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933B1 -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933B1
KR100969933B1 KR1020100001360A KR20100001360A KR100969933B1 KR 100969933 B1 KR100969933 B1 KR 100969933B1 KR 1020100001360 A KR1020100001360 A KR 1020100001360A KR 20100001360 A KR20100001360 A KR 20100001360A KR 100969933 B1 KR100969933 B1 KR 10096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purified water
motor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관일
Original Assignee
뮤러아시아(주)
강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뮤러아시아(주), 강관일 filed Critical 뮤러아시아(주)
Priority to KR102010000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5Plurality of essentially paralle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수처리 플랜트의 침전조에 설치되어 수중의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시키는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정수취출부를 청소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처리된 정수의 수질이 저하되고, 청소작업을 인력에 의존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판 침전장치의 상부를 왕복하면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정수취출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와 침전조 바닥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하여 기포를 형성함으로써 경사판을 청소하는 공기분사장치를 구비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필요에 따라 평브러시 또는 회전 브러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기계적으로 정수취출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인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인력에 의하지 않고 정수취출부와 경사판조립체를 세척하고 또한 고형침전물을 흡착해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세척작업에 인력이 소요되지 않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외부로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정수취출부의 취수관의 취수공이 막히지 않아 수두손실이 적어 처리수의 방출이 원활하다.

Description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Inclined Lamella Clarifier Having Washing Device for Settling Tank}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수처리 플랜트의 침전조에 설치되어 수중의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시키는 경사판 침전장치에 있어서 고형 이물질이 침착하는 부위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 하수 등의 수처리 플랜트에는 침전조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침전조는 처리수 중의 고형성분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침전조는 작은 체적으로 고형성분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침전조에서 고형성분을 효과적으로 침전시키기 위하여 최근에 경사판 침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사판 침전장치를 구비한 침전조는 별도의 장치가 없는 통상의 침전조에 비하여 침전지 단위면적당 침전물의 침강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작은 체적의 침전조로 많은 양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상기와 같은 경사판 침전장치의 기본적인 구성과 그 작용 및 효과에 관해서는 미국특허번호 US 6,245,243 B1호, 국내 등록특허 10-0712962호, 그리고 국내 등록특허 10-0872767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공지기술에 기재된 경사판 침전장치를 구비한 침전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데, 설치구조물(2)의 위에 침전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판조립체(1)가 설치되고, 경사판조립체의 상부에는 정수취출부(3)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처리수는 경사판조립체(1)의 저부 또는 측면 하부의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어 경사판조립체(1)의 층판과 층판 사이에 형성된 좁은 채널 형상의 유로를 따라 올라가면서 고형분은 침전되고, 고형분이 제거된 정수(Clean Water)는 정수취출부(3)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은 처리수의 흐름은 도 1의 화살표와 같다.
통상의 경사판조립체(1)는 다수 매의 판이 일정 간격으로 그리고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는데, 각 판과 판 사이의 간극이 하나의 채널 형태의 유로를 이룬다. 이렇게 형성된 유로를 따라 고형분이 포함된 오수가 올라가는 중에 고형분이 침전되고, 침전된 고형분은 경사판을 따라 흘러내려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된다.
상기 경사판조립체(1)의 상단에는 정수취출부(3)가 결합되어, 유로를 따라 올라오는 과정에서 고형분이 침전되어 깨끗해진 정수가 정수취출부(3)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미국특허번호 US 6,245,243 B1에는 다양한 형태의 정수 취출을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 등록특허 10-0712962호는 침전장치의 경사판 침전장치를 좌우 2개의 측판, 좌우의 측판을 서로 연결하는 층판, 그리고 층판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 측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 개의 보강판으로 구성된 경사판모듈을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상기 특허발명을 포함한 통상의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정수취출부(3)는 경사판조립체(1)의 상부에 상면에는 다수 개의 취수공을 구비한 취수관을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를 배열하고, 취수관의 끝단이 정수취출부(3)의 측면에 구비된 배수홈의 벽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판 침전장치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물에 존재하는 고형분은 경사판조립체(1)를 따라 상승하면서 침전되고, 침전물이 제거된 정수는 정수취출부의 취수관에 구비된 취수공을 통하여 배수홈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경사판 침전장치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고 나면, 경사판조립체(1)와 정수취출부(3)에 다량의 이물질이 침착된다. 이에 따라 경사판과 경사판 사이의 유로로 처리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때로는 취수관의 취수공이 막혀 정수가 원활하게 취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취수관의 외부가 오염될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침전조가 야외에 설치된 경우, 정수취출부(3)에 다량의 녹조가 발생하여 오염이 가속화된다.
따라서 상기한 취수관의 오염 물질들이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사람이 직접 정수취출부(3)를 브러시 등으로 문질러 청소를 하고, 침전조 전체를 완전히 비우고 경사판조립체(1)를 고압의 물로 세척을 하여 청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침전정치를 청소하는 데는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처리수(특히 하수)에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청소작업이 위험하기도 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경사판조립체와 정수취출부를 청소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처리된 정수의 수질이 저하되고, 청소작업을 인력에 의존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사판 침전장치는 경사판조립체와 정수취출부의 청소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판 침전장치의 상부를 왕복하면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정수취출부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침전조의 바닥에는 경사판조립체의 하부를 왕복하면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필요에 따라 평브러시 또는 회전 브러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기계적으로 정수취출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와 공기분사장치가 활주하는 레일의 양단에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여, 세척장치가 한쪽 끝에 이를 경우 진행방향을 자동으로 바꾸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경사판 침전장치의 상부를 왕복하면서 정수취출부를 세척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인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는 인력에 의하지 않고 경사판조립체와 정수취출부를 세척하므로, 세척작업에 인력이 소요되지 않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외부로 방류되는 처리수의 수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정수취출부의 취수관의 취수공이 막히지 않아 수두손실이 적어 처리수의 방출이 원활하다.
도 1은 통상의 경사판 침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사판 침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경사판 침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경사판 침전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세척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는 통상의 경사판 침전장치의 상부에 세척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침전조의 바닥에 경사판조립체의 하부를 왕복하면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도 2의 정면도 및 도 3의 평면도 그리고 도 4의 측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첨전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판조립체(1), 상기 경사판조립체(1)를 지지하고 있는 설치구조물(2), 상기 경사판조립체(1)의 상단에 설치되어 경사판조립체(1)를 통과하면서 침전물이 침전된 정수가 취출되는 정수취출부(3), 상기 정수취출부(3)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장치(4), 그리고 경사판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분사장치(5)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판조립체(1), 설치구조물(2), 그리고 정수취출부(3)는 통상의 경사판 침전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다만 정수취출부(3)의 양 측벽의 상단에는 레일(31)이 구비된다.
세척장치(4)는 길이가 길고 양끝 부분에 바퀴가 구비된 상자형의 대차(41), 상기 대차(41)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2), 상기 대차(4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외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43), 상기 급수관(43)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부착되고 상기 대차(41)의 하면으로 노출되어 아래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노즐(44)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정수취출부(3)를 세척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물에 세제를 첨가하여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물 대신에 고압의 공기 또는 스팀을 분사하여 정수취출부(3)를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대차(41)의 바퀴(411)는 상기 정수취출부(3)의 레일(31) 위에 올려져서 구르면서 대차(41)를 정수취출부(3) 위로 왕복할 수 있게 한다. 대차(41)의 바퀴(411)는 레일(3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가운데가 오목한 풀리 형상으로 제작하고, 레일(31)의 상단은 상기 바퀴(411)의 오목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볼록부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좋다.
구동장치(42)는 상기 대차(41)를 정수취출부(3) 위로 왕복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의 벽에 고정된 모터설치대(421)에 고정되는 모터(422)와, 상기 대차(41)의 전후에 결속되고 상기 모터(422)의 축에 부착된 구동풀리(423)에 감기어 견인되는 견인와이어(424),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424)를 지탱하는 도르레(425)로 구성된다.
세척장치(4)는 상기와 같이 대차(41)의 외부에 모터(422)를 구비하여 대차를 견인와이어(424)로 견인하여 구동하는 대신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22)를 대차(41)에 직접 장착하고, 모터(422)의 구동풀리(423)에 V-벨트, 체인 등의 전동장치(426)을 통하여 대차(41)의 바퀴(411)를 직접 구동할 수도 있다.
구동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동장치 이외에도 공압식, 유압식 등 대차를 구동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세척장치(4)의 대차(41)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45)를 구비하고, 별도의 구동모터 또는 대차의 바퀴(411)를 구동하는 모터(422)의 축과 전동장치(451)로 연결하여, 대차(41)가 정수취출부(3) 위로 왕복이동을 할 때 회전브러시(45)가 회전을 하면서 정수취출부(3)의 취수관을 세척하게 할 수 있다. 회전브러시(45)는 대차(41)의 하면에 부착하고, 대차 길이와 유사한 길이로 하여야 정수취출부(3) 전체가 한번에 세척이 된다.
또한 세척장치(4)의 대차(41)는 상기와 같이 회전브러시(45)를 구비하는 대신에,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브러시(46)를 구비하여 대차(41)가 정수취출부(3) 위로 왕복이동을 할 때 평면브러시(46)가 정수취출부(3)의 취수관을 세척할 수 있다.
공기분사장치(5)는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경사판조립체(1)의 하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경사판조립체(1)에 침착된 고형 이물질을 탈락시키고, 경사판조립체(1)에서 탈락한 고형 이물질을 흡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51), 상기 레일(51) 위를 왕복하는 이동체(52), 상기 이동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관(53), 흡착한 고형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54), 그리고 상기 이동체(52)를 좌우로 견인하여 왕복이동시키는 견인장치(55)로 구성된다.
레일(5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고, 경사판조립체(1)의 하부 침전조 바닥에 좌우 두 가닥이 고정구조물(511)에 의하여 설치되어 이동체(52)가 그 위로 활주할 수 있게 한다. 레일(51)의 한쪽 끝 고정구조물(511)에는 가이드풀리(512)를 부착하여, 공기관(53)과 배출관(54)을 이동체(52)의 운동에 따라 원활하게 안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동체(5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고 양끝 부분에 바퀴가 구비된 구조체인 몸체(521), 상기 몸체(521)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공기관(53)으로부터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공기분배관(522), 상기 공기분배관(522)에 다 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몸체(521)의 상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523), 상기 몸체(521)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배출관(54)와 연결되는 흡수관(524), 그리고 상기 흡수관(524)에 다 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침전조의 바닥을 향하여 결합되어 침전조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흡수하는 흡입관(525)으로 구성된다.
공기관(53)은 유연한 호스로 제작하고, 상기 이동체(52)의 공기분배관(522)에 결합되어 침전조 외부로 연장된다. 공기관(53)은 침전조의 외부에서 블로워 등의 공기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이동체(52)의 에어노즐(523)에 공급한다.
상기 에어노즐(523)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이 압축공기는 기포를 형성하면서 처리수 위로 떠오르게 된다. 이 기포가 처리수와 함께 경사판조립체(2)의 채널 형태의 유로로 통과하면서 파열이 되는데, 이와 같이 기포가 파열이 되면 국부적으로 큰 압력이 생성되어 경사판에 침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킨다.
배출관(54)은 유연한 호스로 제작하고, 상기 이동체(52)의 흡수관(524)에 결합되어 침전조 외부로 연장된다. 배출관(54)은 침전조의 외부에서 흡임펌프와 연결되어, 흡입관(525)으로 흡입된 침전물을 침전조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공기관(53)과 배출관(54)은 모두 상기 이동체(52)에 결합되어 이동체(52)에 끌려다녀야 하므로, 이 둘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 사용하거나 하나의 호스에 구멍이 두 개가 형성된 일체형 호스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공기관(53)과 배출관(54)은 침전조 외부에서 일정하게 장력을 주면서 이동체(52)의 전후 이동에 따라 끌려 들어가고, 밀려나올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견인장치(55)는 상기 세척장치(4)의 와이어 방식의 구동장치(42)와 동일하게 구성하는데, 상기 이동체(52)의 전후에 견인와이어(551)를 결속하고, 이 견인와이어를 침전조의 벽에 고정된 도르레(552)를 사용하여 모터(미도시)로 좌우로 견인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상기 공기분사장치(5)는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의 처리는 여타 방법으로 하고, 상기 배출관(54)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이동체(52)를 몸체(521)와 공기분배관(522) 그리고 에어노즐(523) 만을 구비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는 상기 정수취출부(3)의 레일(31) 양단에 리미트스위치(6)를 구비하고,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대차(41)가 정수취출부(3)의 한쪽 끝에 도착할 경우 대차를 구동하는 모터(422) 축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대차가 자동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수취출부(3)를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는, 세척장치(4)가 침전정치의 상부를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시마다 왕복하면서 정수취출부(3)를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취출부(3)를 세척할 경우, 정수취출부(3)의 취수관 등에 오물이 장기간 침착하지 않아 처리수의 수질이 개선된다. 그리고 취수관의 취수공이 막힐 염려가 없어 수두손실이 일어날 염려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는 일정한 주기로 상기 공기분사장치(5)를 좌우로 왕복하면서 압축공기를 에어노즐(523)에 분사하여, 경사판조립체에 침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방법으로 경사판조립체를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판조립체에서 탈락하여 침전조의 바닥에 쌓이는 고형 침전물은 상기 공기분사장치(5)를 좌우로 왕복하면서 흡입관(525)으로 흡입하여 침전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는 침전조 내부를 비우지 않고도, 경사판조립체를 청소할 수 있고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는, 세척장치(4)와 공기분사장치(5)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자동화를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침전조의 운용에 요구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침전조의 청소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함으로써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음용수 및 공업용수의 제조공정, 하수 및 오수 그리고 산업폐수 등의 처리공정 등을 포함하는 모든 수처리 시설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1 : 경사판조립체, 2 : 설치구조물, 3 : 정수취출부,
4 : 세척장치, 5 : 공기분사장치, 6 : 리미트스위치.

Claims (8)

  1. 첨전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판조립체(1);
    상기 경사판조립체(1)를 지지하고 있는 설치구조물(2);
    상기 경사판조립체(1)의 상단에 설치되고, 측면 상단에 레일(31)을 구비한 것으로서, 경사판조립체(1)를 통과하면서 침전물이 침전된 정수가 취출되는 정수취출부(3);
    그리고 상기 정수취출부(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31) 위를 주행하는 것으로서, 양끝 부분에 상기 레일(31)위로 구를 수 있는 바퀴가 구비된 길이가 긴 상자형의 대차(41), 상기 대차(41)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2), 상기 대차(4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외부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43), 그리고 상기 급수관(43)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부착되고 상기 대차(41)의 하면으로 노출되어 아래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44)을 포함하는 세척장치(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사판 침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4)의 구동장치(42)는,
    침전조의 벽에 고정된 모터설치대(421), 상기 모터설치대(421)에 고정되는 모터(422), 상기 대차(41)의 전후에 결속되고 상기 모터(422)의 축에 부착된 구동풀리(423)에 감기어 견인되는 견인와이어(424),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424)를 지탱하는 도르레(425)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4)의 구동장치(42)는,
    대차(41)에 장착되는 모터(422), 그리고 상기 모터(422)의 구동풀리(423)와 대차의 바퀴축에 구비된 바퀴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장치(4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422)가 대차(41)의 바퀴(411)를 직접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4)의 대차(41)는,
    대차(41)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회전브러시(45)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브러시(45)의 축은 별도의 구동모터 또는 대차의 바퀴(411)를 구동하는 모터(422)의 축과 전동장치(451)로 연결되어, 대차(41)가 정수취출부(3) 위로 왕복할 때 회전브러시(45)가 회전을 하면서 정수취출부(3)의 취수관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4)의 대차(41)는,
    대차(41)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평면브러시(46)를 구비하여, 대차(41)가 정수취출부(3) 위로 왕복할 때 평면브러시(46)가 정수취출부(3)의 취수관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침전장치는,
    상기 정수취출부(3)의 레일(31) 양단에 리미트스위치(5)를 추가로 구비하고,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대차(41)가 정수취출부(3)의 한쪽 끝에 도착할 경우 대차(41)를 구동하는 모터(422) 축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대차(41)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자동으로 왕복하면서 정수취출부(3)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침전장치는,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경사판조립체(1)에 공기를 분사하여 침착된 고형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것으로서,
    침전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51);
    상기 레일(51) 위를 왕복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구조체인 몸체(521), 상기 몸체(52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기분배관(522), 그리고 상기 공기분배관(522)에 다 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몸체(521)의 상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523)로 구성되는, 이동체(52);
    상기 이동체(52)의 공기분배관(522)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관(53);
    그리고, 상기 이동체(52)의 전후에 결속되는 견인와이어(551), 침전조의 벽에 고정되는 다수대의 도르레(552),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551)를 감아 돌리는 모터를 포함하는 견인장치(55);
    를 포함하는 공기분사장치(5)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침전장치는,
    상기 이동체(52)에 몸체(52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흡수관(524)과, 상기 흡수관(524)에 다 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침전조의 바닥을 향하여 결합되어 침전조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흡수하는 흡입관(525)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흡수관(525)에 연결되어, 흡입관(525)으로 흡입한 고형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54)을 추가로 구비하여;
    침전조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KR1020100001360A 2010-01-07 2010-01-07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096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360A KR100969933B1 (ko) 2010-01-07 2010-01-07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360A KR100969933B1 (ko) 2010-01-07 2010-01-07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933B1 true KR100969933B1 (ko) 2010-07-14

Family

ID=4264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360A KR100969933B1 (ko) 2010-01-07 2010-01-07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933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61B1 (ko) * 2011-08-19 2013-09-05 동부건설 주식회사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
CN104225968A (zh) * 2014-08-25 2014-12-24 宜兴市填料厂 侧向流斜板固定装置
ES2594865A1 (es) * 2015-06-23 2016-12-23 Pedro Roberto RODRÍGUEZ GÓMEZ Sistema de limpieza para limpiar automáticamente un tanque de un decantador lamelar y decantador lamelar que incorpora dicho sistema de limpieza
KR101799212B1 (ko) * 2016-03-03 2017-11-17 (주)코마린 오염수 차폐용 호퍼를 이용한 호수 바닥 청소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78579A (ko) * 2016-12-30 2018-07-10 엔탑컨버전스 주식회사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CN110368720A (zh) * 2019-08-30 2019-10-25 北京北排装备产业有限公司 一种水平流沉淀装置及其使用方法
WO2019216814A1 (en) * 2018-05-09 2019-11-14 Nordic Water Products Ab Automatic cleaning of lamella plate settler
KR102052855B1 (ko) * 2019-06-04 2019-12-05 윤종석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CN110694309A (zh) * 2019-11-11 2020-01-17 北控(杭州)生态环境投资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洗高密度沉淀池斜板/管的方法及装置
KR20200139349A (ko) * 2019-06-04 2020-12-14 윤종석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KR20200139856A (ko) * 2019-06-04 2020-12-15 윤종석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JP2021037493A (ja) * 2019-09-05 2021-03-11 ワセダ技研株式会社 傾斜板沈降分離システム及びその浄化方法
KR102298918B1 (ko) * 2021-04-22 2021-09-06 윤창진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RU2774239C2 (ru) * 2018-05-09 2022-06-16 Нордик Вотер Продактс Аб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очистка тонкопластинчатого отстойника
KR102632142B1 (ko) 2022-12-29 2024-01-31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세척장치가 구비된 경사판 침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59B1 (ko) 2007-02-12 2008-08-18 정영옥 침전지 경사판 사이의 누적 이물질 및 슬러지 제거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59B1 (ko) 2007-02-12 2008-08-18 정영옥 침전지 경사판 사이의 누적 이물질 및 슬러지 제거 청소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61B1 (ko) * 2011-08-19 2013-09-05 동부건설 주식회사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
CN104225968A (zh) * 2014-08-25 2014-12-24 宜兴市填料厂 侧向流斜板固定装置
ES2594865A1 (es) * 2015-06-23 2016-12-23 Pedro Roberto RODRÍGUEZ GÓMEZ Sistema de limpieza para limpiar automáticamente un tanque de un decantador lamelar y decantador lamelar que incorpora dicho sistema de limpieza
KR101799212B1 (ko) * 2016-03-03 2017-11-17 (주)코마린 오염수 차폐용 호퍼를 이용한 호수 바닥 청소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78579A (ko) * 2016-12-30 2018-07-10 엔탑컨버전스 주식회사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KR101935110B1 (ko) * 2016-12-30 2019-01-03 엔탑컨버전스 주식회사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US11679344B2 (en) 2018-05-09 2023-06-20 Nordic Water Products Ab Automatic cleaning of lamella plate settler
WO2019216814A1 (en) * 2018-05-09 2019-11-14 Nordic Water Products Ab Automatic cleaning of lamella plate settler
RU2774239C2 (ru) * 2018-05-09 2022-06-16 Нордик Вотер Продактс Аб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очистка тонкопластинчатого отстойника
EP3790641A4 (en) * 2018-05-09 2021-06-30 Nordic Water Products AB AUTOMATIC CLEANING OF A LAMELLAR PLATE DECANTER
WO2020246707A1 (ko) * 2019-06-04 2020-12-10 윤종석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KR20200139349A (ko) * 2019-06-04 2020-12-14 윤종석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KR20200139856A (ko) * 2019-06-04 2020-12-15 윤종석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102211332B1 (ko) * 2019-06-04 2021-02-03 윤종석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102217469B1 (ko) * 2019-06-04 2021-02-18 윤종석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US11358073B2 (en) 2019-06-04 2022-06-14 Jong Seok YUN Wastewater dissolved-air floatation apparatus combined with precipitation tank having sloped plates
KR102052855B1 (ko) * 2019-06-04 2019-12-05 윤종석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CN110368720A (zh) * 2019-08-30 2019-10-25 北京北排装备产业有限公司 一种水平流沉淀装置及其使用方法
JP2021037493A (ja) * 2019-09-05 2021-03-11 ワセダ技研株式会社 傾斜板沈降分離システム及びその浄化方法
CN110694309A (zh) * 2019-11-11 2020-01-17 北控(杭州)生态环境投资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洗高密度沉淀池斜板/管的方法及装置
KR102298918B1 (ko) * 2021-04-22 2021-09-06 윤창진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102632142B1 (ko) 2022-12-29 2024-01-31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세척장치가 구비된 경사판 침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93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1935110B1 (ko)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CN110143185B (zh) 一种龙门式全自动洗车系统
KR101410681B1 (ko) 고로 비숍 스크러버의 순환폰드 슬러지 침전방지장치
US4453386A (en) High capacity mat cleaning machine
CN208265906U (zh) 具有自动冲洗功能的异向流沉淀池及水处理系统
KR200194154Y1 (ko) 침전지용 슬러지 배출장치
CN104740925B (zh) 泵前浮式自清洗微滤装置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20140006184U (ko) 차량용 세륜 장치
CN213856150U (zh) 一种便于清洁的循环水箱
KR101073886B1 (ko) 살수차
KR101299717B1 (ko) 이브이에이 부상여재를 이용한 연속세척 여과장치
KR101325471B1 (ko)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CN206597362U (zh) 一种滤池清洗系统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CN211304012U (zh) 高压水自动清洗设备
CN210114859U (zh) 一种斜管沉淀池中斜管附着物清除装置
KR100631269B1 (ko) 급속 여과지의 주행식 표면세척장치
KR100806543B1 (ko)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KR101816904B1 (ko)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KR200410472Y1 (ko)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KR102491626B1 (ko) 침사 인양기
CN218982461U (zh) 接触网清洗系统及清洗作业车
KR102583852B1 (ko) 연못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