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817B1 - 경사판 침전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판 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817B1
KR101097817B1 KR1020110030470A KR20110030470A KR101097817B1 KR 101097817 B1 KR101097817 B1 KR 101097817B1 KR 1020110030470 A KR1020110030470 A KR 1020110030470A KR 20110030470 A KR20110030470 A KR 20110030470A KR 101097817 B1 KR101097817 B1 KR 10109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plate
slit
water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비(주) filed Critical 에스아이비(주)
Priority to KR102011003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5Plurality of essentially paralle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수마찰저항에 의해 유입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사판 침전장치는 한쪽에는 원수유입구가 설치되고 반대쪽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 침전구역틀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을 포함하고, 경사침전모듈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각각 연결하여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경사판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하여 원수가 경사판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도록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는 통수저항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경사판 침전장치 {Inclined Plate Type Settling Basin}
본 발명은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판 상부에 통수저항돌기를 설치하여 통수마찰저항에 의한 균등분배를 행함은 물론 슬릿 형태로 처리수 유출구를 형성하여 별도의 처리수 수집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수처리 시설에서는 물리적 또는 생화학적 처리과정에서 처리수를 일정 시간 동안 저류시키거나 낮은 유속으로 흐르게 하여 고형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지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상기와 같이 침전지를 설치하여 침전공정을 운영하게 되면, 후공정인 여과공정이 이루어지는 여과지에서의 탁도에 대한 부하가 감소한다. 즉, 전공정인 혼화 및 응집공정에서 혼화 및 응집이 아무리 잘 이루어져도 침전을 행하지 않고 월류하게 되면, 여과지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침전공정은 수중의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고액분리 기술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서,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와 부유성 물질이 자체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가라앉아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종래 침전공정에서는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침전지 내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여 고형물질의 침전거리를 짧게 하여 침전 시간을 줄이고 유효 침전면적을 증가시켜 표면 부하율을 감소시키는 기술 등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침전지 내에 침전지의 폭과 동일한 폭의 판재를 바닥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사판을 여러 개 나란히 설치하여 유효 침전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사판 침전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0-888713호, 제10-712962호, 제10-44186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358379호 등에 다양한 경사판 침전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경사판 침전장치는 유입되는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하는 밀도류 등의 문제, 각각의 경사판 전체면을 통하여 침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중심 부분에서만 흐름이 생기는 단락류의 문제, 유입 원수와 고형물질의 흐름 방향에 따라 유입 원수의 흐름이 방해를 받거나 고형물질이 재부상하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며, 일부는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경사판 침전장치는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부분 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사판 상부에 통수저항돌기를 설치하여 통수마찰저항에 의해 유입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각 경사판의 전체면을 통하여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제조원가 및 유지 비용이 낮아 경제적인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경사판 침전장치는 방수처리되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벽면에는 원수유입구가 설치되고 반대쪽 벽면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침전구역틀의 바닥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침전모듈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각각 연결하여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판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하여 원수가 경사판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도록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는 통수저항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수저항돌기는 각 경사판의 전면쪽 또는 후면쪽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통수저항돌기는 상면판을 수면과 평행하게 형성한다.
또 상기 통수저항돌기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경사판과의 간격이 점점 좁게 형성되도록 경사져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경사판을 연결하여 하나의 경사침전모듈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수 및 수리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즉 각 경사침전모듈별로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보수 및 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 경사침전모듈로 제작된 상태에서 설치 및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에 의하면, 각 경사판의 상단부에 통수저항돌기를 형성하므로, 처리수가 상향류를 이루며 흐를 때 통수저항돌기에서 통수마찰저항을 받아 경사판의 전체 폭에 대하여 균등하게 분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처리수의 균등하게 분배되는 흐름은 원수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사판 중앙 쪽으로 집중하여 흐르는 단락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사판의 전체 면을 통하여 침전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에 의하면, 각 경사침전모듈을 이루는 측판의 하단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형성하므로, 유입되는 원수의 밀도류를 해소하고 유입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각 경사판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에 의하면, 각 경사판의 상부에 통수저항돌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슬릿 형태로 처리수 유출구가 형성되므로, 경사침전모듈의 상부에 별도의 처리수 수집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부품수의 경감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를 후방쪽에서 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도 6에 대응하는 길이방향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의 경사판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측판과 간격유지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측판에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원수가 유입되는 쪽을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처리수가 배출되는 쪽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전구역틀(10)과, 상기 침전구역틀(10) 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구역틀(10)은 침전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상면이 개구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2)과 벽면(14)은 방수처리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구역틀(10)의 한쪽(전면쪽) 벽면(14)에는 전 공정인 혼화 및 응집공정을 거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구(15)의 반대쪽(후면쪽)에는 고형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후공정으로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구(16)가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 배출구(16)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경사침전모듈(20)의 후면쪽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침전구역틀(10)은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침전구역틀(10)의 바닥면(12)쪽에는 침전되는 고형물질(슬러지)(2)을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을 설치한다. 상기에서 슬러지 배출수단은 종래 침전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구역틀(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에서 침전구역틀(10)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14)을 가로질러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지지대(8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침전모듈(20)을 바닥면(12)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침전되는 고형물질(슬러지)(2)의 배출이 바닥면(12)쪽으로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구역틀(10)의 원수유입구(15)가 설치된 벽면(14)(또는 처리수 배출구(16)가 설치된 벽면(14))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복수개가 배열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상기 침전구역틀(10)의 폭방향으로 2∼10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상기 침전구역틀(10)의 원수유입구(15)가 설치된 벽면(14)(또는 처리수 배출구(16)가 설치된 벽면(14))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상기 침전구역틀(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한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22)과, 상기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연결하며 폐쇄하는 한쌍의 측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22)은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경사판(22)은 상단부가 상기 원수유입구(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전면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경사판(22)은 수면과 45∼75°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면과 60°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판(22)이 수면과 이루는 각이 너무 작으면 원수와 접하는 침전면적을 증대되는 반면에 고형물질(슬러지)의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수면과 이루는 각이 너무 크면 고형물질(슬러지)의 배출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만 원수와 접하는 침전면적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경사판(22)은 일정 간격(예를 들면 30∼100mm)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차례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측판(24)은 상기 경사판(22) 중에서 최전방(전면쪽)에 위치한 경사판(22) 및 최후방(후면쪽)에 위치한 경사판(22)과 함께 경사침전모듈(20)의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판(22)은 양쪽 모서리가 상기 측판(24)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판(24)에 일정 간격으로 슬릿(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판(22)의 양쪽 모서리 끝부분을 상기 슬릿에 삽입시켜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판(24)의 내면에 상기 경사판(22)이 삽입되는 슬릿을 구성하는 다수의 슬릿판(40)을 설치한다.
상기에서 슬릿판(40)은 각 경사판(22)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각 경사판(22)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하나의 조를 이루도록 설치하며, 각 조는 상기 경사판(22)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에서 경사판(22)의 두께의 편차 또는 상기 슬릿판(40)의 슬릿 폭의 불균일에 의한 경사판(22)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릿판(40)에 탄성부재(46)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46)는 상기 슬릿판(40)에 하나 이상(예를 들면, 위에서 아래까지 간격을 두고 1~5개)을 설치하여 상기 경사판(22)을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탄성부재(46)는 한쪽 슬릿판(40)으로부터 반대쪽 슬릿판(40)쪽으로 경사판(22)에 힘을 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판스프링을 삼각형상이나 원호형상 등으로 절곡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46)는 한쪽 끝부분이 한쪽 슬릿판(40)에 고정 설치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삼각형상인 원호형상 등으로 절곡하여 반대쪽 슬릿판(40)에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한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판(24)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프레임(21)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간격유지부재(50)를 하나 또는 2개 이상 설치하여 상기 경사판(2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50)에는 상기 경사판(22)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2)이 경사판(22)의 경사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50)는 1개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2~5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2)과 경사판(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면과 하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여 원수 및 처리수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판(22)과 경사판(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양쪽 측면은 상기 측판(24)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24)의 하단부에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2)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멍(25)을 다수 형성한다.
상기에서 유입구멍(25)을 각 경사판(22)의 전면보다 후면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경사판(22)을 따라 하강하는 고형물질(슬러지)(2)의 흐름(도면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냄)과 경사판(22)을 따라 상승하는 원수의 흐름(도면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냄)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멍(25)은 각 경사판(22) 사이의 간격마다 1∼5개 정도 경사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멍(25)은 원형이나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구멍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슬릿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측판(24)의 하단부에 유입구멍(25)을 형성하게 되면, 원수가 각 경사판(24)의 하면(저면)만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고 측면으로부터도 유입이 이루어지므로, 밀도류나 단락류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원수의 균등분배가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22)의 하단부 끝면은 전면을 따라 하강하는 고형물질(슬러지)의 배출이 방해받지 않도록 거스러미가 없는 모서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하단부 끝면 모서리를 후면쪽으로 굽힘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경사판(22)의 하단부 끝면 모서리를 후면쪽으로 굽힘가공하게 되면, 경사판(22)의 폭방향 강도가 보강되어 편평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각의 경사판(22)의 상단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22)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는 통수저항돌기(30)를 경사판(22)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통수저항돌기(30)를 설치하면, 처리수가 통수저항돌기(30)에서 흐름방향에 저항을 받게 되고, 처리수가 통수저항돌기(30)를 타넘어가는 과정에서 넓게 분산되는 흐름이 형성되어 경사판(22)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가 이루어진다.
상기 통수저항돌기(30)는 각 경사판(22)의 전면쪽 또는 후면쪽에 설치한다.
상기 통수저항돌기(30)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원호형, 반사다리꼴 등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통수저항돌기(30)는 상면판(35)을 수면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처리수가 경사판(22) 전체로 균등하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통수저항돌기(30)는 이웃하는 경사판(22)과의 간격이 점점 좁게 형성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져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통수저항돌기(30)를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경사판(22)과의 간격이 점점 좁게 형성되도록 설치하면, 경사판(22) 상부에 형성되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유출구(36)가 슬릿 형태를 구성하게 되고, 처리수가 분출하면서 처리수 배출구(16)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경사판(22) 위쪽에 별도의 처리수 수집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처리수가 효과적으로 처리수 배출구(16)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별도의 처리수 수집장치 또는 처리수 수집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통수저항돌기(30)를 설치하게 되면, 경사판(22)의 폭방향 강도가 보강되어 편평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수저항돌기(3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경사판(22)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경사판(22)의 상단부 일부를 굽힘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통수저항돌기(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경사판(22)의 전면쪽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에서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실선 화살표는 원수 또는 처리수의 흐름방향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고형물질(슬러지)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원수유입구(15)를 통하여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처리수 배출구(16)를 통하여 처리수가 배출되므로, 전체적인 흐름은 원수유입구(15)쪽에서 처리수 배출구(16)쪽으로 형성되며, 각 경사판(22)에서는 상향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원수유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는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의 개방된 저면과 측판(24)에 형성된 유입구멍(25)을 통하여 각 경사침전모듈(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각 경사판(22)을 따라 위쪽으로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판(22)을 따라 위쪽으로 흐름을 형성하는 원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슬러지)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경사판(22)의 전면에 침전되고, 경사판(22)을 따라 하강하여 바닥면(12)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고형물질(슬러지)이 침전되어 제거되는 처리수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수저항돌기(30)를 타넘어가면서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승하고, 처리수 유출구(36)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상기 처리수 배출구(16)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처리수 배출구(16)를 통하여 후공정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 제10-888713호, 제10-712962호, 제10-44186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358379호 등에 공개된 다양한 경사판 침전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종래 기술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살펴본다.
등록실용신안 제20-358379호 및 대한민국 특허 제10-712962호는 경사판 침전설비를 개시한다. 이들 고안에서는 각 경사판의 상단에 상측으로 유입구가 다수 개 형성된 관 형상의 중공지지대가 있어서 경사판을 거쳐 슬러지가 분리된 처리수(정화액)가 유입구를 통하여 중공지지대로 들어가고, 이 처리수는 다수 개의 중공지지대와 연결된 홈통으로 유입되어 출구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고안들은 경사판의 상측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침전설비의 고장이나 노후화로 인한 교체시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처리수가 관 형상의 중공지지대에 뚫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므로 단위시간 당 처리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사판(22) 상단부에 경사판(22)의 폭방향으로 길게 통수저항돌기(30)를 설치하며, 상면판(35)은 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통수저항돌기(30)를 형성하므로, 종래 고안의 유입구와는 달리 처리수를 빠른 시간 내에 처리수 배출구(16)로 배출할 수 있어 수처리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사판(22) 상단부에 별도의 처리수 배출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다수의 상면판(35) 사이로 슬릿 형태의 다수의 처리수 유출구(36)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고장 가능성이 낮고, 고장이나 노후화로 인한 교체 작업이나 설치 작업이 간단하므로 경제적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제10-888713호에 개시된 경사판 침전장치는 복수의 오리피스홀이 형성되는 상판으로 경사판 상부 전체를 덮어 경사판에서 침전 처리된 처리수가 오리피스홀을 통하여 상판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이를 유출수로로 이용한다. 이와 같은 상판 구조는 경사판의 폐색 및 조류 발생을 예방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 제10-888713호에 있어서는, 상판의 전체 면적에 비하여 오리피스홀이 형성된 면적이 그리 넓지 않기 때문에 시간당 수처리 효율이 높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오리피스홀이 폐색될 가능성도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사판(22) 상단부에 경사판(22)의 폭방향으로 길게 통수저항돌기(30)를 설치하며, 상면판(35)이 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통수저항돌기(30)를 형성하므로, 종래 기술의 오리피스홀과는 달리 처리수를 빠른 시간 내에 처리수 배출구(16)로 배출할 수 있어 수처리율이 높아진다.
또한, 다수의 상면판(35) 사이로 슬릿 형태의 다수의 처리수 유출구(36)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고장 가능성이 낮고, 교체나 설치 작업이 간단하므로 경제적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침전구역틀, 12 - 바닥면, 14 - 벽면, 15 - 원수유입구
16 - 처리수 배출구, 20 - 경사침전모듈, 21 - 저면프레임, 22 - 경사판
24 - 측판, 25 - 유입구멍, 30 - 통수저항돌기, 35 - 상면판
36 - 처리수 유출구, 40 - 슬릿판, 46 - 탄성부재, 50 - 간격유지부재
52 - 삽입홈, 80 - 가로지지대

Claims (8)

  1. 방수처리되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벽면에는 원수유입구가 설치되고 반대쪽 벽면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 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침전구역틀의 바닥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 및 각 경사침전모듈의 상면 전면 및 양측면을 감싸는 월류방지판을 포함하는 경사판 침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침전모듈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각각 연결하여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판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하여 원수가 경사판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도록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각 경사판의 전면 또는 후면 쪽으로 설치되고, 상면판은 수면과 평행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경사판과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게 돌출하는 형상의 통수저항돌기가 형성되어 처리수 수집거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연속되는 통수저항돌기의 상면이 처리수 수집거로 기능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수저항돌기는 삼각형, 원호형, 반사다리꼴 형상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형상으로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내면에 상기 경사판이 삽입되는 슬릿을 구성하는 다수의 슬릿판을 설치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릿판에는 슬릿에 삽입되는 상기 경사판을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슬릿을 구성하는 한쪽 슬릿판으로부터 반대쪽 슬릿판쪽으로 슬릿에 삽입된 상기 경사판에 힘을 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판스프링을 삼각형상이나 원호형상으로 절곡하여 설치하는 경사판 침전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간격유지부재를 하나 또는 2개 이상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에는 상기 경사판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경사판의 경사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 침전장치.
KR1020110030470A 2011-04-04 2011-04-04 경사판 침전장치 KR10109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70A KR101097817B1 (ko) 2011-04-04 2011-04-04 경사판 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470A KR101097817B1 (ko) 2011-04-04 2011-04-04 경사판 침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817B1 true KR101097817B1 (ko) 2011-12-22

Family

ID=4550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470A KR101097817B1 (ko) 2011-04-04 2011-04-04 경사판 침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8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671B1 (ko) 2017-10-25 2018-03-26 효림산업주식회사 경사판 침전장치
KR20190140185A (ko) 2018-06-11 2019-12-19 주대성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CN111905416A (zh) * 2020-06-22 2020-11-10 江西辉胜水业有限公司 一种处理污水用的沉淀系统
KR20200139349A (ko) 2019-06-04 2020-12-14 윤종석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CN113476903A (zh) * 2021-06-28 2021-10-08 湖南鑫远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沉淀系统
KR102396772B1 (ko) 2021-12-22 2022-05-12 주식회사 더오포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93B1 (ko) 2005-10-24 2006-03-28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 수처리시설에 이용되는 침전조용 응집침전장치
KR200426877Y1 (ko) 2006-06-30 2006-09-20 주식회사 그레넥스 침전지용 경사판
KR100841101B1 (ko) * 2007-04-13 2008-06-2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경사판 침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93B1 (ko) 2005-10-24 2006-03-28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 수처리시설에 이용되는 침전조용 응집침전장치
KR200426877Y1 (ko) 2006-06-30 2006-09-20 주식회사 그레넥스 침전지용 경사판
KR100841101B1 (ko) * 2007-04-13 2008-06-2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경사판 침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671B1 (ko) 2017-10-25 2018-03-26 효림산업주식회사 경사판 침전장치
KR20190140185A (ko) 2018-06-11 2019-12-19 주대성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KR102318251B1 (ko) * 2018-06-11 2021-10-28 주대성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KR20200139349A (ko) 2019-06-04 2020-12-14 윤종석 유수 분리 기능을 겸한 경사판식 침전장치
CN111905416A (zh) * 2020-06-22 2020-11-10 江西辉胜水业有限公司 一种处理污水用的沉淀系统
CN111905416B (zh) * 2020-06-22 2023-08-22 江西辉胜水业有限公司 一种处理污水用的沉淀系统
CN113476903A (zh) * 2021-06-28 2021-10-08 湖南鑫远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沉淀系统
KR102396772B1 (ko) 2021-12-22 2022-05-12 주식회사 더오포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817B1 (ko) 경사판 침전장치
KR100971879B1 (ko)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US7850860B2 (en) Plate settler with angular support members
CA2697333C (en) Sedimentation basin for sewage treatment plants
KR101015625B1 (ko)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440103B1 (ko) 침전 겸용 유입수 분배관을 갖는 오폐수 경사판 침전 장치
CN106563298A (zh) 一种污水沉淀池
PL205831B1 (pl) Osadnik do oczyszczania cieczy
KR200426877Y1 (ko) 침전지용 경사판
KR100564993B1 (ko) 상수도 수처리시설에 이용되는 침전조용 응집침전장치
KR20100048029A (ko) 경사판 침전지
KR100841101B1 (ko) 경사판 침전장치
KR102173185B1 (ko) 경사판 침전장치
KR100717429B1 (ko) 고효율 멀티 침전조
KR101052727B1 (ko) 침강성 향상을 위한 침전지 베플
CN208577484U (zh) 无药剂二次水力强化混凝沉淀池
KR101172198B1 (ko)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킨 경사판 침전지
KR100921529B1 (ko) 수처리장 침전지
JP2021087924A (ja) 下水用傾斜板システム、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下水用傾斜板システムの洗浄方法
CN112912154B (zh) 用于澄清池的斜板和用于澄清池的斜板状模块
JP7364189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
JP2021090912A (ja) 固液分離システム
KR101950600B1 (ko)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CN218345309U (zh) 末端面源污染处理装置
JP7436092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