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289B1 -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289B1
KR100959289B1 KR1020090089464A KR20090089464A KR100959289B1 KR 100959289 B1 KR100959289 B1 KR 100959289B1 KR 1020090089464 A KR1020090089464 A KR 1020090089464A KR 20090089464 A KR20090089464 A KR 20090089464A KR 100959289 B1 KR100959289 B1 KR 10095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ilm
transfer paper
release film
dischar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암
Original Assignee
박종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암 filed Critical 박종암
Priority to KR102009008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29C59/043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for profi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지가 인쇄대상물에 열 전사된 후에 전사지를 보호하는 이형지가 열 전사된 전사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지용 필름은,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가지도록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형지용 필름 제조장치는, 합성수지 칩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합성수지 칩을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합성수지용융부재와, 용융된 상기 합성수지가 내부로 유입되어 필름 형태를 가지도록 하측방향으로 배출되는 필름배출부재 및 상기 필름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필름이 일정두께로 압착되도록 가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름, 전사지, 수지, 용융

Description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RELEASE FILM FOR TRANSCRIPTION PAPER}
본 발명은 전사지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지가 인쇄대상물에 열 전사된 후에 전사지를 보호하는 이형지가 열 전사된 전사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인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자신만의 개성 독특함을 표현하기 위한 패션 연출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신만의 패션 연출의 하나로 티셔츠나 바지 등과 같은 옷에 자신이 원하는 색상으로 무늬나 그림 등을 인쇄하는 티셔츠 프린팅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옷(직물)에 프린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특정 무늬나 그림 등이 인쇄되어 있거나 또는 인쇄할 수 있는 라벨용 전사지의 보급도 증가 추세에 있다. 통상의 라벨용 전사지는 문자나 그림 등이 인쇄되어 있는 전사 지(인쇄 층)와, 이 전사지가 보호되도록 전사지가 도포되는 이형지(박리지 또는 전사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사지와 이형지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러한, 라벨용 전사지는 문자나 그림 등이 인쇄된 전사지가 다리미나 히팅 롤러와 같은 열 가압장치에 의해 옷에 프린팅(열 전사)되면, 전사지를 보호하는 이형지를 전사지에서 분리하게 된다.
한편, 라벨용 전사지에 사용되는 이형지는 그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양편테이프 등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벨용 전사지는 인쇄 대상물인 옷에 열전사를 하게 되면 전사지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전사지와 함께 옷에 달라붙거나 접착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이형지를 전사지에서 떼어내는 과정에서 전사지가 찢어지거나 함께 떨어지면서 문자나 그림 등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종래의 라벨용 전사지는 열전사 후 전사지에서 이형지를 제거할 때 이형지가 전사지에 접착되어 용이하게 제거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사지가 인쇄대상물에 열 전사된 후에 전사지를 보호하는 이형지가 열 전사된 전사지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는, 합성수지 칩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합성수지 칩이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호퍼와 결합되며, 상기 합성수지 칩이 용융되도록 상기 합성수지 칩을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합성수지용융부재와, 상기 합성수지용융부재에서 용융된 상기 합성수지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용융부재와 결합되며, 용융된 상기 합성수지가 필름 형태를 가지도록 하측방향으로 배출되는 필름배출부재; 및 상기 필름배출부재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필름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필름이 일정두께로 압착되도록 가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 형성부재는, 상기 필름배출부재의 하측에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와 쌍을 이루어 상기 필름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에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외면에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 형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롤러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위치조절구멍과,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롤러가 지지되도록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용융부재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호퍼 및 상기 필름배출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로 상기 합성수지 칩이 공급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합성수지 칩을 상기 필름배출부재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루; 및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합성수지 칩이 용융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칩은, 폴리프로필렌(P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전사지가 인쇄대상물에 열 전사된 후에 전사지를 보호하는 이형지가 열 전사된 전사지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10)은 옷(1)과 같은 인쇄대상물에 문자나 그림 등을 열 전사(프린팅)할 때 사용되는 전사지(3)가 보호될 수 있도록 일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전사지(3)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형필름(10)은 전사지(3)가 열 전사를 통해 옷(1)에 프린팅된 후 전사지(3)에서 이형된다.
이러한, 이형필름(10)은 전사지(3)가 쉽게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사지(3)가 옷(1)에 열 전사될 때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시킨다. 이를 위하여 이형필름(10)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에 의해 그 두께(t)가 0.06mm~0.15mm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전사지용 이형필름(10)을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은 돌기(11)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10)은 그 두께가 0.06mm미만으로 제작되면 그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게 되고, 그 두께가 0.15mm초과하게 되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전사지(3)를 인쇄물의 형태에 따라 부착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열 전사전에 전사지(3)를 인쇄물에 부착할 때 이형필름(10)에 의해 전사지(3)가 인쇄물에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10)은 전사지(3)가 옷(1)에 연 전사된 후 전사지(3)에서 이형될 때 보다 용이하게 이형될 수 있도록 돌기(11)가 돌출 형성된다. 이형필름(10)의 돌기(11)는 전후, 좌우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형필름(10)에서 15 내지 20 메시(Mesh)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형필름(10)은 전사지(3)가 접착될 때 돌기(11)에 의해 전사지(3)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되므로, 전사지(3)에 열을 가할 때 전사지(3)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형필름(10)은 돌기(11)에 의해 전사지(3)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되어 전사지(3)의 열 전사를 위하여 열이 가해져도 전사지(11)에 접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전사지(3)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형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10)은 형성되는 돌기(11)가 15메쉬 미만으로 형 성되면 돌기(11)의 크기가 너무 커지게 되어 돌기(11)가 변형되며, 돌기(11)와 돌기(11) 사이의 공간이 너무 넓어져 전사지(3)와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전사지(3)와 이형지필(10)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형필름(10)은 형성되는 돌기(11)가 25메쉬가 초과되도록 형성되면 돌기(11)가 너무 촘촘하게 형성되어 전사지(3)와의 사이에 적정한 공간부가 확보되지 않고 오히려 이형필름(10)의 두께만을 증가 시키게 된다. 특히, 돌기(11)가 25메쉬를 초과하게 되면 돌기(11)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돌기(11)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을 제작하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해 일정간격의 돌기(11)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사지용 이형필름(10)은 돌기(11)에 의해 전사지(3)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되므로, 전사지(3)에 열을 가할 때 전사지(3)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사지(3)와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부가 확보되어 열 전사를 위하여 열이 가해져도 전사지(11)에 접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형필름(10)은 전사지(3)가 인쇄대상물에 열 전사된 후에 전사지(3)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더하여, 쉽게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전사지(3)가 안정되게 보호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형필름(10)에 전사지(3)가 부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형테이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용융부재 및 필름배출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100)는 합성수지 칩이 투입되는 호퍼(110)와, 합성수지 칩을 이동시키면서 용융시키는 합성수지용융부재(120)와, 용융된 합성수지가 필름(10) 형태로 하향 배출되는 필름배출부재(130) 및 필름(10)을 일정두께로 압착함과 동시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 형성부재(140)를 포함한다.
호퍼(110)는 투입되는 합성수지 칩이 합성수지용융부재(1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용융부재(120)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또한, 호퍼(110)로 투입되는 합성수지 칩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에 의해 제작된다.
호퍼(110)로부터 합성수지 칩이 공급되는 합성수지용융부재(120)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호퍼(110) 및 필름배출부재(13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내부로 공급되는 합성수지 칩을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융시킨다.
이를 위하여, 합성수지용융부재(120)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호퍼(110) 및 필름배출부재(130)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로 합성수지 칩이 공급되는 실린더(121)와, 이 실린더(1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합성수지 칩을 필름배출부재(130)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루(123) 및 실린더(121)의 외부에 마련되어 실린더(121)를 가열하는 가열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실린더(121)의 일측에는 이송스크루(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7)가 마련된다.
합성수지용융부재(120)의 실린더(121)는 가열부(125)에 의해 용융된 합성수지가 이송스크루(123)를 통해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배출될 때 압출될 수 있도록 그 타단부 내경이 테이퍼 형태로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합성수지용융부재(120)의 가열부(125)는 실린더(121)의 외면을 감싸도록 실린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합되며, 실린더(121)의 온도가 150~300℃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용융부재(120)는 호퍼(110)로부터 합성수지 칩이 실린더(121)의 내부로 공급되면 구동모터(127)에 의해 이송스크루(123)가 회전하면서 합성수지 칩을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송스크루(123)를 통해 이동되는 합성수지 칩은 가열부(125)에 의해 점성을 가지도록 완전하게 용융되어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합성수지용융부재(120)는 실린더(121)의 타단부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이송스크루(123)에 의해 이동되는 용융된 수지가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압출된다.
용융된 합성수지가 합성수지용융부재(12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배출부재(130)는 일측면이 합성수지용융부재(120)의 실린더(121)와 결합되며, 하단부에 합성수지가 필름(10) 형태로 배출되는 배출구(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필름배출 부재(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용융부재(120)와 "T"자 형태를 가지도록 결합되는데, 이는 필름(10)이 일정폭을 가지면서 넓게 압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필름배출부재(130)는 필름(10)이 배출되는 배출구(131)가 하면에 형성되어 필름(10)이 하향식으로 배출되는 것은 그 두께가 0.15mm 이하인 필름(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압출하기 위함이다. 즉, 그 두께가 얇은 필름(10)을 필름배출부재(130)의 측면으로 압출시키게 되면 압출되는 과정에서 필름(10)이 끊기게 되어 필름(10)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필름배출부재(130)에서 압출되는 필름(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엠보싱)(11)가 형성됨과 동시에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엠보싱 형성부재(140)에 통과되면서 압착된다. 이와 같은 엠보싱 형성부재(140)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부재(140)는 필름배출부재(130)의 하측에 마련되는 프레임(141)과, 이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43) 및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필름(10)에 돌기(11)를 형성하는 가압롤러(145)를 포함한다. 또한, 엠보싱 형성부재(140)는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의 간격(G)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 부(147)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롤러(143)는 프레임(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롤러(145)와 쌍을 이루어 필름(10)을 가이드하며, 간격조절부(147)에 의해 가압롤러(145)와 간격(G)이 조절된다.
가이드롤러(143)와 쌍을 이루어 필름(10)에 돌기(11)인 엠보싱을 형성하는 가압롤러(145)는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필름(10)의 돌기(11)를 형성시키는 가압돌기(145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쌍을 이루는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 사이로 필름(10)이 통과하게 되면 가압롤러(145)의 가압돌기(145a)에 의해 필름(10)에 엠보싱인 돌기(11)가 형성된다.
프레임(141)에서 가이드롤러(143)의 위치를 이동시켜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의 간격(G)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147)는 가이드롤러(143)가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141)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위치조절구멍(147a)과, 프레임(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롤러(143)를 지지하는 작동부(147b)를 포함한다.
위치조절구멍(147a)은 가이드롤러(143)가 자체 무게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롤러(145)에서 이격되어 가압롤러(145)와의 간격(G)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작동부(147b)는 그 일단부가 위치조절구멍(147a)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위치조절구멍(147a)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143) 를 지지한다. 또한, 작동부(147b)는 위치조절구멍(147a)의 내부로 신장되면서 가이드롤러(143)를 가압롤러(145)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작동부(147b)는 위치조절구멍(147a)의 내부에 위치되며 가이드롤러(143)가 지지되는 지지블록(147b')과, 이 지지블록(147b')을 위치조절구멍(147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단부가 지지블록(147b')에 장착되는 작동볼트(147b'')를 포함한다. 이때, 작동볼트(147b'')는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위치조절구멍(14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지지블록(147b')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부(147b)는 작동볼트(147b'')가 회전을 통해 프레임(141)에서 이동되면 지지블록(147b')이 작동볼트(147b'')에 의해 위치조절구멍(14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롤러(143)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필름(10)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인 합성수지 칩 구체적으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가 일정비율로 호퍼(110)에 삽입되면 호퍼(110)의 내부에서 혼합된 후, 합성수지용융부재(120)로 공급된다.
합성수지용융부재(120)로 공급되는 합성수지 칩은 이송스크루(123)에 의해 실린더(121)의 내부에서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열부(125)에 의해 점성을 가지도록 용융되어 필름배출부재(130)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용융된 합성수지는 이송스크루(123)에 의해 실린더(121)에서 이동됨은 물론 서로 다른 물질의 합성수지가 완전하게 교반되어 혼합된다.
그리고, 합성수지용융부재(120)는 실린더(121)의 타단부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이송스크루(123)에 의해 액상의 합성수지가 실린더(121)에서 필름배출부재(130)로 배출될 때 압출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합성수지용융부재(120)로부터 필름배출부재(130)로 압입되는 합성수지가 배출구(131)를 통해 필름 형태로 원활하게 압출된다.
이때, 필름(10)의 두께가 0.15mm 이하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필름(10)이 배출되는 배출구(131)가 필름배출부재(130)의 하면에 형성되어 필름배출부재(130)에서 하향식으로 압출 형성된다. 즉, 필름(10)이 필름배출부재(130)에서 하향식으로 배출되므로, 두께가 얇은 필름(10)이 끊김 없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배출된다.
이후, 필름배출부재(130)에서 하향식으로 배출되는 필름(10)은 엠보싱 형성부재(140)의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 사이로 가이드되면서 그 두께가 0.06mm~0.15mm를 가지도록 압착됨과 동시에 가압롤러(145)의 가압돌기(145a)에 의해 엠보싱인 돌기(11)가 형성된다.
이때, 필름(10)의 두께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147)에 의해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의 간격(G)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부(147)의 작동볼트(147b'')가 프레임(141)에서 정회전되어 위치조절구멍(147a)의 내부로 신장되면 지지블록(147b')이 위치조절구멍(147a)의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서 가이드롤러(143)가 가압롤러(145)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의 간격(G)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간격조절부(147)의 작동볼트(147b'')가 프레임(141)에서 역회전되어 위치조절구멍(147a)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지지블록(147b')이 위치조절구멍(147a)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블록(147b')에 지지되어 있던 가이드롤러(143)도 자체 무게에 의해 지지블록(147b')과 함께 위치조절구멍(147a)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인하여,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의 간격(G)이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배출부재(130)에서 하향식으로 배출되는 필름(10)이 엠보싱 형성부재(140)의 가이드롤러(143)와 가압롤러(145) 사이로 가이드어 일정한 두께로 압착되어 제작됨과 동시에 가압돌기(145a)에 의해 엠보싱인 돌기(1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용융부재 및 필름배출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엠보싱 형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이형필름 11 : 돌기
100 : 제조장치 110 : 호퍼
120 : 합성수지용융부재 130 : 필름배출부재
140 : 엠보싱 형성부재 143 : 가이드롤러
145 : 가압롤러 145a : 가압돌기
147 : 간격조절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합성수지 칩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합성수지 칩이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호퍼와 결합되며, 상기 합성수지 칩이 용융되도록 상기 합성수지 칩을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합성수지용융부재;
    상기 합성수지용융부재에서 용융된 상기 합성수지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용융부재와 결합되며, 용융된 상기 합성수지가 필름 형태를 가지도록 하측방향으로 배출되는 필름배출부재; 및
    상기 필름배출부재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필름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필름이 일정두께로 압착되도록 가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배출부재의 하측에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와 쌍을 이루어 상기 필름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에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외면에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가압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엠보싱 형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롤러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위치조절구멍;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롤러가 지지되도록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이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용융부재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호퍼 및 상기 필름배출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로 상기 합성수지 칩이 공급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합성수지 칩을 상기 필름배출부재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루; 및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합성수지 칩이 용융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칩은, 폴리프로필렌(P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지용 이형필름 제조장치.
KR1020090089464A 2009-09-22 2009-09-22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KR100959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64A KR100959289B1 (ko) 2009-09-22 2009-09-22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64A KR100959289B1 (ko) 2009-09-22 2009-09-22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289B1 true KR100959289B1 (ko) 2010-05-26

Family

ID=4228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464A KR100959289B1 (ko) 2009-09-22 2009-09-22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2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9729A (ja) * 1988-12-30 1990-07-12 Shinetsu Kogyo Kk ゲートル巻きするラッピングフィルムの製造法
KR200211614Y1 (ko) * 2000-07-08 2001-01-15 양현섭 의류용 입체장식층의 전사테이프 이형지
KR20050080038A (ko) * 2005-07-05 2005-08-11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폴리우레탄의 표면에 무늬 또는 엠보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이형지 및 상기 이형지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9729A (ja) * 1988-12-30 1990-07-12 Shinetsu Kogyo Kk ゲートル巻きするラッピングフィルムの製造法
KR200211614Y1 (ko) * 2000-07-08 2001-01-15 양현섭 의류용 입체장식층의 전사테이프 이형지
KR20050080038A (ko) * 2005-07-05 2005-08-11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폴리우레탄의 표면에 무늬 또는 엠보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이형지 및 상기 이형지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2879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及び方法
US11981057B2 (en) Molding resin to form continuous structures
KR101507067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장치
KR100959289B1 (ko) 전사지용 이형필름의 제조장치
JPH0136629B2 (ko)
KR101673210B1 (ko)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KR100297004B1 (ko) 비닐대지의 엠보싱 성형장치 및 엠보싱 성형방법
JP2004330769A (ja) 樹脂印刷による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そのフィルムの製造装置
KR100475627B1 (ko) 합성수지시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095587A1 (en) Film laminating method and device
JPH11309748A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5950754B2 (ja) カバーフィルムで被覆された成形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品製造装置
JP3548931B2 (ja) 粘着式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226681A (ja) インモールド成形装置
JP2018052093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S63139717A (ja) 成形装置
JP4167554B2 (ja) 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及び打痕除去フィルム
JP3605798B2 (ja) 線状ラミネート加工装置
KR200362696Y1 (ko) 합성수지 판재 제조 장치
JP4247050B2 (ja) 連続フィルム及びインモールド転写成形方法
KR100625831B1 (ko) 합성수지 판재 제조 장치
JPH08267502A (ja) 両面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475085A (ja) 転写箔
KR20000002450U (ko) 공기 정화기용 미디엄필터 제조장치
JPH11320603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