부분 양면에는 한 쌍의 삽입돌기(411,412)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600)의 당김에 의해 상기 개구공(710)이 가이드핀(720)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연동하여 상기 스크래퍼(400)의 슬라이드 기울기가 변동되어지고,
    상기 각 로울러부(200)의 일측에는 침전지(10) 측벽에 침적된 플록을 스크랩핑 하기 위해 상부스크래퍼(9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400)가 상기 침전지(10)의 호퍼부(20)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역방향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스크래퍼(400) 상부가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돌출돌기(731,732)와 이 돌출돌기(731,732)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끼워지는 삽입돌기(411,412)는 상기 스크래퍼(40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0)의 하부에 상기 스크래퍼(400)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511,512)가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700)과 연동하여 상기 스크래퍼(40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400)가 상기 침전지(10)의 바닥에서 일측에서 타측의 호퍼부(20)로 정방향 슬라이드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5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래퍼(400)가 수직상태에서 이 스크래퍼(400)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스토퍼(520)가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래퍼(400)중 상기 호퍼부(20)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한 스크래퍼(400)의 지지대(500)에는 상기 침전지(10) 바닥의 후면모서리부(R)를 스크래핑 하도록 보조스크래퍼(800)가 더 구비되어지며,
    상기 보조스크래퍼(800)는 상기 지지대(5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제1링크(910)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래퍼(400)의 기울기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보조스크래퍼(800)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스크래퍼(400)의 하부와 대향하는 상기 보조스크래퍼(800)의 상부는 상호 회전가능한 제2링크(92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400)가 역방향으로 진행시 상기 보조스크래퍼(800)가 침전지(10) 바닥의 모서리에 닿는 경우 충격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링크(910)의 일정부분에는 탄성스프링(9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10. 삭제
KR1020090018042A 2009-03-03 2009-03-03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KR10091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42A KR100917956B1 (ko) 2009-03-03 2009-03-03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42A KR100917956B1 (ko) 2009-03-03 2009-03-03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956B1 true KR100917956B1 (ko) 2009-09-21

Family

ID=4135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042A KR100917956B1 (ko) 2009-03-03 2009-03-03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95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11B1 (ko) 2010-03-19 2010-07-14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1047285B1 (ko) 2010-12-30 2011-07-07 (주) 디아이엔바이로 슬러지 수거장치
KR101274105B1 (ko) * 2012-11-09 2013-06-17 대동기공 주식회사 정수장 침전지의 측벽 침전물 제거장치
KR101954333B1 (ko) 2017-10-18 2019-03-05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지의 침전물 배출장치
KR20190027542A (ko) * 2017-09-07 2019-03-15 동양수기산업(주) 복합식 슬러지 제거 장치
KR101980191B1 (ko) * 2019-01-14 2019-05-20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수처리 침전조용 굴절형 슬러지 수집 장치
KR101980193B1 (ko) * 2019-01-14 2019-05-20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배플 가동형 수처리용 침전조
KR101980192B1 (ko) * 2019-01-14 2019-05-20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침전물 중앙 수집형 수처리용 침전조
KR102028841B1 (ko) * 2018-09-18 2019-11-14 이화자 슬러지 제거장치
CN110734100A (zh) * 2018-07-18 2020-01-31 光大水务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除苔装置
CN111151036A (zh) * 2020-03-17 2020-05-15 杭州富阳伟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沉淀刮除机构及其方法
KR102123049B1 (ko) * 2019-12-27 2020-06-26 (주)가온텍 실린더형 수압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KR102123066B1 (ko) * 2019-12-27 2020-06-26 (주)가온텍 장방형 침전지의 수압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WO2020196928A1 (ko) * 2019-03-22 2020-10-01 동양수기산업(주) 복합식 슬러지 제거 장치
CN117682587A (zh) * 2024-02-04 2024-03-12 山东晟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保险粉生产污水处理的装置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11A (ko) * 2006-07-21 2008-01-24 조창균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00069B1 (ko) 2007-12-28 2008-02-01 주식회사 제이엔텍 롤러형 슬러지 수집기
KR100808469B1 (ko) 2007-05-30 2008-03-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11A (ko) * 2006-07-21 2008-01-24 조창균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08469B1 (ko) 2007-05-30 2008-03-03 수엔비텍 주식회사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100800069B1 (ko) 2007-12-28 2008-02-01 주식회사 제이엔텍 롤러형 슬러지 수집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11B1 (ko) 2010-03-19 2010-07-14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1047285B1 (ko) 2010-12-30 2011-07-07 (주) 디아이엔바이로 슬러지 수거장치
KR101274105B1 (ko) * 2012-11-09 2013-06-17 대동기공 주식회사 정수장 침전지의 측벽 침전물 제거장치
KR101988251B1 (ko) * 2017-09-07 2019-06-13 동양수기산업(주) 복합식 슬러지 제거 장치
KR20190027542A (ko) * 2017-09-07 2019-03-15 동양수기산업(주) 복합식 슬러지 제거 장치
KR101954333B1 (ko) 2017-10-18 2019-03-05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지의 침전물 배출장치
CN110734100B (zh) * 2018-07-18 2024-05-03 光大水务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除苔装置
CN110734100A (zh) * 2018-07-18 2020-01-31 光大水务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除苔装置
KR102028841B1 (ko) * 2018-09-18 2019-11-14 이화자 슬러지 제거장치
KR101980192B1 (ko) * 2019-01-14 2019-05-20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침전물 중앙 수집형 수처리용 침전조
KR101980193B1 (ko) * 2019-01-14 2019-05-20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배플 가동형 수처리용 침전조
KR101980191B1 (ko) * 2019-01-14 2019-05-20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수처리 침전조용 굴절형 슬러지 수집 장치
WO2020196928A1 (ko) * 2019-03-22 2020-10-01 동양수기산업(주) 복합식 슬러지 제거 장치
KR102123049B1 (ko) * 2019-12-27 2020-06-26 (주)가온텍 실린더형 수압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KR102123066B1 (ko) * 2019-12-27 2020-06-26 (주)가온텍 장방형 침전지의 수압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CN111151036A (zh) * 2020-03-17 2020-05-15 杭州富阳伟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沉淀刮除机构及其方法
CN117682587A (zh) * 2024-02-04 2024-03-12 山东晟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保险粉生产污水处理的装置和方法
CN117682587B (zh) * 2024-02-04 2024-04-26 山东晟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保险粉生产污水处理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956B1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KR100894174B1 (ko) 오니 수집장치
MXPA06013744A (es) Metodo y disposicion para remocion de impurezas superficiales.
JP4633705B2 (ja) 汚泥掻寄装置
CN209500904U (zh) 一种便于清理池底污泥的沉淀池
US5454942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floating sludge in dissolved air floatation basins at water purification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KR200413347Y1 (ko) 수중대차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JP5828160B2 (ja) 沈澱物除去装置
KR20120050588A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기
KR20120108822A (ko)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
CN214570992U (zh) 一种给排水污水厂生物滤池装置
JP5668190B2 (ja) 沈降滞留物除去装置
KR101642244B1 (ko) 슬러지 수집장치
JPH1057713A (ja) 汚泥掻寄せ装置
KR100972684B1 (ko) 침전조의 수중대차 슬러지 제거 및 이송장치
JP2001145804A (ja) 汚泥掻寄機
CN111035972B (zh) 一种液下排液方式的沉淀池
SU12832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окалино-масло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CN216863809U (zh) 一种高效环保污水处理用沉淀池结构
KR101736057B1 (ko)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CN210933924U (zh) 一种新型煤泥沉淀池
CN219595943U (zh) 一种便于漂浮物分离与淤泥清理的污水沉淀池
KR101839923B1 (ko)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CN213375266U (zh) 一种双滑轨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