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587B1 -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587B1
KR100961587B1 KR1020087000463A KR20087000463A KR100961587B1 KR 100961587 B1 KR100961587 B1 KR 100961587B1 KR 1020087000463 A KR1020087000463 A KR 1020087000463A KR 20087000463 A KR20087000463 A KR 20087000463A KR 100961587 B1 KR100961587 B1 KR 10096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nitrogen
gas
clf
synthes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944A (ko
Inventor
이사무 모리
다쯔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8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 C01B21/083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containing one or more halogen atoms
    • C01B21/0832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8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 C01B21/083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containing one or more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8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 C01B21/083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containing one or more halogen atoms
    • C01B21/0832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halogens
    • C01B21/0835Nitrogen trifluoride

Abstract

식 NFxL3 -x(L은 F 이외의 할로겐, 1≤x≤3)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NH4F·nHF, (NH4)yMFz·mHF, 및 이들의 혼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고, 또한 액상인 암모늄 착화합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 또는 인터할로겐화합물과 F2 가스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a)를 포함하는 것이다. 단, 1<n, 1≤y≤4, 2≤z≤8, 0.1≤m, M은 원소주기율표의 1족에서 16족의 원소 및 이들 원소의 혼합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방법{Process for synthesis of halogenated nitrogen}
본 발명은 CVD 장치 등의 반도체 제조장치의 내부 세정에 유용한 NF3나 저급 노르말알킬 수은화합물로부터 디플루오로아미노알칸 합성의 원료로서 유용한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할로겐화 질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A. V. PANKRATOV 등에 의해 NH4Cl과 F2로부터 NF2Cl, NFCl2이 생성되는 것 등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인터할로겐을 사용한 NF2Cl, NF3의 합성에 관해서는 고체상의 NH4F와 N2 등으로 35% 이하로 희석한 ClF3를 -40℃부터 실온에서 반응시키는 방법(특허문헌 1), 고체상의 NH4F 또는 고체상의 NH4HF2를 플루오로카본오일에 분산시켜서 50~75℃의 온도범위에서 ClF3와 반응시키는 방법(특허문헌 2) 등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고체-기체반응으로서, 반응의 제어나 연속적인 합성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방법은 플루오로카본오일이 국부적인 반응열의 발생에 의해 ClF3와 반응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제조한 NF2Cl 중에 카본오일 미스트나 증기가 혼입되어 순도저하를 초 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HNF2와 ClF3의 반응으로부터 NF2Cl이, ClF5와 HNF2의 반응으로부터 NF3가 생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는 HNF2 자체의 합성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NFCl, NF2Br, NFBr2 등의 할로겐화 질소화합물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비특허문헌 5).
또한 할로겐화 질소의 하나인 NF3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액상의 산성 플루오르화 암모늄이나 암모늄 착화합물의 HF 부가물에 가스상의 F2를 불어넣는 방법(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b) 산성 플루오르화 암모늄의 HF 용액의 전기분해에 의한 방법(특허문헌 5), (c) 기체상 NH3와 기체상 F2를 반응시키는 방법(특허문헌 6), (d) N2과 F2의 혼합기체의 글로우 방전에 의한 방법(특허문헌 7), (e) FN3와 NOF 또는 ClF3의 기상(氣相) 반응에 의한 방법(특허문헌 8), (f) 고체의 (NH4)3AlF6와 F2의 반응에 의한 방법(특허문헌 9)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a)의 방법은 기체의 F2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에너지의 동력으로 액교반을 행할 필요가 있어, 반응기의 구조가 기계적으로 복잡해지는 것이나 다대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응열의 발생이 크고, 장치의 대형화가 곤란한 것, 더 나아가서는 합성 가능한 온도범위가 좁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b)의 전기분해법은 다대한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이나, Ni 전극이 녹아나와 슬러지가 발생하는 것이나, H2와 NF3가 혼합함으로써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c)의 방법은 폭발의 위험성이 수반되고, (d)의 방법은 수율이 낮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또한, (e), (f)의 방법은 FN3나 (NH4)3AlF6 자체의 합성이 필요하여 번잡하고 곤란하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3084025호 명세서
특허문헌 2 : 미국특허 제3314770호 명세서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공고 소55-8926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허공개 평9-221307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국 특허공고 소47-16418호 공보
특허문헌 6 : 일본국 특허공개 평02-255513호 공보
특허문헌 7 : 미국특허 제3304248호 명세서
특허문헌 8 : 미국특허 제4001380호 명세서
특허문헌 9 : 일본국 특허공개 소60-71503호 공보
비특허문헌 1 : 도크라도위·아카제미·나우크·에스에스에스엘, 182권, 1호(1968)
비특허문헌 2 : Pilipovich, Donald, Schack, Carl J., Inorganic Chem., 7(2), 386-7, (1968)
비특허문헌 3 : EXTON, D. B., Williams S. A., et al., J. Phys. Chem., 1993
비특허문헌 4 : Edward W. L. and Ivan C. S., Inorganic High-Energy Oxidizer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86(1968)
비특허문헌 5 : Edward W. L. and Ivan C. S., Inorganic High-Energy Oxidizer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89(1968)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간편하게 공업적인 할로겐화 질소화합물의 합성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한 결과, 산성 플루오르화 암모늄(NH4F·nHF, 1<n), 산성 플루오로암모늄 착체((NH4)yMFz·mHF, 1≤y≤4, 2≤z≤8, 0.1≤m) 및 이들의 혼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고, 또한 액체상태인 암모늄 착화합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 또는 상기 인터할로겐화합물과 F2의 혼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수율 좋게 할로겐화 질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 NFxL3 -x(L은 F 이외의 할로겐, 1≤x≤3)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NH4F·nHF, (NH4)yMFz·mHF, 및 이들의 혼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고, 또한 액상인 암모늄 착화합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 또는 인터할로겐화합물과 F2 가스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a)를 포함하는 것이다. 단, 1<n, 1≤y≤4, 2≤z≤8, 0.1≤m, M은 원소주기율표의 1족에서 16족의 원소 및 이들 원소의 혼합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의 용융염 또는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용액에 인터할로겐화합물을 반응시키면, 인터할로겐화합물은 거의 100% 이용되어 할로겐화 질소(NFxL3 -x)(L=할로겐)가 생성된다. 또한, 생성된 할로겐화 질소가스를 F2 또는 HF와 반응시킴으로써 NF3와 인터할로겐화합물이 생성된다. 또한 생성된 인터할로겐화합물을 추가로 상기 반응공정에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료로서 액체상의 산성 플루오르화 암모늄(NH4F·nHF)이 사용된다. n은 1<n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0≤n≤20이다. 또한, 또 하나의 원료인 산성 플루오로암모늄 착체((NH4)yMFz·mHF)가 사용된다. 단, y, z, m은 1≤y≤4, 2≤z≤8, 0.1≤m 범위의 수이다. M은 원소주기율표의 1족에서 16족의 원소 및 이들 원소의 혼합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01351776-pct00001
Figure 112008001351776-pct00002
본 발명의 합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의 용융염 또는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용액의 휘발성을 억제하기 위해, 알칼리금속 플루오르화물이나 알칼리토류금속 플루오르화물을 첨가해도 된다. 추가로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NH3 또는 NH3와 HF의 혼합가스 또는 혼합액, 또는 NH4F를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반응과 함께 반응기에 도입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터할로겐화합물이란, ClF5, ClF3, ClF, BrF5, BrF3, BrF, IF7, IF5, IF3, IF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ClF3, BrF5, BrF3, IF7, IF5, IF3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의 용융염 또는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용액의 휘발성을 억제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플루오르화물로서는 LiF, NaF, KF, RbF, CsF, FrF2 등을 들 수 있고, 알칼리토류금속 플루오르화물로서는 BeF2, MgF2, CaF2, SrF2, BaF2, RaF2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LiF, NaF, KF, RbF, CsF, MgF2, CaF2, BaF2가 바람직하다.
반응의 방법으로서는, 반응기에 미리 넣은 암모늄염, 또는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용융염 또는 HF 용액에, 인터할로겐화합물을 가스상 또는 액상으로 반응기에 공급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인터할로겐화합물 용액의 HF 용액 중에 상기 암모늄염, 또는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의 용융염 또는 HF 용액을 적하하는 방법이나 이들의 고체 그 자체를 투입하는 방법도 선택할 수 있다.
이 방법의 큰 이점으로서, 반응온도 범위가 넓은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성 플루오르화 암모늄 용융염과 F2의 반응에서는, 120℃부터 200℃ 이하의 비교적 좁은 온도에서만 할로겐화 질소(삼플루오르화 질소)의 합성이 가능하지만, 해당 발명의 방법으로는 이하에 기술하는 넓은 범위에서의 합성이 가능해진다.
반응온도의 하한은 액상의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에 인터할로겐화합물을 도입하는 경우는,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 및 인터할로겐화합물의 융점 중 높은 쪽 이상의 온도면 된다. 액상의 인터할로겐화합물 또는 그의 HF 용액에 고체 또는 액체의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을 투입하는 경우는, 인터할로겐화합물 또는 암모늄염의 HF 용액이 고화되지 않는 온도 이상이면 된다. 반응온도의 상한은 250℃ 이하가 바람직하다. 250℃를 초과하면 장치재료의 부식성이 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이 반응온도의 범위인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 200℃ 이하가 좋다.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HF 부가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의 반응으로 합성을 행하는 경우는 20℃ 이상 250℃ 이하의 온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200℃ 이하가 좋다. 온도가 낮으면 반응이 거의 진행되지 않고, 온도가 높으면 N2의 생성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반응시키는 압력은 암모늄염, 플루오로암모늄 착체염의 증기압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또한, 인터할로겐화합물 중 플루오르 이외의 할로겐은 대부분이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할로겐화 질소로서 생성된다. 이 때문에,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F2와 반응시킴으로써 플루오르를 포함하는 인터할로겐화합물로 재생할 수 있어, 합성원료로서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NH4F·nHF, (NH4)yMFz·mHF의 재생은 NH4F·nHF, (NH4)yMFz·mH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모늄 착화합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을 반응시키면서, NH3를 도입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H4)3AlF6와 ClF3의 반응으로 NF2Cl이나 NF3를 생성한 용액 중에는 NH4AlF4가 분산된 HF 용액이 남는다. 이 중에 NH3를 불어넣음으로써 (NH4)3AlF6가 재생된다. 또한, 재생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HF도 동시에 유입시켜도 되고, 미리 합성한 NH4F나 NH4F·nHF를 도입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CVD 장치 등의 반도체 제조장치의 내부 세정에 유용한 클리닝 가스인 NF3나 저급 노르말알킬 수은화합물로부터 디플루오로아미노알칸 합성의 원료로서 유용한 할로겐화 질소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가 가능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3
액상의 (NH4)3AlF6·6HF를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100% F2를 버블링시켰다. 배출된 가스를 냉각 트랩(0℃)에 통과시킨 후, FT-IR, UV,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바 미량의 NF3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대부분은 미반응의 F2였다(표 1). 또한, 표 1 중의 농도는 HF를 제외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용융염이 휘발에 의한 HF 농도 증가와 가스 흐름에 의한 반송으로 물질수지를 취할 수 없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3AlF6·6HF : 162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3 ㎝ 액침(液浸)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반응온도 : 60℃, 100℃, 120℃
Figure 112008001351776-pct00003
비교예 4~6
액상의 NH4F·2.5HF를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100% F2를 버블링시켰다. 배출된 가스를 냉각 트랩(0℃)을 통과시킨 후, FT-IR, UV,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바 미량의 NF3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대부분은 미반응의 F2였다(표 2). 또한, 표 2 중의 농도는 HF를 제외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용융염의 휘발에 의한 HF 농도 증가와 가스 흐름에 의한 반송 및 NH3를 액층에 추가 충전하지 않고 합성을 행한 경우에는 휘발되는 HF 농도가 경시적으로 변화하여 물질수지를 취할 수 없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F·2.5HF : 120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3 ㎝ 액침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반응온도 : 60℃, 100℃, 120℃
Figure 112008001351776-pct00004
실시예 1~6
액상의 (NH4)3AlF6·6HF를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100% ClF3를 버블링시켰다. 배출된 가스를 FT-IR, UV,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표 3). 그 결과, ClF3는 0℃에서도 85%의 반응을 하고 있어 NF2Cl, NF3 등의 할로겐화 질소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3 중의 농도는 HF를 제외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용융염이 휘발에 의한 HF 농도 증가와 가스 흐름에 의한 반송으로 물질수지를 취할 수 없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HF와 표 3 중의 물질 이외에 HCl, Cl2가 생성된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3AlF6·6HF : 162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3 ㎝ 액침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반응온도 : 0℃, 20℃, 60℃, 100℃, 120℃, 150℃
Figure 112008001351776-pct00005
실시예 7~13
액상의 NH4F·2.5HF를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100% ClF3를 버블링시켰다. 배출된 가스를 FT-IR, UV,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표 4). 그 결과, NF2Cl, NFCl2, NF3 등의 할로겐화 질소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4 중의 농도는 HF를 제외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용융염이 휘발에 의한 HF 농도 증가와 가스 흐름에 의한 반송으로 물질수지를 취할 수 없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HF와 표 4 중의 물질 이외에 HCl, Cl2가 생성된다. 또한 Ar을 희석가스로 사용하여 20%로 ClF3를 희석한 경우도 거의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F·2.5HF : 120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3 ㎝ 액침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반응온도 : -15℃, 0℃, 20℃, 60℃, 100℃, 120℃, 150℃
Figure 112008001351776-pct00006
실시예 14
액상의 NH4F·2.5HF를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넣고, 온도 100℃로 가온하여, 교반하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1% ClF3(He 희석가스)를 버블링시켰다. 배출된 가스를 FT-IR, UV,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NF3가 85%의 수율(ClF3 베이스)로 얻어졌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F·2.5HF : 120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3 ㎝ 액침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실시예 15
실시예 3과 동일한 실험으로 얻어진 가스를 NaF관을 유통시켜서 HF를 100 ppm 이하로 저하시킨 후, 100℃로 가열한 스테인리스관(1/2 인치 ø×500 ㎜L)에 F2를 100 SCCM 혼합하면서 FT-IR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NF2Cl이 소실되어 NF3와 ClF3가 얻어졌다. 또한 가열온도를 300℃로 올려도 NF3와 ClF3가 얻어졌다. 더욱 가열한 가스를 냉매로 -78℃로 냉각한 트랩을 통과시킨 바, 트랩 중에 ClF3가 얻어지고 NF3는 트랩을 통과시킬 수 있었다. 또한 포집된 ClF3는 다시 합성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에서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ClF3의 HF 용액 300 CC(혼합비율 ClF3:HF=1:10)를 넣고, 교반하면서 0℃에서 액상의 NH4F·10HF를 적하한 바, NF3, NF2Cl이 1:2의 비율로 얻어졌다. 또한, N2의 생성률은 전체의 30%였다. 또한, ClF3로 바꾸어 BrF5, BrF3, IF7, IF5, IF3를 사용해도 거의 동등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7
실시예 14에서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NH4F·2HF 용액(300 CC)을 넣고, 교반하면서 60℃에서 ClF3와 F2를 20 SCCM과 10 SCCM 혼합하여 불어넣은 바, NF2Cl이 거의 얻어지지 않고 NF3가 얻어졌다. 또한, 이때의 N2의 생성률은 전체의 5%였다.
실시예 18
액상의 NH4F·2.5HF를 스테인리스강제 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NF3로 희석한 10% ClF3를 버블링시키는 동시에, ClF3를 버블링시킨 관과 다른 관으로부터 10%로 희석한 NH3를 버블링시켰다. 배출된 가스를 FT-IR, UV,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NF3와 Cl2가 얻어졌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F·2.5HF : 120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3 ㎝ 액침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반응온도 : 125℃
ClF3 유량 : 12 SCCM
NH3 유량 : 4 SCCM
실시예 19
액상의 NH4F·2.5HF에 ClF3를 하기 조건에서 불어넣고, 반응기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FT-IR과 UV로 분석한 바 NF2Cl, NFCl2, HF, ClF, Cl2가 혼합된 가스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가스를 100℃로 가열한 Ni관 중에 F2(100 SCCM)와 함께 도입하고, Ni관으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분석한 바 NF2Cl, NFCl2가 소실되고 NF3가 생성되어 있었다. 또한, 산성 플루오르화 암모늄을 (NH4)3AlF6·6HF로 바꿔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조건] 스테인리스강제 용기 : ø 55 ㎜×H220 ㎜, 500 ㎖
NH4F·2.5HF : 240 g
가스를 불어넣는 입구로부터 6 ㎝ 액침
반응기내 압력 : 93.3 kPa
반응온도 : 40℃(실온에서 가스도입을 개시하고, 자열(自熱)로 40℃까지 온도상승하여 안정)
ClF3 유량 : 50 SCCM

Claims (7)

  1. 식 NFxL3-x(L은 F 이외의 할로겐, 1≤x≤3)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NH4F·nHF, (NH4)yMFz·mHF, 및 이들의 혼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고, 또한 액상인 암모늄 착화합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a)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단, 1<n, 1≤y≤4, 2≤z≤8, 0.1≤m,
    M은 원소주기율표의 1족에서 16족의 원소 및 이들 원소의 혼합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나타낸다.
  2. 식 NFxL3-x(L은 F 이외의 할로겐, 1≤x≤3)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NH4F·nHF, (NH4)yMFz·mHF, 및 이들의 혼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고, 또한 액상인 암모늄 착화합물과, 인터할로겐화합물과 F2 가스의 혼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a)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단, 1<n, 1≤y≤4, 2≤z≤8, 0.1≤m,
    M은 원소주기율표의 1족에서 16족의 원소 및 이들 원소의 혼합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정(a)의 생성물과 F2 또는 HF를 반응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공정(a)의 상기 생성물이 2종류 이상의 할로겐을 함유하는 할로겐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종류 이상의 할로겐이 플루오르와, 플루오르 이외의 하나 이상의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정(a)의 생성물과, NH3, NH3와 HF, 또는 NH4F인 반응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암모늄 착화합물을 재생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공정(a)를 행하면서, 공정(a)의 반응계에 상기 반응물을 도입함으로써 상기 암모늄 착화합물을 재생시키는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화 질소를 합성하는 방법.
KR1020087000463A 2005-07-06 2006-06-16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방법 KR100961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7436 2005-07-06
JP2005197436 2005-07-06
JP2005229584 2005-08-08
JPJP-P-2005-00229584 2005-08-08
JPJP-P-2006-00113720 2006-04-17
JP2006113720 2006-04-17
JPJP-P-2006-00153015 2006-06-01
JP2006153015A JP5034322B2 (ja) 2005-07-06 2006-06-01 ハロゲン化窒素の合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944A KR20080016944A (ko) 2008-02-22
KR100961587B1 true KR100961587B1 (ko) 2010-06-04

Family

ID=3760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463A KR100961587B1 (ko) 2005-07-06 2006-06-16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68083A1 (ko)
EP (1) EP1900683A1 (ko)
JP (1) JP5034322B2 (ko)
KR (1) KR100961587B1 (ko)
CN (1) CN101193819A (ko)
WO (1) WO2007004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201B2 (ja) * 2007-12-27 2014-02-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フッ素化気体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0138029A (ja) * 2008-12-11 2010-06-24 Central Glass Co Ltd Nf3又は塩化フッ素化合物の製造方法
CN109592719B (zh) * 2018-11-27 2021-03-19 东华大学 一种氟钴化铵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503A (ja) 1983-09-27 1985-04-23 Central Glass Co Ltd Νf↓3の製造法
JP2000044212A (ja) 1998-05-22 2000-02-15 Central Glass Co Ltd 三フッ化窒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4025A (en) * 1960-05-27 1963-04-02 Pennsalt Chemicals Corp Process for preparing chlorodi-fluoromaine
US4001380A (en) * 1961-05-16 1977-01-04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anufacture of nitrogen trifluoride
US3314770A (en) * 1963-06-14 1967-04-18 Pennsalt Chemicals Corp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hlorodifluoroamine
US3304248A (en) * 1963-07-24 1967-02-14 Stauffer Chemical C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itrogen fluorides
US4091081A (en) * 1977-04-19 1978-05-2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eparation of nitrogen trifluoride
JPH02255513A (ja) * 1989-03-28 1990-10-16 Asahi Glass Co Ltd 三フッ化窒素の製造方法
US5637285A (en) * 1996-01-30 1997-06-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nitrogen trifluoride synthesis
JPH11189405A (ja) * 1997-12-25 1999-07-13 Mitsui Chem Inc 三弗化窒素の製造方法
US20040096386A1 (en) * 2002-11-19 2004-05-20 Syvret Robert George Method for nitrogen trifluoride pro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503A (ja) 1983-09-27 1985-04-23 Central Glass Co Ltd Νf↓3の製造法
JP2000044212A (ja) 1998-05-22 2000-02-15 Central Glass Co Ltd 三フッ化窒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4409A1 (ja) 2007-01-11
KR20080016944A (ko) 2008-02-22
US20090068083A1 (en) 2009-03-12
CN101193819A (zh) 2008-06-04
JP5034322B2 (ja) 2012-09-26
JP2007308357A (ja) 2007-11-29
EP1900683A1 (en)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1856C2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смеси, содержаще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гидрофторалкан и фтористый водоро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идрофторалкана и азе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8722005B1 (en) Synthesis of hydrogen bis(fluorosulfonyl)imide
US7102039B2 (en) Production and use of octafluoropropane
KR101004976B1 (ko) 퍼플루오로 알칸 술폰 산 칼륨과 그 제조 방법
JP3727797B2 (ja) 三フッ化窒素の製造方法
KR100961587B1 (ko) 할로겐화 질소의 합성방법
KR20080061364A (ko) 불화 카르보닐의 제조 방법
JPH05508635A (ja) ハロオレフィンのフッ素化
JP2007119458A (ja) ペルフルオロアルカンスルホン酸カリウムとその製造方法
JP4539793B2 (ja) オクタフルオロプロパ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0867582B1 (ko) 삼플루오르화 질소의 제조방법
JP2000159505A (ja) フッ素化ハロゲン化合物の製造方法
US20030017098A1 (en) Process for producing nitrogen trifluoride and use thereof
RU222174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рифторида азота и продукты на основе трифторида азота
JPH08231473A (ja) アミンヒドロフルオライド錯体の処理方法
US3084025A (en) Process for preparing chlorodi-fluoromaine
KR100591101B1 (ko) 삼플루오르화질소의 제조 방법
JP2003267712A (ja) 二フッ化カルボニルの製造方法
US5302360A (en) Method of working up antimony halide catalyst solutions
JP2007119294A (ja) 三フッ化窒素の製造方法
JPH01282123A (ja) ガリウム含有化合物から塩化ガリウムを取得する方法及び装置
GB1605469A (en) Improvements in the production of fluoro-nitrogen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