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493Y1 - 컨덴서 실링 구조물 - Google Patents

컨덴서 실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493Y1
KR200152493Y1 KR2019950026185U KR19950026185U KR200152493Y1 KR 200152493 Y1 KR200152493 Y1 KR 200152493Y1 KR 2019950026185 U KR2019950026185 U KR 2019950026185U KR 19950026185 U KR19950026185 U KR 19950026185U KR 200152493 Y1 KR200152493 Y1 KR 200152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radiator
sealing structure
sealing memb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715U (ko
Inventor
장문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6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493Y1/ko
Publication of KR970014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온 컨덴서 실링 구조물(10)에 관한 것이다.
컨덴서(12)의 양측면에 브라켓트(24)가 각각 고정되고, 실링부재(22)의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트(24)에 끼워지며, 실링부재(22)의 다른 단부는 라디에이터(14) 부분에 밀착적으로 접촉된다.

Description

컨덴서 실링 구조물
제1도는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덴서 실링 구조물이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덴서 실링 구조물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덴서 실링 구조물 12 : 컨덴서
14 : 라디에이터 16 : 컨덴서 파이프
18 : 컨덴서 튜브 20 : 라디에이터 튜브
22 : 실링부재 24 : 브라켓트
26 : 끼워맞춤부 28 : 밀착부
30 : 철심코어 32 : 엔드립(end lip)
34 : 목부분 36 : 가이드부재
50 : 컨덴서 52 : 라디에이터
54 : 핀 56 : 라디에이터 코어
본 고안은 컨덴서 실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컨덴서의 행방성능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크기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엔진룸내의 좁은 공간에 대한 정비성을 개선하게 되는 컨덴서 실링구조물(condensor seal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냉방장치는 냉방을 통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감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냉방장치로부터 생성되는 냉기의 풍량은 차실내에 제공되는 컨트를 모드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냉방장치는 이베퍼레이터, 컴프레서 및 컨덴서를 포함한다. 이베퍼레이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되며,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컨덴서로 송출된다. 컨덴서로 송출된 냉매는 외기에 의해 냉각응축되어 높은 압력의 액체로 변화되고, 컨덴서로 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리시버/에어 드라이어 및 팽창밸브를 경유하여 이베퍼레이터로 공급되어 이베퍼레이터 코일을 냉각시키면서 열을 흡수하게 된다. 열을 흡수한 냉매는 저압의 중기로 되어 다시 컴프레서로 공급되어 사이클링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컨덴서의 후방에는 라디에이터가 배설되며(disposed), 라디에이터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는 냉각수 통로를 따라 유동되면서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위해 사용되고, 엔진에서 뜨거워진 냉각수를 방열핀을 통하여 통과시켜 공기와 접촉하게 하므로써 냉각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제2도에는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컨덴서(50)의 후방에는 라디에이터(52)가 위치되고, 라디에이터(52)의 후방에는 쿨링팬 또는 전동팬(도시안정)이 설치된다. 쿨링팬 또는 전동팬의 작동에 따라, 외기(공기)가 상기 컨덴서(50) 및 라디에이터(52)를 통과하면서 흡입되어 컨덴서(50)내의 냉매 및 라디에이터(52)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컨덴서(50) 및 라디에이터(52)를 통과한 공기는 엔진을 향하여 유동되어 엔진을 냉각시키게 된다. 도면부호(54)는 컨덴서에 부착되는 핀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56은 라디에이터 코어(방열핀)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덴서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구조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덴서를 통과한 공기의 전량이 라디에이터로 공급되지 못하고 라디에이터의 측방향 또는 상 방향으로 누출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에서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컨덴서를 통과한 공기가 라디에이터의 측방 또는 상하방으로 누출되면서 전방을 억류되어 다시 컨덴서로 유입되므로써, 컨덴서의 냉매 냉각성능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냉각용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컨덴서 및/또는 라디에이터가 필연적으로 커질 수 밖에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엔진룸내 좁은 공간에서의 정비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컨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구조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컨덴서의 냉방성능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크기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엔진룸내의 좁은 공간에 대한 정비성을 개선하게 되는 컨덴서 실링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컨덴서 실링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컨덴서 실링 구조물은,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컨덴서 실링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컨덴서 실링 구조물은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컨덴서의 양측면에 브라켓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트에 끼워지며, 상기 실링부재의 다른 단부는 상기 라디에이터 부분에 밀착적으로 접촉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는 상기 컨덴서의 상기 측면부분과 각각 일체로 성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가 끼워맞춤부 및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내부에는 철심코어(steel core)가 제공되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면에 접촉되는 상기 끼워맞춤부에는 엔드립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개구부(opening)를 구비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부분에 접촉될 때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되는 상기 라디에이터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는 컨덴서의 상하면에도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브라켓트가 상기 컨덴서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컨덴서 파이프에 고정되며, 상기 컨덴서 파이프의 당면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는 러버재료 또는 EPDM(etyline-propylene terpolymer)재료로 제조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공기의 누출이 방지되므로, 컨덴서의 냉방성능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크기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엔진룸내의 좁은 공간에 대한 정비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상용하기로 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덴서 실링 구조물이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컨덴서 실링 구조물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컨덴서 및 라디에이터의 일반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서두부분에서 명확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컨덴서 실링 구조물(10)은 실링부재(22), 브라켓트(24) 및 가이드부재(36)를 포함한다.
컨덴서(12)의 양측면에 있는 컨덴서 파이프(16)에는 브라켓트(24)의 전방단부가 접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각각의 브라켓트(24)의 후방단부는 자유단부로 된다. 라디에이터(14)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부재(36)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재(36)는 ㄷ 자형의 단면형상을 취하게 된다. 도면부호 18은 컨덴서 튜브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20은 라디에이터 튜브를 나타낸다.
상기 컨덴서 파이프(16)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되고, 외와 같은 원형또는 타원형 단면의 컨덴서 파이프(16)은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신냉매를 사용하는 신냉매용 컨덴서(paralles flow condensor)에 사용되어 기존 컨덴서의 가이드 철판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실링부재(22)는 서로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끼워맞춤부(26) 및 밀착부(28)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부(26)와 밀착부(28)는 목부분(34)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끼워맞춤부(26)는 상기 브라켓트(24)의 상기 후방단부에 끼워지며, 상기밀착부(28)는 상기 가이드부재(36)에 대해 밀착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실링부재(22)는 컨덴서(12)를 통과한 공기가 라디에이터(14)의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트(24)가 신냉매용 컨덴서(12)의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16)에 고정되므로써, 상기 실링부재(22)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상기 실링부재(22)의 상기 끼워맞춤부(26)의 내부에는 철심코어(30)가 제공되고, 상기 철심코어(30)는 U형 단면형상을 취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트(24)에 끼워지는 상기 끼워맞춤부(26)의 부분에는 엔드립(32)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립(32)온 브라켓트(24)의 양면에 대해 밀착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밀착부(28)는 고리의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라디에이터(14)에 접촉될때 상기 고리부가 변형되므로써 라디에이터(14)에 대한 밀착성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22)는, 예컨데 EPDM(etylene - prpylend terpolymer)또는 러버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트(24)가 상기 컨덴서 파이프(16)에 용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브라켓트(24)가 상기 컨덴서파이프(16)와 일체로성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22)가 컨덴서(12)와 라디에이터(14)의 사이에서 상하면에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출이 방지되므로, 컨덴서의 냉방성능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며, 컨덴서와 라디에이터의 크기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엔진룸 내의 좁은 공간에 대한 정비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8)

  1.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서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컨덴서 실링 구조물에 있어서, 컨덴서와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덴서의 양측면에 브라켓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트에 끼워지며, 상기 실링부재의 다른 단부는 상기 라터에이터 부분에 밀착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가 상기 컨덴서의 상기 측면 부분과 각각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끼워맞춤부 및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내부에는 철심코어가 제공되며, 상기 브라켓트의 양면에 접촉되는 상기 끼워맞춤부에는 엔드립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부분에 접촉될 때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되는 라디에이터 부분에 가이드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컨덴서의 상하면에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가 상기 컨덴서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컨덴서 파이프에 고정되며, 상기 컨덴서 파이프의 단면형상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8. 제1항에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러버 또는 EPDM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덴서 실링 구조물.
KR2019950026185U 1995-09-26 1995-09-26 컨덴서 실링 구조물 KR200152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185U KR200152493Y1 (ko) 1995-09-26 1995-09-26 컨덴서 실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185U KR200152493Y1 (ko) 1995-09-26 1995-09-26 컨덴서 실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715U KR970014715U (ko) 1997-04-28
KR200152493Y1 true KR200152493Y1 (ko) 1999-07-15

Family

ID=1942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185U KR200152493Y1 (ko) 1995-09-26 1995-09-26 컨덴서 실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4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793B1 (en) * 1997-02-06 2001-05-15 Calsonic Kansei Corporation Integral type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715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493Y1 (ko) 컨덴서 실링 구조물
CN211166339U (zh) 一种汽车冷却系统及汽车
JPH0510125A (ja) 車両用水冷式エンジンの冷却装置
EP1500536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cooling fan
JP3769907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の搭載構造
JP2007112271A (ja) 蓄冷パック及び蓄冷式冷房ユニット
JPH09207554A (ja) 空調ユニット
KR100214956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매냉각장치
KR10095824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US20240124067A1 (en) Vehicle front end assembly
KR19980073360A (ko) 공/수냉식 겸용 응축기
CN212046795U (zh) 一种集成散热和冷凝的装置
KR1017793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1519243U (zh) 一种高效车用暖风散热器系统
JPH0710897Y2 (ja) 自動車用熱交換器
JPH0230698Y2 (ko)
KR200175557Y1 (ko) 자동차용 증발기의 결빙방지용 냉각핀
KR100308382B1 (ko) 에어콘실외기
KR100373251B1 (ko) 냉방장치용 응축기 어셈블리
KR0130013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 컨덴서 및 라디에이터의 설치구조
KR0120090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냉각장치
JPS6113706Y2 (ko)
KR100235875B1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 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JP2001039151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CN117804152A (zh) 一种车载冰箱压缩机散热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