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349A -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 Google Patents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349A
KR20200139349A KR1020190065724A KR20190065724A KR20200139349A KR 20200139349 A KR20200139349 A KR 20200139349A KR 1020190065724 A KR1020190065724 A KR 1020190065724A KR 20190065724 A KR20190065724 A KR 20190065724A KR 20200139349 A KR20200139349 A KR 2020013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wash plate
discharge
settling tan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469B1 (ko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102019006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4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84Enhancing liquid-particle separation using the flotation princi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축 상에 감긴 스크류에 대하여 나선 타입의 감김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형성되는 배출스크류가 한 쌍으로 적용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를 통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에 따른 이송압력 부하를 감소시켜 슬러지 배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침전조의 상부에 유류 등의 부유하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거수단을 통해 유수 분리 기능이 구현되어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토록 하는 한편, 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수단을 겸비하여 경사판에 대한 세척요구시 세척을 통한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등에 대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Precipitation apparatus of inclined plate type having oil-water sepa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 상에 감긴 스크류에 대하여 나선 타입의 감김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형성되는 배출스크류가 한 쌍으로 적용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를 통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에 따른 이송압력 부하를 감소시켜 슬러지 배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침전조의 상부에 유류 등의 부유하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거수단을 통해 유수 분리 기능이 구현되어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토록 하는 한편, 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수단을 겸비하여 경사판에 대한 세척요구시 세척을 통한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등에 대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수처리 시설에서는 물리적 또는 생화학적 처리과정에서 처리수를 일정시간 동안 저류시키거나 낮은 유속으로 흐르게 하여 고형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지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상기와 같이 침전지를 설치하여 침전공정을 운영하게 되면, 후공정인 여과공정이 이루어지는 여과지에서의 탁도에 대한 부하가 감소한다.
즉, 전공정인 혼화 및 응집공정에서 혼화 및 응집이 아무리 잘 이루어져도 침전을 행하지 않고 월류하게 되면, 여과지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침전공정은 수중의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고액분리 기술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서,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와 부유성 물질이 자체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가라앉아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종래 침전공정에서는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침전지 내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여 고형물질의 침전거리를 짧게 하여 침전 시간을 줄이고 유효 침전면적을 증가시켜 표면 부하율을 감소시키는 기술 등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침전지 내에 침전지의 폭과 동일한 폭의 판재를 바닥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사판을 여러 개 나란히 설치하여 유효 침전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사판 침전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 경사판 침전장치는 유입되는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하는 밀도류 등의 문제, 각각의 경사판 전체면을 통하여 침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중심 부분에서만 흐름이 생기는 단락류의 문제, 유입원수와 고형물질의 흐름 방향에 따라 유입 원수의 흐름이 방해를 받거나 고형물질이 재부상하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며, 일부는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가 단일의 스크류로 제공되므로 단일의 배출스크류에 슬러지의 배출이 집중되어 슬러지 배출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슬러지 배출을 위한 배출스크류의 이송에 따른 부하가 크게 발생하여 배출수단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유수 분리의 기능이 없어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를 처리시에 유수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폐수의 유수분리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내부의 경사판에 대한 세척 요구시 별도의 세척수단을 적용하여 세척하여야 하므로 세척을 통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를 통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에 따른 이송압력 부하를 감소시켜 슬러지 배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유수 분리 기능을 적용하여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토록 하는 한편, 세척수단을 겸비하여 경사판에 대한 세척요구시 세척을 통한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등에 대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7817호 2011.12.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47585호 2013.03.2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0651호 2013.07.23.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7196호 2008.01.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71321호 2014.03.03.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 상에 감긴 스크류에 대하여 나선 타입의 감김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형성되는 배출스크류가 한 쌍으로 적용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를 통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에 따른 이송압력 부하를 감소시켜 슬러지 배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의 상부에 유류 등의 부유하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거수단을 통해 유수 분리 기능이 구현되어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토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수단을 겸비하여 경사판에 대한 세척요구시 세척을 통한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등에 대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여 제거되도록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제거수단; 상기 침전조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한편,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회전하는 축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스크류로 구성된 배출스크류로 제공되되, 단부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침전조의 하측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배출스크류로 제공되는 배출수단; 상기 침전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한 폐수의 유입에 따른 폐수 흐름을 안정화시키도록 임의의 경사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열고정되는 다수 개의 경사판; 및 상기 침전조의 제거수단과 배출구 사이를 구획하면서 일 측 하부를 통해 상기 침전조 내측 하부로부터 처리된 폐수가 이송되어 상기 침전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높이 조절을 통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수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승강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배출스크류에서의, 축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스크류는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상기 침전조 하단 부분 중앙 측을 향하여 이송되는 침전 슬러지에 대한 이송시 이송압력 부하가 절감될 수 있도록, 축 상에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전조의 전면 측 상부에는 침전조 내부공간과 상단 일정길이만큼 연통되면서 상기 침전조의 전면 측으로 외향 확장되어 부유물 배출하우징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제거수단을 통해 회수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의 부유물배출구를 거쳐 외부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침전조 내부공간의 폐수 수면으로부터 부유물을 회수시켜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 측으로 회수된 부유물을 안내하는 상기 제거수단은 상기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유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걷어지는 부유물을 상기 침전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 측으로 회수된 부유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판은 상기 침전조 내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다수의 판으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승강벽은 상기 침전조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되어 높이조절을 통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수위를 조절하되, 상기 침전조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부 일 측의 내부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제1벽체와, 상기 제1벽체의 일 측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제2벽체와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벽체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샤프트 및 상기 승강샤프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를 승강 조절하는 승강조절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상기 유입구 내부 및 상기 경사판의 상, 하부 측에 대한 공압을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단은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상단을 지지하되,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며, 하부에 분사공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상부지지봉과, 상기 경사판 하단을 지지하되,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며, 상부에 분사공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하부지지봉과, 상기 침전조의 유입구 외측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 및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증압시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구 내부, 상부지지봉의 분사공 및 하부지지봉의 분사공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증압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증압압축기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내부에 관통된 나선형 압축챔버를 갖는 원통형 고정자와,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를 갖고 상기 원통형 고정자의 나선형 압축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돼 있는 회전자와, 상기 원통형 고정자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시 증압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증압된 압축공기가 상기 유입구 내부, 상기 상부지지봉의 분사공, 상기 하부지지봉의 분사공을 통해 유입구 내부와 경사판의 상,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폐수가 침전조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경사판 사이에 구획 설치되며, ㄷ자형 채널이 일렬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면서 유로형성이 미로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이 경사판 전체 부분에 걸쳐 퍼지도록 분배하는 유량 분배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 상에 감긴 스크류에 대하여 나선 타입의 감김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형성되는 배출스크류가 한 쌍으로 적용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를 통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에 따른 이송압력 부하를 감소시켜 슬러지 배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침전조의 상부에 유류 등의 부유하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거수단을 통해 유수 분리 기능이 구현되어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하다.
셋째, 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수단을 겸비하여 경사판에 대한 세척요구시 세척을 통한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등에 대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세척수단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의 세척수단에 대한 요부인 증압압축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배출스크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의 벽체부분에 대한 단면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세척수단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세척수단에 대한 요부인 증압압축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침전조(100), 제거수단(200), 배출수단, 다수 개의 경사판(400) 및 승강벽(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전조(100)는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처리된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거수단(200)은 상기 침전조(100)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여 제거되도록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침전조(100)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한편,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회전하는 축(310)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스크류(320)로 구성된 배출스크류(300)로 제공되되, 단부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하측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배출스크류(300)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경사판(400)은 상기 침전조(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0)를 통한 폐수의 유입에 따른 폐수 흐름을 안정화시키도록 임의의 경사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열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사판(400)은 특히, 상기 침전조(100) 내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다수의 판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벽(500)은 상기 침전조(100)의 제거수단(200)과 배출구(120) 사이를 구획하면서 일 측 하부를 통해 상기 침전조(100) 내측 하부로부터 처리된 폐수가 이송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높이 조절을 통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수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상기 침전조(100)의 전면 측 상부에는 침전조(100) 내부공간과 상단 일정길이만큼 연통되면서 상기 침전조(100)의 전면 측으로 외향 확장되어 부유물 배출하우징(1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은 하부에 상기 제거수단을 통해 회수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구(1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의 부유물배출구(151)를 거쳐 외부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침전조(100) 내부공간의 폐수 수면으로부터 부유물을 회수시켜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 측으로 회수된 부유물을 안내하는 상기 제거수단(200)은 크게 컨베이어(210)와, 스크레이퍼(220) 및 가이드패널(2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210)는 상기 침전조(10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별도의 구동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미부호)을 통해 순환 회전 구동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220)는 상기 컨베이어(210)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유물을 긁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패널(230)은 상기 스크레이퍼(220)에 의해 걷어지는 부유물을 상기 침전조(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 측으로 회수된 부유물을 안내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서의, 상기 승강벽(5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침전조(100)의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되어 높이조절을 통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수위를 조절하되, 크게 분류하면 제1벽체(510)와, 제2벽체(520)와, 승강샤프트(미도시) 및 승강조절핸들(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벽체(510)는 상기 침전조(100)의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상부 일 측의 내부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벽체(520)는 상기 제1벽체(510)의 일 측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상기 승강샤프트(미도시)는 상기 제2벽체(520)와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벽체(520)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인 승강조절핸들(미도시)은 상기 승강샤프트(미도시)의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를 승강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상기 유입구(110) 내부 및 상기 경사판(400)의 상, 하부 측에 대한 공압을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척수단(600)은 크게 상부지지봉(610)과, 하부지지봉(620)과, 공기압축기(630) 및 증압압축기(6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상부지지봉(610)은 침전조(100) 내부의 경사판(400) 상단을 지지하되,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며, 하부에 분사공(611)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봉(620)은 상기 경사판(400) 하단을 지지하되,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며, 상부에 분사공(621)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630)는 상기 침전조(100)의 유입구(110) 외측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압압축기(640)는 상기 공기압축기(630)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증압시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구(110) 내부, 상부지지봉(610)의 분사공(611) 및 하부지지봉(620)의 분사공(62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증압압축기(640)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내부에 관통된 나선형 압축챔버(641a)를 갖는 원통형 고정자(641)와,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642a)를 갖고 상기 원통형 고정자(641)의 나선형 압축챔버(64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돼 있는 회전자(642)와, 상기 원통형 고정자(64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슬리브(643)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증압압축기(640)는 상기 회전자(642)의 회전시 증압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증압된 압축공기가 상기 유입구(110) 내부, 상기 상부지지봉(610)의 분사공(611), 상기 하부지지봉(620)의 분사공(621)을 통해 유입구(110) 내부와 경사판(400)의 상,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는 유량 분배 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량 분배 판(170)은 폐수가 침전조(100)로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경사판(400) 사이에 구획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유량 분배 판(170)은 특히, ㄷ자형 채널(171a)이 일렬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면서 유로형성이 미로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ㄷ자형 채널(171a)이 일렬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면서 유로형성이 미로구조로 형성되는 유량 분배 판(170)에 의하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이 경사판(400) 전체 부분에 걸쳐 퍼지도록 분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배출스크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배출스크류의 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스크류의 나선 타입 감김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더 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배출스크류(3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서 배출수단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배출스크류(300)에서의, 축(310)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스크류(320)는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상기 침전조(100) 하단 부분 중앙 측을 향하여 이송되는 침전 슬러지에 대한 이송시 이송압력 부하가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스크류(300)는 축(310) 상에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 의하면, 축 상에 감긴 스크류에 대하여 나선 타입의 감김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이 형성되는 배출스크류가 한 쌍으로 적용되는 배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배출수단인 배출스크류를 통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에 따른 이송압력 부하를 감소시켜 슬러지 배출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침전조의 상부에 유류 등의 부유하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거수단을 통해 유수 분리 기능이 구현되어 유류(油類)가 내포된 폐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하다.
더욱이, 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수단을 겸비하여 경사판에 대한 세척요구시 세척을 통한 침전조 내부의 경사판 등에 대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의 요부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의 벽체부분에 대한 단면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침전조의 벽체부분에 대한 구조만 다른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에서, 침전조(100)의 벽체부분은 단열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침전조(100)의 벽체부분은 한 쌍의 메인판재(101) 사이에 단열블록(102)이 개재되는 다층의 판 상 구조를 갖는 벽체로 적용된다.
이때, 상기 단열블록(102)은 바텀애시 50중량%와, 플라이애시 10중량%와, 유리비드 5중량%와, 점토애시 15중량%와, 흑연애시 10중량%와, 규산소다 5중량%와 보조첨가제 5중량%를 준비 및 혼합 믹싱하여 단열재 재료를 얻으며, 지그재그 형 판 상의 보강판(미도시)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과정과, 준비된 재료 중, 보강판(미도시)을 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한 후 틀에 단열재 재료를 수용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정 두께와 일정 폭을 갖는 바 타입의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성형된 블록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80~450℃의 온도에서 25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블록을 900~1300℃의 소성로에서 35분 동안 소성하는 소성과정 및 소성된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냉각과정을 수행하여 얻는 단열블록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미도시)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8의 단열블록(102)의 두께방향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단열블록(102)은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바텀애시 50중량%는 0.3이하~5mm의 입도를 고르게 혼합하여 구성하되, 바텀애시 100중량%에 대하여, 4.75~5mm 10중량%와, 4.75~2.36mm 40중량%와, 2.36~1.18mm 30중량%와, 1.18~0.6mm 10중량%와, 0.6~0.3mm이하 10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침전조(100)의 벽체부분에 대한 단열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침전조에 대한 벽체를 개선함에 따라 장치의 단열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침전조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50: 부유물배출하우징
151: 부유물배출구 170: 유량 분배 판
171: ㄷ자형 채널 200: 제거수단
210: 컨베이어 220: 스크레이퍼
230: 가이드패널 300: 배출스크류
310: 축 320: 스크류
321: 이송압력조절 홈 400: 경사판
500: 승강벽 510: 제1벽체
520: 제2벽체 600: 세척수단
610: 상부지지봉 611: 분사공
620: 하부지지봉 621: 분사공
630: 공기압축기 640: 증압압축기
641: 고정자 641a: 압축챔버
642: 회전자 642a: 돌기
643: 원통슬리브

Claims (13)

  1.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처리된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 침전조(100);
    상기 침전조(100)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여 제거되도록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제거수단(200);
    상기 침전조(100)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한편,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회전하는 축(310)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스크류(320)로 구성된 배출스크류(300)로 제공되되, 단부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하측 폭 방향 중앙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배출스크류(300)로 제공되는 배출수단;
    상기 침전조(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0)를 통한 폐수의 유입에 따른 폐수 흐름을 안정화시키도록 임의의 경사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열고정되는 다수 개의 경사판(400); 및
    상기 침전조(100)의 제거수단(200)과 배출구(120) 사이를 구획하면서 일 측 하부를 통해 상기 침전조(100) 내측 하부로부터 처리된 폐수가 이송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높이 조절을 통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수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승강벽(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배출스크류(300)에서의, 축(310)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스크류(320)는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상기 침전조(100) 하단 부분 중앙 측을 향하여 이송되는 침전 슬러지에 대한 이송시 이송압력 부하가 절감될 수 있도록,
    축(310) 상에 나선 타입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송압력조절 홈(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0)의 전면 측 상부에는 침전조(100) 내부공간과 상단 일정길이만큼 연통되면서 상기 침전조(100)의 전면 측으로 외향 확장되어 부유물 배출하우징(150)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은 하부에 상기 제거수단을 통해 회수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구(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의 부유물배출구(151)를 거쳐 외부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침전조(100) 내부공간의 폐수 수면으로부터 부유물을 회수시켜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 측으로 회수된 부유물을 안내하는 상기 제거수단(200)은 상기 침전조(100) 상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210)와,
    상기 컨베이어(210)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유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220) 및
    상기 스크레이퍼(220)에 의해 걷어지는 부유물을 상기 침전조(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부유물 배출하우징(150) 측으로 회수된 부유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패널(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00)은 상기 침전조(100) 내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다수의 판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벽(500)은 상기 침전조(100)의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상부 일 측에 설치되어 높이조절을 통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수위를 조절하되, 상기 침전조(100)의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상부 일 측의 내부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제1벽체(510)와,
    상기 제1벽체(510)의 일 측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도록 형성된 제2벽체(520)와,
    상기 제2벽체(520)와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벽체(520)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샤프트(미도시) 및
    상기 승강샤프트(미도시)의 상단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를 승강 조절하는 승강조절핸들(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 내부 및 상기 경사판(400)의 상, 하부 측에 대한 공압을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척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600)은 침전조(100) 내부의 경사판(400) 상단을 지지하되,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며, 하부에 분사공(611)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상부지지봉(610)과,
    상기 경사판(400) 하단을 지지하되,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며, 상부에 분사공(621)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하부지지봉(620)과,
    상기 침전조(100)의 유입구(110) 외측에 설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630) 및
    상기 공기압축기(630)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증압시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상기 유입구(110) 내부, 상부지지봉(610)의 분사공(611) 및 하부지지봉(620)의 분사공(62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증압압축기(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압축기(640)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내부에 관통된 나선형 압축챔버(641a)를 갖는 원통형 고정자(641)와,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642a)를 갖고 상기 원통형 고정자(641)의 나선형 압축챔버(64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돼 있는 회전자(642)와, 상기 원통형 고정자(64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슬리브(643)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642)의 회전시 증압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증압된 압축공기가 상기 유입구(110) 내부, 상기 상부지지봉(610)의 분사공(611), 상기 하부지지봉(620)의 분사공(621)을 통해 유입구(110) 내부와 경사판(400)의 상, 하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폐수가 침전조(100)로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경사판(400) 사이에 구획 설치되며, ㄷ자형 채널(171a)이 일렬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면서 유로형성이 미로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이 경사판(400) 전체 부분에 걸쳐 퍼지도록 분배하는 유량 분배 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0)의 벽체부분은 단열구조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메인판재(101) 사이에 단열블록(102)이 개재되는 다층의 판 상 구조를 갖는 벽체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블록(102)은 바텀애시 50중량%와, 플라이애시 10중량%와, 유리비드 5중량%와, 점토애시 15중량%와, 흑연애시 10중량%와, 규산소다 5중량%와 보조첨가제 5중량%를 준비 및 혼합 믹싱하여 단열재 재료를 얻으며, 지그재그 형 판 상의 보강판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과정과,
    준비된 재료 중, 보강판을 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한 후 틀에 단열재 재료를 수용 및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정 두께와 일정 폭을 갖는 바 타입의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성형된 블록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80~450℃의 온도에서 25분 동안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블록을 900~1300℃의 소성로에서 35분 동안 소성하는 소성과정 및
    소성된 블록을 10분 동안 질소 냉각하는 냉각과정을 수행하여 얻는 단열블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블록(102)은 상기 재료 준비과정에서, 바텀애시 50중량%는 0.3이하~5mm의 입도를 고르게 혼합하여 구성하되,
    바텀애시 100중량%에 대하여, 4.75~5mm 10중량%와, 4.75~2.36mm 40중량%와, 2.36~1.18mm 30중량%와, 1.18~0.6mm 10중량%와, 0.6~0.3mm이하 10중량%를 혼합 조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KR1020190065724A 2019-06-04 2019-06-04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KR102217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24A KR102217469B1 (ko) 2019-06-04 2019-06-04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24A KR102217469B1 (ko) 2019-06-04 2019-06-04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349A true KR20200139349A (ko) 2020-12-14
KR102217469B1 KR102217469B1 (ko) 2021-02-18

Family

ID=737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724A KR102217469B1 (ko) 2019-06-04 2019-06-04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46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106A (ko) * 1998-07-23 1998-10-26 권영기 하수를 이용한 분뇨 정화조
JP3767940B2 (ja) * 1996-03-07 2006-04-19 太平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クリュー式混合機
KR100797196B1 (ko) 2007-06-08 2008-01-23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오폐수처리를 위한 경사판식 침전조
KR100969933B1 (ko) * 2010-01-07 2010-07-14 뮤러아시아(주)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1097817B1 (ko) 2011-04-04 2011-12-22 에스아이비(주) 경사판 침전장치
KR101247585B1 (ko) 2012-10-17 2013-03-26 주식회사 유니온환경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슬러지 자동배출장치
KR101290651B1 (ko) 2013-03-18 2013-07-30 효림산업주식회사 경사판 침전장치
KR101371321B1 (ko) 2013-08-29 2014-04-17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침전장치
KR101654508B1 (ko) * 2016-04-20 2016-09-05 윤종석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KR101877200B1 (ko) * 2018-02-19 2018-07-10 김미경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KR101907117B1 (ko) * 2018-06-03 2018-10-11 주식회사 로얄정공 농축액 이송장치를 구비한 드럼식 원심 농축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940B2 (ja) * 1996-03-07 2006-04-19 太平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クリュー式混合機
KR19980072106A (ko) * 1998-07-23 1998-10-26 권영기 하수를 이용한 분뇨 정화조
KR100797196B1 (ko) 2007-06-08 2008-01-23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오폐수처리를 위한 경사판식 침전조
KR100969933B1 (ko) * 2010-01-07 2010-07-14 뮤러아시아(주) 세척장치를 구비한 경사판 침전장치
KR101097817B1 (ko) 2011-04-04 2011-12-22 에스아이비(주) 경사판 침전장치
KR101247585B1 (ko) 2012-10-17 2013-03-26 주식회사 유니온환경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슬러지 자동배출장치
KR101290651B1 (ko) 2013-03-18 2013-07-30 효림산업주식회사 경사판 침전장치
KR101371321B1 (ko) 2013-08-29 2014-04-17 케이팩코리아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침전장치
KR101654508B1 (ko) * 2016-04-20 2016-09-05 윤종석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KR101877200B1 (ko) * 2018-02-19 2018-07-10 김미경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KR101907117B1 (ko) * 2018-06-03 2018-10-11 주식회사 로얄정공 농축액 이송장치를 구비한 드럼식 원심 농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469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855B1 (ko)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FI94857C (fi) Laite selkeyttämättömän veden käsittelemiseksi
KR102211332B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N112024588B (zh) 一种土壤环保修复处理设备及土壤修复方法
JP3903070B1 (ja) 汚泥脱水処理装置および汚泥脱水処理装置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KR102217469B1 (ko)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CN115591301A (zh) 船舶压载水管理系统用过滤器及防污方法
US4190543A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210002059A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N116514191A (zh) 一种防堵塞的污水处理装置
KR100518366B1 (ko) 슬러지 농축 장치용 드럼 스크린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EP1335785B1 (en) Filtration apparatus
KR100321800B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정수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정수처리방법
KR20210002060A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SU175801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19376396U (zh) 一种沉降系统
CN218778830U (zh) 一种污泥处理用污泥脱水装置
KR102487896B1 (ko) 수처리용 기계식 디켄터
CN219429860U (zh) 一种油田用一体化污水处理装置
SU1153225A1 (ru) Резервуар градирни
KR100438150B1 (ko) 여과수두를 이용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CN116425238A (zh) 一种水产养殖尾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