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249B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249B1
KR100958249B1 KR1020030024573A KR20030024573A KR100958249B1 KR 100958249 B1 KR100958249 B1 KR 100958249B1 KR 1020030024573 A KR1020030024573 A KR 1020030024573A KR 20030024573 A KR20030024573 A KR 20030024573A KR 100958249 B1 KR100958249 B1 KR 10095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ase
wall
ai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624A (ko
Inventor
이대웅
임종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2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28F9/002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with fastening means f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107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s, e.g. arrangements leading to a curved ai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단열재를 제거하여 응축수가 잔류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 줌으로써 자동차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증발기가 케이스 내벽에 일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의 공기유동 방향 상류 측에 상기 간극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응축수, 증발기, 케이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The Fastening Structure of an Evaporator to the Cas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단열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 1의 A-A 방향으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증발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10...증발기의 엔드플레이트(End Plate), 5...홈,
6, 11...돌기부,
7...누설차단수단(누설차단벽),
8...증발기(E)의 코어부, 9...리브(Rib),
12...오목부, C...케이스,
E...증발기, G...간극.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 주변에 설치된 단열재를 제거하여 단열재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자동차 실내에 쾌적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공기조화장치는 외부에서 도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자동차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도 1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케이스 중에서 센터 마운팅 형식(Center Mounting Type)으로 되어 있는 케이스(C)의 모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케이스 내부에서 화살표 F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증발기(E)를 통과하게 되는 데, 여기서 증발기(E)는 자동차의 엔진동력을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와 함께 주지의 냉동사 이클을 구성하는 공기 냉각용의 열교환기이다. 그리고, 히터코어(H)는 상기 증발기(E)보다 공기유동의 하류 측에 위치하며, 그 내부를 흐르는 엔진냉각수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용의 열교환기에 해당한다.
온도조절도어(1)에 의해 상기 증발기(E) 또는 상기 증발기(E)와 히터코어(H)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모드전환용 도어(미도시)에 의해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 시 상기 증발기(E)에는 그 내부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E) 주위에 응축수가 발생한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E)를 타고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케이스(C)의 하부로 낙하한 후, 케이스(C)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구(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용 케이스(C)는, 증발기(E) 내부의 차가운 냉매와 케이스(C)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과정 중 상기 케이스(C) 외벽에 결로(結露)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발기(E) 주위에 씰(Seal) 또는 단열재 (Insulation)(3)를 부착하여 상기 케이스(C) 외벽의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증발기(E) 주위에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단열재(3)에 잔류하여 세균 등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또한 불쾌한 냄새를 유발함으로써 자동차 실내환경을 쾌적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단열재를 제거하여 응축수가 잔류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 줌으로써 자동차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발기가 케이스 내벽에 일정 간극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의 공기유동 방향 상류 측에 상기 간극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증발기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을 통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발기의 엔드플레이트(End Plate)와 케이스의 내벽은 서로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의 엔드플레이트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상기 홈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증발기의 엔드플레이트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상기 돌기부와 결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데, 종래와는 달리 증발기(E)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단열재(3)가 케이스(C)에서 제거되어 있고, 그 대신에 증발기(E)의 양단에 장착되어 있는 엔드플레이트(4)가 상기 케이스(C)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E)가 상기 케이스(C) 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에는 그 상ㆍ하부에 홈(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C)의 내벽에는 상기 홈(5)에 결합되는 돌기부(6)가 상기 케이스(C)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5)이 엔드플레이트(4)의 상ㆍ하부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홈(5)의 수와 위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C)의 내벽에는 누설차단수단, 예컨대 누설차단벽(7)이 소정의 높이로 상기 증발기(E)의 상류 측(공기 유동방향 기준)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누설차단벽(7)이 상기 케이스(C) 내벽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소정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별도부재로서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누설차단벽(7)은 상기 증발기(E) 코어부(8)로의 공기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C)의 내벽과 상기 증발기(E)의 외곽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G)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류 측에서 보아 상기 간극(G)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C)의 내벽과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을 통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C)의 내벽에는 리브(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C) 돌기부(6)의 전후로 각각 1개의 리브(9)가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리브(9)의 수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종래 케이스(C)에 설치되어 있던 단열재(3)를 제거하는 대신에,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에 형성되어 있는 홈(5)에 상기 케이스(C)의 내벽의 돌기부(6)가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E)가 상기 케이스(C)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케이스(C)와 증발기(E)의 고정구조에서와 같이 응축수가 단열재(3)에 잔류하여 세균서식 등의 차량 실내의 불쾌한 환경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없어진다. 즉, 자동차의 에어콘 시스템이 작용하여 증발기(E)의 내부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케이스(C) 내부로 송풍된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는, 제거된 단열재(3)에 잔류하지 못하고 상기 케이스(C) 하부의 내벽을 따라 흘러, 최종적으로 상기 케이스(C)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를 통하여 케이스(C)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의 경우에서 단지 단열재(3)만을 제거할 경우에는, 증발기(E) 외곽과 케이스(C) 내벽 사이의 간극(G)으로 공기가 누설되어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냉방성능이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누설차단벽(7)은 케이스(C) 내벽과 증발기(E) 외곽 사이의 간극(G)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리브(9)는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와 상기 케이스(C) 내벽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차단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에 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C)의 내벽에 돌기부(6)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10)에 돌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C)의 내벽에 상기 돌기부(11)와 결합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항을 제외한, 제2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씰 또는 단열재를 제거하고, 증발기를 케이스 내벽과 일정간극을 갖도록 고정결합함으로써 응축수가 케이스 내벽 또는 증발기 단열재(seal) 등에 잔류하여 악취, 세균 번식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증발기(E)가 케이스(C) 내벽에 일정 간극(G)을 갖도록 결합되고,
    상기 증발기(E)의 공기유동 방향 상류 측에 상기 간극(G)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차단벽(7)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 10)에는 홈(5) 또는 돌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C)의 내벽에는 상기 홈(5)에 결합되는 돌기부(6) 또는 상기 돌기부(11)와 결합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C)의 내벽과 상기 증발기(E)의 엔드플레이트(4, 1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을 통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C)의 내벽에는 리브(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5. 삭제
KR1020030024573A 2003-04-18 2003-04-18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KR10095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573A KR100958249B1 (ko) 2003-04-18 2003-04-18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573A KR100958249B1 (ko) 2003-04-18 2003-04-18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624A KR20040090624A (ko) 2004-10-26
KR100958249B1 true KR100958249B1 (ko) 2010-05-17

Family

ID=3737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573A KR100958249B1 (ko) 2003-04-18 2003-04-18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044B1 (ko) * 2005-03-29 2012-09-2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케이스의 리브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8130A (ja) * 1994-08-10 1996-02-20 Mitsui Toatsu Chem Inc 車両空調装置用合成樹脂製熱交換器ケース
JPH1086653A (ja) 1996-09-17 1998-04-07 Calsonic Corp 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20000015085U (ko) * 1998-12-31 2000-07-25 신영주 열교환기 엔드플레이트 실
KR20020075095A (ko) * 2001-03-23 2002-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증발기 유닛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8130A (ja) * 1994-08-10 1996-02-20 Mitsui Toatsu Chem Inc 車両空調装置用合成樹脂製熱交換器ケース
JPH1086653A (ja) 1996-09-17 1998-04-07 Calsonic Corp 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20000015085U (ko) * 1998-12-31 2000-07-25 신영주 열교환기 엔드플레이트 실
KR20020075095A (ko) * 2001-03-23 2002-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증발기 유닛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624A (ko) 200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1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0434843B2 (en) Air-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EP1482251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H101653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95824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KR1011503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96437B1 (ko)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86044B1 (ko) 자동차용 공조케이스의 리브구조
KR1021032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7803B1 (ko) 자동차용 공조케이스
KR20040090623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KR10074448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49763A (ko) 축냉 열교환기
KR101151524B1 (ko) 자동차 공조케이스의 히터코어 장착구조
KR200152493Y1 (ko) 컨덴서 실링 구조물
KR100907522B1 (ko) 공조유니트의 에어필터 커버
KR10086973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KR200364965Y1 (ko) 공기 조화 장치의 공조 케이스
KR20050120924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H07159070A (ja) ヒートシンクの冷却装置
KR1021213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590630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2101551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0113711Y1 (ko) 자동차공조기의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