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490B1 -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490B1
KR100959490B1 KR1020080055500A KR20080055500A KR100959490B1 KR 100959490 B1 KR100959490 B1 KR 100959490B1 KR 1020080055500 A KR1020080055500 A KR 1020080055500A KR 20080055500 A KR20080055500 A KR 20080055500A KR 100959490 B1 KR100959490 B1 KR 10095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vehicle
holding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673A (ko
Inventor
이선정
타카유키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주) 미창케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창케이블 filed Critical (주) 미창케이블
Publication of KR2009004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로프 부재가 코일 스프링 부재에 물려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를 제공한다.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내부에는 편평 벨트형의 유지 로프 부재(24)가 설치된다. 이 유지 로프 부재(24)에는 대략 동일 길이의 2개의 띠 형상의 유지 로프(24a, 24a)의 각 양 단부(24b, 24b)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중복된 상태에서 실(26, 26)로 봉합됨으로써, 양단부의 접힘부에 보강부로서의 개폐체측 접힘 루프부(24c) 및 차체측 접힘 루프부(24d)가 각각 형성된다. 유지 로프 부재(2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병설 배치되는 2개의 유지로프(24a, 24a) 사이의 일부에 접합 고정부(25)가 설치된다.
개폐부 유지 기구, 유지 로프 부재, 코일 스프링 부재, 접합 고정부, 코일부

Description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MAINTAINING DEVICE OF TAIL GATE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 테일 해치 등의 차량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체 등의 회전 각도를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력을 보조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222173호에 기재된 종래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가 사용되는 픽업 트럭 등의 차량(1)의 후방부(2)에는 짐받이(3)가 설치된다.
이 짐받이(3)의 후단부에는, 하부 모서리부(5a) 양 단부 모서리에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 힌지축(4,4)을 회전 중심으로, 차량 후방을 향하여 상부 모서리부(5b)를 회전시킴으로써, 게이트를 개방시키는 테일 게이트 부재(5)가 피봇 고정된다.
테일 게이트 부재(5)에는 좌우측모서리부(5c, 5c)와, 상기 짐받이(3)의 측면 부재(3a, 3a)의 내측에 고착되는 후방부 스토퍼 부재(3b,3b)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게이트 밸런스 장치(7,7)가 설치된다.
게이트 밸런스 장치(7)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의 외통부재(7b)와, 이 외통 부재(7b)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인출되는 중공 원통형의 내통 부재(7c)를 갖고, 양 단부가 대략 폐색된 실린더형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외통 부재(7b) 및 내통 부재(7c)의 내부에는 상기 좌우측모서리부(5c, 5c) 및 후방부 스토퍼 부재(3a, 3a)에 고착되는 양 단부축부(7a, 7a) 사이에 걸쳐 위치하고 신축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의 개폐 동작에 필요한 힘을 보조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8)가 수용된다. 그리고, 이 코일 스프링 부재(8)의 내측에는 개방된 테일 게이트 부재(5)의 내측면(5d)이 상기 짐받이(3)의 상면부(3c)와 대략 같은 높이가 되는 수평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벨트형의 유지 로프 부재(9)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의 작용 효과를 상술한다.
종래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는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밸런스 장치(7, 7)의 내통부재(7c)가 상기 외통 부재(7b)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신장된다.
도16에 도시된 유지 로프 부재(9)도 신장되어 소정량 끝까지 연장됨으로써,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의 최대 개방량이 제한되고, 상 기 짐받이(3)의 상면부(3c)와 개방된 테일 게이트 부재(5)의 내측면 (5d)이 대략 같은 높이가 되는 수평 상태에서 정지된다.
상기 유지 로프 부재(9)는 루프형으로 걸려 있으므로, 길이 방향의 수직 단면에서는 2개의 유지 로프(9a, 9a)가 되어 상기 유지 로프 부재(9)의 파단 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를 회전시켜 폐색하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8)가 수축됨과 동시에, 양 단부축부(7a, 7a) 사이의 치수의 단축에 대응하여 대략 평행하게 걸쳐져 있던 2개의 상기 유지 로프(9a, 9a)가 개별적으로 휘게 되어, 상기 양 단부축부(7a, 7a) 사이에서 굴곡 변형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는,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가 폐색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8)가 수축되면, 상기 유지 로프(9a)가 급한 각도로 굴곡 변형되어 코일 스프링 부재(8)의 인접하는 코일 사이의 간극에 인입하여 물려 들어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 부재에 유지 로프 부재가 수축되는 중에 코일 스프링 부재(8)의 사이로 물려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 모서리에 차체측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체에 개폐체측 지지부가 설치되며; 양단부를 각각 차체측 지지부 및 개폐체측 지지부에 걸려 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가 신장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상기 개폐체의 최대 개방량을 제한하는 유지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차체측 지지부 및 개폐체측 지지부에서 접히는 접힘부를 형성하고, 한 쌍의 상기 유지 로프가 병설된 루프 형태가 되도록 고정된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 상기 유지 로프 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병설되는 한 쌍의 상기 유지 로프 사이를 부착시키는 접합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지 로프 부재의 루프형으로 병설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유지 로프 사이가 상기 접합 고정부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체가 폐색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가 수축되는 동시에 상기 유지 로프가 2개 동시에 근접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휘면서 상기 차체측 지지부 및 개폐체측 지지부 사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지 로프 부재는 1개의 유지 로프에 비하여 휨 강성이 대략 두배로 늘어나므로 완만한 곡률로 사행(蛇行)된다.
따라서, 상기 유지 로프가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에 개별적으로 물려 인입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가 적용되는 차량으로서의 픽업 트럭(11)의 후방부(12)에는 짐받이(3)가 설치된다.
이 짐받이(3)의 후단부에는 하부 모서리부(5a)의 양 단부 모서리에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 힌지축(4, 4)을 회전 중심으로, 상부 모서리부(5b)를 차량 후방을 향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개구부로서의 게이트를 개방시키는 개폐체로서의 테일 게이트 부재(5)가 피봇 장착된다.
이 테일 게이트 부재(5)에는 좌우측모서리부(5c, 5c)와, 상기 짐받이(3)의 측면 부재(3a, 3a)의 내측에 고착되는 후방부 스토퍼 부재(3b, 3b)의 사이를 연결하는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 게이트 밸런스 장치(20, 20)가 1대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 밸런스 장치(20)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의 외통 부재(22)와, 이 외통 부재(22)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인출되는 중공 원통형의 내통 부재(23)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 형태의 하우징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외통 부재(22)의 차체측 단부에는 차체측 담부 캡부(22a)가 끼워져 부착된다.
또한, 상기 차체의 후방부(12)에 위치하는 좌우 측면부(3a, 3a)의 내측면에 고정된 후방부 스토퍼 부재(3b, 3b)에는 각각 차체측 지지축 고정 브래킷(14, 14)이 각각 볼트 부재(14a, 14a)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 부재(22)의 차체측 단부 캡부(22a)는 차체측 지지축 고정부 브래킷(14)에 설치된 차체측 지지부로서 차체측 지지축(16)에 피봇 고정됨으로써, 차체의 짐받이(3)의 후방부(12)에 개방 형성된 개구부 주위 모서리(12a)의 하부 모서리측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된다.
또한,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의 좌우측모서리부(5c, 5c)에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T자형의 게이트측 지지축 고정 브래킷(15, 15)이 각각 볼트 부재(15a, 15a)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 내통 부재(23)의 게이트측 엣지(23a, 23a)가, 이 게이트측 지 지축 고정 브래킷(15, 15)에 설치된 개폐체 지지부로서의 개폐체측 지지축(17, 17)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가 상기 회전 힌지축(4)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개구부 주위 모서리(12a)를 개방/폐색할 때, 상기 내통 부재(23)가 게이트 밸런스 장치(20)의 외통 부재(22)로부터 슬라이드 미끄럼 이동에 의해 삽입되거나 인출되고, 상기 자체측 지지축(16)과 개폐체측 지지축(17) 사이의 축간 거리의 변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된다.
또한, 이 게이트 밸런스 장치(20)의 내부에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탄성 신축 가능한 코일 스프링 부재(21)가 설치된다.
이 코일 스프링 부재(21)는 신축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의 개폐 동작에 필요해지는 힘을 보조하는 나선 스프링형의 코일부(21a)와, 이 코일부(21a)의 게이트측 단부에 연속 설치되고, 직선 로드형을 이룸으로써 신축 불가능한 로프 도피 영역부(21b)를 구비한다.
이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로프 도피 영역부(21b)의 게이트측 단부에는 갈고리형의 후크(21c)가 굴곡 형성되고, 이 후크(21c)가 상기 개폐체측 지지축(17)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이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의 차체측 단부에는 갈고리형의 후크(21d)가 굴곡 형성되는 동시에, 이 후크(21d)가 상기 차체축 지지축(16)에 걸림 부착된다.
도1에 도시된 대로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후크(21c, 21d) 사이의 치수를 차체측 지지축(16)과 개폐체측 지지축(17) 사이의 치수(L2)가 되도록 상기 코일부(21a)를 신장시킴으로써, 수축 방향으로 압박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이 테일 게이트 부재(5)를 폐쇄할 때에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양 후크(21c, 21d) 사이의 치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21a)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의 폐색 시의 차체측 지지축(16) 및 개폐체측 지지축(17) 사이 치수(L1)로 된다.
또한, 이 코일 스프링 부재(21)에서는 수축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부(21a)의 길이 방향 치수(L3)가, 상기 로프 도피 영역부(21b)의 길이 방향 치수(L4)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이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내부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주위에 걸쳐 일정한 폭 치수(W1)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편평 벨트 형상의 유지 로프 부재(2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유지 로프 부재(24)의 폭 방향 치수(W1)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의 내경 치수(d2)에 근접하도록 유지 로프(24a)의 폭 방향의 양측모서리와, 코일부(21a)의 내측면과의 간격이 각각 약 1mm 정도로 억제되도록 근접 설정된다.
유지 로프 부재(24)에는 대략 동일한 길이의 2개의 띠형태의 유지 로프(24a, 24a)의 각 양 단부(24b, 24b)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중복된 상태에서 실(26, 26)로 봉합되어 부착됨으로써, 양 단부의 접힘부에 보강부로서의 개폐체측 접힘 루프 부(24c) 및 차체측 접힘 루프부(24d)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개폐체측 접힘 루프부(24c) 및 차체측 접힘 루프부(24d)는 각각 상기 게이트측 지지축 고정 브래킷(15)의 개폐체측 지지축(17) 및 상기 차체측 지지축 고정 브래킷(14)의 차체측 지지축(16)과의 각 외주면에 권취되어 접힘으로써 상기 2개의 유지 로프(24a, 24a)가 나란히 설치되고, 유지 로프 부재(24) 전체가 루프형을 이루면서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1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21)가 신장되는 최대 길이는 도4의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5)가 대략 수평 상태가 되고 동시에 그 내측면(5d)이 짐받이(3)의 상면부(3c)와 대략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서 개폐체측 지지축(17)과 상기 차체측 지지축(16) 사이의 치수(L2)에 적합하게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유지 로프 부재(24)가 소정량 끝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5)의 최대 개방량이 되도록 미리 설정함으로써, 개방된 테일 게이트 부재(5)의 내측면(5d)과 짐받이(3)의 상면부(3c)가 대략 같은 높이가 되는 수평 상태로 정지되고, 동시에 다른 코일부(21a)가 신장 방향으로의 변형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는 한 쌍의 유지 로프(24a, 24a) 사이의 일부에 접합 고정부(25)가 설치된다. 이 때, 접합 고정부(25)는 유지 로프 부재(2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따라서, 측면에서 보면 대략 '8'자 형태를 이룬다.
이 접합 고정부(25)는 대략 전체의 폭(W1)에 걸쳐서 실(27…)로 봉합되어 고 정되고, 각 유지 로프(24a, 24a)의 양측모서리부가 일치하게 중복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부재(21)가 신장된 상태에서 코일부(21a)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가 끝까지 연장되면, 접합 고정부(25)의 면의 내, 외측 방향 중심이 직경 방향(d)에서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에서는 픽업 트럭(11)의 짐받이(3)의 후방부(12)에 개방 형성된 개구부 주위 모서리(12a) 중, 하측 모서리를 따라 설치된 상기 회전 힌지축(4)을 회전 중심으로, 도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가 상부 모서리부(5b)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거나 폐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의 신장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대략 중심 위치에서 대략 루프형으로 절첩되고, 나란히 배열되는 2개의 유지 로프(24a, 24a) 사이가 접합 고정부(25)의 실(27…)로 봉합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도1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테일 게이트 부재(5)가 폐색되면,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가 수축되는 동시에, 상기 유지 로프(24a, 24a)가 2개 동시에 근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교대로 휘게 되고, 동시에 차체측 지지축(16) 및 개폐체측 지지축(17) 사이의 치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는, 예를 들어 도16에 도시된 1개씩의 유지 로프(9a)의 휨 강성에 비하여, 2개의 유지 로프(24a, 24a)가 중첩된 유지 로프 부재(24)는 대략 2배의 휨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유지 로프(9a)가 개별적으로 휘는 경우에 비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로프(24a)는 완만한 곡률로 사행되고,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의 인접하는 코일 사이에 상기 유지 로프(24a)가 물려 들어가는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 부재(5)에 의하여 짐받이(3)의 후방부(12)의 폐색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의 접합 고정부(25)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방향(d)에 대하여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는 코일부(21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하방에서 대략 균등하게 이격되므로, 인접하는 코일 사이에 유지 로프(24a)가 물려 인입될 우려를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 부재(21)에는 상기 코일부(21a)와, 코일부(21a)에 직선 형태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로프 도피 영역부(21b)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1의 2점 쇄선으로 표시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도피 영역부(21b)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는 사행되도록 휘어도 상 기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에 인입되어 물려 들어갈 가능성이 근본적으로 차단되므로, 차체측 지지축(16)과 개폐체측 지지축(17) 사이의 치수 단축 영역을 이 부분에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지 로프 부재(24)의 폭 방향 치수(W1)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의 내경 치수(d2)에 근접하도록, 유지 로프(24a)의 폭 방향의 각 양측모서리와 코일부(21a)의 내측면과의 간격이 각각 약 1mm 정도로 제한되도록 설정된다.
이로 인하여, 코일부(21a)의 내측면 상하 방향에서는, 또한 폭 방향 치수가 내경 치수(d2)보다도 작아지므로, 유지 로프(24a)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유지 로프(24a)의 폭 방향 치수(W1)가 코일부(21a)의 내경 치수(d2)에 근접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서 코일부(21a) 내측에 존재하는 유지 로프 부재(24)의 사행(蛇行)은 로프 도피 영역부(21b)에 상당하는 부분의 사행에 비하여 보다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상기 유지 로프(24a)가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에 물려 들어갈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지 로프 부재(24)의 유지 로프(24a, 24a)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 고정부(25)가 실(27…)에 의한 봉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지 로프 부재(24)에는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접힘부인 개 폐체측 접힘 루프부(124c) 및 차체측 접힘 루프부(124d)가 실(26, 26)로 유사하게 봉합되어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고정이나 접속을 위한 별도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의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별도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들 부품을 배치할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용이한 레이아웃을 행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지 로프 부재(24)에서는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접힘부인 상기 개폐체측 접힘 루프부(24c) 및 차체측 접힘 루프부(24d)가 각 유지 로프 부재(24a, 24a)의 단부(24b, 24b)를 중합하여 구성되므로, 접힘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단부(24b, 24b)를 중합한 부분의 면은 내, 외측 방향으로 실(26…)로 봉합되므로, 유지 로프 부재(24)의 걸침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단부(24b, 24b) 사이의 면의 연장 설치 방향으로 스러스트되는 힘으로서 작용하더라도 유효하게 견딜 수 있고, 접착재 등에 의한 접합보다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124)를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전술한 최선의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124)는 주로 1개의 유지 로 프(124a)로 구성되는 유지 로프 부재(124)가 루프 형태가 되도록, 일단부측의 접힘부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124b, 124b)는 내측면에 부착되는 별도의 피스로 구성된 보강편(126)과 함께 실(26…)로 봉합된다.
보강편(126)이 봉합된 일단부의 접힘부는 개폐체측 지지부로서의 개폐체측 지지축(17)이나 차체측 지지부로서의 차체측 지지축(16) 중 어느 한쪽에 걸리는 동시에, 개폐체측 지지축(17)이나 차체측 지지축(16)의 근방 위치에서 면의 내, 외측 방향의 유지 로프(124a, 124a)가 중합되어 실(26…)로 봉합된 접합 고정부(125)가 구성된다.
또한, 유지 로프 부재(124)의 타단부의 접힘부에는 내측면에 보강편(127)이 봉합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측 지지부로서의 개폐체측 지지축(17) 또는 차체측 지지부로서의 차체측 지지축(16) 중 다른 쪽에 걸리고, 이와 함께, 개폐체측 지지축(15) 또는 차체측 지지축(16)의 근방 위치에서 면의 내, 외측 방향의 유지 로프(124a, 124a)가 중합되어 실(26…)로 봉합된 접합 고정부(125)가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의 유지 로프 부재(124)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124)는 실(26, 26)로 봉합되는 접합 고정부(125, 125)가 개폐체측 지지축(17)이나 차체측 지지축(16)의 근방 위치에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전술한 최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코일부(21a) 내에 존 재하는 유지 로프(124a, 124a)는 상기 코일부(21a)의 길이 방향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내경(d2) 방향의 대략 중심인 위치에 서로 중합된 상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부(21a)의 인접하는 코일 사이에 상기 유지 로프(124a)가 개별적으로 물려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최선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균등의 범주에 있는 것이어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224)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전술한 최선의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224)는 유지 로프 부재(22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유지 로프(224a, 224a)가 길이 방향으로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유지 로프 부재(224)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양 단부에 위치하는 각 접힘부의 개폐체측 지지축(17)이나 차체측 지지축(16)의 근방 위치를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실(26…)로 일직선 형태로 봉합된 접합 고정부(225)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의 유지 로프 부재(224)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224)는 일직선 형태로 실(26)에 의하여 봉합되는 접합 고정부(225)가 개폐체측 지지축(17)이나 차체측 지지축(16)의 근방 위치까지 연장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코일부(21a) 내에 존재하는 유지 로프(224a, 224a)는 상기 코일부(21a)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내경(d2) 방향의 대략 중심이 되는 위치에 중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코일부(21a)의 인접하는 코일 사이에 유지 로프(224a)가 단독으로 맞물릴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접합 고정부(225)는 실(26…)에 의해 일직선 형태로 봉합되므로, 봉합 공정이 1회에서 완료되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최선의 실시예 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균등의 범주에 있는 것이어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 게이트 밸런스 장치(320)에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 부재(21) 및 유지로프 부재(324)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3실시예의 유지 로프 부재(324)는, 유지 로프 부재(32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유지 로프가 길이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 중 대략 절반의 길이를 초과하는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전술한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로 광폭의 치수(W1)를 갖는 한 쌍의 광폭부(324a, 324a)로 구성되고, 직선 형태를 이루는 로프 도피 영역부(21b)에 대응하는 부분이 광폭부(324a)보다 폭이 좁은 폭 방향 치수(W2)를 갖는 한쌍의 협폭부(324b, 324b)로 구성된다. 여기서, 협폭부(324b, 324b)는 광폭부(324a, 324a)의 단부에 일체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의 유지 로프 부재(324)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지 로프 부재(324)는 폭이 좁은 폭 방향 치수(W3)를 갖는 협폭부(324b, 324b)가 직선 형태의 로프 도피 영역부(21b)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로프 도피 영역부(21b)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유지 로프 부재(324b)는 사행(蛇行)되기 쉽고, 차체측 지지축(16)과 개폐체측 지지축(17)의 사이의 치수 단축 영역을 이 유지 로프 부재(324b)의 굴곡에 의하여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균등의 범주에 있는 것이어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의 게이트 밸런스 장치(20, 20)가 적용되는 차량으로서의 패널 밴(31)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런스 장치(20,20)는 패널 밴(31)의 후방부의 개구부(32)를 분할하여 개방/폐색하는 상측 패널 부재(33) 및 하측 패널 부재(34) 가운데 하측 패널 부재(34)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균등의 범주에 있는 것이어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실시예
도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의 게이트 밸런스 장치(20, 20)가 적용되는 차량으로서의 해치 백(41)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런스 장치(20,20)는 해치 백(41)의 후방부의 개구부(42)를 분할하고 개방/폐색하는 상측 테일 해치 부재(43) 및 하측 테일 해치 부재(44)의 양쪽에 각각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 일하거나 균등의 범주에 있는 것이어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을 정도의 설계적 변경도 역시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유지 로프 부재(124)의 양 단부의 접힘부에서는 상기 개폐체측 지지부로서의 개폐체측 지지축(17) 또는 차체측 지지부로서의 차체측 지지축(16) 중 어느 하나가 걸리는 루프부를 구성하도록 이들 개폐체측 지지축(17) 또는 차체측 지지축(16)의 근방 위치의 2군데에서 면의 내, 외측 방향의 유지 로프(124a, 124a)가 중합되어 실(26…)로 봉합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군데 혹은 3군데 이상의 복수 위치에서, 면 내, 외측 방향의 유지 로프(124a, 124a)가 중합되어 실(26…)에 의해 봉합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 로프 부재(24)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이고, 병설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유지 로프(24a, 24a) 사이의 일부에 접합 고정부(25)가 위치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8자형을 나타낸 것을 예로 들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앙 위치에 접합 고정부(25)가 위치하지 않고, 개폐체측 지지축(17)이나 차체측 지지축(16)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유지 로프 부재(24) 중 적어도 일부에 접합 고정부(25)를 형성하는 것 등 상기 유지 로프(24a, 24a) 사이의 일부 영역에 접합 고정부(25)가 형성되면, 즉, 상기 개폐체측 지지축(17)과 차체측 지지축(16)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 고정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 부재(21)의 코일부(21a)의 개폐체측 지지축(17)측의 단부에 상기 로프 도피 영역부(21b)를 연장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특별히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체측 지지축(16)측의 단부에 연장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코일 스프링 부재(24)의 치수 단축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차량을 전방에서 본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3은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차량을 후방에서 본 천체의 사시도이다.
도4는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게이트 밸런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게이트 밸런스 장치가 수축한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코일 스프링 부재와, 유지 로프 부재의 조합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7은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코일 스프링 부재와, 유지 로프 부재의 조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8은 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유지 로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9는 실시예의 제1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유지 로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실시예의 제2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유지 로프 부재 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다.
도11은 실시예의 제3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코일 스프링 부재와, 유지 로프 부재의 조합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12은 실시예의 제3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코일 스프링 부재와, 유지 로프 부재의 조합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13은 실시예의 제4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게이트 밸런스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일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4은 실시예의 제5실시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게이트 밸런스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종래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게이트 밸런스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일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이다.
도16은 종래예의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이고, 도15 중 C-C선을 따른 위치에서의 게이트 밸런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짐받이
5 : 테일 게이트 부재(개폐체)
11 : 픽업 트럭(차량)
12 : 후방부
12a : 개구부 주위 모서리
16 : 차체측 지지축(차체측 지지부)
17 : 개폐체측 지지축(개폐체측 지지부)
20, 320 : 게이트 밸런스 장치(개폐부 유지 기구)
21 : 코일 스프링 부재
21a : 코일부
21b : 로프 도피 영역부
21c, 21d : 후크
24, 124, 224, 324 : 유지 로프 부재
24b, 24b : 단부(보강부)
24c : 개폐체측 접힘 루프부(접힘부)
24d : 차체측 접힘 루프부(접힘부)
25, 125, 225 : 접합 고정부
26 : 실
126, 127 : 보강편

Claims (12)

  1.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 주위 모서리에 차체측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체에 개폐체측 지지부가 설치되며; 양단부를 각각 차체측 지지부 및 개폐체측 지지부에 걸려 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가 신장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상기 개폐체의 최대 개방량을 제한하는 유지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차체측 지지부 및 개폐체측 지지부에서 접히는 접힘부를 형성하고, 한 쌍의 상기 유지 로프가 병설된 루프 형태가 되도록 고정된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로서,
    상기 유지 로프 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병설되는 한 쌍의 상기 유지 로프 사이를 부착시키는 접합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나선 스프링형의 코일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코일부의 직경 방향 중심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는 나선 스프링형의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에 연속되고 직선 형태로 형성된 로프 도피 영역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로프의 폭방향 치수는 상기 코일 스프링 부재의 내경 치수에 근접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차체측 지지부 또는 상기 개폐체측 지지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를 복수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는, 상기 유지 로프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접힘부 근방을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고정부는 실로 봉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로프 부재의 상기 접힘부에 보강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별개의 피스로 구성되는 보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유지 로프의 양 단부를 중복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유지 로프의 양 단부를 중복시켜 접속한 부분의 내측에서, 상기 차체측 지지부 개폐체측 지지부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이루어지는 보강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KR1020080055500A 2007-11-05 2008-06-13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KR100959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87115 2007-11-05
JP2007287115A JP5044367B2 (ja) 2007-11-05 2007-11-05 車両の開閉部保持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673A KR20090046673A (ko) 2009-05-11
KR100959490B1 true KR100959490B1 (ko) 2010-05-26

Family

ID=4078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500A KR100959490B1 (ko) 2007-11-05 2008-06-13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044367B2 (ko)
KR (1) KR100959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3198A (zh) * 2012-11-09 2013-02-13 大连民族学院 一种箱板助力器
WO2019049205A1 (ja) * 2017-09-05 2019-03-14 勉 水野 摩擦ダンパー
JP7065899B2 (ja) * 2020-03-05 2022-05-1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構造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818Y2 (ja) * 1993-01-13 1998-12-2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台のテールゲート保持装置
JP2003222173A (ja) 2002-01-29 2003-08-08 Barnes Group Inc テールゲートスタビライザー
US6951358B1 (en) 2004-03-23 2005-10-04 Cable Manufacturing & Assembly, Inc. Insert for a tailgate cable assembly and a tailgate cable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964A (en) * 1977-07-20 1979-02-21 Sanyo Electric Co Ltd Dehydration washing machine
JPH01144539U (ko) * 1988-03-29 1989-10-04
JPH0364182U (ko) * 1989-10-27 1991-06-21
US6854781B2 (en) * 2003-04-23 2005-02-15 Arvinmeritor Technology Llc Vehicle tailgate dampener and lift assis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818Y2 (ja) * 1993-01-13 1998-12-2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台のテールゲート保持装置
JP2003222173A (ja) 2002-01-29 2003-08-08 Barnes Group Inc テールゲートスタビライザー
US6951358B1 (en) 2004-03-23 2005-10-04 Cable Manufacturing & Assembly, Inc. Insert for a tailgate cable assembly and a tailgate cable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13576A (ja) 2009-05-28
KR20090046673A (ko) 2009-05-11
JP5044367B2 (ja)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0926B2 (ja) 車両用開閉体構造
KR101611022B1 (ko) 차량의 어퍼바디 프레임 시스템
US9394006B2 (en) Center pillar structure
KR100959490B1 (ko) 차량용 개폐부 유지 기구
CN109311374A (zh) 具有折叠板的侧壁
US20170073016A1 (en) Vehicle side structure
JP2004314951A (ja) 小さい曲率半径の少なくとも1つの隅がある自動車両ドアへの取付用封止ガスケット
US10683037B2 (en) Sid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5510295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及び車両用テールゲートの補強構造
EP1122108B1 (en) Device for concertinaing the tarpaulin of a transport vehicle
KR101272520B1 (ko) 자동차용 측면 충돌 보강 부재
JPH0672787U (ja) 車両のピラー補強構造
CN109987152B (zh) 车身构造
KR102102475B1 (ko) 트럭 적재함용 조립식 문짝
JP6830728B2 (ja) スライドドア構造
JP4365157B2 (ja) 車両用ドアの側突対応構造
JP2009132334A (ja) ドアの配索構造
US11505255B2 (en) Center pillar structure
JP2018052194A (ja) 車両のピラーの補強構造
US20240190509A1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20230212896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2001048284A (ja) バン型車両の荷箱等輸送用容器の引戸構造
JP6841205B2 (ja) フロントピラー
JP2010195333A (ja) ガラスラン
JP7135530B2 (ja) 車両用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