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029A - 경사판 침전지 - Google Patents
경사판 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8029A KR20100048029A KR1020080107010A KR20080107010A KR20100048029A KR 20100048029 A KR20100048029 A KR 20100048029A KR 1020080107010 A KR1020080107010 A KR 1020080107010A KR 20080107010 A KR20080107010 A KR 20080107010A KR 20100048029 A KR20100048029 A KR 201000480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ed plate
- sedimentation
- plate
- treated water
- raw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고 각 경사판의 전체면을 통하여 침전이 이루어지므로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가 간단하고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한 경사판 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사판 침전지는 방수되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원수유입구와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 원수유입구가 설치된 벽면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나누어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원수유입구가 설치된 벽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을 포함한다. 경사침전모듈은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경사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처리수를 수집하는 복수의 처리수 수집거와, 처리수 수집거 쪽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하는 월류방지테두리와,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확산돌기를 포함한다.
경사판, 침전지, 모듈, 확산돌기, 처리 효율, 슬러지, 처리수, 수집거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사판 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판 상부에 확산돌기를 설치하여 통수마찰저항에 의한 균등분배를 행하고 경사침전모듈의 상부에 처리수 수집거를 설치하여 균등한 수집을 행하는 경사판 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의 수처리시설에서는 물리적 또는 생화학적 처리과정에서 처리수를 일정 시간 동안 저류시키거나 낮은 유속으로 흐르게 하여 고형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지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상기와 같이 침전지를 설치하여 침전공정을 운영하게 되면, 후공정인 여과공정이 이루어지는 여과지에서의 탁도에 대한 부하가 감소한다. 즉 전공정인 혼화 및 응집공정에서 혼화 및 응집이 아무리 잘 이루어져도 침전을 행하지 않고 월류하게 되면, 여과지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침전공정은 수중의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고액분리 기술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와 부유성 물질이 자체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가라앉아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종래 침전공정에서는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침전지 내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여 고형물질의 침전거리를 짧게 하여 침전 시간을 줄이고 유효 침전면적을 증가시켜 표면 부하율을 감소시키는 기술 등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침전지 내에 침전지의 폭과 동일한 폭의 판재를 바닥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사판을 여러 개 나란히 설치하여 유효 침전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사판 침전지가 있다.
그러나, 종래 경사판 침전지는 유입되는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하는 밀도류 등의 문제, 각각의 경사판 전체면을 통하여 침전이 이루어지지지 못하고 중심 부분에서만 흐름이 생기는 단락류의 문제, 유입 원수와 고형물질의 흐름 방향에 따라 유입 원수의 흐름이 방해를 받거나 고형물질이 재부상하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그 효율성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경사판 침전지는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부분 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각 경사판의 전체면을 통하여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경사판 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고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한 경사판 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경사판 침전지는 방수처리되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벽면에는 원수유입구가 설치되고 반대쪽 벽면에는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침전구역틀의 바닥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침전모듈은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열 설치되고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각각 연결하여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판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하여 원수가 경사판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 부에 경사판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처리수를 수집하는 복수의 처리수 수집거와, 상기 처리수 수집거쪽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 및 전후 경사판의 상부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월류방지테두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는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는 확산돌기를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한다.
상기 확산돌기는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 등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에 의하면, 다수의 경사판을 연결하여 하나의 경사침전모듈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보수 및 수리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즉 각 경사침전모듈별로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보수 및 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 경사침전모듈로 제작된 상태에서 설치 및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에 의하면, 각 경사판의 상단부에 확산돌기를 형성하므로, 처리수가 상향류를 이루며 흐를때에 확산돌기에서 통수마찰저항을 받아 경사판의 전체 폭에 대하여 균등하게 분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처리수의 균등하게 분배되는 흐름은 원수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사판 중앙쪽으로 집중하여 흐르는 단락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사판의 전체 면 을 통하여 침전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에 의하면, 각 경사침전모듈을 이루는 측판의 하단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형성하므로, 유입되는 원수의 밀도류를 해소하고 유입 원수가 모든 경사판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각 경사판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에 의하면, 각 경사침전모듈의 상부에 처리수 수집거를 설치하므로, 경사판을 따라 상향류로 이동하는 처리수가 자연스럽게 균등한 최종 수집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원수가 유입되는 쪽을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처리수가 배출되는 쪽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전구역틀(10)과, 상기 침전구역틀(10) 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구역틀(10)은 침전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상면이 개구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2)과 벽면(14)은 방수처리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구역틀(10)의 한쪽(전면쪽) 벽면(14)에는 전 공정인 혼화 및 응집공정을 거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15)가 설치되 고, 반대쪽(후면쪽) 벽면(14)에는 고형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진 처리수가 후 공정으로 배출되는 처리수배출구(16)가 설치된다.
상기 침전구역틀(10)은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침전구역틀(10)의 바닥면(12)쪽에는 침전되는 고형물질(슬러지)(2)를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을 설치한다. 상기에서 슬러지 배출수단은 종래 침전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구역틀(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에서 침전구역틀(10)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14)을 가로질러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지지대(8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침전모듈(20)을 바닥면(12)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침전되는 고형물질(슬러지)(2)의 배출이 바닥면(12)쪽으로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구역틀(10)의 원수유입구(15)가 설치된 벽면(14)(또는 처리수배출구(16)가 설치된 벽면(14))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복수개가 배열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상기 침전구역틀(10)의 폭방향으로 2∼10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상기 침전구역틀(10)의 원수유입구(15)가 설치된 벽면(14)(또는 처리수배출구(16)가 설치된 벽면(14))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상기 침전구역틀(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한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22)과, 상기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연결하며 폐쇄하는 한쌍의 측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22)은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경사판(22)은 상단부가 상기 원수유입구(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전면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경사판(22)은 수면과 45∼75°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면과 60°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판(22)이 수면과 이루는 각이 너무 작으면 원수와 접하는 침전면적을 증대되는 반면에 고형물질(슬러지)의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수면과 이루는 각이 너무 크면 고형물질(슬러지)의 배출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만 원수와 접하는 침전면적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경사판(22)은 일정 간격(예를 들면 30∼80mm)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차례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측판(24)은 상기 경사판(22) 중에서 최전방(전면쪽)에 위치한 경사판(22) 및 최후방(후면쪽)에 위치한 경사판(22)과 함께 경사침전모듈(20)의 테 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판(22)은 양쪽 모서리가 상기 측판(24)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경사판(22)과 경사판(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면과 하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하여 원수 및 처리수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판(22)과 경사판(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양쪽 측면은 상기 측판(24)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24)의 하단부에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2)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멍(25)을 다수 형성한다.
상기에서 유입구멍(25)을 각 경사판(22)의 전면보다 후면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경사판(22)을 따라 하강하는 고형물질(슬러지)(2)의 흐름(도면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냄)과 경사판(22)을 따라 상승하는 원수의 흐름(도면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냄)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멍(25)은 각 경사판(22) 사이의 간격마다 1∼5개 정도 경사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멍(25)은 원형이나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구멍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슬릿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측판(24)의 하단부에 유입구멍(25)을 형성하게 되면, 원수가 각 경사판(24)의 하면(저면)만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고 측면으로부터도 유입이 이루 어지므로, 밀도류나 단락류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원수의 균등분배가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22)의 하단부 끝면은 전면을 따라 하강하는 고형물질(슬러지)의 배출이 방해받지 않도록 거스러미가 없는 모서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하단부 끝면 모서리를 후면쪽으로 굽힘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경사판(22)의 하단부 끝면 모서리를 후면쪽으로 굽힘가공하게 되면, 경사판(22)의 폭방향 강도가 보강되어 편평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각의 경사판(22)의 상단부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22)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는 확산돌기(30)를 경사판(22)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한다.
상기 확산돌기(30)는 각 경사판(22)의 후면쪽에 설치한다.
상기 확산돌기(30)는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 등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확산돌기(30)를 설치하면, 처리수가 확산돌기(30)에서 흐름방향에 저항을 받게 되고, 처리수가 확산돌기(30)를 타넘어가는 과정에서 넓게 분산되어 균등하게 분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확산돌기(30)를 설치하게 되면, 경사판(22)의 폭방향 강도가 보강되어 편평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산돌기(3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경사판(22)에 일체로 부착 설 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경사판(22)의 상단부 일부를 굽힘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2) 위쪽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24) 및 전후 경사판(22)의 상부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월류방지테두리(2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월류방지테두리(28)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판을 한쪽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측판(24) 및 전후 경사판(22)의 상부에 일체로 부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판(22)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처리수 수집거(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처리수 수집거(40)는 상기 경사판(2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 수집거(40)는 상기 경사판(22)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2∼10열로 설치한다.
상기 처리수 수집거(40)는 상기 월류방지테두리(28)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월류방지테두리(28)에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쳐지는 고정대(50)에 일부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고정대(50)는 처리수 수집거(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50)의 숫자는 처리수 수집거(40) 및 여기에 담겨지는 처리수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강도를 계산하여 설 정한다.
상기 고정대(50)는 월류방지테두리(28)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쳐지는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처리수 수집거(4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수 수집거(40)는 상면이 개방되는 사각형이나 반원형,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하며, 후면쪽은 처리수배출구(16)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처리수 수집거(40)의 상면 모서리를 톱니형상이나 물결형상 등으로 형성하면, 상기 경사판(22)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처리수를 효과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월류방지테두리(28)는 상기 처리수 수집거(40)의 상면 모서리보다 더 높게 설치하는 것이 원수가 처리수와 혼합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수 수집거(40)의 후면쪽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수 수집거(4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배출구(16)로 유도하는 처리수유도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유도부재(60)는 원수가 처리수와 혼합되지 않도록 처리수 수집거(40)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저면과 측면을 폐쇄된 상태로 형성하여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에서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실선 화살표는 원수 또는 처리수의 흐름방 향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고형물질(슬러지)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원수유입구(15)를 통하여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구(16)를 통하여 처리수가 배출되므로, 전체적인 흐름은 원수유입구(15)쪽에서 처리수배출구(16)쪽으로 형성되며, 각 경사판(22)에서는 상향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원수유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는 상기 경사침전모듈(20)의 개방된 저면과 측판(24)에 형성된 유입구멍(25)을 통하여 각 경사침전모듈(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각 경사판(22)을 따라 위쪽으로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판(22)을 따라 위쪽으로 흐름을 형성하는 원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슬러지)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경사판(22)의 전면에 침전되고, 경사판(22)을 따라 하강하여 바닥면(12)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고형물질(슬러지)이 침전되어 제거되는 처리수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확산돌기(30)를 타넘어가면서 균등하게 분배되어 상승하고, 상기 처리수 수집거(40)에 수집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 수집거(40)에 수집되는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유도부재(60)에서 모아지면서 상기 처리수배출구(16)를 통하여 후공정으로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침전모듈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를 후방쪽에서 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처리수유도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7)
- 방수처리되는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벽면에는 원수유입구가 설치되고 반대쪽 벽면에는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되는 침전구역틀과,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평행한 단면의 폭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침전구역틀의 원수유입구 또는 처리수배출구가 설치된 벽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침전구역틀의 바닥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경사침전모듈을 포함하는 경사판 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경사침전모듈은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열 설치되고 수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양쪽 측면을 각각 연결하여 폐쇄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판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하여 원수가 경사판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다수 형성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경사판 위쪽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 및 전후 경사판의 상부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월류방지테두리를 포함하는 경사판 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경사침전모듈은 상기 경사판의 상부에 경사판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처리수를 수집하는 복수의 처리수 수집거를 더 포함하는 경사판 침전지.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경사판의 상단부에는 상향류인 처리수가 경사판의 전체 폭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통수마찰저항을 가하는 확산돌기를 경사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는 경사판 침전지.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확산돌기는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사다리꼴 중에서 선택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경사판 침전지.
-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확산돌기는 경사판의 상단 일부를 후방으로 굽힙가공하여 형성하는 경사판 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측판의 하단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구멍을 형성하는 경사판 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7010A KR20100048029A (ko) | 2008-10-30 | 2008-10-30 | 경사판 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7010A KR20100048029A (ko) | 2008-10-30 | 2008-10-30 | 경사판 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8029A true KR20100048029A (ko) | 2010-05-11 |
Family
ID=4227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7010A KR20100048029A (ko) | 2008-10-30 | 2008-10-30 | 경사판 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4802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15512A (zh) * | 2017-11-27 | 2018-02-23 | 山东赛恩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沉淀斜板组件 |
CN108751612A (zh) * | 2018-07-13 | 2018-11-06 | 苏州新工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 含活性染料印染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KR102396772B1 (ko) | 2021-12-22 | 2022-05-12 | 주식회사 더오포 |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
-
2008
- 2008-10-30 KR KR1020080107010A patent/KR201000480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15512A (zh) * | 2017-11-27 | 2018-02-23 | 山东赛恩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沉淀斜板组件 |
CN108751612A (zh) * | 2018-07-13 | 2018-11-06 | 苏州新工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 含活性染料印染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CN108751612B (zh) * | 2018-07-13 | 2024-04-09 | 苏州新工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 含活性染料印染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KR102396772B1 (ko) | 2021-12-22 | 2022-05-12 | 주식회사 더오포 |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42666B1 (en) | Baffle box deflectors and flow spreaders | |
KR100971879B1 (ko) |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 |
KR101097817B1 (ko) | 경사판 침전장치 | |
KR101015625B1 (ko) |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JP4766460B2 (ja) | 廃水処理装置における固液分離装置 | |
RU2290980C2 (ru) | Отстойник | |
KR20120024520A (ko) |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 |
CN108423788A (zh) | 无药剂二次水力强化混凝沉淀池 | |
CN105289056A (zh) | 平向流斜板净化装置及具有该净化装置的沉降池 | |
KR20100048029A (ko) | 경사판 침전지 | |
JPH05200205A (ja) | 上向流傾斜板沈降装置 | |
KR200426877Y1 (ko) | 침전지용 경사판 | |
KR100564993B1 (ko) | 상수도 수처리시설에 이용되는 침전조용 응집침전장치 | |
KR102173185B1 (ko) | 경사판 침전장치 | |
KR200424846Y1 (ko) |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 |
KR101172198B1 (ko) |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킨 경사판 침전지 | |
CN208577484U (zh) | 无药剂二次水力强化混凝沉淀池 | |
TW313560B (ko) | ||
JPS599686Y2 (ja) | 上向流式傾斜板沈降装置 | |
CN215538661U (zh) | 一种平流沉淀池 | |
KR100334503B1 (ko) | 침전지용 경사관형 침전장치 | |
KR100781400B1 (ko) | 하수 처리장의 침전지에서 고액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침전지 | |
KR100658144B1 (ko) |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 |
CN112912154B (zh) | 用于澄清池的斜板和用于澄清池的斜板状模块 | |
JP2021087924A (ja) | 下水用傾斜板システム、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下水用傾斜板システムの洗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