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923B1 -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923B1
KR101839923B1 KR1020160179242A KR20160179242A KR101839923B1 KR 101839923 B1 KR101839923 B1 KR 101839923B1 KR 1020160179242 A KR1020160179242 A KR 1020160179242A KR 20160179242 A KR20160179242 A KR 20160179242A KR 101839923 B1 KR101839923 B1 KR 10183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connecting bar
rail
hanger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이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우 filed Critical 이원우
Priority to KR102016017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침전조의 양측 벽 또는 배출통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정체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수단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는 행거; 다수개의 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제1 커넥팅 바; 상기 행거의 하부에 축 설치되는 패들; 상기 전후의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바;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슬러지 수집기가 작동하지 않는 공간 내에서 스컴의 장시간 정체로 인한 부패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Scum removal device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를 위한 스컴(Scum)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침전조의 양측 벽 또는 배출통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의 양측 벽과 슬러지 수집기 사이 또는 배출통로와 슬러지 수집기 사이에서 정체되는 스컴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침전조에서는 저류를 형성하여 수중의 슬러지가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는 한편, 슬러지가 가라앉은 상등수는 월류(Overflow)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정화 과정에서 침전조의 바닥에는 슬러지가 점점 쌓이게 되고 이렇게 쌓이는 슬러지가 장시간 누적되면 일부가 부상하여 수표면으로 떠오르면서 스컴(Scum: 수처리시 수면 위에 생기는 부유물)으로 변형된다. 이때, 상기 스컴은 상등수와 함께 월류되기 쉽기 때문에 침전조 이후의 수처리 과정에서 스컴의 유입으로 인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0558135호(2006.03.10. 공고)에는 '슬러지 수집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상기 슬러지 수집기는 판재 형태의 플라이트를 이용하여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는 호퍼로 긁어 모으는 한편 수면에 형성되는 스컴은 배출통로로 밀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침전조는 하·폐수가 유입되는 전방 바닥에 호퍼가 형성되고, 상등수가 배출되는 후방 수면에 상등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등수로의 전방에는 침전조를 횡방향으로 가르면서 상기 스컴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의 바닥과 수면을 경유하여 순환하도록 궤도를 형성하고, 상기 궤도를 따라 체인이 구동하도록 하며, 상기 체인을 통해 바닥의 슬러지를 긁어모으면서 수면의 스컴을 밀어내기 위한 다수개의 플라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슬러지 수집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침전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침전조의 바닥으로부터 전후좌우의 벽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바닥과 벽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헌치(Haunch)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헌치는 플라이트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에는 상기 침전조의 양측 벽과 밀착하는 플라이트의 단부를 상기 헌치의 폭만큼 절단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침전조의 양측 벽과 플라이트 사이에는 스컴이 정체되는 공간(Dead zone)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는 스컴이 모여 장시간 정체되면서 부패하기 때문에 악취는 물론이고 상등수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된 침전조에서는 수면의 스컴이 배출통로의 전방에 쌓이면서 슬러지 수집기가 밀어내는 압력에 의해 배출통로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슬러지 수집기와 배출통로 사이에 많은 량의 스컴이 정체되면 일부 스컴이 밀리면서 배출통로의 하부를 통해 상등수로의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유실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침전조의 양측 벽과 상기 슬러지 수집기 사이의 공간(Daed zone)에 설치하여 상기 공간에서 정체하는 스컴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침전조의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와 슬러지 수집기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여 스컴을 배출통로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침전조의 양측 벽에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 단부와 상기 침전조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정체되는 스컴을 제거하도록 하되, 상기 침전조의 측벽을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다수개를 등 간격에 설치하되,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수단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수면 위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다수개의 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1 커넥팅 바; 상기 행거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축 하부에는 회전을 통해 수면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공간의 스컴을 전방으로 걷어내기 위한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축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가 형성된 패들; 상기 패들의 로드와 축 결합되면서 전후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바; 상기 침전조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통해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2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침전조의 배출통로 상부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기와 배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정체되는 스컴을 제거하도록 하되, 상기 배출통로의 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다수개를 등 간격에 설치하되,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수면 위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다수개의 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1 커넥팅 바; 상기 행거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축 하부에는 회전을 통해 수면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공간의 스컴을 전방으로 걷어내기 위한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축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가 형성된 패들; 상기 패들의 로드와 축 결합되면서 전후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바; 상기 침전조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통해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2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은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I' 형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와,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하부 롤러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딩판과,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하부 슬라이딩판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패들의 블레이드는 측단면이 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컴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의하면 침전조의 양측 벽과 상기 슬러지 수집기 사이의 공간(Daed zone)에 설치하여 상기 공간에서 정체하는 스컴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간 내에서 스컴의 장시간 정체로 인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의하면 침전조의 배출통로와 슬러지 수집기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여 스컴을 배출통로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컴이 배출통로 하부를 통해 상등수로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된 침전조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시한 작동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100),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수단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는 행거(200), 다수개의 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제1 커넥팅 바(300), 상기 행거의 하부에 축 설치되는 패들(400), 상기 전후의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바(500),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600) 및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1 내지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10)의 양 측벽에 설치되는 형태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의 배출통로(11)의 전방에 설치되는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레일(100)은 슬러지 수집기(20)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11)가 형성된 침전조의 양측 벽 또는 배출통로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레일(100)은 침전조의 양측 벽에 설치되는 경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을 따라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고, 배출통로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수집기(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레일(200)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침전조의 측벽에 설치하는 경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전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브래킷을 통해 하나의 레일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면 충분하고, 배출통로의 전방에 설치하는 경우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통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통해 한 쌍 이상의 레일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면 충분하다.
상기 레일(100)은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I' 형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200)는 상기 레일을 따라 다수개를 등 간격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각 행거(200)는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수단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레일로부터 상기 수면 위로 늘어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행거(200)는 상기 레일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하되, 전후로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행거(200)의 이동수단은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 형강 형태의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210) 및 상기 레일의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하부 롤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행거(200)는 상부 롤러(210)와 하부 롤러(220)에 의해 원활하고 유동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딩판과,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하부 슬라이딩판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커넥팅 바(300)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행거를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커넥팅 바(300)는 다수개의 행거가 일체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들(400)은 상기 행거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 하부에는 회전을 통해 수면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공간의 스컴을 전방으로 걷어내기 위한 블레이드(410)가 형성되고, 상기 축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패들(400)은 상기 행거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로드(42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10)가 수면 위로 들리거나 수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스컴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410)는 침전조의 측벽에 설치되는 경우 또는 배출통로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에 따라 좌우 폭을 조절한다.
상기 패들(400)은 스컴을 원활하게 밀어내거나 걷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측단면이 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커넥팅 바(500)는 상기 패들의 로드와 축 결합되면서 전후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커넥팅 바(500)는 다수개의 패들이 일체로 전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실린더(600)는 상기 침전조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실린더(600)는 프레임이나 브래킷 등 고정 수단을 통해 침전조의 측벽 또는 배출통로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 실린더(700)는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통해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2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실린더(700)는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함께 전후진 하면서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로 일정거리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700)는 제1 커넥팅 바와 제2 커넥팅 바 사이에 축 결합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상기 배출통로(11)의 전단에 상기 스컴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800)을 설치함으로써, 스컴이 상기 경사판을 타고 배출통로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정에 의해 스컴의 제거가 원할게 이루어진다.
최초 제1 실린더(600)는 후진한 상태이고, 제2 실린더(700)는 전진한 상태이며, 그로 인해 상기 행거(200)는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한 상태이고, 상기 패들(400)은 블레이드(410)가 수면에 잠긴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 제2 실린더(700)가 후진하여 패들(400)의 블레이드(410)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한다.
다음은 상기 제1 실린더(600)가 전진하여 행거(200) 및 패들(400)이 일정거리 전진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 제2 실린더(700)가 전진하여 패들(400)의 블레이드(410)가 수면에 잠기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실린더(600)가 후진하여 패들(400)의 블레이드(410)가 수면에 떠있는 스컴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이와 같은 1회의 작동 과정이 반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수면에 떠있는 스컴을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배출통로를 통해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과 작용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침전조의 양측 벽과 상기 슬러지 수집기 사이의 공간(Daed zone)에 설치하여 상기 공간에서 정체하는 스컴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간 내에서 스컴의 장시간 정체로 인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침전조의 배출통로와 슬러지 수집기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여 스컴을 배출통로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컴이 배출통로 하부를 통해 상등수로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침전조
11: 배출통로
100: 레일
200: 행거 210: 상부 롤러
220: 하부 롤러
300: 제1 커넥팅 바
400: 패들 410: 블레이드
420: 로드
500: 제2 커넥팅 바
600: 제1 실린더
700: 제2 실린더
800: 경사판

Claims (7)

  1.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침전조의 양측 벽에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 단부와 상기 침전조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정체되는 스컴을 제거하도록 하되, 상기 침전조의 측벽을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다수개를 등 간격에 설치하되,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수단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상기 레일로부터 수면 위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다수개의 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1 커넥팅 바; 상기 행거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축 하부에는 회전을 통해 수면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공간의 스컴을 전방으로 걷어내기 위한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축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가 형성된 패들; 상기 패들의 로드와 축 결합되면서 전후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바; 상기 침전조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통해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2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I' 형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와,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하부 롤러로 구성되거나,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딩판과,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하부 슬라이딩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패들의 블레이드는 측단면이 호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통로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컴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2.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면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가 형성된 침전조의 배출통로 상부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수집기와 배출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정체되는 스컴을 제거하도록 하되, 상기 배출통로의 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다수개를 등 간격에 설치하되,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수단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상기 레일로부터 수면 위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다수개의 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제1 커넥팅 바; 상기 행거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되, 상기 축 하부에는 회전을 통해 수면으로 출입하면서 상기 공간의 스컴을 전방으로 걷어내기 위한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축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로드가 형성된 패들; 상기 패들의 로드와 축 결합되면서 전후 패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커넥팅 바; 상기 침전조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제1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커넥팅 바를 통해 축 설치되면서 상기 제2 커넥팅 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넥팅 바를 전후 일정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I' 형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와,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구동하는 하부 롤러로 구성되거나, 상기 레일의 플랜지 양측 상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상부 슬라이딩판과, 플랜지 하단에 밀착하는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하부 슬라이딩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패들의 블레이드는 측단면이 호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통로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컴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79242A 2016-12-26 2016-12-26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KR10183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42A KR101839923B1 (ko) 2016-12-26 2016-12-26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42A KR101839923B1 (ko) 2016-12-26 2016-12-26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923B1 true KR101839923B1 (ko) 2018-04-26

Family

ID=6208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242A KR101839923B1 (ko) 2016-12-26 2016-12-26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9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28B1 (ko) * 2007-08-28 2007-12-21 (주)덕성산업기계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1061437B1 (ko) * 2011-02-11 2011-09-01 (주)보광코퍼레이션 침사조용 침사슬러지 분배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28B1 (ko) * 2007-08-28 2007-12-21 (주)덕성산업기계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1061437B1 (ko) * 2011-02-11 2011-09-01 (주)보광코퍼레이션 침사조용 침사슬러지 분배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956B1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KR20170043945A (ko) 스컴 제거장치
KR101540242B1 (ko)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MXPA06013744A (es) Metodo y disposicion para remocion de impurezas superficiales.
KR101839923B1 (ko) 수처리용 스컴 제거장치
US5454942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floating sludge in dissolved air floatation basins at water purification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CN111148557B (zh) 污泥收集器
JP2008114124A (ja) 汚泥掻寄装置
JP2017077507A (ja) スカム寄せ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汚泥掻寄機
KR101712564B1 (ko) 부력식 스컴제거장치
JPH1057713A (ja) 汚泥掻寄せ装置
JP4530551B2 (ja) 掻寄機
CN214971966U (zh) 一种便于清理的污泥斜板沉淀池
CN213468737U (zh) 用于刮泥机的清理装置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SU12832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окалино-масло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KR200255885Y1 (ko) 원형침전지의슬러지수집기
JP4397606B2 (ja) 汚泥掻寄機
JP3909562B2 (ja) 汚泥掻寄機
KR100925702B1 (ko) 수처리장의 스컴 부유물제거장치
JP2004033983A (ja) 洗浄水自動供給スクリーン
CN211712822U (zh) 一种高效环保污水处理用沉淀池
KR200342794Y1 (ko) 슬러지 수집장치
CN220328016U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池的污泥清理装置
KR100765086B1 (ko) 침전물 제거가 용이한 스크래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