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110U -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110U
KR20000001110U KR2019980010734U KR19980010734U KR20000001110U KR 20000001110 U KR20000001110 U KR 20000001110U KR 2019980010734 U KR2019980010734 U KR 2019980010734U KR 19980010734 U KR19980010734 U KR 19980010734U KR 20000001110 U KR20000001110 U KR 20000001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lock
heating
cooling
pipe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익진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80010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110U/ko
Publication of KR20000001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10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에 관한 것으로 고정블록의 재질을 고무재로 개선하여 별도의 절연체를 삭제하여 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수의 간소화를 유도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원가절감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내에서 냉, 난방에 필요한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헤드탱크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와 냉각수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인/아웃렛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파이프고정블록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3)은 고무재(rubber)로 그 형상이 개략 직육면체 본체(30)에 일측에는 파이프(31,32)의 고정을 위한 체결홈(33)이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30)는 일측을 절개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은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가공공정과 조립공정을 간소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내진동성을 증대시켜 불량발생을 최소화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본 고안은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의 재질을 개선하여 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의 간소화로 원가절감과 생산성향상을 이루기 위함이다.
자동차는 동, 하절기 실내기온의 조절을 위해 히터시스템 혹은 에어컨시스템과 같은 공조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자동차용 공조장치(1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체형의 사출조립체인 통로케이스(11)가 자동차실내에 구비되고, 상기 통로케이스(11)내에는 외부공기의 유입과 실내공기의 순환을 제어하는 공기흡입도어(12)가 케이스의 선단에 힌지축으로 회전자유롭게 고정된다.
상기 공기흡입도어(12)의 저면에는 공기의 강제송풍을 위한 블로워팬(13)과 구동모터(14)가 장착되어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와 같이 블로워팬(13)과 구동모터(14)를 지난 공기는 통로케이스(11)내 중앙부에 위치한 에어컨용 증발기(15)와 히터시스템의 히터코어(16)로 유입되며, 이들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는 온도조절도어(17)에 의해 그 통로(18)를 구획한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를 통과한 공기는 통로케이스(11)의 선단에 구비된 분배도어(19)에 의해 자동차 실내에 형성된 디플로스트 혹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된 벤트홀등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하절기일 경우 통로케이스(11)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의 통로(18)를 구획하는 온도조절도어(17)는 히터코어(16)로 통하는 통로(18)를 폐쇄하여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5)를 통하여 열교환을 이룬 후 분배도어(19)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도록하고,
동절기일 경우 온도조절도어(17)가 히터코어(16)로 통하는 통로(18)를 개방하여 증발기(15)를 경유한 공기를 히터코어(16)로 유입시켜 적의의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각 분배도어(19)에 의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공조장치(10)내에서 냉기와 난기의 생성역할을 수행하는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는 그 매개체로서 사용되는 냉매와 엔진냉각수의 배출 및 유입을 위해 각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며,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냉매 및 냉각수의 유동공간확보를 위한 헤드탱크(20)와 헤드탱크(20)의 밀봉성과 평판형의 튜브(21)의 조립을 위한 헤드(22)가 상호 체결되며, 상기 튜브(21)의 상간에는 방열성을 높이기 위한 전열체인 센터(23)가 장착된다.
상기 헤드탱크(20)의 일측에는 냉매 및 냉각수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인/아웃렛파이프(24,25)가 장착되며, 이들은 상호 고정블록(26)에 의해 체결되어 실차의 적용시 진동에 의한 파손과 이탈 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파이프라인(24,25)의 고정에 필요한 고정블록(26)은 도 3에서와 같이 그형상이 개략 직육면체로 가장자리에는 파이프체결홈(27)이 형성되며, 합성수지재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6)의 체결홈(27)에는 파이프(24,25)와 블록(26)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유동방지를위한 고무재의 절연체(Isolator;28)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의 인/아웃렛파이프(24,25)의 고정을 위한 고정블록(26)은 그 재질이 플라스틱재인 관계로 파이프(24,25)와 체결력강화를 위해 별도의 절연체(28)를 구비하는데, 이는 부품의 가공공정과 조립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블록의 재질을 고무재로 개선하여 별도의 절연체를 삭제하여 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수의 간소화를 유동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적용된 파이프고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고정블록
30;본체
31,32;인/아웃렛 파이프
33;체결홈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인 적용된 파이프고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용 공조장치내에서 냉,난방에 필요한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와 냉각수의 유비과 배출을 위한 인/아웃렛파이프를 견고히 고정함은 물론 자동차의 진행중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내진동성을 향상시키기위한 파이프고정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블록(3)은 도 4에서와 같이 그 형상이 개략 직육면체 본체(30)에 일측에는 파이프(31,32)의 고정을 위한 체결홈(33)이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30)는 일측을 절개구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고정블록(3)은 고무재로 형성하여 파이프(31,32)와 체결시 그 접촉면(34)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별도의 절연체(Isolator)를 삭제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증발기 혹은 히터코어의 헤드탱크일측에 인/아웃렛파이프(31,32)를 구비하여 브레이징을 통하여 상호 견고히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파이프(31,32)는 조립라인 또는 실차의 적용시 진동과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헤드탱크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고무재의 고정블록(3)을 개제하여 밴딩(banding)에 의한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블록(3)은 본체(30)의 일측을 절개구성한 부위를 이용하여 파이프체결홈(33)과 파이프(31.32)가 상호 밀착할 수 있도록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고정블록(3)과 인/아웃렛파이프(31,32)는 고무재인 고정블록(3)으로 인하여 상호 밀착력이 증대되어 진동 혹은 인위적인 외력에 의해서도 그 위치유지가 용이하여 불량발생이 최소화된다.
뿐만 아니라, 고정블록(3)과 파이프(31,32)와의 체결시 필요한 별도의 절연체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간소화할 수 있어며, 고무재인 고정블록(3)으로 인하여 진동흡수가 용이하여 헤드탱크와 파이프(31,32)의 체결력유지에도 용이한 고안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은 부품수를 감소시켜 가공공정과 조립공정을 간소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절감은 물론 내진동성을 증대시켜 불량발생을 최소화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공조장치내에서 냉,난방에 필요한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헤드탱크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와 냉각수의 유비과 배출을 위한 인/아웃렛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파이프고정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블록(3)은 고무재(rubber)로 그 형상이 개략 직육면체 본체(30)에 일측에는 파이프(31,32)의 고정을 위한 체결홈(33)이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30)는 일측을 절개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KR2019980010734U 1998-06-13 1998-06-13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KR200000011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34U KR20000001110U (ko) 1998-06-13 1998-06-13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34U KR20000001110U (ko) 1998-06-13 1998-06-13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10U true KR20000001110U (ko) 2000-01-25

Family

ID=6950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734U KR20000001110U (ko) 1998-06-13 1998-06-13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11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181A (ko) * 2013-03-13 2014-09-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07552B1 (ko) * 2009-01-23 2015-03-3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US10106111B2 (en) 2016-01-29 2018-10-23 Hanon Systems Hinger HTR tube brack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52B1 (ko) * 2009-01-23 2015-03-3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40112181A (ko) * 2013-03-13 2014-09-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10106111B2 (en) 2016-01-29 2018-10-23 Hanon Systems Hinger HTR tube br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0341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86078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00001110U (ko) 자동차용 냉, 난방용 파이프고정블록.
EP131038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5194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4012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8112284U (zh) 用于汽车空调的风道隔板组件、汽车空调和汽车
KR200364965Y1 (ko) 공기 조화 장치의 공조 케이스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1025123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605634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0253400Y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장치
KR20000019545U (ko) 자동차용 히터코어 인/아웃렛 파이프의 장착구조
KR100475299B1 (ko) 자동차 공조기의 밸브구동 레버고정용 보스어셈블리
KR101237803B1 (ko) 자동차용 공조케이스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236717B1 (ko) 공기조화장치의 수온센서 결합구조
KR1016598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00014823U (ko) 자동차 히터코어용 헤드탱크.
KR200307447Y1 (ko) 에어필터 커버 일체형 공조 유니트
JPS6315047Y2 (ko)
JP2022017807A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0441813Y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의 냉각구조
KR20000017014U (ko) 자동차 증발기용 케이스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