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47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47B1
KR102121347B1 KR1020140151835A KR20140151835A KR102121347B1 KR 102121347 B1 KR102121347 B1 KR 102121347B1 KR 1020140151835 A KR1020140151835 A KR 1020140151835A KR 20140151835 A KR20140151835 A KR 20140151835A KR 102121347 B1 KR102121347 B1 KR 10212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frigerant inlet
air conditioning
outlet pipes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369A (ko
Inventor
한영흠
김두훈
김철희
김현규
한중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공조케이스와 냉매 입,출구 파이프 간의 실링 구조를 개선하고 장착 시 진동의 유발을 최소화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게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로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 입,출구 파이프의 단부는 증발기의 헤드탱크에 결합되고,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삽입되는 헤드탱크의 결합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탱크가 안착되는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돌기부와 면접촉되는 실링홈이 형성된다.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공조케이스 간 및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증발기 간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조케이스 내,외부 간의 이물질 유동을 차단하며, 기밀 구조의 장착이 간결하고 용이하며 장착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 연결되는 냉매 입,출구파이프와 공조케이스 간을 실링(Sealing)하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송풍장치(10)와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송풍장치(10)는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 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고 있다.
공조케이스(40)는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되어 히터코어(4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와 히터코어(42)를 바이패스 하는 냉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에는 각각 모드도어(46)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조모드에 따라 해당 공기토출구(44)를 개폐한다.
상기 증발기(41)는 냉매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냉매 입,출구 파이프(47)를 구비한다. 상기 냉매 입,출구 파이프(47)는 단부가 증발기(41)의 헤드탱크 측에 결합되며, 공조케이스(40)의 관통 구멍을 통해 공조케이스(4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팽창밸브와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40)와 냉매 입,출구 파이프(47) 간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조케이스(40) 내부의 공조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고, 인로 인해 결로 현상이 발생하거나 차내로 물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조케이스와 냉매 입,출구 파이프 간의 실링 구조를 개선하고 장착 시 진동의 유발을 최소화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로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 입,출구 파이프의 단부는 증발기의 헤드탱크에 결합되고,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삽입되는 헤드탱크의 결합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탱크가 안착되는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돌기부와 면접촉되는 실링홈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헤드탱크의 결합부는 헤드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가스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켓의 내측에 냉매 입,출구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돌기부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삽입되는 가스켓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공조케이스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삽입되는 공조케이스의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는 차단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냉매 입,출구 파이프의 단부 측 둘레에 형성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공조케이스의 관통공의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실링부재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헤드탱크의 결합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공조케이스 간 및 냉매 입,출구 파이프와 증발기 간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조케이스 내,외부 간의 이물질 유동을 차단하며, 기밀 구조의 장착이 간결하고 용이하며 장착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및 냉매 입,출구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결합된 공조케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공조케이스(110) 내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증발기(101)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와, 공조케이스(110) 내로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한다.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13), 페이스 벤트(114), 플로어 벤트(11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유입구(112)와 각 벤트(113)(114)(115)들을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통로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6)를 구비한다. 각 벤트(113)(114)(115)에는 다수의 모드도어(113a)(114a)(115a)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및 냉매 입,출구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증발기(101)는 다수개의 튜브(1013)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각 튜브(1013)들 사이에는 방열핀이 구비된다. 각 튜브(1013)의 양측에는 한 쌍의 헤드탱크(1011)(1012)가 구비된다.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는 증발기(101)의 헤드탱크(1011)에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결합된 공조케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입,출구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되는 헤드탱크(1011)의 결합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016)가 형성된다. 아울러, 헤드탱크(1011)가 안착되는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실링홈(1105)이 형성된다. 실링홈(1105)은 돌기부(1016)를 삽입시키며, 돌기부(1016)와 면접촉되어 면실링을 형성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10)와 증발기(101) 간의 틈새가 면실링을 통해 더욱 기밀적으로 차단되어,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조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조케이스 내,외부 간의 이물질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탱크(1011)의 결합부는 헤드탱크(10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가스켓(1015)으로 구성된다. 가스켓(1105)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는 증발기(101)의 헤드탱크(1011)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의 외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016)가 형성된다. 즉, 가스켓(1015)의 내측에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가 삽입되며, 돌기부(1016)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되는 가스켓(1015)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가스켓(1015)은 일측 단부가 증발기(101)의 헤드탱크(10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로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됨에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된 측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돌기부(1016)는 공조케이스(110)에 형성된 실링홈(1105)에 압착되어 밀착력이 증대됨에 따라 실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돌기부(1016)는 가스켓(1015)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삽입에 따라 돌기부(1016)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실링홈(1105)에 압착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차단 리브(210)를 구비한다. 차단 리브(21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되는 공조케이스(110)의 관통공(1103)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다. 아울러, 차단 리브(21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된다. 차단 리브(210)는 공조케이스(110)로부터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차단 리브(210)는 공조케이스(110)의 관통공(1103)과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 간의 틈새를 기밀적으로 차단하여 실링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지지 면적을 늘려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더욱 안정적인 지지를 수행함에 따라 장착 시 진동의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실링 수단을 별물로 구비하지 않고 공조케이스(110)의 성형 시 함께 형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실링부재(220)를 더 구비한다. 실링부재(220)를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 측 둘레에 형성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와 공조케이스(110)의 관통공(1103)의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부재(220)는 압착 변형이 쉬운 고무, 우레탄 등의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다. 실링부재(22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둘레에 부착된 상태로 증발기(101) 및 공조케이스(11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2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길이 방향으로 헤드탱크(1011)의 결합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즉, 실링부재(22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에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외주면과 공조케이스(110)의 관통공(1103)의 사이 틈새와,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외주면과 가스켓(1015)의 사이 틈새는 더욱 완벽하게 기밀이 이루어진다.
결국, 실링부재(220)의 구성을 통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조립 시 공조케이스(110) 및 증발기(101) 간의 틈새를 동시에 차단이 가능하여, 기밀 구조의 장착이 간결하고 용이하며 장착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01 : 증발기 102 : 히터코어
110 : 공조케이스 112 : 공기유입구
113 : 디프로스트 벤트 114 : 페이스 벤트
115 : 플로어 벤트 113a,114a,115a : 모드도어
116 : 온도조절도어
1011,1012 : 헤드탱크 1013 : 튜브
147 : 냉매 입,출구 파이프 1015 : 가스켓
1016 : 돌기부 1105 : 실링홈
1103 : 관통공
210 : 차단 리브 220 : 실링부재

Claims (5)

  1.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에 설치되는 증발기(101)와, 상기 증발기(101)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로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는 증발기(101)의 헤드탱크(1011)에 결합되고,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되는 헤드탱크(1011)의 결합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016)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탱크(1011)가 안착되는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실링홈(1105)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탱크(1011)의 결합부는 헤드탱크(10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가스켓(1015)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켓(1015)의 내측에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돌기부(1016)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되는 가스켓(1015)의 단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1016)는 가스켓(1015)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삽입에 따라 돌기부(1016)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실링홈(1105)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가 삽입되는 공조케이스(110)의 관통공(1103)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둘레를 감싸는 차단 리브(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단부 측 둘레에 형성되어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와 공조케이스(110)의 관통공(1103)의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220)는 냉매 입,출구 파이프(147)의 길이 방향으로 헤드탱크(1011)의 결합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151835A 2014-11-04 2014-11-04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835A KR102121347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835A KR102121347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369A KR20160053369A (ko) 2016-05-13
KR102121347B1 true KR102121347B1 (ko) 2020-06-11

Family

ID=5602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835A KR102121347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3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053A (ja) * 2005-04-18 2006-11-0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8304A (ko) * 2013-01-02 2014-07-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파이프 밀봉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053A (ja) * 2005-04-18 2006-11-0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369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9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441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7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051860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87013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배관연결부재
KR1016922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1612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 고정부재
KR1021213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03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032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409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123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9539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4008830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파이프 밀봉 구조
KR1024568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15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장치
KR20150082801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54511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046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5824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와 증발기의 고정구조
CN107215170B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1600171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650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086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