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225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225B1
KR101692225B1 KR1020130026540A KR20130026540A KR101692225B1 KR 101692225 B1 KR101692225 B1 KR 101692225B1 KR 1020130026540 A KR1020130026540 A KR 1020130026540A KR 20130026540 A KR20130026540 A KR 20130026540A KR 101692225 B1 KR101692225 B1 KR 101692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fixture
pipe
outlet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181A (ko
Inventor
홍순래
한성석
정재원
김용호
윤서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2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와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탄성재질의 픽스츄어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엔진이나 압축기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입,출구파이프를 통해 공조케이스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부밍 노이즈(booming noise)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픽스츄어를 입,출구파이프에 인서트사출하여 누수방지는 물론 부품수 축소 및 조립 공정 간소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의 탄력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측에 일정압력으로 밀착되므로 수밀성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와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탄성재질의 픽스츄어를 설치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 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로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되어 히터코어(4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와 히터코어(42)를 바이패스 하는 냉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에는 각각 모드도어(46)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조모드에 따라 해당 공기토출구(44)를 개폐하게 된다.
도 2 는 상기한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Semi center type) 공조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부측에 형성된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22)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송풍하는 송풍장치(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미도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미도시)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도어(미도시)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41)는 냉매를 유입,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입,출구파이프(41a)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의 끝단부측에는 팽창밸브(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41b)가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팽창밸브와 결합을 위해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의 플랜지(41b)가 공조케이스(40)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40)의 전방측면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입,출구파이프(41a)를 지지하도록 파이프지지부(47)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40)는 통상적으로 상부케이스(40a)(40b)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일체형 하부케이스(40c)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a)(40b)와 하부케이스(40c)의 사이에 증발기(41)를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케이스(40a)(40b)의 결합면에 상기 파이프지지부(47)가 형성되므로 파이프지지부(47)도 상,하로 각각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조장치(1)에 의하면 상기 송풍장치(10)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4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공기는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히터코어를 선택적으로 거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연결된 각 덕트(미도시)를 통해 차량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시, 상기 증발기(41)는 그 내부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1) 주위에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물론, 상기 증발기(41)의 입,출구파이프(41a)에도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공조케이스(40)의 하부로 낙하한 후 공조케이스(4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만,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곧바로 공조케이스(40) 내부로 낙하할 수도 있지만 일부는 상기 입,출구파이프(41a)를 타고 흘러내려 상기 파이프지지부(47)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지지부(47)로 유입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40)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41b)의 후방측 입,출구파이프(41a)에 단열부재(48a)를 감고, 그 위에 좌,우로 분할된 플라스틱 재질의 픽스츄어(48b)를 스크류(48c)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48b)는 상기 단열부재(48a)가 감겨있는 입,출구파이프(41a)를 감싸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픽스츄어(48b)의 둘레에는 결합홈(48e)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지지부(47)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입,출구파이프(41a)를 고정하면서 플랜지(41b)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48b)의 앞쪽에는 NBR재질의 실링부재(48d)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에 각각 감겨지는 단열부재(48a), 좌,우로 분할된 플라스틱 재질의 픽스츄어(48b), 스크류(48c)와 같이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므로 원가가 증가함은 물론 조립도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48b)가 좌,우로 분할된 구조이므로 분할된 면을 통해 응축수가 누수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픽스츄어(48b)의 결합홈(48e)과 파이프지지부(47)간에 조립성을 위한 갭(GAP)이 있으므로 이 부분을 통해서도 응축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차량 엔진과 압축기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에어컨 배관과 상기 입,출구파이프(41a) 및 상기 픽스츄어(48b)를 통해 공조케이스(40)측으로 전달되는데,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40)가 진동을 일으켜 부밍 노이즈(booming noise)가 발생하거나, 상기 공조케이스(40)가 울림통 역할을 함으로 인해 부밍 노이즈를 증폭 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와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탄성재질의 픽스츄어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엔진이나 압축기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입,출구파이프를 통해 공조케이스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부밍 노이즈(booming noise)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픽스츄어를 입,출구파이프에 인서트사출하여 누수방지는 물론 부품수 축소 및 조립 공정 간소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의 탄력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측에 일정압력으로 밀착되므로 수밀성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부측에 플랜지가 결합된 입,출구파이프를 구비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내장함과 아울러 일측면에는 상기 입,출구파이프가 관통하도록 파이프지지부가 형성된 공조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파이프를 상기 파이프지지부측에 탄력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상기 입,출구파이프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면서 결합되는 내측결합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결합되는 외측결합부가 형성된 픽스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와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 사이에 탄성재질의 픽스츄어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엔진이나 압축기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입,출구파이프를 통해 공조케이스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부밍 노이즈(booming noise)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를 입,출구파이프에 인서트사출하여 누수방지는 물론 부품수 축소 및 조립 공정 간소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를 고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픽스츄어의 탄력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측에 일정압력으로 밀착되므로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수밀성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요홈에 엠보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와의 접촉 면적이 축소되어 진동 전달을 더욱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서 상,하부케이스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서 픽스츄어가 하부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입,출구파이프에 픽스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픽스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픽스츄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픽스츄어를 공조케이스의 파이프지지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플랜지를 대쉬패널에 결합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13), 페이스 벤트(114), 플로어 벤트(11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2)와 각 벤트(113)(114)(115)들을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111)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1)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통로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차량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패널(dash panel)(105)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후 히터코어(102)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와 연통하는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벤트(113)(114)(115)에는 다수의 모드도어(113a)(114a)(115a)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2)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는 복수개의 튜브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튜브들의 사이에는 방열핀이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냉매를 유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입,출구파이프(101a)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끝단부에는 팽창밸브(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101b)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01b)는 입,출구파이프(101a)를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팽창밸브와 결합을 위해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플랜지(101b)가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전방측면)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지지하도록 파이프지지부(130)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상부케이스(110a,110b)와 하부케이스(110c)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파이프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부케이스(110a,110b)와 하부케이스(110c)로 분할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0a,110b)는 상기 증발기(101)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분할된 좌,우측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110c)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증발기(101)의 장착성을 위해 상부케이스(110a,110b)와 탈착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되며 아울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0c)에는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응축수 배출구(110d)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가 분할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지지부(130)도 상,하로 분할되어 파이프지지부(130)의 반쪽은 상부케이스(110a)에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은 하부케이스(110c)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의 결합시 하나의 파이프지지부(13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의 입,출구파이프(101a)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파이프지지부(130)측에 탄력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픽스츄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픽스츄어(120)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와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대해 입,출구파이프(101a)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픽스츄어(12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탄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과 압축기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에어컨 배관과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측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파이프지지부(130) 사이를 상기 고무재질의 픽스츄어(120)가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서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부밍 노이즈(booming noise)를 차단하게 되며, 이로인해 차실내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120)가 고무재질의 단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수 축소 및 조립 공정 간소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무재질인 픽스츄어(120)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상기 픽스츄어(120)를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 인서트사출하여 결합함으로서, 조립 공정을 더욱 간소화 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상기 픽스츄어(120)를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 끼움 결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픽스츄어(120)의 내측결합부(121)를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120)를 입,출구파이프(101a)에 끼움 결합하더라도 상기 픽스츄어(120)의 탄력으로인해 픽스츄어(120)와 입,출구파이프(101a)의 사이로 응축수가 누수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수밀성도 향상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픽스츄어(120)를 고무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픽스츄어(120)의 탄력에 의해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측과 파이프지지부(130)측에 동시에 일정압력으로 밀착되게 되어 누수 방지 및 수밀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픽스츄어(120)는, 내측에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면서 결합되는 내측결합부(121)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에 결합되는 외측결합부(1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픽스츄어(120)에는 상기 서로 이격된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2개의 내측결합부(121)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결합부(125)는, 상기 픽스츄어(120)의 둘레에 상기 파이프지지부(130)가 끼움 결합되어 밀착되도록 요홈(12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홈(126)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지지부(130)가 상기 요홈(126)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이때 상기 픽스츄어(120)가 고무재질이므로 상기 픽스츄어(120)의 요홈(126)이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측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120)의 요홈(126)과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의 사이를 통해 응축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결합부(121)의 일단부에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리브(1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픽스츄어(120)의 내측결합부(121)가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긴 하나,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리브(122)가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을 한번더 밀착하게 되므로, 상기 픽스츄어(120)의 내측결합부(121)와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사이를 통한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수밀성을 향상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브(122)의 내경은 상기 내측결합부(121)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12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요홈(126)에는,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와의 접촉 면적을 축소하여 진동 전달을 최소화하는 엠보부(127)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엠보부(127)는, 상기 요홈(126)의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엠보부(127)는 상기 요홈(126)의 양측면 끝단 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120)의 요홈(126)에 상기 파이프지지부(130)가 끼움 결합되면 상기 복수개의 엠보부(127)에 의해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며, 이로인해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진동이 픽스츄어(120)를 통해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픽스츄어(120)의 요홈(126) 바닥면에 엠보부(127)를 돌출 형성하더라도 상기 요홈(126) 내부의 양측면이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와 밀착되므로 응축수가 누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 결합된 플랜지(101b)는 차량 대쉬패널(105)의 관통공(106)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플랜지(101b)의 둘레에는 실링블록(140)이 설치된다.
상기 실링블록(140)은 상기 플랜지(101b)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대쉬패널(105)과 공조케이스(110)의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대쉬패널(105)과 공조케이스(110)의 사이를 통해 응축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증발기(101)의 입,출구파이프(101a) 외주면에 상기 고무재질의 픽스츄어(120)를 인서트사출하거나 또는 끼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픽스츄어(120)를 입,출구파이프(101a)에 끼움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상에 픽스츄어(120)를 먼저 끼움 결합 한 후에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단부측에 플랜지(101b)를 결합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하부케이스(110c)에 증발기(101)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픽스츄어(120)의 하부측 요홈(126)을 상기 하부케이스(110c)의 파이프지지부(130)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증발기(101)가 내장된 하부케이스(101c) 위에 상부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게 되면, 하부케이스(101c)의 파이프지지부(130)와 상부케이스(110a)의 파이프지지부(130)가 조립되면서 하나의 파이프지지부(130)가 만들어지며, 이때 상기 픽스츄어(120)의 상부측 요홈(126)이 상기 상부케이스(110a)의 파이프지지부(13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지지부(130)내에서 상기 픽스츄어(120)를 통해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의 조립과정에서 히터코어(102), 온도조절도어(116), 모드도어(113a,114a,115a) 등과 같은 다른 기타 부품들도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조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차량의 대쉬패널(105) 후방측에 공조케이스(110)를 장착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플랜지(101b)가 대쉬패널(105)의 관통공(106)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조립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플랜지(101b)의 둘레에 설치된 실링블록(140)이 상기 대쉬패널(105)과 공조케이스(110)측에 압착되게 된다.
이후, 상기 공조장치(100)의 가동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통해 증발기(101)의 내부로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되면,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증발기(101)의 열교환으로 인해 증발기(101)와 입,출구파이프(101a)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입,출구파이프(101a)를 타고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측으로 흐르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타고 파이프지지부(130)측으로 흐르는 응축수는 상기 픽스츄어(120)에 걸려 더이상 흐르지 못하고 중력방향으로 떨어져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110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차량 엔진과 압축기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 에어컨 배관과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측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파이프지지부(130) 사이를 상기 고무재질의 픽스츄어(120)가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서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여 부밍 노이즈(booming noise)를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발기(101)의 입,출구파이프(101a)와 공조케이스(110)의 파이프지지부(130) 사이에 고무재질의 픽스츄어(120)를 설치한 구성을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 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제어 공조장치 등 모든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1a: 입,출구파이프 101b: 플랜지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0a,110b: 상부케이스 110c: 하부케이스
110d: 응축수 배출구
111: 공기통로 112: 공기유입구
113: 디프로스트 벤트 113a,114a,115a: 모드도어
114: 페이스 벤트 115: 플로어 벤트
116: 온도조절도어 120: 픽스츄어
121: 내측결합부 122: 리브
125: 외측결합부 126: 요홈
127: 엠보부
130: 파이프지지부 140: 실링블록

Claims (6)

  1. 단부측에 플랜지(101b)가 결합된 입,출구파이프(101a)를 구비한 증발기(101)와, 상기 증발기(101)를 내장함과 아울러 일측면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지지하도록 파이프지지부(130)가 관통 형성된 공조케이스(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측에 탄력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면서 결합되는 내측결합부(121)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에 결합되는 외측결합부(125)가 형성된 픽스츄어(120)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결합부(121)의 일단부에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리브(122)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122)의 내경은 상기 내측결합부(121)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결합부(125)는, 상기 픽스츄어(120)의 둘레에 상기 파이프지지부(130)가 끼움 결합되어 밀착되도록 요홈(12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홈(126)에는, 상기 파이프지지부(130)와의 접촉 면적을 축소하여 진동 전달을 최소화하는 엠보부(127)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엠보부(127)는 상기 요홈(126)의 양측면 끝단 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20)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 인서트사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20)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30026540A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40A KR101692225B1 (ko)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40A KR101692225B1 (ko)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81A KR20140112181A (ko) 2014-09-23
KR101692225B1 true KR101692225B1 (ko) 2017-01-03

Family

ID=5175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40A KR101692225B1 (ko)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1603B3 (de) * 2016-01-29 2017-05-11 Hanon Systems Befestig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Fluidrohrleitungsenden
KR102552201B1 (ko) * 2016-12-08 2023-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7338162B2 (ja) * 2019-02-13 2023-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CN113602059B (zh) * 2021-08-05 2023-11-21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蒸发器的冷凝水防渗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392B2 (ja) * 1998-03-19 2007-04-0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00001110U (ko) * 1998-06-13 2000-01-25 배길훈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KR101181595B1 (ko) * 2005-12-23 2012-09-1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의 클램프
KR101144178B1 (ko) * 2009-02-03 2012-05-0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81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9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441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22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7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645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930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파이프 클램프
KR101216128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증발기 파이프 고정부재
KR1025123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032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046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1682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8830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파이프 밀봉 구조
KR1017379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409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13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598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60710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64965Y1 (ko) 공기 조화 장치의 공조 케이스
KR2024001390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88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283970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170043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5290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