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79A -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79A
KR20180078579A KR1020160183481A KR20160183481A KR20180078579A KR 20180078579 A KR20180078579 A KR 20180078579A KR 1020160183481 A KR1020160183481 A KR 1020160183481A KR 20160183481 A KR20160183481 A KR 20160183481A KR 20180078579 A KR20180078579 A KR 2018007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water
washing
water supply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110B1 (ko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엔탑컨버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탑컨버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탑컨버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설비의 침전조에 설치되어 수중의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사판 세척장치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안정된 주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대차의 세척수 분사노즐 각도는 전,후의 분사 목표를 다르게 하여 경사판에 대하여 세척수가 보다 넓은 면적에 충돌하도록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는, 세척압력수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주행바퀴가 안내되어지는 주행레일과, 대차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구동모터와, 세척압력수 공급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가 권취되어지는 호스감김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Washing mechanism assembly of swash plate in settling tank for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설비의 침전조에 설치되어 수중의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사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장치의 안정된 주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대차의 세척수 분사노즐 각도는 전,후의 분사 목표를 다르게 하여 경사판에 대하여 세척수가 보다 넓은 면적에 충돌하도록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및 인구증가에 의한 물 부족 문제, 선진국의 물 인프라 노후화 및 개도국의 산업화 진전으로 인한 수질악화로 전 세계의 관심이 물에 집중되고 있다.
세계 물 산업은 향후 연평균 5%로 안정적 성장을 하면서 최근에는 수천억 달러의 시장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물시장의 구조변화 및 성장의 가속화, 개방화와 국제화가 진행되고 있다.
다국적 물 전문기업들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개도국 시장에 적극 진출하여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에 국내 물기업도 세계 물 시장 신규 진입의 필요성이 요구되지만 상하수도 시설 및 서비스업 분야에서 진입장벽이 높아 진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기존 시장을 선점한 물 전문기업과 경쟁하기위해서는 규모의 경제화, 기술의 고도화 및 전문화, 서비스 효율화 및 토탈 솔류션(TOTAL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 등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국내 물 시장에 있어서도 먹는 물 수질기준의 강화, 먹는물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형성, 기존 수처리공정의 처리효율 한계성 및 시설의 노후화, 서비스의 전문적 경영방식의 필요성 등 다양한 문제에 부딪히면서 기존 기술에 미래의 신 성장가능한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수처리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고, 이 중 하나가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슬러지를 침전 제거할 수 있도록 경사판을 포함한 정수처리시스템중 침전조 개발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하수처리 설비에는 넓은 침전조의 면적증가 및 물의 유동과 고형분 등의 침전을 신속하게 하여 침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경사판을 중첩시켜 침전조 내에 설치하는 침전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정수처리 침전조의 경사판은 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조 내부에 다수개의 경사판을 비스듬히 설치함으로써 처리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경사판에 부딪힌 고형분이 하부로 침전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침전조내부로 설치되어지는 경사판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판이 일정 간격으로 그리고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어지게 되고, 각 판과 판 사이의 간극이 하나의 통로 형태의 유로를 이룬다.
이렇게 형성된 유로를 따라 고형분이 포함된 처리수가 올라가는 중에 고형분이 침전되고, 침전된 고형분은 경사판을 따라 흘러내려서 침전조의 바닥에 침전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판을 포함하는 침전조는 경사판의 상부에 정수취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를 따라 올라오는 과정에서 고형분이 침전되어 깨끗해진 정수가 정수취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판을 이용한 침전방식은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이물질이 침착되어 경사판과 경사판 사이의 유로로 처리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된다.
더불어 정수취출부의 취수관 취수공이 막혀 정수가 원활하게 취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경사판을 구비한 침전조를 이용한 처리수를 정수할 때에는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직접 브러시등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여 왔다.
전술한 경사판을 구비한 종래 침전조의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이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로써, 특허 제10-0969933호(이하"선등록발명"이라 함)를 예로들을 수 있다.
선등록발명은 정수취출부와 경사판조립체의 자동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정수취출부는 상부로 설치되어진 레일을 따라 차륜이 안내되어지도록 위치하여져 있고, 구동장치의 동력에 의해 상기 레일에서 왕복운동되어지는 대차의 분사노즐과 회전브러시를 이용하여 자동세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경사판은 상기 경사판의 하부로 위치하게 설치되어진 레일에서 차륜이 안내되어지도록 위치한 이동체의 몸체 상부로 설치되어 있는 에어노즐로부터 분사되어지는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를 이용하여 경사판에 침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등록발명은 정수취출부와 경사판의 자동세척이 가능하도록 에어노즐을 포함하는 각 대차의 차륜(바퀴) 오목부가 상기 레일의 볼록한 부분에 얹혀진 상태로 이동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등록발명은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경사판을 세척하여왔던 관리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기술이긴 하나, 경사판에 침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식이 에어 버블 부상에 의한 유체와 경사판의 충돌로 세척하는 방식이어서 세척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척장치가 경사판의 하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공기가 부양하는 과정에서 침전된 슬러지가 부양되어져 정수된 물이 혼탁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와이어 로프 견인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되어지는 대차는 와이어 로프 견인에 의해 전,후진 운동중에 바퀴가 주행방향을 어긋나 틀어져(사행) 레일을 벗어나 탈선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데, 선등록발명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의 주행방식은 레일위에 세척용 대차의 주행바퀴가 단순하게 얹혀진 상태에서 주행하도록되어 있어 탈선이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압력수를 분사하며 주행하고, 압력수 유체의 단속이 있는 경우 진동이 발생하여 탈선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처리설비의 침전조에 설치되어 처리수내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 정화시키는 경사판의 상부에 세척압력수공급배관을 포함하는 대차의 주행바퀴가 상기 주행바퀴의 상,하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진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하여 대차의 사행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에 따라 대차의 사행으로 야기되는 탈선을 근본적으로 예방함과 동시에 대차로 장착되어지는 세척압력수 공급배관의 분사관에 형성되어지는 세척수 분사노즐의 각도를 전, 후의 분사목표를 다르게 유지되도록하므로써, 세척수가 경사판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충돌되어 경사판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척압력수 공급호스를 호스감김장치에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대차가 왕복운동할 때 느러짐 없는 긴장감이 유지되어 세척장치 운전중에 호스정리에 어려움을 격었던 종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한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전조로 유입된 처리수가 올라가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고형분이 침전 처리되며, 고형분이 처리된 정수가 정수취출부를 거쳐 방류되도록 된 침전조의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는 다수의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압력수 공급배관이 알파벳 에치자 형상을 이루며 장착되어 있고, 양측에는 침전조의 내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진 주행레일에서 안내되어지는 주행바퀴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상에 설치되어진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풀리의 정역회전에 따라 풀림과 감김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권취됨과 동시에 안내롤러에 안내되어지도록된 견인와이어에 의해 견인되어서 왕복되어지는 대차와;
상기 대차가 경사판과 정수취출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 세척할 수 있도록 침전조의 내벽 양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대차의 양측 주행바퀴의 외주요부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는 한쌍의 안내봉이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어서 된 주행레일과;
상기 대차로 장착되어진 세척압력수 공급관의 분기관과 연결되어져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가 권취되어 있는 호스감김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압력수 공급배관은 세척압력수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중앙의 분기관을 매개로 분사관과 분사관이 나란하게 조립 형성되어 알파벳 에치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분사관에는 경사판에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는 분사노즐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관에는 상,하로 수직하는 각도를 이루는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전, 후의 분사목표를 다르게 유지하여 경사판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세척수가 충돌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는,
첫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10)에 설치되어 처리수내 고형분을 빠른 속도로 침전 정화시키는 경사판(20)의 상부에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을 포함하는 대차(110)의 주행바퀴(111)가 상기 주행바퀴(111)의 상,하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진 주행레일(120)을 따라 주행하도록하여 대차(110)의 사행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에 따라 대차(1110)의 사행으로 야기되는 탈선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둘째, 대차(110)에 장착되어지는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의 분사관(112)(113)에 형성되어지는 세척수 분사노즐(112a)(113a)의 각도를 전, 후의 분사목표를 다르게 유지되도록하므로써, 세척수가 경사판(20)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충돌되어 경사판(20)의 세척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셋째,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를 호스감김장치(140)에서 권취되도록 함에 따라 대차(110)가 왕복운동할 때 느러짐 없는 긴장감이 유지되어 세척장치 운전중에 호스정리에 어려움을 격었던 종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세척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대차를 발췌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의 세척압력수 공급관을 발췌한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100)는,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을 포함하는 대차(110)와, 상기 대차의 주행바퀴(111)가 안내되어지는 주행레일(120)과, 대차(110)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구동모터(130)와, 세척압력수 공급관(115)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가 권취되어지는 호스감김장치(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110)는 다수의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압력수 공급배관(115)이 알파벳 에치자 형상을 이루며 장착되어 있다.
양측에는 침전조(10)의 내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진 주행레일(120)에서 안내되어지는 주행바퀴(11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대차(11)는 상부 플레이트(12)상에 설치되어진 구동모터(13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풀리(131)의 정역회전에 따라 풀림과 감김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권취됨과 동시에 안내롤러(11)에 안내되어지도록 된 견인와이어(13)에 의해 견인되어서 왕복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주행레일(120)은 대차(110)가 경사판(20)과 정수취출부(30)의 사이에 위치하여서 경사판(20)에 대하여 세척수를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 세척할 수 있도록 침전조(10)의 내벽 양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레일(120)은 대차(110)의 양측 주행바퀴(111)의 외주요부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는 한쌍의 안내봉(121)(122)이 고정브라켓(123)을 매개로 설치되어진 것이다.
상기 호스감김장치(140)는 대차(110)로 장착되어진 세척압력수 공급관(115)의 분기관(114)과 연결되어져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가 권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수 공급배관(115)은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가 연결되는 중앙의 분기관(114)을 매개로 분사관(112)와 분사관(113)이 나란하게 조립 형성되어 알파벳 에치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분사관(112)에는 경사판(20)에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는 분사노즐(11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관(113)에는 상,하로 수직하는 각도를 이루는 분사노즐(113a)이 형성되어 있어 전, 후의 분사목표를 다르게 유지하여 경사판(20)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세척수가 충돌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발명의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100)는 유입수가 침전조(10) 하부로 유도되어 유입되어지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경사판(20)의 유로를 통해 상승 흐름을 이어가다 처리수 정수취출부(30)를 통해 침전지 밖으로 방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로부터 고형분을 침전 분리시킬 때에는 항상 정수취출부(30)의 유출구(31)까지 만수위를 유지한다.
이러한 운전을 이어가다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세척 시간에는 물 수위를 일정높이까지 낮추어 경사판(20)이 물 밖으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판(20)의 세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20)을 세척할 때에는 호스감김장치(140)에 귀취되어 있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로 세척수를 공급시킨다.
상기와 같이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을 구성하는 분기관(114)을 통해 분사관(112)와 분사관(113)으로 공급되어 상기 각 분사관(112)와 분사관(113)의 각 분사노즐(112a)(113a)을 통해 경사판(20)으로 분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세척수가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을 통해 분사되어질때 구동모터(130)를 구동시켜 대차(110)가 왕복운동하도록 한다.
왕복운동되어지는 대차(110)는 양측의 주행바퀴(111)가 주행레일(120)을 구성하는 상,하의 안내봉(121)(122)을 따라 이동을 하게되고, 주행바퀴(111)가 상,하의 안내봉(121)(122)에 안내되어 짐으로써, 사행 없는 안전한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대차(110)가 왕복운동되어짐으로써,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을 구성하는 분사관(112)과 분사관(113)의 분사노즐(112a)(113a)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경사판(20)이 세척되어지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 중 분사노즐(112a)은 경사판(20)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분사노즐(113a)은 상,하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분사목표가 다르게 유지됨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에 세척수가 충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판(20)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대차(110)의 왕복운동과 동시에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을 구성하는 분사관(112)과 분사관(113)의 분사노즐(112a)(113a)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경사판(20)에 침착된 고형분을 분리 침전 제거하여 경사판(20)의 기능을 재생시키게되는 것이다.
대차(110)가 왕복이동할 때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는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브라켓(142)을 매개로 설치되어진 호스감김장치(140)에 대하여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면서 가지런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즉, 대차(110)가 호스감김장치(140)로부터 멀어지면,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는 풀리게 되고, 반대로 대차(110)가 호스감김장치(140)에 가까워지면,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는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100)를 통해 경사판(20)의 세척이 완료되어지면, 처리수를 침전조(10)로 유입시켜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분을 분리 침전시켜 정수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10 : 침전조 20 : 경사판
100 : 경사판 세척장차 어셈블리 110 : 대차
111 : 주행바퀴 112,113 : 분사관
112a,113a : 분사노즐 114 : 분기관
115 : 세척압력수 공급배관 120 : 주행레일
121,122 : 안내봉 130 : 구동모터
131 : 풀리 140 : 호스감김장치
141 : 세척압력수 공급호스

Claims (2)

  1. 침전조(10)로 유입된 처리수가 올라가면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고형분이 침전 처리되며, 고형분이 처리된 정수가 정수취출부(30)를 거쳐 방류되도록 된 침전조(10)의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압력수 공급배관(115)이 알파벳 에치자 형상을 이루며 장착되어 있고, 양측에는 침전조(10)의 내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진 주행레일(120)에서 안내되어지는 주행바퀴(11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2)상에 설치되어진 구동모터(13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풀리(131)의 정역회전에 따라 풀림과 감김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권취됨과 동시에 안내롤러(11)에 안내되어지도록 된 견인와이어(13)에 의해 견인되어서 왕복되어지는 대차(110)와;
    상기 대차(110)가 경사판(20)과 정수취출부(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사판(20)에 대하여 세척수를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 세척할 수 있도록 침전조(10)의 내벽 양쪽으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대차(110)의 양측 주행바퀴(111)의 외주요부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는 한쌍의 안내봉(121)(122)이 고정브라켓(123)을 매개로 설치되어서 된 주행레일(120)과;
    상기 대차(110)로 장착되어진 세척압력수 공급관(115)의 분기관(114)과 연결되어져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가 권취되어 있는 호스감김장치(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설비의 침전조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압력수 공급배관(115)은 세척압력수 공급호스(141)가 연결되는 중앙의 분기관(114)을 매개로 분사관(112)와 분사관(113)이 나란하게 조립 형성되어 알파벳 에치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분사관(112)에는 경사판(20)에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는 분사노즐(112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관(113)에는 상,하로 수직하는 각도를 이루는 분사노즐(113a)이 형성되어 있어 전, 후의 분사목표를 다르게 유지하여 경사판(20)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세척수가 충돌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KR1020160183481A 2016-12-30 2016-12-30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KR10193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81A KR101935110B1 (ko) 2016-12-30 2016-12-30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81A KR101935110B1 (ko) 2016-12-30 2016-12-30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79A true KR20180078579A (ko) 2018-07-10
KR101935110B1 KR101935110B1 (ko) 2019-01-03

Family

ID=6291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481A KR101935110B1 (ko) 2016-12-30 2016-12-30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7493A (ja) * 2019-09-05 2021-03-11 ワセダ技研株式会社 傾斜板沈降分離システム及びその浄化方法
CN113860551A (zh) * 2021-10-07 2021-12-3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村镇垃圾中转站渗滤液氮磷回收系统
KR102461787B1 (ko) * 2022-05-09 2022-11-01 송복자 침사 인양기
KR102491626B1 (ko) * 2022-10-21 2023-01-27 송복자 침사 인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226B1 (ko) 2021-02-17 2022-12-27 최경철 정수장 침전조의 경사판 자동클리너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44U (ko) * 1997-10-22 1999-05-15 이정표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용 대차
KR200223293Y1 (ko) * 2000-11-29 2001-05-15 우의순 오물처리기의 세척수 분사관 이송장치
KR100522247B1 (ko) * 2003-03-05 2005-10-18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표면세척기
KR100787628B1 (ko) * 2007-08-28 2007-12-21 (주)덕성산업기계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KR100969933B1 (ko) * 2010-01-07 2010-07-14 뮤러아시아(주)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1061437B1 (ko) * 2011-02-11 2011-09-01 (주)보광코퍼레이션 침사조용 침사슬러지 분배이송장치
KR20160086706A (ko) * 2015-01-12 2016-07-20 (주)미시간기술 하수처리장의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44U (ko) * 1997-10-22 1999-05-15 이정표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용 대차
KR200223293Y1 (ko) * 2000-11-29 2001-05-15 우의순 오물처리기의 세척수 분사관 이송장치
KR100522247B1 (ko) * 2003-03-05 2005-10-18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표면세척기
KR100787628B1 (ko) * 2007-08-28 2007-12-21 (주)덕성산업기계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KR100969933B1 (ko) * 2010-01-07 2010-07-14 뮤러아시아(주)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0973792B1 (ko) * 2010-03-05 2010-08-04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러지수집용 수중대차 및 이를 채용하는 정수처리설비
KR101061437B1 (ko) * 2011-02-11 2011-09-01 (주)보광코퍼레이션 침사조용 침사슬러지 분배이송장치
KR20160086706A (ko) * 2015-01-12 2016-07-20 (주)미시간기술 하수처리장의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7493A (ja) * 2019-09-05 2021-03-11 ワセダ技研株式会社 傾斜板沈降分離システム及びその浄化方法
CN113860551A (zh) * 2021-10-07 2021-12-3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村镇垃圾中转站渗滤液氮磷回收系统
CN113860551B (zh) * 2021-10-07 2023-08-1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村镇垃圾中转站渗滤液氮磷回收系统
KR102461787B1 (ko) * 2022-05-09 2022-11-01 송복자 침사 인양기
KR102491626B1 (ko) * 2022-10-21 2023-01-27 송복자 침사 인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110B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110B1 (ko) 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경사판 세척장치 어셈블리
KR10096993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CN105498313B (zh) 浮渣清除装置
CN209696368U (zh) 一种市政施工用污水再利用装置
CN102284199B (zh) 自动化水处理反冲洗装置
CN208265832U (zh) 具有自动冲洗功能的侧向流沉淀池及水处理系统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JP4303012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CN210114859U (zh) 一种斜管沉淀池中斜管附着物清除装置
KR100368170B1 (ko)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US20070012605A1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CN211223371U (zh) 一种混凝土生产用车清洗装置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A28676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cleaning of tube settlers in water clarification
KR101816904B1 (ko)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CN215883605U (zh) 一种自动震动清洗及清洗水再利用系统
KR100761457B1 (ko) 침전장치
KR100806543B1 (ko) 하수처리장용 이끼제거장치
KR200242132Y1 (ko) 워터제트 침사인양 세정장치
KR100631269B1 (ko) 급속 여과지의 주행식 표면세척장치
US98680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cleaning of tube settlers in water clarification
CN112479471B (zh) 一种配重铸件生产用的废水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N217287265U (zh) 一种污水沉淀池斜管填料的自动冲洗装置
CN216139963U (zh) 炼铁供煤运输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