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210B1 -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210B1
KR101673210B1 KR1020160026237A KR20160026237A KR101673210B1 KR 101673210 B1 KR101673210 B1 KR 101673210B1 KR 1020160026237 A KR1020160026237 A KR 1020160026237A KR 20160026237 A KR20160026237 A KR 20160026237A KR 101673210 B1 KR101673210 B1 KR 10167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eet
synthetic resin
resin shee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팩
Priority to KR102016002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47/0021
    • B29C47/04
    • B29C47/34
    • B29C47/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7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applied by a squeegee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는 시트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부재와, 상기 원료투입부재로 투입된 원료를 용융하면서 교반하기 위한 가열교반부재와, 용융된 원료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가열교반부재로부터의 용융수지를 압출배출하기 위한 압출부재와, 상기 압출부재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부와, 상기 압착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롤러부재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에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이형제도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부재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롤러는 양 측부의 반경보다 중앙 부분의 반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시트 제조 과정에서 시트에 적절한 인장력을 부여하여 시트의 구김 또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형제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또한 시트에 이형제가 고루 도포됨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 시트가 두루마리 상태에서 용이하게 풀려질 수 있다.
또한, 압착롤러로부터 시트가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롤러에 시트가 부착되어 발생되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용용 수지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 SHEET FOR PACKAGE}
본 발명은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제조 시 시트의 주름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시트에 이형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구성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는 각종 전기전자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들의 포장재로 이용되며, 이외에도 일상 생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 상기 합성수지 시트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를 용융하여 압출구를 통해 시트형상으로 압출하고, 이를 다수개의 롤러를 통해 원하는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합성수지 시트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이용되며, 합성수지 시트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롤러는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초경합금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시트는 용융된 원재료를 롤러로 압착하여 형성되는데, 고온의 시트를 롤러로 압착하는 과정에서 작용되는 압력 또는 냉각에 의해 시트에 구김이 생기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결국 시트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시트가 최종적으로 감겨지는 롤러의 속도를 조절하여 합성수지 시트에 어느 정도의 인장력을 부여하여 시트가 팽팽해지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시트에 인장력을 가하는 경우 시트의 두께마다 가해지는 인장력이 조절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절 작업은 숙련을 요구함과 동시에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특히, 시트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시트가 용이하게 파단되거나, 시트 내부에 주름 또는 미세한 자국이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한편,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는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져 운반되며, 따라서 이후의 절단 공정에서 용이하게 풀려지도록 시트의 이면에 이형제가 도포된다.
상기 이형제에는 실리콘오일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파라핀 등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되며, 시트 제조 과정에서 시트의 일면에 도포된다.
그런데, 상기 이형제를 구성하는 수지가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어 시트에 도포되어야 하며, 만약 그러하지 못할 경우에는 시트 간의 접착력에 편차가 발생되어, 두루마리 상태로부터 시트를 푸는 과정에서 시트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인장력에 의해 시트를 파단시키지 않으면서도 시트에 적절한 인장력을 부여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형제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또한 시트에 이형제가 고루 도포되도록 구성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를 압착하는 롤러로부터 시트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용 수지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는 시트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부재와, 상기 원료투입부재로 투입된 원료를 용융하면서 교반하기 위한 가열교반부재와, 용융된 원료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가열교반부재로부터의 용융수지를 압출배출하기 위한 압출부재와, 상기 압출부재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부와, 상기 압착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롤러부재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에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이형제도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부재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롤러는 양 측부의 반경보다 중앙 부분의 반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부재의 롤러는 중간 부분이 볼록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지되, 상기 롤러의 1 m 폭에 대하여 상기 중간 부분이 0.5 mm 내지 0.7 mm 융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부재의 롤러에는 축방향을 따라 나사산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상기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양측 방향을 향해 한 쌍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0.2 내지 0.3 mm 의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0.3 내지 0.5 mm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8 mm 내지 10 mm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롤러부에는 표면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부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공급부재는 상기 압착롤러부의 표면에서 합성수지 시트가 접촉되는 경계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공급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일공급부재는 섬유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형제도포부재는 이형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도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는 기체공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수지 시트의 이송 속도에 대한 상기 도포롤러의 상대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는 고무재질의 접촉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은 상기 이송롤러부재 및 압착롤러부재의 롤러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은 상기 도포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필터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설치부는 상하방향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폭(w3)은 0.03 내지 0.05 mm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0.1 mm 내지 0.2 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체공급부재는 상기 용기의 양 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부재는 유연한 합성수지재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시트 제조 과정에서 과도한 압력에 의한 파단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시트를 펼치는 인장력을 부여하여 시트의 구김 또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형제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시트에 이형제가 고루 도포됨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 시트가 두루마리 상태에서 원활하게 풀려질 수 있다.
또한, 압착롤러로부터 시트가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롤러에 시트가 부착되어 발생되는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용용 수지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압착롤러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압착롤러부재에 설치되는 오일공급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이송롤러부재에 포함되는 롤러의 정단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롤러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이형제도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이형제도포부재에 포함되는 도포롤러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필터부재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압착롤러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압착롤러부재에 설치되는 오일공급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이송롤러부재에 포함되는 롤러의 정단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롤러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이형제도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이형제도포부재에 포함되는 도포롤러의 정면도이며, 도 8 은 필터부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는 시트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부재(10)와, 상기 원료투입부재(10)로 투입된 원료를 용융하면서 교반하기 위한 가열교반부재(20)와, 용융된 원료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부재(30)와, 상기 가열교반부재(20)로부터의 용융수지를 압출배출하기 위한 압출부재(40)와, 상기 압출부재(40)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부ㅈ재0)와, 상기 압착롤러부재(50)로부터 전달되는 합성수지 시트(2)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부재(60)와, 상기 이송롤러부재(60)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에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이형제도포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부재(60)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롤러(60)는 양 측부의 반경보다 중앙 부분의 반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투입부재(10)는 시트 형성을 위한 원재료를 투입하는 구성으로서,상기 원료투입부재(10)로 투입된 원재료는 이후 혼합부(15)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혼합부(15)로부터의 원재료는 상기 가열교반부재(20)를 통해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서 혼합된다.
상기 가열교반부재(20)는 시트 형성을 위한 원재료를 용융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코일과 교반 스크류가 배치된다.
그리하여, 원재료가 상기 교반스크류에 의해 교반되면서, 상기 가열교반부재(20) 내부를 진행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가열코일에 의해 가열 용융된다.
상기 가열교반부재(20)에 의해 용융 교반된 원재료는 상기 필터부재(30)로 공급된다.
상기 필터부재(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 원재료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들이 여과된다.
상기 필터부재(30)는 용융된 원재료의 유동을 안내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36)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용융된 원재료가 상기 필터부재(30)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 응고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30)는 한 쌍의 필터설치부(32, 34)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설치부(32, 34) 내에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설치부(32)는 실린더(3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필터설치부(32) 내에 설치되는 필터로써 불순물을 여과하는 동안 하부의 필터설치부(34) 내에 설치되는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8)에 의해 필터설치부(32, 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하부의 필터설치부(34)가 용융 원재료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게 되고, 이러한 때에 상부 필터설치부(32)에 설치되는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8)를 통해 필터설치부(32, 3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필터의 여과 과정이 중단됨이 없이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0)를 통과한 원재료는 상기 압출부재(40)를 통해 시트 형태로 압출된다.
상기 압출부재(40)는 도 1 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들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들을 통해 용융된 원재료를 압출한다.
상기 압출부재(40) 내부에도 도시되지 않은 가열코일이 설치되어, 융융 원재료를 가열함으로써 냉각 응고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출부재(40)를 통해 압출된 시트 형태의 원재료는 상기 압착롤러부재(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균일 두께로 압착되며 냉각된다.
상기 압착롤러부재(50)에는 높이 방향으로 예를 들어 세 개의 압착롤러(52, 54, 56)들이 설치되어, 가장 윗부분에 배치되는 압착롤러(52)와 중간부분에 배치되는 압착롤러(54) 사이를 지나면서 원재료 시트가 일차적으로 압착 냉각되고,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압착롤러(54)와 가장 아래부분에 배치되는 압착롤러(56) 사이를 지나면서 시트가 이차적으로 압착 냉각된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압출부재(4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상태의 원재료가 상기 압착롤러, 특히 가장 윗부분에 배치되는 압착롤러(52)와 중간부분에 배치되는 압착롤러(54) 사이를 지나는 과정에서 시트의 경계부분(57) 부분이 압착롤러(52)로부터 원활히 분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 압출부재(40)로부터 배출되는 원재료 시트가 접촉되는 영역(S)은 시트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가열되지만, 상기 접촉영역(S)를 벗어난 부분은 시트가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접촉영역(S)에 비해 저온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경계부분(57)에서 시트가 원활히 분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때에 시트를 상기 압착롤러(52)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력은 시트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착력에 의해 시트에 가해지는 힘은 특히 시트의 두께가 매우 얇을 경우에는 시트에 미세한 변형 또는 주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부분(57)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압착롤러(52)로부터 시트가 보다 원활히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가 접촉되는 경계부분(57)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부재(58)로서는 면 또는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되는 주머니 형태로 구성되어, 줄(5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주머니 형태의 오일공급부재(58) 내부의 오일이 조금씩 스며나와 상기 경계부분(57)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시트가 상기 압착롤러(52)로부터 원활히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착롤러부(50)로부터의 시트(2)는 이송롤러부재(60)를 거쳐 이형제도포부재(7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부재에 포함되는 롤러(60)는 중간 부분이 볼록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지되, 상기 롤러(60)의 1 m 폭에 대하여 본래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상기 중간 부분의 높이가 증가되는 정도 h1 은 0.5 mm 내지 0.7 mm 융기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체 롤러 직경에 대해서는 상기 롤러(60)의 중간부분 직경은 2 X h1 만큼 증가된다.
또한,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60)에는 축방향을 따라 나사산 형태의 홈(62, 6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62, 63)은 상기 롤러(60)의 중심으로부터 양측 방향을 향해 즉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0.2 내지 0.3 mm 의 깊이(h2) 및 0.3 내지 0.5 mm 폭(w2)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8 mm 내지 10 mm 피치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62, 63)은 매우 얕은 깊이로 형성되며, 롤러(60)의 표면이 시트(2)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홈(62, 63)에서 측벽의 모서리 부분이 시트(2)에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롤러(60)를 회전시킴에 따라 시트(2)가 상기 홈(62, 63)과 접촉된 상태에서 롤러(60)의 길이 방향으로 펼치는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홈(62, 63)의 깊이(h2)를 상기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시트(2)를 롤러(60)의 길이 방향으로 펼치는 힘을 적절히 가하게 되며, 상기 홈(62, 63)의 깊이가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시트를 롤러(60)의 길이 방향으로 펼치는 힘을 거의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홈(62, 63)의 깊이(h2)가 상기 범위를 넘어 너무 깊을 경우에는, 상기 시트(2)에 미세한 자국을 남기거나, 시트(2)를 롤러(60)의 길이 방향으로 펼치는 힘이 지나치게 크게 가해져 주름 또는 변형이 발생된다.
특히, 시트(2)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62, 63)의 깊이가 상기 범위보다 깊을 경우 주름 또는 변형 발생의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
상기 이송롤러(60)를 지나는 시트는 아직 완전히 냉각된 상태가 아니므로, 시트(2)를 매우 약한 힘으로 펼쳐야 하며, 그 힘의 크기가 지나친 경우에는 시트의 변형을 초래하므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범위의 깊이(h2)와 폭(w2) 및 피치(p)로 홈(62, 63)을 형성함으로써, 시트(2)를 적절한 힘으로 펼치면서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기 롤러(60)를 중간 부분이 볼록한 만곡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러(60)가 회전되는 동안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중간에 배치되는 시트(2)가 볼록해져 결과적으로 시트가 적절한 힘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적절한 힘으로 펼쳐진다는 의미는 시트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팽팽해진다는 의미이며, 이후의 공정에서 롤러에 시트가 감겨지는 경우 미세한 겸침 또는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롤러(60)가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만곡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지지 않고, 직선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롤러(60)의 회전동안 시트(2)를 폭방향(롤러의 길이방향)으로 펼치는 힘을 전혀 가하지 않는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60)의 중심부분을 다소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롤러(60)의 회전 동안 시트(2) 역시 상기 롤러(60)의 표면과 같이 볼록한 형태가 되며,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롤러(60)의 길이 방향으로 시트가 팽팽히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60)의 길이 1m 에 대해 중간부분의 증가되는 높이가 0.5 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롤러(60)의 표면이 거의 직선에 가까워져 시트를 롤러(60)의 길이 방향으로 팽팽하게 하는 힘을 거의 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60)의 길이 1m 에 대해 중간부분의 증가되는 높이가 0.7 mm 보다 클 경우에는, 아직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시트(2)가 롤러(60)의 중간부분에서 지나치게 볼록하게 되어 시트의 영구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시트(2)의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중간부분의 증가되는 높이가 0.7 mm 보다 클 경우에는 시트의 팽창에 의한 미세한 늘어짐 자국이 발생되며, 이러한 점은 이후의 롤링 공정 등에서 가해지는 추가적인 힘에 의해 영구변형 또는 파단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60)의 중간부분을 볼록한 단면 형상으로 하고, 롤러의 표면에 미세한 나선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시트(2)에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부재(60)로부터의 시트(2)는 이형제(78)를 도포하기 위한 이형제도포부재(70)로 전달된다.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는 롤 형태로 감겨 보관 및 운송되며, 이후의 공정에서 롤로부터 풀려야 하는데 이때 감겨진 시트가 원활히 풀려질 수 있도록 시트의 일면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상기 이형제도포부재(70)는 이형제를 수용하는 용기(74)와 상기 용기(74) 내에 수용되는 도포롤러(72)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74)에는 기체공급부재(76)가 설치된다.
상기 이형제(78)는 실리콘오일과 같은 수지를 물과 함께 혼합하여 마련되는데, 상기 실리콘 오일은 물과 비중이 다르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과 실리콘 오일이 분리되어 실리콘이 뭉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74) 내부에 기체공급부재(76)를 설치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를 공급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계속적으로 실리콘 오일을 물과 혼합시키면서 도포롤러(72)를 회전시켜 시트(2)의 표면에 도포한다.
상기 기체공급부재(76)는 유연한 합성수지재 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74)의 양 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은 펌프를 통해 상기 튜브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이형제(78) 내부에서 기포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도포롤러(72)의 중심 축 부분은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도포롤러(72)의 표면에는 고무재질의 접촉부가 배치되며, 상기 접촉부의 표면은 상기 이송롤러부재 및 압착롤러부재에 포함되는 롤러 표면보다 다소 거칠게 형성된다.
즉, 상기 이송롤러부재(60) 및 압착롤러부재에 포함되는 롤러(52, 54, 56)의 표면은 폴리싱(Polishing) 공정에 의해 광이 날 정도로 매끄럽게 표면처리되지만, 상기 도포롤러(72)의 표면인 접촉부는 샌드 블러스팅 공정 또는 샌드 페이퍼로 문지르는 등의 작업에 의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형제(78)가 도포롤러(72)의 표면에 고루 퍼져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롤러(72)의 표면에는 도 7 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미세한 홈(73)이 형성된다.
상기 홈(73)은 그 폭(w3)이 0.03 내지 0.05 mm 범위의 매우 좁은 폭의 홈이며, 깊이는 0.1 mm 내지 0.2 mm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도포롤러(72)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이형제(78)가 도포롤러의 표면에 고루 퍼지며, 또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미세한 홈(73)에 의해 상기 도포롤러(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홈(73) 내부에 이형제(78)가 스며든 상태에서 시트(2)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포롤러(72)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홈(73)은 칼 자국과 같이 매우 좁고도 얕게 형성되며, 만약 상기 홈(73)의 폭(w3)이 0.03 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홈(73)을 따라 전체 도포롤러(72)의 길이 폭으로 이형제(78)가 스며들기 어렵게 된다.
또한, 만약 상기 홈(73)의 폭(w3)이 0.05 mm 보다 클 경우에는 시트(2)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상기 홈(73) 영역이 변형되며, 이러한 경우 얇게 형성되는 시트(2)에 자국 또는 주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견지에서, 상기 홈의 깊이(h3)는 0.1 mm 내지 0.2 mm 범위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도포롤러(72)의 회전에 따라 이형제(78)가 상기 홈(73) 내로 스며든 상태에서 시트(2)의 전체 폭에 걸쳐 고루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포롤러(72)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시트(2)의 두께에 따라 상기 도포롤러(7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도포되는 이형제(78)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시트(2)의 이송 속도에 대해 상기 도포롤러(72)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회전되는 경우에는 보다 적은 양의 이형제(78)가 시트(2) 표면에 도포되며, 시트(2)에 대한 도포롤러(72)의 회전 속도가 증대될 수록 보다 많은 양의 이형제(78)가 시트(2) 표면에 도포된다.
상기 이형제도포부재(70)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도포롤러(72)를 매개로 하여 시트(2)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한쌍의 롤러(82, 84)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쌍의 롤러(82, 84)와 도포롤러(72)의 상대적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롤러(72)의 표면에 접촉되는 시트(2)의 압력과 접촉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원료투입부재
20: 가열교반부재
30: 필터부재
40: 압출부재
50: 압착롤러부재
60: 이송롤러부재
70: 이형제공급부재

Claims (22)

  1. 시트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원료투입부재와;
    상기 원료투입부재로 투입된 원료를 용융하면서 교반하기 위한 가열교반부재와;
    용융된 원료로부터 불순물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가열교반부재로부터의 용융수지를 압출배출하기 위한 압출부재와;
    상기 압출부재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롤러부재와;
    상기 압착롤러부로부터 전달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롤러부재로부터의 합성수지 시트에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이형제도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부재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롤러는 양 측부의 반경보다 중앙 부분의 반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이형제도포부재는 이형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도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는 기체공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재의 롤러는 중간 부분이 볼록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지되,
    상기 롤러의 1 m 폭에 대하여 상기 중간 부분이 0.5 mm 내지 0.7 mm 융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재의 롤러에는 축방향을 따라 나사산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상기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양측 방향을 향해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0.2 내지 0.3 mm 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0.3 내지 0.5 mm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형태의 홈은 8 mm 내지 10 mm 피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부에는 표면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재는 섬유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시트의 이송 속도에 대한 상기 도포롤러의 상대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는 고무재질의 접촉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은 상기 이송롤러부재 및 압착롤러부재의 롤러 표면보다 거칠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필터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설치부는 상하방향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재는 상기 압착롤러부재의 롤러 표면에서 합성수지 시트가 접촉되는 경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도포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폭(w3)은 0.03 내지 0.05 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0.1 mm 내지 0.2 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부재는 상기 용기의 양 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부재는 유연한 합성수지재 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22. 삭제
KR1020160026237A 2016-03-04 2016-03-04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KR10167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237A KR101673210B1 (ko) 2016-03-04 2016-03-04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237A KR101673210B1 (ko) 2016-03-04 2016-03-04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210B1 true KR101673210B1 (ko) 2016-11-22

Family

ID=5754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237A KR101673210B1 (ko) 2016-03-04 2016-03-04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2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0612A (zh) * 2019-12-31 2020-04-28 嘉兴市集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连线机
KR20210064500A (ko) * 2019-11-25 2021-06-03 주식회사 호원 복합소재용 접착필름 제조장치
KR102622647B1 (ko) * 2023-05-24 2024-01-10 주식회사 그린바이오 내열성 용기 생산을 위한 필름시트 생산 방법 및 장치
KR102667779B1 (ko) 2023-08-14 2024-05-21 지디알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552B2 (ja) * 1994-08-30 1998-12-24 昭二 松本 封着フィルムの皺予防機能を有するラミネータ
JP2007216658A (ja) * 2006-01-23 2007-08-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延伸フィルム
KR101284915B1 (ko) * 2013-04-01 2013-07-10 동양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페트 필름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552B2 (ja) * 1994-08-30 1998-12-24 昭二 松本 封着フィルムの皺予防機能を有するラミネータ
JP2007216658A (ja) * 2006-01-23 2007-08-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延伸フィルム
KR101284915B1 (ko) * 2013-04-01 2013-07-10 동양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페트 필름의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00A (ko) * 2019-11-25 2021-06-03 주식회사 호원 복합소재용 접착필름 제조장치
KR102300591B1 (ko) * 2019-11-25 2021-09-13 주식회사 호원 복합소재용 접착필름 제조장치
CN111070612A (zh) * 2019-12-31 2020-04-28 嘉兴市集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涂布连线机
KR102622647B1 (ko) * 2023-05-24 2024-01-10 주식회사 그린바이오 내열성 용기 생산을 위한 필름시트 생산 방법 및 장치
KR102667779B1 (ko) 2023-08-14 2024-05-21 지디알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제 용기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210B1 (ko)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 제조장치
US4826560A (en) Device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thermoplastic webs
CN110948912B (zh) 一种热塑性连续碳纤维单向带的生产设备及生产工艺
US3410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t melt extrusion
CA2450141C (en) Methods of making thermal seals and perforations
KR890701329A (ko) 열가소성 웨브 재료의 성형
JPH0767728B2 (ja) 柔軟肉薄管の押出し装置及び押出し方法
KR101284915B1 (ko) 페트 필름의 제조장치
KR101762667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공급 장치
JP5585852B2 (ja) シリコン素材から連続的な弾性糸を製造するプラントおよび製造方法ならびにシリコン素材から得られる連続的な弾性糸
US5500175A (en) Process of producing heat-softenable, hopper-feedable plastic pellets containing folded reinforcing fibers
US3284552A (en) Method for making tubing
US363563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ubular films of thermoplastic resins
US20160330993A1 (en) Advanced gum forming
US20130209702A1 (en) Method and adhesive applicator for the contactless application of a multiplicity of discrete spots of adhesive, distributed over a surface area, permanently to a substrate
US3280429A (en) Apparatus for making tubing
KR100297004B1 (ko) 비닐대지의 엠보싱 성형장치 및 엠보싱 성형방법
US3030623A (en) Method for making blown rubber
EP3093378B1 (en) Oil supply guide and spun yarn take-up apparatus
EP3475050B1 (en) Plant comprising a twin-screw extruder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rolls of plastic stretch film
US373749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ubular films of thermoplastic resins
KR101196442B1 (ko) 박막 블로운 필름 제조장치
KR101625888B1 (ko) 균등 권취기를 갖는 피브이씨 랩 제조장치
US4029455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starting materials into a shearing gap of a machine for production of flat structures
JPH02423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