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828B1 -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828B1
KR102097828B1 KR1020190109086A KR20190109086A KR102097828B1 KR 102097828 B1 KR102097828 B1 KR 102097828B1 KR 1020190109086 A KR1020190109086 A KR 1020190109086A KR 20190109086 A KR20190109086 A KR 20190109086A KR 102097828 B1 KR102097828 B1 KR 10209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in
platform screen
door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판주
송석천
Original Assignee
신판주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판주, 주식회사 선일피앤에스 filed Critical 신판주
Priority to KR102019010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9/045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camer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Abstract

색상분석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공개한다.

Description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Multi-stage platform screen door with two operation mod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screen doors b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entrance door of train cars and discriminating various types of trains using the color of trains}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개폐되는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철도차량이 정차하는 승강장에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를 기능에 맞춰 동작할 수 있도록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의 종류와 정차위치에 따른 출입문 개방 위치를 사전에 감지하고 분석하여 열차 출입문 위치에 맞게 스크린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분석기술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이 운행하는 승강장에 열차 출입문과 연동되어 열리고 닫히는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도록 철도안전법 25조의2(승하차용 출입문 설비의 설치)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도시철도가 운행하는 지하철 승강장에는 좌우 개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지하철, 기차, 전철 등을 위한 승강장의 보행자가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 도어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스크린 도어는 개폐되는 방향에 따라 좌우개폐형, 및 수직개폐형의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있거나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좌우개폐형 스크린 도어는 가동문과 고정문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좌우개폐형 스크린 도어에 관한 특허로서, 스크린 도어 안전장치에 대한 공개특허('10-2013-0030687')가 있다. 그런데 가동문의 개방폭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열차의 종류, 열차의 정차 위치, 열차의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열차 출입문의 승하차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철도차량이 운행하는 승강장의 경우 출입문 위치에 대응할 수 있는 스크린도어가 없어 철도안전법에서도 "여러 종류의 철도차량이 함께 사용하는 승강장 등 국교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승강장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예외를 두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차의 길이, 열차의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열차의 출입문에 대응 가능한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차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개방 방향을 정하여 개방함으로써 최대의 개방폭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시스템은 열차 출입문이 어느 위치에서 개방되어도 두 가지 동작모드로 개방되면서 승객이 승하차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열차 출입문에 맞춰 두 가지 동작모드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종류, 정차위치 등의 정보를 스크린도어 제어시스템에 정확히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좌우 스크린도어와 철도차량이 서로 인터페이스 하는(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으로는 ATO 또는 RF통신 방식, 출입문 검지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승강장의 경우 모든 열차가 ATO 시스템으로 운행되지 않으며, 스크린도어와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추가로 설치하는 RF통신 장치는 장비의 제작비용 및 장착 시간에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ATO 및 스크린도어 인터페이스 RF통신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차량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열차 출입문 위치와 스크린도어 가동문의 개방구간을 동일한 위치에서 연동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열차의 종류 구별, 정차위치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열차 출입문 위치에 정확하게 분석하여 열차 출입문 위치를 스크린도어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고, 열차 출입문 위치에 맞게 스크린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감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다양한 철도차량이 운행하는 간선형 승강장을 예를 들 수 있다. 간선철도 열차 종류로는 KTX-Ⅰ, KTX-Ⅱ, ITX 새마을호, 누리호, 및 무궁호가 있으며, 동일노선에 운행하는 5가지 차종은 열차의 길이, 편성당/량 구성, 출입문 개수 및 위치 등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열차와 출입문 위치를 찾는 방법은, 열차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 대기 중인 승객의 행동을 기초로 분석하여 비교할 수 있다. 열차를 탑승하기 위하여 승강장에 대기 중인 승객은 가장 먼저 ① 승강장 행선지 안내표시기를 보고 본인이 탑승해야 하는 열차의 종류, 시간, 정차 홈을 파악하게 된다. 그 다음 ②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색상을 보고 차종을 구분하여 본인이 탑승해야 하는 열차인지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열차가 정차하게 되면 다음 행동으로 ③ 열차의 출입문 개방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승차하게 된다.
위와 같이 승객이 육안으로 열차의 종류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탑승하는 방법과 같이 스크린도어 감지 시스템에서도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의 색상을 감지하여 열차의 차종을 구별하고, 다음으로 정차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 정차 위치에 따라 사전에 시뮬레이션으로 계산된 열차 배열에 따른 출입문 위치를 스크린도어 가동문을 두 가지 동작모드로 동일한 위치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개방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철도차량은 열차마다 색상과 디자인을 다르게 하여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여 승객이 혼선없이 열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운행 환경에서 열차의 종류에 따라 색상과 디자인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있다. 전체적인 색상 차이도 있지만 열차마다의 고유 색상이 있으며, 열차 측창문부 색상, 상단 모서리 색상(Cant Rail), 하단색상으로 3개소로 구분하여 분석하게 되면 색상 중복이 없이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KTX-I의 객차의 상단 및 창문부는 파란색이며, 하단부는 옅은 회색이다. KTX-II의 객차의 상단은 흰색과 파란색으로 조합되어 있으며, 창문부는 파란색이고, 하단부는 흰색이다. ITX 새마을호의 객차의 상단부는 붉은색이고, 창문부는 검은색이며, 하단부는 짙은 회색이다. 누리로의 객차의 상단부는 하늘색이고, 창문부 및 하단부는 흰색이다. 무궁화호의 객차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흰색이며, 창문부는 붉은색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열차의 동력차의 색조합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의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총 3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이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은 플랫폼 상의 제1플랫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2)은 플랫폼 상의 제2플랫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3)은 플랫폼 상의 제3플랫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랫폼 지점, 상기 제2플랫폼 지점, 및 상기 제3플랫폼 지점은 열차의 선두부로부터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한 지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플랫폼 지점은 정차한 열차의 동력차 및 상기 동력차에 직접 연결된 제1객차의 연결부를 촬영할 수 있는 지점이고, 상기 제2플랫폼 지점은 정차한 열차의 제2객차 및 제3객차의 연결부를 촬영할 수 있는 지점이고, 그리고 상기 제3플랫폼 지점은 정차한 열차의 제4객차 및 제5객차의 연결부를 촬영할 수 있는 지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제1플랫폼 지점, 상기 제2플랫폼 지점, 및 상기 제3플랫폼 지점의 구체적인 위치들에 의해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각 세트마다, 색상분석 카메라들은 총 3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3개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촬영하는 3개의 서로 다른 수직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총 3개 세트(81, 82, 83)에 대하여 색상분석 카메라들의 총 개수는 9개가 될 수 있다(3개의 플랫폼 지점 * 3개의 수직위치).
도 4에서는 색상분석 카메라들이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총 3개 세트가 배치된 예를 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개의 서로 다른 수직위치에 분산되어 설치된 색상분석 카메라 세트가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1개 세트만 설치되거나, 2개 세트가 설치되거나, 또는 4개 이상의 세트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의 일지점에 설치된 한 세트의 카메라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열차의 색상을 분석할 수 있는 3개의 색상분석 카메라들로 구성되는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을 3개의 서로 다른 수직위치들(P1, P2, P3)에 나누어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열차의 측면 색상을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색상분석 카메라들은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만일,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이 동력차의 색상을 분석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수직위치(P1)는 열차 동력차의 창문보다 위쪽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 제2수직위치(P2)는 열차 동력차의 창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 제3수직위치(P3)는 열차 동력차의 창문보다 아래쪽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동력차의 외부는 단일 색상으로 되어 있지 않으며 소정의 색상 패턴을 갖는다.
지금까지, 플랫폼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색상분석 카메라 세트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 3개의 카메라들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단 한 개의 카메라만으로도 상기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 3개의 카메라가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 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는 1개의 카메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초광각 카메라를 이용하여 열차 차량의 상단부, 중간부분, 및 하단부를 모두 신뢰성 있게 분석할 수 있다면 상기 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는 1개의 초광각 카메라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차의 동력차는 복잡한 색상패턴을 갖고 있지만, 이에 비하여 객차는 그 색상이 열차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도색되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력차의 색상을 분석하는 것보다는, 객차의 색상을 분석하는 것이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차가 정위치 정차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첫 번째 객차(제1객차)가 정차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2)은 열차의 전두부를 기점으로 제2객차 내지 제3객차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3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3)은 제4객차 내지 제5객차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플랫폼에 진입하는 열차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각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 82, 83)이 배치되는 위치가 정차한 열차의 미리 결정된 특정 호수의 객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상 분석법은 외부 환경(햇빛, 눈, 비)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햇빛이나 눈, 비가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라 바라보는 방향을 아래 방향으로 설치하고,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의 외부에는 갓을 씌워 색상분석 카메라 렌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두 번째 검토사항으로 열차에 눈(snow)이 붙어 열차의 색상을 인식하지 못하는 우려가 있다. 하지만 눈은 열차의 전면에는 쌓일 수 있지만 측면에는 눈이 붙지 않기 때문에 열차의 고유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는 색상이 번질 수 있지만 RGB 칼라는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2도어(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상술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구조를 포함하는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상술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구조를 포함하는 제2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에 인접한 선로에 열차가 존재할 때에, 상기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와는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 따라 파악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가 제공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동작모드와 상기 제2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의 차종 및 상기 열차의 정차위치를 수집하여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각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열차 출입문에 적합한 개방 방향 정보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통합 제어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의 정차위치는 상기 선로 또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에 설치된 정차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된 것이며, 상기 열차의 차종은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와 상기 제2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서로 인접해 있거나, 또는 다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는, 제1 색상분석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는 정차위치 감지센서(77) 또는 정차위치 거리센서(88)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것이며, 그리고 상기 열차의 차종은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촬영한 차량의 측창문부의 색상, 상기 촬영한 차량의 상단 모서리의 색상, 및 상기 촬영한 차량의 하단부 색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색상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보다 상기 열차의 후미부 쪽에 더 가깝게 설치된 제2 색상분석 카메라; 및 상기 제2 색상분석 카메라보다 상기 열차의 후미부 쪽에 더 가깝게 설치된 제3 색상분석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 상기 제2 색상분석 카메라, 및 상기 제3 색상분석 카메라 중 적어도 2개의 색상분석 카메라가 공통으로 출력한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는,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가 선로 상의 미리 결정된 기준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 각각의 외측부의 색상 및 상기 열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지되거나 변화되는 상기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①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②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2도어(62)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에 인접한 선로에 열차가 존재할 때에,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 중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고,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 중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와는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 DCU 제어반(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차한 상기 열차의 선로 상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열차의 차종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합 제어반(6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반은 상기 열차의 선로 상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열차의 차종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 각각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DCU 제어반은 상기 통합 제어반으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동작모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제어반은, 상기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선로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해야 하는 기준점인 상기 열차에 대한 정위치 정차점이며,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들은, 상기 열차의 동력차 및 상기 동력차에 직접 연결된 제1객차이거나, 또는 상기 열차의 제1객차 및 상기 제1객차에 직접 연결된 제2객차이고, 그리고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 각각의 외측부의 색상 및 상기 열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지되거나 변화되는 상기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제1 색상분석 카메라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이용하여 선로 상에 정차한 열차의 출입문들의 상기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가,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상기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결정된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차위치 감지센서(77) 또는 정차위치 거리센서(88)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는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①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②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길이, 열차의 출입문의 위치, 및 출입문의 개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열차의 출입문에 대응 가능한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개방 방향을 정하여 개방함으로써 최대의 개방폭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 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 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와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상대위치에 따른 도어 개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열차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의 일지점에 설치된 한 세트의 카메라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의 출입문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의 출입문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b는 도 1a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동작모드에서의 스크린도어의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00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한 쌍의 모터(100, 200), 도어들(1~4), 제1회전부재들(211, 221, 231, 241), 제2회전부재들(212, 222, 232, 242), 제1연결부재(10), 제2연결부재(20), 제3연결부재(30), 및 제4연결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000)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 간에 배치된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도어들(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통칭하여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들 및 상기 제2회전부재들은 예컨대, 롤러, 스프라켓, 또는 체인 휠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제3연결부재, 및 제4연결부재는 예컨대 벨트, 로프 및 체인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들, 상기 제2회전부재들, 상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제3연결부재, 및 제4연결부재는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라면 어느 것으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그 부품의 구체적인 명칭 및 형상의 변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상기 스크린도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예컨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510, 520)의 각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한 쌍의 모터(100, 200)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제공된 레일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제1동작모드에서, 도어들(2, 3, 4)의 이동거리폭은 각각 DL1, DL2, 및 DL3일 수 있다. 즉, 제1동작모드에서 제1도어(1)는 이동하지 않고, 제2도어(2), 제3도어(3), 및 제4도어(4)가 예컨대, 1:2:3의 비율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1도어(1)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도어들 간의 이동거리의 비율의 값은 상술한 값으로 완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모터(1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2모터(200)의 축은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제1모터(100)의 구동에 의해 도어들(2, 3, 4)이 이동할 때에, 제2모터(200)의 회전축이 고정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2모터(200) 때문에 도어들(2, 3, 4)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는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모터(100)는 제4도어(4)와 연결되어 있고, 제2모터(200)는 제1도어(1)와 연결되어 있다. 제1모터(100)가 회전을 하면 제4도어(4)를 이동시키 되고, 이어서 제3도어(3) 그리고 제2도어(2)가 차례로 이동한다. 만일 제2모터(200)가 자유회전상태로 되면 제1도어(1)가 외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제2모터(200)의 회전축이 고정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모터(100)가 구동될 때에, 제2모터(200)의 회전축의 상태는 제1모터(10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도어들(2, 3, 4)이 도어(1)과 나란히 위치할 수 있도록 정지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위와 달리 모터(200)가 구동되는 제2동작모드에서, 도어들(1, 2, 3)의 이동거리폭은 각각 DR1, DR2, 및 DR3일 수 있다. 즉, 제2동작모드에서 도어(4)는 이동하지 않고,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가 예컨대, 3:2:1의 비율로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4도어(4)와 겹쳐질 수 있다. 이때, 모터(2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모터(100)의 축은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모터(200)가 회전하게 되면 제1도어(1)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제2도어(2), 제3도어(3) 순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4도어(4)는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제1모터(100)가 회전할 때는 제4도어(4)가 움직이고, 제2모터(200)는 제1도어(1)와 함께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 제2모터(200)가 회전할 때는 제1도어(1)가 움직이게 되고, 제1모터(100)는 제4도어(4)와 함께 고정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와 달리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000)가 2개의 도어들, 또는 3개의 도어들, 또는 5개 이상의 도어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1000)가, 상술한 한 쌍의 모터(100, 200), 도어들(1~4), 제1회전부재들(211, 221, 231, 241), 제2회전부재들(212, 222, 232, 242), 제1연결부재(10), 제2연결부재(20), 제3연결부재(30), 및 제4연결부재(40)들에 의해서만 구동되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며, 이와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 도어의 개수 및 상기 도어들을 구동하는 구동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와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상대위치에 따른 도어 개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 도어들이 모두 좌측으로 개방되는 제1동작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 도어들이 모두 우측으로 개방되는 제2동작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에서 도시한 열차의 차종과 도 2의 (c)에서 도시한 열차의 차종은 서로 다르다.
도 2의 (b)에서 제1영역(1-1)에 배치된 제1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이 자신들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1-2)에 배치된 제2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이 자신들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영역(1-3)에 배치된 제3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이 전혀 개방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c)에서 제1영역(1-1)에 배치된 제1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들이 자신들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1-2)에 배치된 제2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들이 자신들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영역(1-3)에 배치된 제3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들이 자신들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수직 프레임에 밀착하여 서로 겹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에, 제1영역(1-1)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110, 111)은 좌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우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영역(1-2)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110, 112)은 좌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우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1)의 도어들(62~64)은 좌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3영역(1-3)에 배치된 제3세트의 4개의 도어들(61~64)이 존재하는 위치에는 열차의 출입문이 전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에, 제1영역(1-1)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110, 113)은 제1영역(1-1)의 우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좌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영역(1-2)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110, 114)은 제2영역(1-2)의 우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좌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3영역(1-3)에 대응하는 열차의 출입문(110, 115)은 좌측 수직 프레임보다는 우측 수직 프레임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열차의 출입문(110, 113) 및 출입문(110, 114)에 대응하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1)의 도어들(61~63)은 우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열차의 출입문(110, 115)에 대응하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1)의 도어들(62~64)은 좌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하, 도 1a, 도 1b, 및 도 2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6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도어(64)를 상기 제1도어(61)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61)와 상기 제4도어(6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64)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61)를 상기 제4도어(64)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61)와 상기 제4도어(6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2도어(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61), 상기 제2도어(62), 및 상기 제4도어(64)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6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62) 및 상기 제4도어(64)를 상기 제1도어(61)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61), 상기 제2도어(62), 및 상기 제4도어(6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64)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61) 및 상기 제2도어(62)를 상기 제4도어(64)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61), 상기 제2도어(62), 및 상기 제4도어(6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1)는 도시되지 않은 MCU(Motor Control Unit) 및 DCU(Door Control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U 및 DCU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용어이자 컨셉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열차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의 일지점에 설치된 한 세트의 카메라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열차 출입문 위치의 획득방법-실시예 1>
이하, 도 1a, 도 3,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는,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1) 내지 제N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3),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 통합 제어반(종합 제어반)(630), DCU 제어반(640),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 정차위치 거리센서(88), 및 정차위치 감지센서(77)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는 플랫폼에 진입하는 열차의 색상을 수집하여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로 전송할 수 있다.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첫 번째 단계에서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들의 출력신호 분석하여 플랫폼 옆에 정차하는 열차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두 번째 단계에서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행선안내기표시기(500)에 전달되는 열차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세 번째 단계에서 상기 첫 번째 단계에서 결정한 열차의 종류와 상기 두 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열차의 종류가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열차의 종류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한 열차의 종류가 상기 획득한 열차의 종류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열차의 종류를 최종적으로 확정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열차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통합제어반(630)에 전송할 수 있다.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정차위치에 맞춰 정차하는 열차의 거리변화가 없을 때 까지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차위치 거리센서는 정차위치를 기준하여 열차가 정지하는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정차위치 거리센서(88)로부터 상기 열차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에 설치될 수 있다.
정차위치 감지센서(77)는 열차와 열차 사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감지 변화가 없는 상태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차위치 감지센서(77)는 차량 간의 틈을 감지하여 정위치 정차 오차범위를 측정하여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 제공할 수 있다. 정차위치 감지센서(77)는 열차가 정지한 상태에서의 연속된 두 개의 차량 간의 틈의 위치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간 틈의 위치는 플랫폼의 길이방향 상에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는 정차위치 거리센서(88)로부터 수신한 정차 상태의 열차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및 정차위치 감지센서(77)로부터 수신한 상기 연속된 두 개의 차량 간 틈의 위치를 종합하여 통합제어반(630)에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제어반(630)은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에서 열차의 종류를 확정하여 전송된 정보와 동일한 열차 제원(열차의 구성, 열차의 길이, 출입문 위치를 알 수 있는 도면 등)에 관련된 알고리즘을 준비할 수 있다. 통합제어반(630)은 상기 준비된 알고리즘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로부터 제공된 정차 관련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즉, 통합제어반(630)에서 열차의 정차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자신과 정차한 열차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열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열차의 동력차의 선단부가 위치해야 하는 지점은 열차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정차위치 거리센서(88)가 정차한 열차의 종류를 알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상기 정차한 열차가, 상기 정차한 열차가 정차해야 하는 정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결정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정차한 열차가 정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서 정차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게 제공할 수는 없으며, 단지 정차위치 거리센서(88)와 정차한 열차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로부터 정차한 열차의 종류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정차한 열차가 정차해야만 하는 정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상기 정차한 열차가 상기 정차한 열차가 정차해야 하는 정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서 정차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상기 정위치에 관한 정보 및 정차위치 거리센서(88)와 정차한 열차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정차한 열차가 정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서 정차했는지에 관한 정보 및/또는 정차위치 거리센서(88)와 정차한 열차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제어반(630)은 상기 결정된 열차의 정차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플랫폼 스크린도어(1)들 각각을 좌측으로 개방할지 또는 우측으로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반(630)은 상기 제1동작모드를 실행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실행할 것인지 결정하여 각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를 담당하는 각각의 DCU 제어반(640, 641, 642, 643)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동작모드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고, 상기 제2동작모드는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열차가 정차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하였을 경우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1)는 좌측개방,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02)는 우측개방, 제3플랫폼 스크린도어(103)는 우측개방이 되어야 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열차가 정차위치에서 미달되거나 초과되었을 경우에는 개방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DCU 제어반(640)은 통합 제어반(630)으로부터 전송된 열차 출입문에 적합한 개방방향 정보에 대한 제어신호에 따라 플랫폼 스크린도어(1)들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DCU 제어반(640)은 제1DCU제어반(641), 제2DCU제어반(642), 및 제3DCU제어반(6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반(641)은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1)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제어반(642)은 제2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2)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3제어반(643)은 제3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3)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 (1, 101) 내지 제N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3)는 각각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 (1, 101) 내지 제N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3)는 각각 제2도어(62) 및 제3도어(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1도어(6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4도어(64)를 제1도어(61) 쪽으로 이동시켜, 제1도어(61)와 제4도어(6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4도어(64)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1도어(61)를 제4도어(64) 쪽으로 이동시켜, 제1도어(61)와 제4도어(64)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통합 제어반(630)은,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에 인접한 선로에 열차가 존재할 때에,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1)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고, 그리고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 102)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와는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열차 출입문 위치의 획득방법-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개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는, N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1),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 통합 제어반(630), DCU 제어반(640), 색상분석 카메라(8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는, 정차위치 거리센서(88), 및 정차위치 감지센서(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차위치 감지센서(77)는, 열차 내에서 연속된 2개의 차량 간의 틈이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결정하여 열차가 정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정차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차위치 감지센서(77)로서, 기존 기술에서 스크린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열차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되면 상기 출입문이 개방된 폭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공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존 기술에서 이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센서는 출입문 개방여부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간 틈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차위치 거리센서(88)는 이미지 센서로서, 정차한 열차의 선두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열차의 정차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는 열차의 정차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정차위치 감지센서(77) 및 정차위치 거리센서(88)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를 이용하거나 또는 색상분석 카메라들(81, 82, 83)이 출력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차종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상기 열차의 차종을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 또는 행선안내표시부기(5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열차번호, 열차종류, 열차시간을 수신하거나, 열차운행관제서버(700)가 행성안내표시기(500)에게 제공하는 열차번호, 열차종류, 열차시간을 가로챌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는, 색상분석 카메라들(81, 82, 83)이 출력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플랫폼 옆에 정차한 열차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통합 제어반(630)은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가 제공한, 최종 결정된 열차의 종류에 대한 정보와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가 제공한 상기 열차의 정차위치에 관한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스크린도어(1)의 동작모드를 결정하여 DCU 제어반(640)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는 각 플랫폼 스크린 도어별로 독립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일부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열리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하고, 다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리는 동제2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통합 제어반(630)은, 상기 열차의 정차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열차의 종류를 기초로, 진입한 열차의 각 객차의 출입문의 플랫폼 상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 제어반(630)은, 플랫폼에 진입 가능한 열차들의 제원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DCU 제어반(640)은 통합 제어반(630)이 제공한 제어정보에 따라 플랫폼 스크린도어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1, 101)와 상기 제2플랫폼 스크린 도어(1,102)는 서로 인접해 있거나, 또는 다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열차 출입문 위치의 획득방법-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의 출입문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S1)에서, 열차운행관제서버(700)에서 행선안내표시기(500)에게 제공하는, 역사 승강장에 진입 예정인 열차의 정보(열차 번호, 열차 종류, 열차 시간)를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가 획득할 수 있다. 즉, 열차운행관제서버(700)에서 역사 승강장에 진입 예정인 열차의 정보를 행선안내표시기(500)에 제공하며, 행선안내표시기(500)에는 열차번호, 열차 종류, 열차 시간이 제공될 수 있다.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는 상기 제공된 정보를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가 상기 행선안내표시기(500)에 제공하는 상기 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그 다음,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는 상기 정보를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600)에서 인지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사용한다.
단계(S2)에서, 제3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3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3)은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가장 먼지 감지하고, 제2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2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2)은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그 다음에 감지하고, 제1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은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를 가장 나중에 감지한다. 제1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을 이용하여 열차의 색상을 감지하고 분석하며, 제2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2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2)을 이용하여 열차의 색상을 감지하고 분석하며, 그리고 제3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3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3)을 이용하여 열차의 색상을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다.
열차의 각 차량에 도색한 색상은 시간이 지나고 햇빛 또는 외부 영향으로 탈색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각 차량마다 색상에 편차가 발생되면 색상분석 카메라가 인식하는 칼라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오류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상분석 카메라 세트를 복수 개 설치하고, 복수의 색상분석 카메라 세트가 분석한 색상값을 평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3개 세트의 상기 색상분석 카메라들(81, 82, 83)이 출력한 색상들 간에는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 제2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2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2), 그리고 제3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3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3)의 순서대로 더 높은 신뢰도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제1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1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을 이용하여 분석한 정보가 제2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2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2), 또는 제3플랫폼 위치에 배치된 제3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3)을 이용하여 분석한 정보보다 신뢰성이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위 3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 82, 83)에서 색상이 동일하게 분석되었다면, 높은 신뢰성으로 차량의 색깔을 판별할 수 있다.
위 3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81, 82, 83) 중 2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이 동일한 색상을 감지한 경우, 상기 2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이 제공한 정보가,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2개 세트의 색상분석 카메라들이 제공한 정보를 유효한 결과물인 것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에서, 열차가 정차한 위치가 정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감지한다. 승강장에 열차 정위치 정차점이 정해져 있지만 정위치 정차점을 기준하여 초과된 거리와 미달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방법에 따르면,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 및 정차위치 감지센서(77)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열차가 정차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열차의 정차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첫 번째 실시예로서, 정차위치 거리센서(88)가 정차한 열차의 동력차의 가장 앞 부분의 선로상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열차가 상기 정위치 정차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차의 가장 앞 부분의 형상은 그 부분의 선로 상 위치를 특정하기 적절하지 않은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장 앞 부분이 둥근 반구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둥근 반구의 전단부의 선로 상 위치가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아 상기 전단부의 선로 상 위치의 판단값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열차의 정차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두 번째 실시예로서, 정차위치 감지센서(77)를 이용하여 열차의 정차 관련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열차의 동력차의 가장 앞 부분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 보다는, 상술한 것과 같이 열차 내에서 연속된 두 개의 차량(car) 간의 연결부위의 위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열차의 정차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세 번째 실시예로서, 예컨대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가 충분히 넓은 각을 촬영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인 경우, 동력차 1량의 연장길이 이상의 수평길이 또는 객차 1량의 연장길이 이상의 수평길이를 포함하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에는 동력차 및 이에 연결된 제1객차의 사이 부분의 이미지 성분이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1객차 및 상기 제1객차에 연결된 제2객차의 사이 부분의 이미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동력차, 상기 제1객차, 및 상기 제2객차의 외측면이 붉은색 페인트로 칠해진 경우, 상기 동력차와 상기 제1객차 사이 부분의 이미지는 상기 붉은색과 구분되는 색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객차와 상기 제2객차 사이 부분의 이미지는 상기 붉은색과 구분되는 색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차와 상기 제1객차 사이 부분의 위치 또는 상기 제1객차와 상기 제2객차 사이 부분의 위치를 상기 화상 내에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화상에 포함된 수많은 픽셀들 각각은 상기 열차의 정위치 정차점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연관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상을 출력하는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의 실제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화상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상기 촬영된 열차 이미지의 선로 상의 위치가 상기 열차의 정위치 정차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미리 파악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차와 상기 제1객차 사이 부분을 나타내는 픽셀을 특정함으로써, 정차한 상기 열차가 정위치 정차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가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들로부터 열차의 정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S4)에서, 감지된 열차의 종류와 정차 위치를 기초로 열차 차량 출입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열차 정차가 완료되면 사전에 실시한 시뮬레이션(열차의 구성, 길이, 출입문 위치 등)으로 열차의 출입문 위치가 결정되고 그 결정된 결과에 따라 스크린도어가 두 가지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개방되면서 열차 출입문 위치와 스크린도어의 개방공간의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차의 출입문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가, 열차운행관제서버(700)에서 행선안내표시기(500)로 전송하는 열차의 종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색상분석카메라(81, 82, 83)가, 진입하는 열차의 색상을 수집하여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가 색상분석 카메라(81, 82, 83)에서 전송된 색상을 분석하여 열차의 종류를 구분하고 행선안내표시기(500)로 전송 받은 열차의 종류와 동일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4)에서,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가, 전송된 열차의 종류 정보를 통합 제어반(6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5)에서, 통합 제어반(630)이 열차의 종류 획득부(610)에서 열차의 종류를 확정하여 전송된 정보와 동일한 열차 제원(열차의 구성, 열차의 길이, 출입문 위치를 알 수 있는 도면 등) 알고리즘을 준비할 수 있다.
단계(S16)에서, 정차위치 거리센서(88)가, 정차위치에 맞춰 정차하는 열차의 거리변화가 없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 상기 측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7)에서, 정차위치 감지센서(77)가, 열차와 열차 사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감지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의 정보를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8)에서,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가, 정차위치 거리센서(88)가 제공한 정차 위치에서 열차까지의 거리, 및 정차위치 감지센서(77)가 제공한 감지 범위를 종합할 수 있다.
단계(S19)에서, 열차 정차위치 결정부(620)가 상기 종합된 정보를 통합 제어반(63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통합 제어반(630)이 상기 준비된 알고리즘과 상기 제공된 정차 관련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정차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였을 경우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1)는 좌측으로 개방되고,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02)는 우측으로 개방되며, 제3플랫폼 스크린도어(103)는 우측으로 개방되어야 하는 한다면, 열차가 정차위치에서 미달되거나 초과되어 정지하였을 경우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방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단계(S21)에서, 통합 제어반(630)이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1),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02), 제3플랫폼 스크린도어(103)의 열차 출입문에 적합한 개방 방향 정보를 DCU 제어반(641, 642, 643)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 DCU 제어반(641, 642, 643)이, 열차 출입문에 적합한 개방방향 정보에 따라 제1플랫폼 스크린도어(101),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102), 제3플랫폼 스크린도어(103)를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5)

  1. 제1 색상분석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는,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가 선로 상의 미리 결정된 기준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기초로 결정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차종은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결정된 것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촬영한 차량의 측창문부의 색상, 상기 촬영한 차량의 상단 모서리의 색상, 및 상기 촬영한 차량의 하단부 색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색상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보다 상기 열차의 후미부 쪽에 더 가깝게 설치된 제2 색상분석 카메라; 및
    상기 제2 색상분석 카메라보다 상기 열차의 후미부 쪽에 더 가깝게 설치된 제3 색상분석 카메라;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 상기 제2 색상분석 카메라, 및 상기 제3 색상분석 카메라 중 적어도 2개의 색상분석 카메라가 공통으로 출력한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 각각의 외측부의 색상 및 상기 열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지되거나 변화되는 상기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①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②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2도어(62)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가 플랫폼의 연장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상기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에 대하여, 상기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 상기 제2도어, 및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에 인접한 선로에 열차가 존재할 때에,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 중 제1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고,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 중 제2플랫폼 스크린도어를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와는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 DCU 제어반(640)을 더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선로 상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열차의 차종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통합 제어반(6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반은 상기 열차의 선로 상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열차의 차종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 각각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DCU 제어반은 상기 통합 제어반으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동작모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반은, 상기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선로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해야 하는 기준점인 상기 열차에 대한 정위치 정차점이며,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들은, 상기 열차의 동력차 및 상기 동력차에 직접 연결된 제1객차이거나, 또는 상기 열차의 제1객차 및 상기 제1객차에 직접 연결된 제2객차이고, 그리고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 각각의 외측부의 색상 및 상기 열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지되거나 변화되는 상기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
  13. 제1 색상분석 카메라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를 이용하여 선로 상에 정차한 열차의 출입문들의 상기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가,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상기 열차의 색상 패턴을 기초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로 상에서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 및 상기 결정된 열차의 차종을 기초로, 정차한 상기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열차가 정차한 정차위치는,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2개의 연속된 차량들 간의 연결부의 위치가 선로 상의 미리 결정된 기준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기초로 결정되는,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차의 운행을 통제하는 열차운행관제서버(700)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상기 제1 색상분석 카메라가 출력한 화상 내에서 검출되는 열차의 색상 패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차종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 장치는 복수 개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제1도어(61), 및 제4도어(64)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는, ① 제1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도어를 상기 제1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② 제2동작모드에서, 닫혀 있는 상기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4도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4도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4도어를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출입문들의 선로 상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
KR1020190109086A 2019-09-03 2019-09-03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KR10209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86A KR102097828B1 (ko) 2019-09-03 2019-09-03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86A KR102097828B1 (ko) 2019-09-03 2019-09-03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28B1 true KR102097828B1 (ko) 2020-04-06

Family

ID=7028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086A KR102097828B1 (ko) 2019-09-03 2019-09-03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8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076A (ja) * 2005-04-07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柵装置
JP3926673B2 (ja) * 2002-05-15 2007-06-06 富士通株式会社 車種識別装置
KR20080042626A (ko) * 2006-11-10 2008-05-15 (주)넥스트인포메이션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유도시스템
KR20100036845A (ko) * 2008-09-30 2010-04-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KR20150140520A (ko) * 2014-06-06 2015-12-16 한국교통연구원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6673B2 (ja) * 2002-05-15 2007-06-06 富士通株式会社 車種識別装置
JP2006290076A (ja) * 2005-04-07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柵装置
KR20080042626A (ko) * 2006-11-10 2008-05-15 (주)넥스트인포메이션 차량간 연결부위 감지를 이용한 열차 정위치 정차유도시스템
KR20100036845A (ko) * 2008-09-30 2010-04-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KR20150140520A (ko) * 2014-06-06 2015-12-16 한국교통연구원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개폐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2514B2 (en)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s
CA2273230C (en) Mass transportation passenger guidance system
CN108382304B (zh) 基于lte通信的地铁站台门工作监测装置的运行方法
CN104049281B (zh) 曲线地铁站台屏蔽门与列车间异物自动检测装置及方法
CN109584318B (zh) 一种用于检测并标记外墙体墙砖牢固程度的方法及装置
JP4971874B2 (ja) 位置検出装置
JP2002501856A (ja) 順応性のあるプラットフォームドアシステム
EP3371969B1 (en) Rail vehicle provided with an internally mounted video camera with external field of vision
CN209259461U (zh) 乘客输送机
EP293316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platform screen door
CN114407935A (zh) 站台屏蔽门系统及站台屏蔽门联动控制系统
KR102097828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및 다양한 열차를 색상으로 구분하고 출입문 위치를 예측하여 스크린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방법
JP5506537B2 (ja) 走行体に備えられた車側灯の検出方法、及びこの検出方法を用いて可動柵に備えられたドアの開閉を行う可動柵制御装置。
NL1028854C2 (nl) Railvoertuig en werkwijze voor gebruik daarvan.
EP3650390A1 (en) Conveyance system video analytics
JP6934799B2 (ja) 戸袋移動型ホーム柵システム
RU2009059C1 (ru) Ограждение пассажи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CN112071070B (zh) 一种智能交通路口控制机
CN113108218A (zh) 移动式车辆底盘查验装置、系统及方法
KR100897405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개폐 시스템
CN211554351U (zh) 一种屏蔽门与车门间空隙异物检测系统
CN215173849U (zh) 移动式车辆底盘查验装置及系统
CN110155116A (zh) 安装箱及轨边检测装置
CN211086646U (zh) 地铁屏蔽门异物检测装置
JP6934798B2 (ja) 車両扉位置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