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288B1 - 간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간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288B1
KR100959288B1 KR1020090133056A KR20090133056A KR100959288B1 KR 100959288 B1 KR100959288 B1 KR 100959288B1 KR 1020090133056 A KR1020090133056 A KR 1020090133056A KR 20090133056 A KR20090133056 A KR 20090133056A KR 100959288 B1 KR100959288 B1 KR 10095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lock
slip sheet
pap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인
김욱
Original Assignee
브이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브이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9013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96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fer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을 케이스에 담을 때, 각 리드프레임의 사이에 간지를 한 장씩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간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는 밀착기구(90)를 이용하여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를 중앙부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기구(100)로 간지(1)의 중간부를 집어올리므로써, 간지(1)가 한꺼번에 여러장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지, 공급장치, 트레이, 밀착기구, 휠

Description

간지공급장치{pap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을 케이스에 담을 때, 각 리드프레임의 사이에 간지를 한 장씩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간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램프를 제조할 때는, LED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패턴이 형성된 리드프레임에 LED칩을 탑재하는 1차 공정을 통해 반제품을 제조한 후, 별도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LED램프를 잘라내어 한꺼번에 다량의 LED램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LED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제품, 즉, LED칩이 탑재된 리드프레임은 LED제조장치에 구비된 로딩장치에 의해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재되어 절단장치로 이송 및 공급되며, 케이스에 적재된 각각의 리드프레임의 사이에는 간지가 한 장씩 끼워져, 리드프레임이나 리드프레임에 탑재된 LED칩이 상호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리드프레임의 사이에 간지를 끼워 넣는 간지공급장치는 상기 리드프레임을 담는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흡착헤드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적재된 간지를 진공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LED제조장치의 로딩장치에 의해 LED칩이 부착된 리드프레임이 케이스에 공급되면, 트레이에 적재된 간지를 한 장씩 진공흡착하여 케이스에 공급된 리드프레임의 상면에 한 장씩 올려놓는다.
그런데, 이러한 간지는 매우 얇은 종이재질로 구성되므로, 간지공급장치의 흡착헤드로 간지를 흡착할 때 여러장의 간지가 한꺼번에 딸려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간지는 먼지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얇게 특수하게 제작되는 특성상, 정전기에 의해 간지가 서로 달라붙게 되며, 따라서, 여러장의 간지가 한꺼번에 딸려 올라가는 빈도가 더욱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흡착헤드를 이용하는 간지공급장치 이외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간지를 들어올리는 타입을 비롯하여 모든 종류의 간지공급장치에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지를 들어올릴 때 여러장의 간지가 한꺼번에 딸려 올라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간지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지(1)를 한 장씩 들어올려 이송 또는 공급하는 간지공급장치에 있어서,
간지(1)가 적재된 트레이(B)와, 상기 트레이(B)의 일측에 구비된 이송장치(C)와, 상기 이송장치(C)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를 한 장씩 집어내는 피커(D)를 포함하며,
상기 피커(D)는 상기 이송장치(C)에 연결되어 이송장치(C)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블록(80)과;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의 상면을 인접방향으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도록 하는 밀착기구(90)와;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되어 밀착기구(90)에 의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된 간지(1)의 중간부를 집어 올릴 수 있도록 된 고정기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착기구(90)는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된 구동장치(91)와, 상기 구동장치(91)에 연결되어 구동장치(91)의 작동에 따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한쌍의 구동블록(92)과, 상기 구동블록(92)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93)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93)는 상기 구동블록(92)에 원웨이베어링(93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93b)과, 상기 회전축(93b)에 결합된 마찰휠(93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착기구(90)는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된 구동장치(91)와, 상기 구동장치(91)에 연결되어 구동장치(91)의 작동에 따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한쌍의 구동블록(92)과, 상기 구동블록(92)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9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블록(92)은 기단부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동블록(92)이 인접될 때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호를 그리며 하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B)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간지(1)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이본체(10)와, 트레이본체(10)에 적재된 간지(1)를 상향가압하는 상승기구(2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본체(10)에는 내부에 적재된 간지(1)의 양단 상면이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는 밀착기구(90)를 이용하여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를 중앙부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기구(100)로 간지(1)의 중간부를 집어올리므로써, 간지(1)가 한꺼번에 여러장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는 LED제조장치의 후단에 배치되어 LED제조장치의 로딩장치(A)에 의해 케이스(2)에 공급된 리드프레임의 상면에 간지(1)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로딩장치(A)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제조장치의 베드(3) 상면에 탑재되며, 상기 베드(3)에는 리드프레임을 적재하는 케이스(2)가 배치되는 안착부(3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드프레임은 일측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지(1)는 리드프레임과 같은 사이즈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는 상기 케이스(2)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드(3)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2)에 적재된 리드프레임의 상면 에 간지(1)를 한 장씩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간지공급장치는, 간지(1)가 적재되는 트레이(B)와, 상기 트레이(B)의 일측에 구비된 이송장치(C)와, 상기 이송장치(C)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를 한 장씩 집어내는 피커(D)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재된 간지(1)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트레이본체(10)와, 트레이본체(10)의 사이에 적재된 간지(1)를 상향가압하는 상승기구(20)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2)와 이격되도록 상기 베드(3)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박스형태를 이루도록 다수개의 수직패널(11)을 상기 베드(3)에 구비된 지지대(3b)의 상면에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여러장의 간지(1)를 한꺼번에 투입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트레이본체(10)에는 내부에 적재된 간지(1)의 양단 상면이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본체(10)를 이루는 수직패널(11)중에서 간지(1)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수직패널(11)의 상단에는 간지(1)의 양단 상면이 걸리는 걸림턱(1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은 상기 수직패널(11)의 상단에 수평방향의 패널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승기구(2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간지(1)의 양단 상면이 상기 걸림턱(12)에 걸려 간지(1)가 일정한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승기구(20)는 상기 트레이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트레이본 체(10)의 내부에 투입된 간지(1)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3b)를 관통하여 하향연정된 가이드봉(22)과, 상기 가이드봉(22)에 연결된 에어실린더(23)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실린더(23)로 가이드봉(22) 및 승강판(21)을 상승시켜 트레이본체(10)에 투입된 간지(1)를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상기 이송장치(C)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B)와 케이스(2)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0)과, 상기 가이드레일(4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대(50)와, 상기 이동대(50)를 전후진시키는 슬라이드구동장치(60)와, 상기 이동대(50)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피커(D)가 연결되는 실린더기구(7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장치(60)는 서보모터와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서보모터로 이동대(50)에 연결되는 타이밍벨트를 순환시켜 이동대(50)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구동장치(60)로 이동대(5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상기 실린더기구(70)를 신축시키므로써, 실린더기구(70)에 연결되는 피커(D)의 위치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전술한 로딩장치(A)의 가이드레일(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커(D)가 로딩장치(A)와 상호 교대로 전후진되어 로딩장치(A)와 피커(D)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피커(D)는 상기 이송장치(C)에 연결되어 이송장치(C)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블록(80)과,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의 상면을 인접방향으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도록 하는 밀착기구(90)와,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되어 밀착기구(90)에 의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된 간지(1)의 중간부를 집어올릴 수 있도록 된 고정기구(10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블록(80)은 수평방향으로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장치(C)의 실린더기구(70)에 고정된다.
상기 밀착기구(9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된 구동장치(91)와, 상기 구동장치(91)에 연결되어 구동장치(91)의 작동에 따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한쌍의 구동블록(92)과, 상기 구동블록(92)에 구비되며 상기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9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91)는 이송블록(8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하측에는 공압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축(91a)이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포트(91b)로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회동축(91a)이 일정각도(θ) 범위에서 정역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블록(92)은 길이가 긴 아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구동장치(91)의 회동축(91a)에 고정결합되어 구동장치(91)의 작동시 상기 회동축(91a)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선단부가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블록(92)은 선단부가 상기 회전중심축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선(L)에 비해 외측으로 소정각도 벌어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착부(93)는 상기 구동블록(92)에 원웨이베어링(93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93b)과, 상기 회전축(93b)에 결합되는 마찰휠(93c)로 구성된다. 상기 원웨이베어링(93a)은 상기 구동블록(92)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93b)은 양단이 구동블록(92)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원웨이베어링(93a)에 결합되며, 상기 마찰휠(93c)은 상기 회전축(93b)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마찰휠(93c)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웨이베어링(93a)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키를 구비하여, 상기 외륜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륜이 자유롭게 회전하고 외륜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키가 끼워져 내륜과 외륜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기구로서, 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휠(93c)의 하단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만 회전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마찰휠(93c)이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원웨이베어링(93a)은 낚싯대용 릴이나 자전거의 바퀴 등에 널리 사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마찰휠(93c)의 둘레면에는 마찰력이 높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마찰부재(93d)가 구비되어, 마찰휠(93c)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93) 특히 마찰휠(93c)이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장치(91)의 회전축(93b)을 회전시켜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상호 인접되도록 하면, 상기 구동블록(92)에 의해 마찰휠(93c)이 호형의 궤적을 따라 하강되면서 상호 인접되며 이때, 상기 회전축(93b)은 상기 원웨이베어링(93a)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마찰휠(93c)에 의해 간지(1)의 중간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밀려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휠(93c)이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웨이베어링(93a)의 고정이 해제되어 마찰휠(93c)이 회전된다.
상기 고정기구(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블록(8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가이드(101)와, 상기 승강가이드(101)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101)를 승강시키는 보조실린더기구(102)와, 상기 밀착부(9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간지(1)를 흡착하여 집어올리는 흡착헤드(103)로 구성되어, 보조실린더기구(102)를 신축시켜 승강가이드(101)와 흡착헤드(103)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블록(92)과 밀착부(93)를 이용하여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도록 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실린더기구(102)로 흡착헤드(103)를 하강시켜 간지(1)의 중간부를 흡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지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커(D)가 트레이(B)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장치(A)에 의해 케이스(2)에 리드프레임이 공급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91)에 의해 구동블록(92)이 벌어짐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B)의 상승기구(20)에 의해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가 상측으로 밀어올 려진다. 이때, 상기 간지(1)는 양단 상면이 상기 트레이본체(10)의 걸림턱(12)에 걸려 일정높이 이상 상승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간지(1)의 양단이 상기 걸림턱(12)과 승강판(21)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C)의 실린더기구(70)가 신장되어 밀착부(93)가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피커(D)가 하강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91)에 의해 구동블록(92)이 회동되면 상기 밀착부(93)가 상호 인접되도록 전진되면서 밀착부(93)에 의해 밀착된 간지(1)의 상면을 가운데방향으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게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93b)은 원웨이베어링(93a)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동블록(92)은 선단부가 호형상을 그리도록 하강되면서 인접되므로, 마찰휠(93c)의 하측면이 간지(1)의 상면 중간부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중간부로 밀어내므로, 가장 위쪽에 올려져 있는 간지(1)의 중간부만이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실린더기구(102)에 의해 흡착헤드(103)가 하강되어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른 간지(1)의 중간부를 흡착하여 고정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91)에 의해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서로 벌어지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원웨이베어링(93a)은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벌어질 때는 상기 회전축(93b)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벌어질때 마찰휠(93c)이 간지(1)의 면에 마찰되어 마찰휠(93c)이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블록(92)이 완전히 후퇴되어 벌어지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승기구(20)의 에어실린더(23)가 축소되어 승강판(21)과 함께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가 하강되도록 한 후, 상기 이송장치(C)로 피커(D)를 들어올려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이송 및 공급하여, 케이스(2)에 공급된 리드프레임의 상면에 한 장의 간지(1)를 올려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지공급장치는 단순히 흡착헤드(103)를 이용하여 간지(1)를 흡착하는 종래의 간지공급장치와 달리,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의 상면을 인접방향으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도록 하는 밀착기구(90)가 구비되어, 가장 위에 있는 간지(1)의 중간부를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기구(10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솟아오른 한 장의 간지(1)의 중간부 만을 집어올릴 수 있으므로, 여러장의 간지(1)가 한거번에 딸려 올라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밀착기구(90)의 밀착부(93)는, 상기 구동블록(92)에 원웨이베어링(93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93b)과, 상기 회전축(93b)에 결합된 마찰휠(93c)로 구성되어, 구동블록(92)이 인접되도록 전진될 때는 마찰휠(93c)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구동블록(92)이 벌어지도록 후퇴될 때는 마찰휠(93c)이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블록(92)이 후퇴될 때 마찰휠(93c)이 조금 회전됨에 따라 다음번 마찰휠(93c)이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될 때는, 마찰휠(93c)의 다른 면이 간지(1)의 상면에 닿게 된다. 즉, 마찰휠(93c)이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될 때마다 마 찰휠(93c)의 둘레면의 서로 다른 면이 간지(1)에 밀착되므로, 마찰휠(93c)의 일부분만이 간지(1)와 마찰되어 편마모되거나, 간지(1)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 등이 마찰휠(93c)의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달라붙어 마찰휠(93c)의 마찰력이 급속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구동블록(92)은 전후진시 선단부가 상호 인접되도록 호를 그리며 하강되게 되므로, 마찰휠(93c)의 하측면이 간지(1)의 상면 중간부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중간부로 밀게되며, 따라서, 가장 위쪽에 놓여진 간지(1)의 중간부만이 정확하게 상측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B)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간지(1)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이본체(10)와, 트레이본체(10)에 적재된 간지(1)를 상향가압하는 상승기구(2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본체(10)에는 내부에 적재된 간지(1)의 양단 상면이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되므로, 간지(1)의 양단 상면이 상기 상승기구(20)와 걸림턱(1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밀착기구(90)를 이용하여 간지(1)의 상면을 중간부로 밀 때 가장 위쪽에 올려진 간지(1)를 제외한 다른 간지(1)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간지공급장치는 케이스(2)에 공급된 리드프레임의 상면에 간지(1)를 공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것 이외에,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를 한 장씩 들어올려 이송하는 곳에는 모두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블록(92)은 상기 구동장치(91)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블록(92)을 상기 이송블록(80)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구동장치(91)에 의해 구동블록(92)이 상호 인접되도록 전후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C)는 전술한 가이드레일(50)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로봇팔 등과 같이, 상기 피커(D)를 왕복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은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93)는 전술한 마찰휠(93c)을 구비하는 것 이외에, 상기 구동블록(92)의 단부에 부착고정되는 마찰시트형태로 구성하거나, 상기 구동블록(92)의 단부에 흡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흡기공을 이용하여 간지(1)의 상면이 구동블록(92)에 흡착되도록 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구(100)는 진공을 이용하는 흡착헤드(103)로 간지(1)를 집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첩착테이프 또는 기계식 피커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간지(1)의 중간부를 집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를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트레이와 피커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트레이와 피커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피커를 도시한 정면도,
도 8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Claims (4)

  1. 간지(1)를 한 장씩 들어올려 이송 또는 공급하는 간지공급장치에 있어서,
    간지(1)가 적재된 트레이(B)와, 상기 트레이(B)의 일측에 구비된 이송장치(C)와, 상기 이송장치(C)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를 한 장씩 집어내는 피커(D)를 포함하며,
    상기 피커(D)는 상기 이송장치(C)에 연결되어 이송장치(C)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블록(80)과;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B)에 적재된 간지(1)의 상면을 인접방향으로 밀어 간지(1)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도록 하는 밀착기구(90)와;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되어 밀착기구(90)에 의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상승된 간지(1)의 중간부를 집어 올릴 수 있도록 된 고정기구(100)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기구(90)는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된 구동장치(91)와, 상기 구동장치(91)에 연결되어 구동장치(91)의 작동에 따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한쌍의 구동블록(92)과, 상기 구동블록(92)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9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블록(92)은 기단부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동블록(92)이 인접될 때 구동블록(92)의 선단부가 호를 그리며 하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기구(90)는 상기 이송블록(80)에 구비된 구동장치(91)와, 상기 구동장치(91)에 연결되어 구동장치(91)의 작동에 따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한쌍의 구동블록(92)과, 상기 구동블록(92)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간지(1)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93)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93)는 상기 구동블록(92)에 원웨이베어링(93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93b)과, 상기 회전축(93b)에 결합된 마찰휠(93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B)는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간지(1)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이본체(10)와, 트레이본체(10)에 적재된 간지(1)를 상향가압하는 상승기구(2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본체(10)에는 내부에 적재된 간지(1)의 양단 상면이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공급장치.
KR1020090133056A 2009-12-29 2009-12-29 간지공급장치 KR100959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56A KR100959288B1 (ko) 2009-12-29 2009-12-29 간지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56A KR100959288B1 (ko) 2009-12-29 2009-12-29 간지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288B1 true KR100959288B1 (ko) 2010-05-26

Family

ID=4228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056A KR100959288B1 (ko) 2009-12-29 2009-12-29 간지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281A (zh) * 2022-04-13 2022-06-14 浏阳市颐和隆烟花集团有限公司 一种围招上纸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079A (ja) * 1991-08-30 1993-03-09 Juki Corp 冊子の頁めくり装置
JPH08169578A (ja) * 1994-12-20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基板の投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74249A (ko) * 1999-05-19 2000-12-15 김형벽 간지 자동 삽입장치
JP2003206041A (ja) * 2002-01-16 2003-07-22 Tec:Kk 積重ねたシートのピックアップ方法と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079A (ja) * 1991-08-30 1993-03-09 Juki Corp 冊子の頁めくり装置
JPH08169578A (ja) * 1994-12-20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基板の投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74249A (ko) * 1999-05-19 2000-12-15 김형벽 간지 자동 삽입장치
JP2003206041A (ja) * 2002-01-16 2003-07-22 Tec:Kk 積重ねたシートのピックアップ方法と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281A (zh) * 2022-04-13 2022-06-14 浏阳市颐和隆烟花集团有限公司 一种围招上纸机构
CN114620281B (zh) * 2022-04-13 2024-03-01 浏阳市颐和隆烟花集团有限公司 一种围招上纸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2877B (zh) 工件搬運方法及工件搬運裝置
TW201350411A (zh) 基板之垂直搬送裝置
TW200831377A (en) Processing table
KR101769139B1 (ko) 필름 박리 시스템
KR100959288B1 (ko) 간지공급장치
KR101427323B1 (ko) 타이어 휠 보호용 패드 공급장치
WO2018139244A1 (ja) アライメント装置
CN110143398B (zh) 搬运装置
KR100959200B1 (ko) 용지공급장치
KR100633848B1 (ko) 기판 반입출 장치 및 기판 반입출 방법, 기판 반송장치 및기판 반송방법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JP5105592B2 (ja) 葉状農産物の供給装置
KR102165875B1 (ko)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JP5188460B2 (ja) 基板取出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供給装置
CN218370439U (zh) 上料机构
JP3909597B2 (ja) 基板搬入出装置
KR102129531B1 (ko) 디스플레이 포장용 간지 이송 장치
CN112374156B (zh) 一种硬盘基片自动搬运机
CN220920911U (zh) 一种舟皿装纸装置
CN216001787U (zh) 一种片材丝印设备
KR100896456B1 (ko) 인쇄회로기판의 자동 공급 반출 장치
CN219619554U (zh) 一种叠片加纸装置
JP7288260B2 (ja) 空袋供給装置
CN212373756U (zh) 上料装置及投袋生产线
KR100801176B1 (ko) 라미네이터용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