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416B1 -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416B1
KR100967416B1 KR1020090052137A KR20090052137A KR100967416B1 KR 100967416 B1 KR100967416 B1 KR 100967416B1 KR 1020090052137 A KR1020090052137 A KR 1020090052137A KR 20090052137 A KR20090052137 A KR 20090052137A KR 100967416 B1 KR100967416 B1 KR 10096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karaoke
karaoke ser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472A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ublication of KR2010001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미디음원을 수신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노래를 선곡받아 해당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모니터를 통해 가사와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 및 상기 노래 반주기의 선곡된 미디음원에서 노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모니터로 노트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박자신호를 입력받는 리듬댄스 게임기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계 운영되는 것으로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처리하고, 상기 노래 반주기에 미디음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정정보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된 박자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운영자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음원정보, 사용자의 음정정보, 사용자의 박자정보가 기록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운영자서버에 연계되어 선택적으로 정보가 독출되는 DB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해당되는 미디음원에서 리듬댄스 게임기의 노트정보를 추출하므로 별도의 노트정보를 갖는 파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음원파일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망을 통한 파일송수신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아케이드, 댄스게임, 네트워크, 노래방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OF SINNING ROOM SER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상에 설치된 노래 반주기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연동 구성하고 이들 기기들이 네트워크망을 통해 음원과 해당 댄스노트를 실시간 전송 받아 동작되도록 하여 오락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는 노래방에 주로 설치되며, 자신의 음악적 성취 또는 유희를 목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노래를 부르는 곳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친목을 도모하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의 상기 노래 반주기는 음원칩과 메모리를 내장한 소형의 마이크 형태로 제공되는 가정용과, 노래방이나 주점 등과 같이 업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별도의 모니터 및 스피커에 연결되어 무선콘트롤러를 통해 선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업소용으로 구분되며, 이들 노래 반주기는 공통적으로 원곡의 노래 음원과 소비자의 가창 음원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알려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업소에서 운영되는 노래 반주기는 사용자가 무선콘트롤러나 또는 노래 반주기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버튼을 조작하여 임의의 노래를 선택하면, 반주 음원과 함께 해당 노래의 가사 및 배경 영상이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며, 사용자는 출력된 노래 가사에 맞춰 따라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노래방에 설치된 노래 반주기는 대부분 두 개의 마이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곡한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는 사용자는 2명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여러 명이 노래방에 가는 경우에는 제한적인 사용자들만 노래를 부르고 나머지 사람들은 노래에 장단을 맞추거나 박수를 치는 행동 밖에는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노래 반주기는 단순히 노래를 선곡하고 선곡된 반주음원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한 가지 기능 이외에는 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노래를 부르지 않는 사람은 쉽게 흥미를 잃게 되어 오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노래 반주기와 별도로 노래방 한쪽에 컴퓨터를 설치하고, 이를 네트워크망으로 연결하여 채팅이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노래를 부르는 사람과 부르지 않는 사람들 간의 관심대상이 분산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오락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사용이 능숙치 않은 사람들에게는 큰 호흥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노래방기기와 함께 최근 선보이고 있는 리듬댄스 게임기는 경쾌한 음악에 맞추어 각기 다른 노트신호를 빠르게 인가하는 기기로써, 음악과 더불어 댄스 오락용으로 비교적 젊은 층에서 크게 호응 받고 있는 오락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리듬댄스기기는 노트정보를 갖는 음원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음원이 다양하지 못하여 제안된 음원을 반복적으로 이용해야 하므로 단시일 내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릴 뿐만 아니라 게임에 익숙하지 못한 중장년층이 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연동 구성하고 이들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을 제공받아 노래와 함께 리듬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오락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의 노래방과 동일한 환경의 온라인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미디음원을 수신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노래를 선곡받아 해당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모니터를 통해 가사와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기 및 상기 노래 반주기의 선곡된 미디음원에서 노트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모니터로 노트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박자신 호를 입력받는 리듬댄스 게임기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계 운영되는 것으로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인증 처리하고, 상기 노래 반주기에 미디음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정정보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된 박자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운영자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음원정보, 사용자의 음정정보, 사용자의 박자정보가 기록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운영자서버에 연계되어 선택적으로 정보가 독출되는 DB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모니터를 통해 저장된 캐릭터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실시간 캡쳐하여 출력 처리하는 영상입출력모듈과; 상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운영자서버로부터 음원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음정정보 및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하는 박자정보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모듈과; 상기 운영자서버에서 전송된 미디음원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미디사운드엔진모듈과; 상기 미디음원에서 노트정보를 추출하여 싱크처리하고 이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는 게임엔진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상기 노래 반주기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정 및 박자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처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피드백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DB서버는 고객정보를 저장하 는 회원DB모듈과; 음원정보를 저장하는 음원DB모듈과;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DB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고객에 대한 회원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회원인증 모듈과; 상기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이용 요금을 청구 및 처리하는 결제처리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운영자 서버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는 웹 서버이며, 사용자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개인정보단말기(PDA), 모바일컴퓨터((Mobile Computer),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W-CDMA) 중 하나 이상의 기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리듬댄스 게임기는 손, 발, 스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버튼 터치를 통한 노트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원반형태의 디스크를 회전시켜 노트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기타의 줄을 튕겨 노트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인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운영자서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미디음원과 노트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운영자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미디음원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인증 처리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디음원 이용에 대한 서비스 를 요청받으면 해당 미디음원을 DB서버로부터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전송받은 미디음원을 모니터와 스피커가 연결된 노래 반주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미디음원에 포함된 노트정보를 기초로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박자정보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단계와; (d) 노래 반주기에 연결된 마이크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정 및 박자정보를 상기 운영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전송받은 음정 및 박자정보를 해당 미디음원과 비교처리하여 점수로 환산하고 결과정보를 고객정보에 취합하고 동시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영자서버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고객에게 회원인증을 요구하는 회원인증단계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이용요금을 청구 및 처리하는 결제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d) 단계에서 운영자서버는 고객의 이용 실적에 따른 결과정보를 고객정보와 함께 취합 저장하고, 고객의 저장정보 요청 시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서트룸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의 P2P 접속을 중계하는 서버; 및 기 설치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서버의 콘서트룸에 접속한 후 상기 서버의 P2P 접속 중계에 의해 다른 클라이언트 프그램들과 P2P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콘서트룸의 출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배포하도록 구성되는 운영자서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구동시킨 후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기로 P2P 방식에 의한 가상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래방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래방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콘서트룸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타인의 콘서트룸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로비서비스;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상기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를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 상기 콘서트룸에서 실행된 음원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원제공서비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의 P2P 접속을 위한 P2P 중계서비스; 및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가 수행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과정을 데이터로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한 후 이를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스트리밍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콘서트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콘선트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콘선트룸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선트룸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 리스트; 상기 콘서트룸에서 재생될 음원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악재생기;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 영상을 출력하는 스크린;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을 표시하는 아바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들 사이의 채팅서비스를 위한 채팅창; 상기 콘서트룸의 배경화면; 및 상기 콘서트룸의 제어를 위한 메뉴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노래모드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선트룸 인터페이스에 재생되는 음원의 노트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방법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 콘서트룸 개설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의 P2P 접속을 중계하는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후 P2P 방식에 의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비에 접속하는 로비접속 과정; 상기 로비에서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콘서트룸에 입장하는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 상기 콘서트룸에 입장한 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에 P2P 접속을 이루는 P2P 접속과정; 및 상기 P2P 접속과정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이에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콘서트룸에서 노래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의해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은, 상기 사용자가 새로운 콘서트룸을 개설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은, 상기 새로이 생성된 콘서트룸의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은,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경우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선곡하여 노래를 부르는 경우 출력되는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과정은, 상기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노래 시 출력되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타 사용자와의 공유를 위해 컨텐츠스트리밍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 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실시간 전송받아 사용하므로 음원 사용에 따른 저작권료와 관련한 과금을 투명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천 곡의 음원을 서버에서 관리하므로 오프라인 상에 설치된 기기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해당되는 미디음원에서 리듬댄스 게임기의 노트정보를 추출하므로 별도의 노트정보를 갖는 파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음원파일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망을 통한 파일송수신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를 통해 춤을 추는 사람을 표현하거나 또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실제 리듬댄스 게임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중계할 수 있으며, 노래가 끝난 후 음정과 리듬박자에 대한 점수를 알려줌으로써 그에 따른 오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를 적용한 업소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오프라인과 같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 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영자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DB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은, 인터넷·전용선·공중망·이동통신망으로 된 유·무선 네트워크망(3)과, 이 네트워크망(3)에 연결되어 게임기 관련 정보와 고객 관련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DB서버(DataBase Server;20)와, 상기 DB서버(20)에 연결되어 관련 정보를 추출 및 가공연산 처리하는 운영자 서버(10)와, 상기 운영자 서버(10)와 유·무선 네트워크망(3)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진행정보와 결과정보를 서비스 받는 사용자 단말기(30)로 구성된다.
유·무선 네트워크망(3)은 전용선·이동통신망·공중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폭넓은 사용자 층을 확보한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의 사용을 제안하며, 여기서 상기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또는 시스템,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텔넷,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은 음성통화를 위한 통상적인 망, 즉 기지국(BS : Base Station), 이동전화 교환국(MTSO :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망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 등을 구비하고,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WAP 게이트웨이,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 HTTP, SMTP, FTP 등과 같은 산업 표준의 전송 프로토콜 지원과 HTML, SMTP, XML, HDML 또는 일반 문서파일 등의 문서 교환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모바일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dital Assistant), 개인용 컴퓨터(PC) 및 핸드PC, 노트북 등으로 된 사용자 단말기(30)와 운영자 서버(10) 사이에서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관련정보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인터넷망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30)는 크게 노래 반주기(30')와 리듬댄스 게임기(30")로 구분되는데, 이때 상기 노래 반주기(30')는 DB서버(20)로부터 미디음원을 제공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니터와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하고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본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듬댄스 게임기(30")는 노래반주기(30')와 연동하여 DB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미디음원에 대응하는 노트 정보를 출력하여 리듬 댄스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의 드럼게임기 등의 악기 게임기, 댄스 게임을 위한 펌프 등의 공지의 아케이드 게임기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래 반주기(30')와 리듬댄스 게임기(3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도 4와 같이 영상입출력모듈(31)과, 네트워크모듈(33), 미디사운드엔진모듈(35); 및 게임엔진모듈(3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입출력모듈(31)은 모니터를 통해 저장된 캐릭터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실시간 캡쳐하여 출력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모듈(33)은 상기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음원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음정정보 및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하는 박자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디어사운드엔진모듈(35)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미디음원을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디어사운드엔진모듈(35)은 노트정보로 표시되는 미디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트정보는 음계의 도래미.... 등과 같이 미디음원의 재생을 위해 각각의 음원에 부여된 정보이다. 상기 노트정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885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2370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미디음원은 상기 노트정보와 상기 노래의 가사 및 악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엔진모듈(37)은 상기 미디음원에서 악보와 가사를 추출하여 싱크처리하고 이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B서버(2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3)에 연결되는 운영자서버(10)로부터 미디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분류 저장하고, 이외에도 고객의 개인정보 및 결제 관련정보 등을 기록 저장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변경한다.
이러한 DB서버(20)는 회원으로 가입된 고객의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모듈(21)과, 오프라인 상에 소재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와 관련된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게임기DB모듈(23)과, 고객의 서비스 이용신청에 따른 결제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DB모듈(25)로 구성되며, 이들 각 DB모듈은 상기 DB서버(20)에 내장된 DB관리자(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회원DB모듈(21)에 저장되는 고객정보는 인적사항, 고객아이디, 패스워드, 이용실적 및 결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DB 서버(2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3)으로 연결된 운영자 서버(10)로 기록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운영자 서버(10) 내에 DB 서버(20) 기능을 부가 설치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운영자 서버(10)는 전술한 DB서버(20)와 유무선 네트워크망(3)으로 연계 운영되는 일종의 웹 서버(Web Server)로서, 이때의 상기 웹 서버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UNIX기반의 아파치, WINDOW NT의 IIS, 넷스케이프의 엔터프라이즈 서버가 사용 될 수 있으며, 웹 페이지(HTML 파일)를 제공해 주는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이러한 웹 서버는 통상의 공지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의 운영자 서버(10)는 각종 입출력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 모듈(11)과, 고객이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 시 해당 고객에 대하여 회원인증을 실시하는 회원인증 모듈(13)과, 고객이 요청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결제처리 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11)은 상기 노래 반주기와 리듬댄스 게임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정 및 박자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처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피드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원인증모듈(13)은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을 이용하기 위해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원인증모듈(13)은 고객에게 부여된 접속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운영자 서버(10)에 접속하는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별도의 보안카드나 공개키 기반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된 공인인증서 또는 지문·홍채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인증 모듈(13)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제처리모듈(15)은 노래방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에게 해당 게임기 사용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고, 입력되는 금융결제 정보를 공지의 금융기관의 과금서버(신용카드사의 서버, 은행사의 서버, 휴대폰 결제사 서버 등)로 전송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제처리모듈(15)은 상기 회원인증 모듈(13)과 마찬가지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운영자 서버(10)는 상술한 모듈 외에도 고객이 일정 점수를 획득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DB서버(20)의 해당 고객정보에 취합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안내하는 경품지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3)을 통해 운영자 서버(10)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는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개인정보단말기(PDA), 모바일컴퓨터((Mobile Computer),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W-CDMA), 핸드피시(H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사용자 단말기(30)는 상기 운영자 서버(10)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상태에서 웹상에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브라우저를 탑재하거나, 또는 운영자 서버(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 단말기(30)에 인스톨된 별도의 전용 뷰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통상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콘서트룸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P2P 방식에 의 해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UDP에 의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노래방 서비스 과정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출력되는 음성,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상대 측으로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대측은 수신된 상대 사용자의 노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또는 음성 채팅을 병행함으로써 노래방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서로 의사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반 가상 노래방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오프라인의 노래방과 같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사용자노래모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방법(이하, '노래방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이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 5와 같이, 운영자서버(10'), DB서버(20'), 노래방서버(40), 컨텐츠스트리밍(contents streamming)서버(50) 및 사용자단말기(30)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구성되어,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영자서버(10')는 인터넷 접속서비스, 회원 가입 서비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 서비스, 리다이렉트(redirect) 서비스, 컨텐츠스트리밍서버 중계 서비스, 빌링(billing) 서비스, 이벤트(event) 서비스, 아이템 샵(item shop) 서비스, 패치(patch)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웹서버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 접속서비스는 HTTP 등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회원가입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운영자서버(10')에 접속하여 인적 사항을 등록한 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일반적인 회원 가입 절차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및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30)들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운영자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30)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배포한다.
상기 리다이렉트(redirect) 서비스는 운영자서버(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노래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영자서버(10')로 로그인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노래방서버(40)로 접속시킨다.
상기 컨텐츠스트리밍서버 중계 서비스는, 운영자서버(10')에 접속한 사용자가 타 사용자가 등록한 타 사용자의 노래방서비스 이용 동영상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30)와 컨텐츠스트리밍서버(50)의 연결을 중계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가 타 사용자가 등록한 동영상을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해 자신의 단말기 상에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빌링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접속에 따른 과금, 사용자들이 구입한 아이템에 대한 비용처리, 사용자가 수행한 유료 서비스 등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상기 이벤트 서비스는 우수 회원에 대한 아이템 제공, 아이템 공동 구매, 노래 경연대회 등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를 수행한다.
상기 아이템 샵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를 꾸미기 위한 아이템 등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아바타를 육성시킬 수 있다.
상기 DB서버(20')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등록한 콘서트룸 환경 정보, 노래점수 정보, 사용자 등록 동영상 정보, 과금 정보 등을 저장하여 상기 운영자서버(10'), 노래방서버(40) 및 컨텐츠스트리밍서버(50)와 연동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30a), 개인용 PC(30b), 노래반주기(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도 4의 구성 중, 영상입출력모듈(31)과, 네트워크모듈(33), 미디사운드엔진모듈(35); 및 게임엔진모듈(3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들은 네트워크 특히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운영자서버(10')에 접속한 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래방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미디음원은 상기 미디사운드엔진모듈(35)에 의해 재생된다. 그리고 상기 게임엔진모듈(37)에 의해 미디음원에 포함되는 악보 및 가사가 모니터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서버에서 제공되어 재생되는 미디음원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아바타, 캐릭터 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 영상은 상기 영상입출력모듈(31)에 의해 모니터 상에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가 이동통신 단말기(30a)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a)는 양방향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양방향 상호 작용이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a)는 이동통신사 중계서버(2)를 통해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되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하면, 노래방서버(40)에 접속함과 동시에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 도 6 참조) 설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으로, 노래방서버(40)가 제공하는 로비접속서비스(도 8, S 40 참조), 사용자 콘서트룸서비스(도 8, S70 참조), 타 사용자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도 8, S80 참조), 음원제공서비스의 음원 선택을 위한 노래 정보를 출력하는 음원제공서비스,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도 7 및 도 8의 S90 참조), 채팅서비스, 아바타관리(도 8, S60 참조), 개인콘서트룸 서비스(도 9 참조), 배틀 노래방 서비스(도 11 및 도 12 참조), 댄스배틀 서비스(도 13 참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콘서트룸인터페이스(200, 도 6 참조) 및 노래모드인터페이스(300, 도 7 참조)를 출력하며, 또한 운영자서버(10')와 노래방서버(40)를 포함하는 서버 및 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는 콘서트룸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서로 상호작용을 수행하며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는 사용자들만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노래모드 인터페이스(300, 도 7 참조)가 출력되어 사용자 노래 모드로 변경된다. 사용자 노래 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사용자 노래 모드로 변경되어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 사용자의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UDP 방식에 의해 실시간으로 콘서트룸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되어 출력됨으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오프라인과 같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노래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저장되거나, 컨텐츠스트리밍서버(5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 및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300)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는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 리스트(201), 방정보창(202), MP3 플레이어 등의 음악재생기(203), 스크린(204), 사용자 아바타(405), 타 사용자들의 아바타(405a), 백 댄서 아바타(405b) 등의 아바타들, 채팅창(206), 피아노, 무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콘서트룸 배경 화면(207) 및 노래방 서비스 제어를 위한 메뉴창(2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뉴창(208)의 메뉴는 콘서트룸 꾸미기(콘서트룸 환경 설정), 아바타 꾸미기, 방장권한, 노래방 모드(사용자 노래 모드) 설정, 화상설정, 메신저, 나가기, 기능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리스트(201)는 콘서트룸에 입장한 사용자의 닉네임, 성별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방정보창(202)은 콘서트룸의 방 번호, 방 이름, 비공개 또는 공개 등의 방의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음악재생기(203)는 재생 중이거나, 예약된 노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공되는 노래 음원은 노래방서버(40)에 저장된 것 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노래 음원의 등록, 삭제, 재생 등의 제어 기능은 방장(콘서트룸 개설자) 또는 방장 권한을 가지는 입장한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상기 스크린(204)은 방장 또는 노래하는 사용자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상기 아바타(405, 405a)는 콘서트룸에 입장한 사용자들을 나타내며,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의 아바타의 이동, 댄스 실행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댄서 아바타(405b)의 경우에는 노래방서버(40)에서 제공하는 기설정된 행동 방식에 따라 움직인다. 또한 아바타를 이용한 이모티콘 채팅 기능을 가진다.
상기 채팅창(206)은 텍스트, 음성, 화상 채팅 서비스를 지원하여 사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지원한다. 이러한 채팅창(206)은 전체, 1대1, 다자간 그룹 채팅 등의 일반적은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며, 각종 아바타의 이모션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서트룸 배경 화면(207)은 콘서트룸을 꾸밀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소품들을 구비하여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2D 또는 3D 등의 가상 노래방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뉴창(208)은 일반 사용자의 권한으로는 환경 설정, 나가기, 메신저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방장만의 고유권한으로는 콘서트룸 꾸미기, 아바타 꾸미기, 방장권한부여, 사용자 노래모드 설정, 화상 설정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를 이용한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 작용은 콘서트룸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이 P2P 방식에 의해 접속되어 노래방 서비스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영상, 음성 등을 UDP 방식에 의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과,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가 제공하는 화상 또는 음성 채팅 등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전환된 사용자 노래모드 인터페이스(300)는 도 7과 같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악보 및 가사를 가지는 노트정보(211)가 출력되고, 스피커를 통해 해당 노래의 반주음악이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래를 시작하면 사용자의 노래소리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후 스피커를 통해 반주음악과 함께 출력되고, 사용자의 노래하는 모습은 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스크린(204)을 통해 출력된다.
이 과정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소리와, 스크린(204)을 통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사용자 노래모드 인터페이스(300)의 영상데이터는 UDP 통신프로토콜 방식의 기능 중 하나인 브로캐스팅 방식에 의해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로 동시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는 모두 동일한 음악, 노래소리 및 영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은 오프라인의 노래방과 같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노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300)의 출력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2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 후 사용자의 원하는 경우 컨텐츠스트리밍서버(50)로 공유를 위해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노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300)의 출력 영상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컨텐츠스트리밍서버(5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노래방서버(40)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구동시킨 후 로그인 한 사용자 단말기(30)로 P2P 방식에 의한 가상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래방서버(40)는 로비서비스,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 음원제공서비스, P2P 중계서비스,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상 노래방 서비스는 2D 또는 3D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로비서비스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로그인한 사용자가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콘서트룸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타인의 콘서트룸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서트룸 접속서비스는 노래방서버(40)에 접속한 사용자가 콘서트룸을 생성하거나 또는 타 사용자의 콘서트룸을 선택하여 접속한 경우 해당 콘서트룸의 환경 설정 정보를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 도 6 참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원제공서비스는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가 부르고자 선택한 음원 파일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경우 선택한 노래에 대한 MIDI, 가사, 배경화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한다.
상기 P2P 중계 서비스는 동일한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이 서로 P2P 방식에 의해 양방향 상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일한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의 P2P접속을 중계한다.
상기 채팅서비스는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문자, 화상 또는 음성 채팅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스트리밍 서버(50)는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가 수행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과정을 데이터로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한 후 이를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받은 노래방 서비스 과정을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로그 정보를 생성 저장하는 로그 서버, 로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로비서버,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로그인 서버, 이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벤트서버, 아이템샵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템샵서버, 과금을 위한 빌링서버, 노래방 서비스의 제공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 분석, 통계생성, 관리 등을 수행하는 CRM서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치서버, P2P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P2P 중계서버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서버는 운영자서버(10') 또는 노래방서버(40)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의 구성을 가지는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10).
사용자 단말기(30)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운영자서버(10')로 접속한 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회원가입이 필요하면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다운로드 과정)(S20).
사용자 단말기(30)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거나, 운영자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한 후 로그인을 수행한다(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구동 과정; S30).
로그인이 성공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함과 동시에 노래방서버(40)로 접속하여 현재 개설된 콘서트룸 정보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콘서트룸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자신의 콘서트룸 또는 타 사용자가 생성한 콘서트룸으로 입장하거나, 아바타를 관리할 수 있으며, 노래방 서비스의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접속 상태를 로비접속이라 한다(로비 접속과정; S40).
이 과정에서 아바타 생성, 꾸밈, 변경 또는 삭제 등의 아바타 관리가 필요한 지를 판단(S50) 후, 아바타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아바타관리 서비스를 실행하여 아바타 생성, 꾸밈, 변경 또는 삭제 등의 아바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의 아바타 꾸밈은 운영자서버(10')가 제공하는 아이템샵 서비스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구입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아바타관리과정; S60).
아바타 관리가 필요하지 않거나, 아바타 관리가 종료된 사용자는 자신의 콘서트룸을 개설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타인의 콘서트룸에 입장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콘서트룸을 개설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콘서트룸 개설 절차에 따라 콘서트룸을 개설한 후 입장한다. 이때 자신이 개설한 콘서트룸에 입장한 사용자는 콘서트룸에 대한 모든 제어 권한을 가지고 콘서트룸을 관리할 수 있다(사용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 S70).
이와 달리 타 사용자가 개설한 콘서트룸으로 입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비 접속 상태에서 출력되는 타 사용자의 콘서트룸 리스트에서 특정 콘서트룸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타인의 콘서트룸에 입장한다(타 사용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 S80).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S70) 또는 타 사용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S80)을 모두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이라 한다.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S80)에 의해 콘서트룸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해당 콘서트룸의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 6과 같은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술한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의 수행과 함께 노래방서버(40)가 제공하는 P2P 중개서비스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기들에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과 P2P 방식에 의해 접속한다. 상기 P2P 중개서비스는 홀펀칭 방식에 의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기(30)의 IP주소를 획득한 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이의 P2P 접속을 위해 획득된 IP 주소를 타 사용자 단말기(3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상대방의 IP 주소를 전송받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UDP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P2P 접속을 이룬다(P2P 접속과정).
동일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기(30)에서 구동하는 클라이 언트 프로그램들이 P2P 방식에 의해 접속되면, 사용자는 콘서트룸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채팅창(206)을 통해 콘서트룸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들과 화상 또는 음성 채팅에 의해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재 노래하는 사용자의 화면 및 음성을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동시에 전송받아 반주음과 함께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과 P2P 방식에 의해 오프라인과 같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곡을 수행한 후 노래를 부르게 되면, 사용자 노래 모드로 전환된다.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악보 및 가사 등의 노트 정보와 반주를 출력하여 오프라인의 노래방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과정; S90).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가 사용자노래모드로 전환되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200)는 도 7과 같이 상부에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악보 및 가사를 가지는 노트정보(211)가 출력되는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300)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반주음악이 출력되며, 사용자의 노래소리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후 스피커를 통해 반주음악과 함께 출력되고, 사용자의 노래하는 모습은 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스크린(204)을 통해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노래소리 데이터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노래모드 인터페이스(300)의 출력 음성 및 영상 데이터들은 P2P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콘서트룸에 접속된 모든 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로 동시에 전송되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 노래 모드에서 사용자의 노래, 반주,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의 출력화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후 컨텐츠스트리밍 서버에 등록되거나, 컨텐츠스트리밍 서버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사용자 노래 모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출력 영상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노래 음성 및 재생되는 미디음원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차후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재생된다. 이에 따라 노래방 서비스 과정에서 생성된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타 사용자가 등록한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30)를 컨텐츠스트리밍서버(50)와 접속시키는 것은 운영자서버(10')의 컨텐츠스트리밍서버 중계 서비스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자가 노래를 마치면, 노래방서버(40)는 사용자의 음정 박자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점수가 산출한 후 점수창(212)을 통해 결과로 출력한다(결과 출력과정; S90).
사용자는 계속하여 콘서트룸 서비스 과정과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과정을 통해 콘서트룸에 접속된 상태에서 종료를 선택하면 로비접속상태로 된다. 로비접속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른 콘서트룸에 입장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계속 제공받거나, 노래방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설명에서 운영자서버(10'), 노래방서버(40) 및 컨텐츠스트리밍 서버(5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서버들 중 두 개 이상이 하나의 서버로 통합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를 변형한 응용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노래방 서비스로서의 응용서비스의 예로는, 개인콘서트룸 서비스, 배틀노래방 서비스, 댄스배틀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SNS) 연동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개인콘서트룸 서비스에 의해 호스트가 육성한 개인콘서트룸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개인콘서트룸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이 개설한 콘서트룸을 통해 개인 콘서트를 열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콘서트룸을 개설한 사용자('호스트'라 함)는 노래를 부르고, 콘서트룸에 접속한 타 사용자들은 호스트의 노래를 감상하게 된다. 이때 타 사용자들의 아바타는 관객석에 위치되는 등으로 콘서트룸의 배경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콘서트룸은 호스트의 노래뿐 아니라 호스트가 최신 유행곡을 재생하여 이를 감상하는 등의 서비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개설한 개인콘서트룸을 관리 육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콘서트룸의 육성은 상술한 아디템샵 서비스를 이용하여 콘서트룸을 장식할 테 이블, 의자, 피아노, 조명 등의 아이템을 구입하여 화면상에 적절히 배열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육성된 개인콘서트룸의 정보는 노래방서버(40)와 연동하는 DB서버(60)에 사용자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와 함께 등록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인콘서트룸에 접속하는 경우 개인콘서트룸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육성한 상태 그대로 출력된다.
이러한 개인콘서트룸은 호스트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타 사용자가 호스트의 개인콘서트룸이 제공하는 최신 유행 음악 재생 등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호스트의 접속과 관계없이 타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배틀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배틀노래방 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콘서트룸에 접속한 후 노래 실력을 대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배틀노래방 서비스를 위해 개설된 콘서트룸의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참여 사용자들의 영상이미지를 각각 상부에 출력하고, 주 화면에는 각각의 사용자가 육성하는 사용자 대응 아바타를 사용자의 닉네임 등과 함께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틀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순차적으로 노래를 부르게 되면, 노래하는 사용자의 음정대역을 판별하여 노래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게 되고, 이에 의해 참여자들이 경쟁함으로써 배틀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 노래에 대한 점수 부여는 노래방서버(40)가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각각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자체 내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자체 내에서 점수가 부여되는 경우 각각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동일한 음정판단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틀노래방 서비스는 노래 경쟁이 수행되는 중에 도 12와 같이 아바타의 동작을 노래 점수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이모션 동작과 다양한 특수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배틀노래방 서비스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틀노래방 서비스는 노래 점수 판정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아이템을 제공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아이템은 음성변조, 음정키의 조작 등을 기능을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 자신 또는 참여한 타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배틀노래방 서비스의 경쟁요소와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틀노래방 서비스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리듬댄스기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댄스배틀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서트룸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댄스배틀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의 노래 판정 점수에 따라 대응되는 키노트별로 사용자들이 아바타에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키를 입력하여 점수를 획득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댄스배틀 서비스를 위해서 특정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경우 노래의 판정 점수에 따라 키 노트가 출력된다.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들은 키 노트를 적절한 시간에 입력하여 자신의 아바타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점수를 획득하는 것에 의해 댄스배틀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아바타에는 다수의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다수의 움직임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의 경우에는 노래 점수에 대응하여 화면 하부의 화살표가 키 노트로 표시되며, 댄스배틀 참여자는 해당 화살표 대응 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아바타가 키 노트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표현하도록 한다.
상술한 댄스배틀 서비스에 의해 마이크가 없는 사용자들의 경우에도 콘서트룸에 접속하여 게임을 즐기면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SNS) 연동 서비스는 운영자서버(10') 또는 노래방서버(40)가 사용자들의 미니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노래방 서비스 제공 과정, 개인콘서트룸 서비스, 배틀노래방 서비스, 댄스배틀 서비스 과정을 저장한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니 홈페이지는 편지 보내기, 방명록 남기기, 동영상과 사진 올리기 등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콘서트룸이나, 개인콘서트룸 서비스, 배틀노래방 서비스, 댄스배틀 서비스를 위한 콘서트룸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상술한 서비스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개인콘서트룸 서비스, 배틀노래방 서비스, 댄스배틀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SNS) 연동 서비스 등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 음성인식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바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개인콘서트룸 서비스, 배틀노래방 서비스, 댄스배틀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SNS) 연동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노래방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리듬 댄스, 리듬 댄스에 의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노래 반주기(30')와 리듬댄스 게임기(30")와 노래반주기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운영자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DB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사용자노래모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 및 도 10은 개인콘서트룸 서비스에 의해 호스트가 육성한 개인콘서트룸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배틀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댄스배틀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서트룸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10, 10' : 운영자 서버
20. 20' : DB서버
30 : 사용자 단말기
30': 노래 반주기
30": 리듬댄스 게임기
40: 노래방서버
50: 컨텐츠스트리밍 서버

Claims (27)

  1.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진행되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운영자 서버;
    상기 전송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로그인 된 사용자 단말기로 P2P 방식에 의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래방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노래방 서비스 과정을 데이터로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노래방 서버에 접속하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 설정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인터페이스 및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노래 실력을 대결할 수 있는 배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노래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노래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는 상기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바타가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아바타 각각은,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노래 점수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이모션 동작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는,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노래 점수에 따라 아이템을 제공하고, 상기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댄스 배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의 노래 점수에 따라 대응되는 키 노트가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다른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바타 각각은 상기 제공된 키 노트의 입력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며, 수행 결과에 따라 점수가 획득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노래방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개설된 콘서트룸 정보를 출력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서는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만으로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노래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UDP 방식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다른 다른 사용자 단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스트리밍 서버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콘서트룸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타인의 콘서트룸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로비서비스;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상기 노래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의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
    상기 콘서트룸에서 실행된 음원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원제공서비스;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의 P2P 접속을 위한 P2P 중계서비스; 및,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상기 복수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채팅 및 메신저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는,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 리스트;
    상기 콘서트룸에서 재생될 음원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음악재생기;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 영상을 출력하는 스크린;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된 사용자들을 표시하는 아바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들 사이의 채팅서비스를 위한 채팅창;
    상기 콘서트룸의 배경화면; 및
    상기 콘서트룸의 제어를 위한 메뉴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13.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진행되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인터페이스 및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로그인 된 사용자 단말기로 P2P 방식에 의해 가상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노래방 서비스 과정을 데이터로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노래방 서버에 접속하면 콘서트룸 인터페이스 설정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노래 실력을 대결할 수 있는 배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노래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는 상기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바타 각각은,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노래 점수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이모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는,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노래 점수에 따라 아이템을 제공하고, 상기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 노래방 서비스가 제공되는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댄스 배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댄스 배틀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배틀 콘서트룸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특정 사용자 단말의 노래 점수에 따라 대응되는 키 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다른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바타 각각이 상기 제공된 키 노트의 입력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 결과에 따라 점수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18.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 콘서트룸 개설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 사이의 P2P 접속을 중계하는 서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후 P2P 방식에 의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기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로비에 접속하는 로비접속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래방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로비에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개별적으로 개설된 상기 콘서트룸에 입장하는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 단계;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이 상기 서버의 중계에 의해 P2P 접속을 이루는 P2P 접속 단계; 및
    상기 P2P 접속단계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 중 선곡에 의해 상기 콘서트룸에서 노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노래하는 사용자의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P2P 접속된 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로 전송하는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들이 P2P 접속된 후 상기 노래를 선곡한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사용자 입력 박자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화면 데이터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다른 클라이언트프로그램으로 P2P 방식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새로운 콘서트룸을 개설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새로이 생성된 콘서트룸의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서트룸 접속 서비스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후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이 상기 콘서트룸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후 사용자가 선곡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노래 모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데이터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음성 및 재생되는 미디음원 정보를 가지는 오디오데이터를 타 사용자와의 공유를 위해 컨텐츠스트리밍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이에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단계는,
    상기 서버에 접속한 특정 사용자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만이 노래 또는 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콘서트룸을 개설하고, 상기 개인 콘서트룸에 접속한 타 클라이언트프로그램들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노래 오디오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노래 또는 댄스를 타 사용자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콘서트룸 서비스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4. 삭제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개설한 콘서트룸에 다수의 타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이 접속한 후 P2P 접속을 이루어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들의 사용자들이 부른 노래에 대한 노래점수를 이용한 노래 경연을 수행하도록 하는 배틀 노래방 서비스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틀노래방 서비스 제공 단계는,
    노래하는 사용자의 노래 점수에 따라 노래하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이 사용자 자신 또는 상대방의 음성 또는 영상 출력을 변형시키는 아이템을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방 서비스 단계는,
    상기 콘서트룸에 접속한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사용자가 노래할 때 재생되는 미디음원에 부여된 키 노드에 대응하는 키 노트가 입력되면 아바타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점수를 부여하는 댄스배틀 서비스 제공 단계로 구현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KR1020090052137A 2008-07-22 2009-06-12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7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77 2008-07-22
KR20080071177 2008-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72A KR20100010472A (ko) 2010-02-01
KR100967416B1 true KR100967416B1 (ko) 2010-07-01

Family

ID=4208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37A KR100967416B1 (ko) 2008-07-22 2009-06-12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0482A (zh) * 2010-07-21 2012-02-01 崔信奎 基于网络的练歌房服务系统及利用该服务系统的用户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23B1 (ko) * 2010-02-22 2012-05-15 철 석 사용자 보유 음원을 이용한 음악 게임 방법
KR101303510B1 (ko) * 2012-04-16 2013-09-03 방윤배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기능 제공 노래방 컨테이너 장치
KR101485904B1 (ko) * 2013-01-15 2015-01-2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라이브 공연과 연동되는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592B1 (ko) * 2013-03-26 2014-02-21 (주)테일러테크놀로지 Mgi음악 파일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493149B1 (ko) * 2013-04-17 2015-02-16 하동원 댄스 배틀 게임 제공 방법
KR20150067922A (ko) * 2013-12-10 2015-06-19 서인아 사용자 동작과 연동하는 리듬 게임 장치
CN103700194A (zh) * 2014-01-15 2014-04-02 武汉漫维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基于终端技术的互动娱乐平台
KR101537667B1 (ko) * 2014-11-03 2015-07-22 (주)나라소프트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KR20170027023A (ko) 2015-09-01 2017-03-09 김효중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노래 반주장치
KR20170027026A (ko) 2015-09-01 2017-03-09 김효중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노래 서비스 방법
KR20220029890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투비원솔루션즈 비대면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KR20220102335A (ko) 2021-01-13 2022-07-20 주식회사 용성네트웍스 노래방 매물 중개서비스시스템
KR102572529B1 (ko) 2021-11-05 2023-08-30 주식회사 투비원솔루션즈 비대면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KR200496628Y1 (ko) 2022-09-29 2023-03-21 윤평남 건강 귀걸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061A (ko) * 2001-04-19 2001-12-20 성차만 노래방 체인점 원격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원격관리방법
KR20030043333A (ko) * 2001-11-28 2003-06-02 (주)가민정보시스템 댄스 시뮬레이션 게임의 댄스스텝 파일 구조체와 그것을생성하는 댄스스텝 편집기
KR20060057757A (ko) * 2004-11-24 2006-05-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노래방 서비스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070051457A (ko) * 2005-11-15 2007-05-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기반의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 노래방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061A (ko) * 2001-04-19 2001-12-20 성차만 노래방 체인점 원격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원격관리방법
KR20030043333A (ko) * 2001-11-28 2003-06-02 (주)가민정보시스템 댄스 시뮬레이션 게임의 댄스스텝 파일 구조체와 그것을생성하는 댄스스텝 편집기
KR20060057757A (ko) * 2004-11-24 2006-05-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노래방 서비스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070051457A (ko) * 2005-11-15 2007-05-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기반의 아바타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 노래방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0482A (zh) * 2010-07-21 2012-02-01 崔信奎 基于网络的练歌房服务系统及利用该服务系统的用户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72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41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340482A (zh) 基于网络的练歌房服务系统及利用该服务系统的用户终端
US9066144B2 (en) Interactive remote participation in live entertainment
JP4572254B2 (ja) 露出部位が可変されるアバター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81907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location-based services
US20070186007A1 (en) Downloadable server-client collaborative mobile social computing application
US20030220143A1 (en) On-line gaming spectator
US9325747B2 (en) Advanced dating websites
JP6315568B2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サーバ
TW20122227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interactive services
CN106910491A (zh) 卡拉ok系统
US20090158171A1 (en) Computer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pontaneous icebreaking activities in a shared synchronous online environment using social data
KR20020073313A (ko) 단말기 바탕화면의 아바타 생성 방법 및 장치및 그를이용한 커뮤니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및 아바타 게임방법
KR20000024265A (ko) 인터넷 상의 커플매칭 방법
KR20030027530A (ko)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060627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881252B1 (ko)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6047753A (ja) カラオケ情報配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カラオケ情報配信方法
JP2006047754A (ja) カラオケ情報配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カラオケ情報配信方法
KR101132777B1 (ko) 아바타 커뮤니티 공간의 온라인 합주 및 관람 서비스 방법
JP2013192778A (ja) ゲーム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070051539A (ko) 온/오프라인 게임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47435B1 (ko) 온라인 게임 지원 시스템 장치
KR101485904B1 (ko) 라이브 공연과 연동되는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6340A (ko) 게임 유저 소장용 실물 책 제작을 위한 게임기록 수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