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127B1 -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127B1
KR100970127B1 KR1020090122208A KR20090122208A KR100970127B1 KR 100970127 B1 KR100970127 B1 KR 100970127B1 KR 1020090122208 A KR1020090122208 A KR 1020090122208A KR 20090122208 A KR20090122208 A KR 20090122208A KR 100970127 B1 KR100970127 B1 KR 10097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in assembly
copper
copper pipe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원
Original Assignee
권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원 filed Critical 권성원
Priority to KR102009012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의 소재 재활용기술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계에서 분리되는 라디에이터의 핀어셈블리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고철(금속브라켓)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사전 제거하는 고철제거공정과, 핀어셈블리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을 커팅장치의 스크레이퍼칼에 의해 동파이프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동일 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커팅공정과, 교호로 배치되는 다수의 압착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운동하는 분리장치에 의해 핀어셈블리의 동과 알루미늄을 자동으로 탈락시키는 분리공정과, 분리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탈락되는 동과 알루미늄스크랩이 구별되게 선별하는 스크랩선별공정을 통해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순수 동과 알루미늄으로 분리하는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라디에이터의 대부분이 합금재료로만 재생 가능하였던 종래의 한계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동과 알루미늄으로 완전 분리시킬 수 있는 기계장치의 도입으로 작업 및 생산성,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폐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으로 수요와 공급의 적절한 균형과 국가 경제적 이익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폐라디에이터, 동, 동 파이프, 알루미늄, 스크랩, 핀, 스크레이퍼칼

Description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radiator}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의 소재 재활용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된 열교환기계기구류의 라디에이터에서 양질의 동(銅:Cu)과 알루미늄(ALUMINUM MATERIAL: AL))의 분리작업에 편의를 제공하여 전량 재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합금첨가용 부자재로 전용되는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 자원의 재활용율을 크게 증대시켜 수입 대체 및 고부가가치를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장 및 사용수명이 경과한 냉동기기, 공조기기, 자동차 등의 열교환계에는 고순도의 동과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이 주종을 이루는 라디에이터(radiator)가 내장되고 있어 폐기시에도 이들 라디에이터를 일반 고철과 별개로 분리하여 거래되고 있다. 이는 동과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의 가격이 일반 고철 가격보다 아주 높게 거래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첨부 도면 도 1은 열교환계에 이용되는 라디에이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열교환계의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100)는 상,하로 포개어지듯이 중첩되는 수많은 알 루미늄핀(200a,200b,200c,…,200n:200)(Aluminum fin)과, 알루미늄핀(200)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동파이프(300)(銅 Pipe)와, 핀어셈블리(100)를 기계장치에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금속브라켓(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들은 종이 두께에 불과한 매우 얇은 박판들이 일정 간극(틈새)으로 빼곡하게 배열되어 그 내측에 다수의 동파이프(300)가 관통되게 끼워지고, 상기 동파이프(300)는 금속브라켓(400)에 지지되는 U자형 동파이프(310)로 연속하여 동파이프(300) 내측으로 순환되는 유체(냉매)를 매개로 임의의 온도가 얻거나 상기 알루미늄핀(200) 사이로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온시키는 열교환작용을 꾀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열교환계의 라디에이터는 그 용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어 이를 분해할 수 있는 전용기계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핀어셈블리(100) 분해작업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행해짐에 따라 시간당 생산량이 아주 저조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분리되는 양 또한 많지 않아 일부만 재활용될 뿐 대부분 알루미늄이나 동합금 첨가용 부재료로 전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종이두께에 불과한 얇은 박판으로 제조되는 알루미늄핀(200) 사이 사이에 끼워진 동파이프(300)가 모두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관계로 분리가 쉽지 않고, 도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힘이 들뿐만 아니라 작업환경도 매우 열악하여 기피하는 업종으로 전락되었다.
따라서 순수 동과 알루미늄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합금 첨가용 부재료로 전용 되면 원상태의 고순도 동과 알루미늄은 그 순수성을 상실하여 그 가치 또한 크게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고, 동합금 및 알루미늄합금 특성상 첨가재는 그 수요가 많지않아 과잉 공급에 따른 수요 불균형을 초래하여 업체들에게 재고부담 및 경제적 손실을 전가하게 되어 자원 재활용의 근본 취지에도 부합되지 않는다.
더욱이 비철금속류는 거래의 특성상 각 종류(동, 알루미늄, 스텐, 니켈 등)의 국제시세에 의한 가격 변동 및 생산적 시장원리에 따라 수요자(재생공장)의 구매가격이 결정됨에 따라 공급자(수집납품업자) 및 이전의 거래 가격은 거래 당사자간의 상호이익이 우선시됨을 고려할 때 기존 합금용으로 납품되는 가격보다는 양질의 동과 알루미늄 형태로 분리하는 것이 더 많은 부가가치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순도 동과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라디에이터를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기술이야말로 자원의 재활용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수요와 공급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였을 때 유통질서 확립과 더불어 국가 경제가 발전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고순도 동과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라디에이터를 손쉽게 분해하지 못하여 합금 주조용으로 전용되는 종래 재활용 산업의 한계 극복을 위해서 반자동화된 기계장치를 통해 단시간에 체계적으로 라디에이터를 분해하여 양질의 동과 알루미늄으로 취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질의 동과 알루미늄을 전량 재활용함으로써 물질적 가치상승은 물론 경제적 손실과 자원 낭비의 최소화로 수입 대체 효과를 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열교환계에서 분리되는 라디에이터의 핀어셈블리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고철(금속브라켓)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사전 제거하는 고철제거공정과, 금속브라켓이 제거된 핀어셈블리의 알루미늄핀 한쪽면 또는 양쪽면을 커팅장치를 이용하여 동파이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커팅공정과, 다수의 상,하압착롤러가 교호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회전운동하는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핀어셈블리의 동과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분리공정과,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동스크랩과 알루미늄스크랩을 선별하는 스크랩선별공정을 통해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순수 동과 알루미늄으로 분리하는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각각의 동과 알루미늄스크랩을 전기로에서 용해하여 괴(塊) 형태로 주조하는 주조공정과, 주조된 각각의 동과 알루미늄괴를 활용하여 동과 알루미늄제품으로 성형하는 완제품성형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장치는 폭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동파이프가 결합된 알루미늄핀에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레이퍼칼, 상기 스크레이퍼칼이 직선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상면블록, 상기 상면블록과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칼날조립부에 조립되는 스크레이퍼칼을 고정 및 해지하는 고정구가 결합되어 고정블록의 상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칼날고정블록과, 상기 칼날고정블록 구동에 필요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유압장치가 구비되어 핀어셈블리의 알루미늄핀 한쪽면 또는 양쪽면을 내측 동파이프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하면서 동파이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은, 양질의 동과 알루미늄의 분해작업이 간단한 기계장치에 의해 대량생산 체체를 확립함으로써 종래처럼 수작업에 의존하였을 때보다 생산량이 크게 증대되어 고부가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함은 물론 작업장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은 핀어셈블리에서 양질의 동과 알루미늄을 분리하여 전량 재활용함으로써 합금재료로 전용되었던 종래 재활용 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과 알루미늄에 대한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요와 공급의 적절한 균형과 유통질서 확립으로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양쪽 금속브라켓 제거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라인이 가공된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분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5내지 도 8은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가 본 발명의 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라인 성형과정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에 의해 커팅라인을 성형된 핀어셈블리의 동과 알루미늄스크랩이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2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거된 핀어셈블리(100)의 양쪽 금속브라켓(400)을 사전에 절단하여 제거하는 절단기(20), 스크레이퍼칼(31)을 이용하여 금속브라켓(400)이 제거된 핀어셈블리(100)의 동파이프(30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핀(200)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커팅되는 커팅라인(230)을 가공하는 커팅장치(30), 커팅라인(230)이 가공된 핀어셈블리(100)를 압착롤러로 압착시키면서 동과 알루미늄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분리장치(40)를 구비함에 따라 수거된 핀어셈블리(100)는 절단기(20)에 의해 양쪽 금속브라켓(400)을 사전 제거하고, 상기 핀어셈블리(100)는 커팅장치(30)의 스크레이퍼칼(31)를 이용하여 알루미늄핀(200)에 동파이프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230)을 가공한 후 분리장치(40)의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핀어셈블리(100)의 동과 알루미늄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핀어셈블리(100)의 동과 알루미늄스크랩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압착시키는 프레스(60) 및 괴(塊) 형태로 주조하기 위한 전기로(80)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계에서 분리된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100)를 수거하는 공정(S1)과, 핀어셈블리(100)의 동과 알루미늄 분리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수거된 핀어셈블리(100)의 양쪽 금속브라켓(400)을 절단기(20)를 이용하여 사전 제거하는 공정(S2)과, 커팅장치(30)의 스크레이퍼칼(31)을 이용하여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 한쪽 또는 양쪽면에 동파이프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다수의 커팅라인(230)을 형성하는 공정(S3)과, 분리장치(40)의 압착롤러(41)로 사이로 압착시키면서 핀어셈블리(100)의 동파이프(300)와 알루미늄핀(200)들이 자동으로 탈락되도록 분리하는 공정(S4)과, 분리된 동과 알루미늄스크랩들을 동일 소재별로 선별하는 공정(S5)을 통해서 핀어셈블리(100)의 동과 알루미늄을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분리된 동과 알루미늄을 스크랩형태로 재생업체에 그대로 반출하는 공정(S6)또는 분리된 동과 알루미늄스크랩을 프레스(60)로 압착하여 부피를 줄인 다음 외부로 반출하는 공정(S7)과, 분리된 동과 알루미늄스크랩을 전기로(80)에서 용해하여 괴(塊) 형태로 주조하는 주조공정(S8)과, 주조된 각각의 동과 알루미늄괴를 활용하여 동과 알루미늄제품으로 성형하는 완제품성형공정(S9)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고철제거공정(S2)은 수거된 핀어셈블리(100)의 순수 동과 알루미늄만을 분리하기 위한 사전 예비공정으로서, 기계기구에 라디에이터를 고정되게 부착시키기 위한 철재 또는 합성수지 금속브라켓(400)과 인접되는 동파이프(300)(300)들을 연속되게 연결하여 동파이프의 내측으로 냉매의 유동(흐름)을 유도하는 U자형 동파이프(310)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거된 금속브라켓(400)은 별도의 작업을 통해 알루미늄과 동 및 철로 분리하거나 합금주조용으로 주조된다.
커팅공정(S3)은 핀어셈블리(100)의 내측 동파이프(300)의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핀어셈블리(100)의 의 알루미늄핀(200) 한쪽면 또는 양쪽면을 커팅장치(30)의 스크레이퍼칼(31)를 이용하여 동파이프(30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230)을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커팅장치(30)의 스크레이퍼칼(31)에 의해 절취되는 알루미늄핀(200)의 커팅라인(230)은 핀어셈블리(100)의 내측에 위치한 동파이프(3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깊이로 절취된다.
스크레이퍼칼(31)는 다수개로 구성하되, 핀어셈블리(100)의 내측에 결합된 동파이프(300)와 동일하게 배치하여 한번 작업으로 핀어셈블리(100)의 한쪽면을 동시에 절취하도록 되어있다.
도 5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에 커팅라인을 형성하는 커팅장치(30)는 폭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을 일부 절취하는 스크레이퍼칼(31), 일정 거리간격(폭)으로 다수 배치되는 스크레이퍼칼(31)이 직선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상면블록(32), 상기 상면블록(32)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블록(35)과, 스크레이퍼칼(31)의 상면부가 수용되는 칼날조립부(371) 및 상기 칼날조립부(371)로 결합되는 스크레이퍼칼(31)을 일시 고정 및 해지하는 고정구(372)가 결합되어 스크레이퍼칼(31)과 함께 고정블록(35)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칼날고정블록(37)과, 상기 칼날고정블록(37)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유압장치(39)가 각각 구비되어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 한쪽면 또는 양쪽면을 스크레이퍼칼(31)이 커팅시키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동파이프(30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230)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스크레이퍼칼(31)은 알루미늄핀(200)들을 절취하기 위해 스크레이퍼칼(31)이 수용되는 홀더(312), 상기 홀더(312)에 조립된 스크레이퍼칼(31)을 고정 및 해지하는 고정구(313)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312)는 고정구(313)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훼손시 교체는 물론 홀더(312)에 조립되는 스크레이퍼칼(31)의 상,하 길이 조정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면블록(32)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받침블록(34)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321,341)가 형성되어 상면블록(32)과 받침블록(34) 사이의 핀어셈블리(100) 성형시 좌,우 요동이나 미끄러짐을 예방하도록 되고, 받침블록(34)은 그 하부에 유압장치와 연결되는 실린더(342)가 부설되어 상기 실린더(342)에 의해 받침블록(34)과 함게 핀어셈블리(100)를 상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알루미늄핀(200)에 커팅라인(23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상면블록(32)에는 간격조절용 스페이서(322)가 조립되어 스크레이퍼칼(31)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좌,우 이동을 위한 안내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고, 스페이서(322)는 스크레이퍼칼(31)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하여 스크레이퍼칼(31)과 어떠한 접촉이나 간섭이 없도록 한다.
받침블록(34)의 일측에는 그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보조테이블(38)이 설치되어 보조테이블(38) 위에 핀어셈블리(100)를 올려놓도록 되고, 상기 보조테이블(38)에는 밀대(382)가 구비되어 상기 밀대(382)를 이용하여 핀어셈블리(100)를 커팅장치(30)의 작업공간(상면블록(32)과 받침블록(34) 사이)으로 밀어넣거나 반대로 작업을 마친 핀어셈블리(100)를 빼내도록 하였다.
커팅라인(230)이 형성된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에 외압(전단력)을 가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동파이프(300)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40)는 구동모터(도시하지 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테이블(45) 위에 회전 운동하도록 된 다수의 상,하 압착롤러(43a,43b)들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교호로 배치되어 양쪽 커팅라인(230) 사이를 가압하도록 되고, 상,하 압착롤러(43a,43b)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하여 상,하 압착롤러(43a,43b)가 알루미늄핀(200)에 뒤틀림 외압(전단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분리장치(40)는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상,하 압착롤러(43a,43b)가 알루미늄핀(200)의 한쪽 커팅라인(230)과 인접되는 또 다른 커팅라인(230)들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하 압착롤러(43a,43b)들 사이로 밀어넣게 되면 각각의 상,하 압착롤러(43a,43b)는 알루미늄핀(200)의 커팅라인(230)과 인접되는 또 다른 커팅라인(230)들 사이를 가압하게 될 때 압착롤러(43a,43b)에 의해 압착되는 알루미늄핀(200)의 양쪽 커팅라인(230)들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동파이프(300)들은 커팅라인(230)을 통해 쉽게 빠져나오게 되고, 상,하 압착롤러(43a,43b)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 운동함에 따라 알루미늄핀(200)은 일시적으로 뒤틀리는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어 동파이프(300)는 자동으로 분리되며 이탈되게 된다.
또한 분리장치(40)의 압착롤러(43a,43b)는 알루미늄핀(200) 외주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부(431)를 형성하여 알루미늄핀(200)과 동파이프(300)를 압축하는 전단력이 더욱 증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분리장치(40)를 통과시킴에 따라 핀어셈블리(100)에서 각각 분리되는 스크랩들 즉, 알루미늄핀(200)과 동파이프(300)는 작업자가 각각 소재별로 선별되도록 박스 및 포대에 담는 스크랩선별공정(S5)을 수행하여 각각의 스크랩들을 분리하고, 불완전하게 분리된 핀어셈블리(100)는 다시 한번 분리장치(40)에 재진입시키는 방법을 반복하여 분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분리된 핀어셈블리(100)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수거된 핀어셈블리(100)의 양쪽 가장자리면에 부착된 금속브라켓(400)은 절단기(20)를 이용하여 사전 제거한다.
고철이 제거된 핀어셈블리(100)는 커팅장치(30)의 보조테이블(38) 위에 올려놓여진 후 밀대(382)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스크레이퍼칼(31)이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커팅장치 받침블록(34)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 실린더를 작동하여 받침블록(34)과 함께 핀어셈블리(100)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상면블록(32)과 서로 맞닿을때까지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크레이퍼칼(31)을 왕복 운동시키면 스크레이퍼칼(31)은 알루미늄핀(200)의 한쪽면 전체를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커팅되는 커팅라인(230)을 각각 형성하게 되고, 이처럼 커팅라인(230)을 형성한 후 받침블록(32)과 함께 핀어셈블리(100)를 다시 하부측으로 이동시킨 후 밀대(382)를 이용하여 보조테이블(38) 쪽으로 반출한다. 이때 핀어셈블리(100)의 내측에 위치한 동파이프(300)들이 복수열로 구성되는 핀어셈블리(100)의 반대쪽도 마저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보조테이블(38) 위의 핀어셈블리(100)를 반대로 뒤집은 다음 다시 커팅장치(30) 내측으로 다시 이동시킨 후 앞선 작업을 반복하여 그 반대쪽면에도 스크레이퍼칼(31)에 의해 길게 커팅되는 커팅라인(230)을 동일하게 가공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 한쪽 또는 양쪽면에 동일한 커팅라인(230)을 가공하였으면 핀어셈블리(100)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분리장치(40) 쪽에 가지런히 정렬한다. 정렬된 핀어셈블리(100)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각각의 다수의 상,하 압착롤러(43a,43b)들이 알루미늄핀(200)에 가공된 커팅라인(230)과 인접되는 또 다른 커팅라인(230) 중앙부를 각각의 압착할 수 있도록 정열시킨다.
이처럼 정열된 핀어셈블리(100)는 회전 운동하는 상,하 압착롤러(43a,43b)에 의해 분리장치(40)의 내측으로 서서히 빨려들어가듯이 진입하게 될 때 상,하 압착롤러(43a,43b)가 양쪽 커팅라인(230) 사이의 중앙부를 가압시킴에 따라 압착되는 알루미늄핀(200)의 커팅라인(230)이 양쪽으로 서서히 벌어져 그 내측에 위치한 동파이프(300)들은 커팅라인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상,하 압착롤러(43a,43b)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 운동함에 따라 상,하 압착롤러(43a,43b)에 의해 압착되는 알루미늄핀(200)에 일시적으로 뒤틀리는 전단력이 작용하여 커팅라인(230)을 통해 빠져나오는 동파이프(300)를 알루미늄핀(200)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핀어셈블리(100)가 분리장치(40)의 압착롤러(43a,43b) 사이로 완전히 통과하면 반대편쪽 배출부에는 동과 알루미늄들이 완전 분리된 형태로 방출되게 되므로 작업자는 이들을 선별하는 선별작업을 통해 수거용기에 구분되도록 담으면 된다.
한편, 선별된 동과 알루미늄 스크랩덩어리들은 차량을 이용하여 재생업체에 반제품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전기로(80)를 이용하여 각각의 동과 알루미늄 스크랩 덩어리를 주조하여 일정단위 크기의 동과 알루미늄 괴(塊) 형태로 성형하게 되면 부피가 대폭 줄어듬에 따라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처럼 전기로(80)에서 제작된 동과 알루미늄 괴는 필요에 따라 소망하는 형태와 모양을 이루는 제품으로 제작 및 성형하여 완제품 형태로 출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양질의 동과 알루미늄의 분리작업이 기계장치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단순히 커팅장치(30) 및 분리장치(40)에 핀어셈블리(100)를 투입하고 분리된 각각의 동과 알루미늄 스크랩들만을 선별하는 단순 작업만을 필요로 하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초보자들도 쉽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 등을 유발하지 않게 되며, 수작업에 의존하였을 때보다 작업 및 생산량이 대폭 증대됨은 물론 근로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양쪽 고철 제거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라인을 성형한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5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커팅장치에 의한 커팅라인 성형 과정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에 의해 커팅라인이 가공된 핀어셈블리가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절단기
30: 커팅장치
31: 스크레이퍼칼
40: 분리장치
삭제
43a,43b: 압착롤러
60: 프레스
80: 전기로
100: 핀어셈블리
200: 알루미늄핀
230: 커팅라인
300: 동파이프
310: U자형 동파이프
400: 금속브라켓

Claims (2)

  1. 삭제
  2. 수거된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100)의 양쪽 가장자리면 금속브라켓(400)을 절단기(20)를 이용하여 사전 제거하는 공정(S2)과,
    금속브라켓(400)이 제거된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 한쪽 또는 양쪽면에 동파이프(3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팅장치(30)의 스크레이퍼칼(31)을 이용하여 동파이프(300)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230)을 성형하는 공정(S3)과,
    다수의 압착롤러(43a,43b)가 교호로 배치되는 분리장치(40)에 금속브라켓(400)이 제거된 핀어셈블리(100)를 통과시키면서 알루미늄핀(200)과 동파이프(300)를 분리하는 공정(S4)과,
    상기 공정(S4)을 통해 분리된 알루미늄핀(200)과 동파이프(300)가 구분되도록 선별하는 공정(S5)을 통해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100)의 동과 알루미늄 소재를 분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30)는 폭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알루미늄핀(200)에 커팅라인(230)을 형성하는 스크레이퍼칼(31), 상기 스크레이퍼칼(31)이 직선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상면블록(32), 상기 상면블록(32)과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블록(35)과, 칼날조립부(371)에 조립되는 스크레이퍼칼(31)을 고정 및 해지하는 고정구(372)가 결합되어 고정블록(35)의 상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칼날고정블록(37)과, 상기 칼날고정블록(37)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유압장치(39)가 구비되어 핀어셈블리(100)의 알루미늄핀(200)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동파이프(3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동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취되는 커팅라인(23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KR1020090122208A 2009-12-10 2009-12-10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KR10097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08A KR100970127B1 (ko) 2009-12-10 2009-12-10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08A KR100970127B1 (ko) 2009-12-10 2009-12-10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127B1 true KR100970127B1 (ko) 2010-07-13

Family

ID=4264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08A KR100970127B1 (ko) 2009-12-10 2009-12-10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8812A (zh) * 2021-12-21 2022-03-15 诺贝特空调(盐城)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叠片式汽车散热器的装配机
KR102375832B1 (ko) * 2021-01-11 2022-03-16 홍광의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플라스틱 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23A (ja) * 1993-10-29 1995-07-11 Mitsubishi Material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JPH0811022A (ja) * 1994-06-28 1996-01-16 Mitsubishi Material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
JP2000317746A (ja) * 1999-05-07 2000-11-21 Hitachi Ltd 熱交換器の解体装置
JP2008023615A (ja) 2006-07-18 2008-02-07 Hikari System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23A (ja) * 1993-10-29 1995-07-11 Mitsubishi Material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JPH0811022A (ja) * 1994-06-28 1996-01-16 Mitsubishi Material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
JP2000317746A (ja) * 1999-05-07 2000-11-21 Hitachi Ltd 熱交換器の解体装置
JP2008023615A (ja) 2006-07-18 2008-02-07 Hikari System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832B1 (ko) * 2021-01-11 2022-03-16 홍광의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플라스틱 분리장치
CN114178812A (zh) * 2021-12-21 2022-03-15 诺贝特空调(盐城)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叠片式汽车散热器的装配机
CN114178812B (zh) * 2021-12-21 2023-05-12 威海凯美立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叠片式汽车散热器的装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21248U (zh) 一种钢带刮毛刺机构
KR100970127B1 (ko) 라디에이터 핀어셈블리 소재 분리방법
US10124383B2 (en) Extrusion method for extruded material
CN110303201A (zh) 一种切管双面去毛刺装置
CN106001779A (zh) 一种铜带自动去除毛刺装置
CN101692404B (zh) 变压器铜带边部处理挤压成型方法及装置
CN201446651U (zh) 边料剪切装置
CN101670634A (zh) 塑料板材边料剪切装置
CN215280119U (zh) 一种多刀剪断机
CN110587011A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双凸台剪切设备
CN2915336Y (zh) 圆金属切断剪刀
CN112474834B (zh) 一种冷轧带钢生产工艺
CN211101799U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三凸台剪切设备
CN107234206A (zh) 一种推送式棘杆热锻切边模具
CN204234891U (zh) 一种型钢圆盘锯
CN101912931B (zh) 弧形冷柜金属外壳围板的加工方法与装置
CN210755445U (zh) 一种高效全自动液压龙门剪
CN206105018U (zh) 一种带护罩剪切机
CN205057148U (zh) 自动剪板机
CN101372023A (zh) 一种折弯机及利用该折弯机折不锈钢条的方法
CN205684522U (zh) 铝制异形型材调直机
CN209754128U (zh) 一种废金属回收用方便省力的液压剪切机
CN110587013A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三凸台剪切设备
CN215509242U (zh) 多刀剪断机的上刀座结构
CN202367256U (zh) 铜排拉拔在线剪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