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524B1 -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524B1
KR100966524B1 KR1020080096244A KR20080096244A KR100966524B1 KR 100966524 B1 KR100966524 B1 KR 100966524B1 KR 1020080096244 A KR1020080096244 A KR 1020080096244A KR 20080096244 A KR20080096244 A KR 20080096244A KR 100966524 B1 KR100966524 B1 KR 10096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op
platform
unit
sto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845A (ko
Inventor
변윤섭
이강원
배창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5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대한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자동으로 검지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은,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최소 허용 오차 범위의 정차 위치에 설치된 최소진행 검지부와 차량의 전단부가 최대 허용 오차 범위의 정차 위치에 설치된 최대진행 검지부 및 상기 최소진행 검지부 및 최대진행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내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정위치 정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정위치, 정차, PSD, 최소진행 검지부, 최대진행 검지부

Description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Regular stop position detect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대한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자동으로 검지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서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하는 경우, 차량이 진행방향에 대한 정위치에 정차함으로써 당해 차량의 출입 도어와 승강장의 승하차 위치가 최대한 일치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 차량과 승강장의 연단부가 소정 간격 이내로 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차(11)와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객차(12) 등을 포함한 차량(10)이 승강장(20)에 정차하는 경우, 차량(10)의 출입 도어(미도시)가 승강장(20)의 승하차 위치(21)와 최대한 일치하도록 차량(10)이 승강장(20)을 따라 서행하다가 적절한 위치에 정차함은 물론, 차량(10)과 승강장(20)의 연단부가 소정 간격 이내가 되도록 하여, 승객이 차 량(10)의 출입 도어 및 승강장(20)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10)이 승강장(20)의 정위치에 적절히 정차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서, 당해 차량(10)이 정위치에 적절히 정차되지 않은 경우에도 그와 같은 상태에서 승객이 승하차를 하여야 함에 따라, 승객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승하차를 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승객이 승강장(20) 밑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승강장(20) 측과 도로 측을 분리하여 승강장(20) 측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승강장(20)의 연단부에 플랫폼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 30)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20)에 차량(10)이 정차시, 차량(10)의 출입 도어와 플랫폼 스크린 도어(30)의 스크린 도어(31)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좁은 통로를 통해 승객이 승하차 하여야 함에 따라 이상과 같은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광학식, 자기식 및 강제 조향식 등 다양한 제어방식을 이용한 자동주행 차량(10)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동주행 차량(10)의 정차 제어 오류로 인하여, 당해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를 확인하여 다시 적절한 위치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대한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자동으로 검지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은, 차량이 승강장의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함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측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허용 오차 범위 중 최소 정차 위치에 설치된 최소진행 검지부와 상기 승강장 측에 설치되며, 상기 허용 오차 범위 중 최대 정차 위치에 설치된 최대진행 검지부 및 상기 최소진행 검지부 및 최대진행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내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정위치 정차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의 연단부와 차량 사이의 간격을 검지하는 간격 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는, 상기 간격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 승강장의 연단부 사이의 간격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장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하 였는지를 검지하는 후방 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는, 상기 후방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는, 승강장에 설치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스크린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제어부와 연결되어, 판단된 상기 차량의 정위치 정차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도어 제어부에 개폐 인터록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로부터 상기 판단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판단결과를 차량으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은,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시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대한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자동으로 검지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100)은, 각각 승강장(20)의 연단부 측에 설치되어 차량(10)을 검지하는 최소진행 검지부(111), 최대진행 검지부(112), 간격 검지부(113, 114) 및 후방 검지부(115)와, 이들 검지부(111 내지 115)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최소진행 검지부(111)와 최대진행 검지부(112)를 이용해서는 차량(10)이 그 진행방향에 대한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격 검지부(113, 114)를 이용해서는 차량(10)과 승강장(20) 연단부 사이의 간격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하며, 후방 검지부(115)를 이용해서는 차량(10)의 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함으로써 진행방향에 대한 정위치 정차 검지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최소진행 검지부(111)와 최대진행 검지부(112)는 그 진행방향에 대한 차량(10)의 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됨으로써, 그에 따라 당해 차량(10)의 출입 도어(미도시) 역시 승강장(20)의 승하차 위치(21)와 일치하는 지를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혹은 레이저 센서 등 차량(10)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센서가 사용된다.
그리고, 정위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소진행 검지부(111)와 최대진행 검지부(112)는 각각 승강장(20)측에 설 치되되, 최소진행 검지부(111)는 정위치에 정차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소정의 허용 오차 범위(약 15cm, X) 중 최소 정차 위치에 설치되고, 최대진행 검지부(112)는 상기 소정의 허용 오차 범위(X) 중 최대 정차 위치에 설치된다.
즉, 최소진행 검지부(111)는 철도차량(10)이 허용 오차 범위(X) 내의 구간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초입부에 설치되고, 최대진행 검지부(112)는 차량(10)이 허용 오차 범위(X) 내의 구간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는 말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최소진행 검지부(111)와 최대진행 검지부(112)가 모두 차량(10)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차량(10)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X) 내에 정차하지 않았고, 그와 동시에 차량(10)이 허용 오차 범위(X) 내에 도달하지 못한 것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최소진행 검지부(111)가 차량(10)을 감지하고, 최대진행 검지부(112)는 차량(10)을 감지하지못한 경우에는, 차량(10)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X) 내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최소진행 검지부(111)와 최대진행 검지부(112)가 모두 차량(10)을 감지한 경우에는, 차량(10)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X) 내에 정차하지 않았고, 그와 동시에 차량(10)이 허용 오차 범위(X)를 지나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단, 이상에서의 차량(10)의 전단부라 함은, 바이모달트램 지하철 등과 같은 승객 운반용 차량(10)의 경우에는 그 진행방향에 대해 가장 앞에 위치한 제어차(11)의 전단부가 될 것이다.
간격 검지부(113, 114)는 정차된 차량(10)과 승강장(20) 사이의 간격(Y)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혹은 레이저 센서 등 다양한 타입의 거리 센서가 사용된다.
즉, 차량(10)과 승강장(20)은 약 5cm의 간격(Y)을 유지하여 승객의 승하차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승객의 신체 일부가 그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간격 검지부(113, 114)를 이용해 그 간격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이러한 간격 검지부(113, 114)는, 일 예로 도시한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간격 검지부(113) 및 제2 간격 검지부(114)를 포함하여, 제1 간격 검지부(113)는 제어차(11)를 검지하고, 제2 간격 검지부(114)는 객차(12)를 검지할 수 있도록 승강장(20)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차량(10)의 수자와 동일한 수자의 간격 검지부(113, 114)를 구비함으로써, 차량(10)의 각 차량마다 각각의 간격(Y)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각 차량마다 복수개소에서 간격(Y)을 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간격 검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후방 검지부(115)는 차량(10)의 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후방 검지부(115)는 차량(10)의 전체 길이를 알고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차량(10)의 전체 길이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정차시 차량(10)의 후단부가 위치하여야 할 승강장(20)의 후방부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그 승강장(20)의 후방부에 당해 후방 검지부(115)를 설치함으로써, 최소진행 검지부(111) 및 최대진행 검지부(112)를 보조하여 차량(10)의 정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검지부(115)가 차량(10)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차량(10)이 정위치(혹은, 허용 오차 범위(X))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거나, 지나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는, 상기한 최소진행 검지부(111), 최대진행 검지부(112), 간격 검지부(113, 114) 및 후방 검지부(115)로부터 각각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이들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마이콤(MICOM) 등을 구비하여 정해진 로직(logic)에 따라 정위치 정차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최소진행 검지부(111)로부터는 차량(10)을 검지하였다는 신호를 입력받고, 최대진행 검지부(112)로부터는 차량(10)을 검지하지 못하였다는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차량(10)이 허용 오차 범위(X) 내에 정위치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차량(10)이 허용 오차 범위(X) 내에 정위치 정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단순히 정위치 정차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 이외에, 정위치에 정차하지 않은 신호를 발생한 검지부가 어느 것인지를 판단(즉, 정위치에 정차하지 않은 부분은 어느 부분인지 판단)하기도 한다.
특히,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장(20)에 설치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 30)의 스크린 도어(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제어부(32)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린 도어 제어부(32)에 인터록(interlock)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가 최소진행 검지부(111) 및 최대진행 검지부(112)의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한 결과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인터록 신호를 스크린 도어 제어부(32)에 송신함으로써 스크린 도어(31)가 열리지 않도록 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간격 검지부(113, 114)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2인터록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스크린 도어(31)가 열리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후방 검지부(115)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3인터록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스크린 도어(31)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인터록 신호와 제3인터록 신호가 모두 송신된 경우에만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30)의 스크린 도어(31)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등, 제1 내지 제3인터록 신호들을 서로 조합하여 스크린 도어(31)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10)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100)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송신부(130)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신호 송신부(130)는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로부터 입력받은 판단결과를 차량(10)의 제어차(11)에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차(11)는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어느 부분이 정위치에 정차하지 못했는지 역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제어차(11)는 이와 같이 확인된 결과를 이용해 차량(10)의 정차 위치를 수정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최근 그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자동주행 타입의 차량(10)에 특히 유용하게 적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시스템(100)은, 각각 승강장(20)의 연단부 측에 설치되어 차량(10)을 검지하는 최소진행 검지부(111a, 111b), 최대진행 검지부(112a, 112b), 간격 검지부(113, 114) 및 후방 검지부(115a, 115b)와, 이들 검지부(111a 내지 115b)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정위치 정차 판단부(120) 및 신호 송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시스템과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검지부(111a 내지 115b)들 중 간격 검 지부(113, 114)를 제외한 최소진행 검지부(111a, 111b)와, 최대진행 검지부(112a, 112b) 및 후방 검지부(115a, 115b)는 발신부와 수신부가 서로 분리된 분리형이라는 점에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최소진행 검지부(111a, 111b)는 발신 최소진행 검지부(111b)와 수신 최소진행 검지부(111a)로 이루어지고, 최대진행 검지부(112a, 112b)는 발신 최대진행 검지부(112b)와 수신 최대진행 검지부(112a)로 이루어지며, 후방 검지부(115a, 115b)는 발신 후방 검지부(115b)와 수신 후방 검지부(115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신 최소진행 검지부(111b)와 발신 최대진행 검지부(112b) 및 발신 후방 검지부(115b)는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분하는 격벽(40)에 설치되고, 수신 최소진행 검지부(111a)와 수신 최대진행 검지부(112a) 및 수신 후방 검지부(115a)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승강장(20) 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발신 검지부(111b, 112b, 115b)에서 발산된 센싱 신호(즉,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 등)가 수신 검지부(111a, 112a, 115a)에서 수집된 경우는 차량(10)이 검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와 반대로 발신 검지부(111b, 112b, 115b)에서 발산된 센싱 신호가 수신 검지부(111a, 112a, 115a)에서 수집되지 않은 경우는, 센싱 신호가 차량(10)에 의해 간섭받은 것으로서 차량(10)이 검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이를 이용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0)이 정위치에 정차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단, 역사 내에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분하는 격벽(4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는, 바닥면에 별도의 거치대(미도시)를 설치하고, 그 거치대에 발신 검지부(111b, 112b, 115b)를 설치하는 등, 격벽(40)을 대체할 수 있는 그 외 다양한 구조물에 상기 발신 검지부(111b, 112b, 115b)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은, 차량이 승강장의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자동으로 검지하여 승객의 승하차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차량 및 자동주행 방식 차량의 성능 개선을 앞당김은 물론,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설치를 장려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정차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 11: 제어차
12: 객차 20: 승강장
30: 플랫폼 스크린 도어 31: 스크린 도어
32: 스크린 도어 제어부 40: 격벽
111: 최소진행 검지부 112: 최대진행 검지부
113: 제1 간격 검지부 114: 제2 간격 검지부
115: 후방 검지부 120: 정위치 정차 판단부
130: 신호 송신부

Claims (10)

  1.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최소 허용 오차 범위의 정차 위치에 설치된 최소진행 검지부와;
    차량의 전단부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최대 허용 오차 범위의 정차 위치에 설치된 최대진행 검지부와;
    상기 최소진행 검지부 및 최대진행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내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정위치 정차 판단부와;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의 연단부와 차량 사이의 간격을 검지하는 간격 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는, 상기 간격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과 승강장의 연단부 사이의 간격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승강장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검지하는 후방 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는, 상기 후방 검지부로부터 검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후단부가 정위치에 정차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는, 승강장에 설치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의 스크린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제어부와 연결되어, 판단된 상기 차량의 정위치 정차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도어 제어부에 개폐 인터록(interlock)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7.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정차 판단부로부터 판단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판단결과를 차량으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가 정위치 정차 판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진행 검지부와 최대 진행 검지부는 발신부와 수신부가 서로 분리된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검지부는 발신부와 수신부가 서로 분리된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진행 검지부와 최소 진행 검지부는 승강장 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KR1020080096244A 2008-09-30 2008-09-30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KR10096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44A KR100966524B1 (ko) 2008-09-30 2008-09-30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44A KR100966524B1 (ko) 2008-09-30 2008-09-30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45A KR20100036845A (ko) 2010-04-08
KR100966524B1 true KR100966524B1 (ko) 2010-06-29

Family

ID=4221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244A KR100966524B1 (ko) 2008-09-30 2008-09-30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07B1 (ko) * 2012-08-23 2014-02-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바이모달 트램 정거장용 분진 제거장치
KR102230595B1 (ko) 2019-12-13 2021-03-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트램의 충전을 위한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0068A (ko) 2020-11-03 2022-05-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트램의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828B1 (ko) * 2019-09-03 2020-04-06 신판주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751A (ko) * 1994-05-31 1995-12-20 정도영 정위치 정지 검지 장치
KR20060058517A (ko) * 2004-11-25 2006-05-30 서울메트로 전동차 정차 위치 제공 시스템
KR20060066691A (ko) * 2006-05-19 2006-06-16 손동일 열차 정차 유도 장치
KR20080042626A (ko) * 2006-11-10 2008-05-15 (주)넥스트인포메이션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유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751A (ko) * 1994-05-31 1995-12-20 정도영 정위치 정지 검지 장치
KR20060058517A (ko) * 2004-11-25 2006-05-30 서울메트로 전동차 정차 위치 제공 시스템
KR20060066691A (ko) * 2006-05-19 2006-06-16 손동일 열차 정차 유도 장치
KR20080042626A (ko) * 2006-11-10 2008-05-15 (주)넥스트인포메이션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유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07B1 (ko) * 2012-08-23 2014-02-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바이모달 트램 정거장용 분진 제거장치
KR102230595B1 (ko) 2019-12-13 2021-03-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트램의 충전을 위한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0068A (ko) 2020-11-03 2022-05-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트램의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45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2686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AU700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ocking entrance of unmanned dump truck into working area
KR100966524B1 (ko)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JP2007015574A (ja) プラットホーム検知システム
CN108132032A (zh) 一种垂直循环车库的车体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KR102280652B1 (ko) 차량 정위치 정차감지 및 승강장 안전문 연동시스템
JP6542318B2 (ja) ホームドア制御装置及びホームドア制御方法
JP6001128B1 (ja) 列車着発時制御システム、車上装置及び地上装置
JP2017071256A (ja) 車種判別装置、列車定位置停止検知装置及びホームドア制御装置
JP2012245850A (ja) 開扉可否決定装置
KR101172738B1 (ko) 철도차량 출입문과 안전발판의 연계 제어 시스템
KR10068251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궤도차량의 자율 주행시스템 및 그주행방법
US20210139053A1 (en) On-board control apparatus and platform-door control system
KR100637847B1 (ko)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02107B2 (ja) ホームドア制御装置及びホームドア制御方法
KR100475625B1 (ko)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JP2015163505A (ja) 列車編成情報の生成装置
JP2009248830A (ja) 列車乗務員支援システム
KR101489886B1 (ko) 스마트 시그널을 이용한 열차 제어 시스템
JP5946303B2 (ja) 可動式ホームゲート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5236611B2 (ja) 鉄道車両用開閉ドア制御システム
JP7179567B2 (ja) ホームドア制御装置
JP4578288B2 (ja) 過走防止制御装置
TR201802422T4 (tr) Bir mekanik boşluk doldurucunun, yönlendirmeli bir taşıt kapısının ve bir platform ayırıcı kapının birbirine kilitlenmesi için sistem ve usul.
KR101944068B1 (ko) 승강장안전문 이중화 동작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