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53B1 -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53B1
KR100957353B1 KR1020070131186A KR20070131186A KR100957353B1 KR 100957353 B1 KR100957353 B1 KR 100957353B1 KR 1020070131186 A KR1020070131186 A KR 1020070131186A KR 20070131186 A KR20070131186 A KR 20070131186A KR 100957353 B1 KR100957353 B1 KR 10095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uel pipe
holder
dash panel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718A (ko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41Means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쉬패널에 결합되는 연료관의 마운팅 부위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연료관을 파지하여 대쉬패널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외팔보 형태로 상기 홀더부의 고정축선 상에 결합되는 댐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일단은 결합수단을 매개로 상기 대쉬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홀더부 일단이 상호 결합되는 지점에는 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of Fuel Pipe}
본 발명은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쉬패널에 결합되는 연료관의 마운팅 부위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관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해 주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대쉬패널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대체로, 연료관 내부의 연료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되지만, 인젝터에서 순간적으로 연료를 분사함에 따라 연료관 내에 연료의 압력변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연료의 압력변동은 가진력을 갖는 맥동파로서 연료관이 진동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도1은 대시패널로 연료관이 지나가는 경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2는 대시패널과 연료관이 서로 결합되는 종래 연료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료관(2)은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분리하는 대쉬패널(1)을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 연료관(2)이 자유롭게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연료 관(2)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더(10)를 매개로 상기 대쉬패널(1)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홀더(10)는 상기 연료관(2)을 대쉬패널(1)에 단순히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료관(2)에서 연료의 맥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상기 고정홀더(10)를 통해 대쉬패널(1)에 그대로 전달된다.
연료관(2)에서의 진동이 대쉬패널(1) 쪽으로 전달되면 고유진동수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연료관(2)과 대쉬패널(1)간에 떨림(미세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떨림은 소음으로 작용하여 차량의 소음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은 연료관(2)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연료관(2)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그 주위로 전달되는 바, 특히 연료관(2)이 고정되는 대쉬패널(1) 마운팅부에서 소음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소음은 배기량이 큰 차량에서 더욱 크게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순간적인 연료 분사량이 많아 연료관(2)에서의 압력변동이 더욱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료관에서 발생하여 대쉬패널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여 차량의 소음성능을 개선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관을 파지하여 대쉬패널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외팔보 형태로 상기 홀더부의 고정축선 상에 결합되는 댐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일단은 결합수단을 매개로 상기 대쉬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수단과 상기 홀더부 일단이 상호 결합되는 지점에는 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마운팅브래킷을 매개로 상기 대쉬패널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에는 연료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체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관에서 발생된 진동이 홀더부를 거쳐 댐퍼부에서 최종적으로 모두 흡수됨에 따라 연료관이 마운팅되는 대쉬패널에서의 진동이 크게 저 감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소음진동 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차량의 대시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가 대쉬패널과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서의 댐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는 크게 홀더부(110)와 댐퍼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부(110)는 대쉬패널(1) 주위로 지나가는 연료관(2)을 파지하여 상기 대쉬패널(1)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홀더부(110)는 상기 대쉬패널(1)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홀더부(110)에는 내부로 상기 연료관(2)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끼움공(111)이 상기 연료관(2)을 감싸는 형태로 파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부(110)에는 연료관(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흡수되도록 진동흡수체(112)가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진동흡수체(112)에서 1차적으 로 연료관(2)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110)는 외팔보 형태로 상기 대쉬패널(1)에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부(110)의 일측 끝단은 결합수단(130)을 매개로 상기 대쉬패널(1)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대쉬패널(1)에 직접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1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지만, 상기 홀더부(110)에서의 진동이 상기 대쉬패널(1)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부(110)가 상기 대쉬패널(1)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결합수단(13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래킷(140)을 매개로 상기 대쉬패널(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브래킷(140)은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쉬패널(1)로부터 높이차를 갖게 함으로써 상기 홀더부(110)가 대쉬패널(1)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마운팅브래킷(140)이 절곡형성됨에 따라 그 절곡부는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지니게 되고, 상기 홀더부(1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의 일부가 상기 마운팅브래킷(140)의 절곡부에서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소진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130)과 상기 홀더부(110)의 일단이 상호 결합되는 지점에는 상기 홀더부(110)에서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재(150)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진동흡수체(112)가 연료관(2)에서 발생한 진동 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라면, 상기 진동흡수부재(150)는 상기 홀더부(110)를 거쳐 전달된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진동이 상기 마운팅브래킷(140)에서도 일부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부(120)는 상기 홀더부(110)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위에서 열거한 여러 가지 구성에 의해서도 흡수되지 않은 홀더부(110)에서 전달된 잔여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부(120)는 상기 홀더부(110)의 고정축선 상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데, 상기 홀더부(110)의 고정축은 앞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결합수단(130)이 되는바, 상기 댐퍼부(120)는 상기 홀더부(110)가 고정되는 상기 결합수단(130)에 함께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1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댐퍼부(120)는 상기 홀더부(110)와 동일한 고정점을 갖게 되므로, 상기 홀더부(110)에서 전달된 잔여진동이 상기 댐퍼부(120)로 전달되어, 상기 댐퍼부(120)를 가진하게 됨에 따라 진동이 소멸된다.
상기 댐퍼부(120)가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원리는, 댐퍼부(120)에 전달된 진동에 의하여 소정의 중량을 갖는 댐퍼부(120)가 일정한 진폭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진동이 운동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홀더부(110)에서의 진동이 흡수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부(120)는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121)와, 상기 중량체(121)와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연결부(122)와, 상기 연결부(122)에 형성된 결합공(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22)는 댐퍼부(120)가 외팔보가 되도록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23)은 상기 댐퍼부(120)와 연결부(122)가 상기 결합수단(130)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30)은 리벳이나 나사, 볼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130)이 볼트로 표현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수단(130)이 반드시 볼트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대시패널로 연료관이 지나가는 경로를 보인 도면,
도2는 대시패널과 연료관이 서로 결합되는 종래 연료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
도3은 차량의 대시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가 대쉬패널과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서의 댐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홀더부 111 : 끼움공
112 : 진동흡수체 120 : 댐퍼부
121 : 중량체 122 : 연결부
123 : 결합공 130 : 결합수단
140 : 마운팅브래킷 150 : 진동흡수부재

Claims (5)

  1. 연료관(2)을 파지하며, 일단이 대쉬패널(1)에 고정되는 결합수단(130)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홀더부(110);
    상기 홀더부(110)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외팔보 형태로 상기 결합수단(130)에 결합되는 댐퍼부(120);
    상기 결합수단(130)과 상기 홀더부(110) 일단이 상호 결합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진동흡수부재(150);
    상기 결합수단(130)을 상기 대쉬패널(1)에 고정시키되, 상기 결합수단(130)이 상기 대쉬패널(1)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운팅브래킷(140);
    을 포함하는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10)에는 연료관(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체(112)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120)는 중량체(121)와, 상기 중량체(121)와 연결되는 연결부(122)와, 상기 연결부(122)에 형성된 결합공(1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KR1020070131186A 2007-12-14 2007-12-14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KR10095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186A KR100957353B1 (ko) 2007-12-14 2007-12-14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186A KR100957353B1 (ko) 2007-12-14 2007-12-14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718A KR20090063718A (ko) 2009-06-18
KR100957353B1 true KR100957353B1 (ko) 2010-05-12

Family

ID=4099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186A KR100957353B1 (ko) 2007-12-14 2007-12-14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3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944U (ja) * 1993-05-25 1994-12-1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振動抑制装置
JPH09287691A (ja) * 1996-04-19 1997-11-04 Tokkyo Kiki Kk 配管用制振装置
JPH11230414A (ja) * 1998-02-12 1999-08-27 Sanoh Industrial Co Ltd 配管取付けユニット
JP2003004094A (ja) * 2001-06-21 2003-01-08 Toshiba Corp 配管制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944U (ja) * 1993-05-25 1994-12-1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振動抑制装置
JPH09287691A (ja) * 1996-04-19 1997-11-04 Tokkyo Kiki Kk 配管用制振装置
JPH11230414A (ja) * 1998-02-12 1999-08-27 Sanoh Industrial Co Ltd 配管取付けユニット
JP2003004094A (ja) * 2001-06-21 2003-01-08 Toshiba Corp 配管制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718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6111A1 (ja) トルクロ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KR20070102957A (ko) 배관 고정 구조
JP5613362B2 (ja) 建設装備部品の振動低減装置
KR100957353B1 (ko) 연료관의 진동저감장치
JP2008002594A (ja) 液圧緩衝器,該液圧緩衝器を用いた補強装置及び制振装置
KR101393930B1 (ko) 엔진의 연료 맥동음 저감장치
CN205800721U (zh) 车辆空调管路的支架组件、车辆空调总成和车辆
CN203431309U (zh) 油管固定管夹
KR100472246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KR20130073645A (ko) 고감쇠 수직형 동흡진기
JP2005127195A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KR101551960B1 (ko) 진동 저감을 위한 튜브류 및 파이프류 고정장치
KR100499774B1 (ko) 엔진 지지구조
KR20090120714A (ko) 러버 마운트 장치
CN218509613U (zh) 一种高压输油组件和车辆
JP2001173544A (ja) エンジンのスタータ取付構造
JP5861877B2 (ja) 防振装置
JP6011312B2 (ja) 車載吸気系部品であるレゾネータ
KR101601322B1 (ko)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JP5861876B2 (ja) 防振装置
CN215580710U (zh) 一种双消声的车载发电机组
CN217401030U (zh) 一种lpg汽化器固定结构
CN108501678A (zh) 一种发动机减振支架
CN216198902U (zh) 泵体减震结构
CN218409217U (zh) 一种水空中冷器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