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691B1 - 라이닝 구조 - Google Patents

라이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691B1
KR100956691B1 KR1020077010261A KR20077010261A KR100956691B1 KR 100956691 B1 KR100956691 B1 KR 100956691B1 KR 1020077010261 A KR1020077010261 A KR 1020077010261A KR 20077010261 A KR20077010261 A KR 20077010261A KR 100956691 B1 KR100956691 B1 KR 10095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lining plate
piece
plate
joi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955A (ko
Inventor
데루키 다카야스
긴지 오노다
료스케 마츠오카
에이지 오와키
아스코 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다이세이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다이세이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Publication of KR2007005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dhesive join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이닝 구조는 라이닝 판을 구비하고, 상기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에 절곡 단차부를 통해 형성되는 이음지지편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닝 판을 피 라이닝 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종횡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라이닝 판 중, 일측의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 상에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이 포개지고, 일측의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이 맞대지고, 해당 맞대기 부분을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이닝구조, 라이닝판, 이음지지편, 덮개편, 돌출편, 도입부, 부상방지

Description

라이닝 구조{L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강 구조물, 목조 구조물 등의 라이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강 구조물, 목조 구조물 등의 표면을 주위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라이닝은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지만, 라이닝 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라이닝 판을 맞대어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라이닝 판의 위치 어긋남이 쉽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강 구조물, 목조 구조물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내식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내식성 재료를 이용하여 보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은 염해(salt demage), 중성화, 황산 등의 산성물질에 의한 작용, 기타 화학적 침식 등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노화되기 때문에, 이들의 작용을 받는 상하수도 시설의 저수조 등에서는 최근 뛰어난 내식성을 갖는 티탄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호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개평6-234582호 공보에는 증착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티탄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고, 일본공개특허 제2001-71128호 공보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티탄 시트의 라이닝 판을 배열하고, 인접하는 라이닝 판의 단부 끼리를 맞대고, 그 맞대기 부분에 라이닝 판을 맞춰서 TIG 용접으로 접합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티탄 층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자갈 등의 찰과(擦過)에 의한 충격 등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티탄 층이 파손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티탄 시트를 두껍게 할 수 있어 물리적 자극에 대하여 강인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지만, 라이닝 판을 맞대어 용접하기 때문에 시공 능률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라이닝 판을 이용한 용접 공법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닝 판의 위치가 어긋나는 문제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서 라이닝 판을 이용하여 용접할 때, 용접시에 발생하는 열로 인해 콘크리트의 용융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고, 얇은 재료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용접에서의 접합 부분이 선 형상이기 때문에, 응력이 용접 부위에 작용할 경우, 용접부가 쉽게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 특개평6-240840호 공보에는 전 변에 걸쳐 절곡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라이닝 판과 삼각형의 라이닝 판을 조합시킨 라이닝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압연 처리를 통해 가공되는 내식성 금속재료나 그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식성 합금 등의 내식성 재료는 압연 방향과 직각방향에서의 벤딩가공 성능이 떨어 지기 때문에, 통상 압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벤딩가공이 행해져, 전 변에 걸쳐 절곡 가공하는 당해 기술은 상기한 압연 처리로 가공되는 내식성 재료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닝 판에 접합용의 이음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이음지지편을 라이닝 판의 맞대기 부분의 해당 판(후방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금속제 라이닝 판을 사용할 때, 용접에 의한 양호한 접합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라이닝 시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이닝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재질의 라이닝 판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이음지지편 간의 움직임을 서로 제한하도록 하여 라이닝 판의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이닝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라이닝 구조는 라이닝 판을 구비하고, 상기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邊部)에서 절곡 단차부를 통해 형성되는 이음지지편;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닝 판은 피 라이닝 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종횡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라이닝 판 중,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 상에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포개고, 동시에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맞대고, 해당 맞대기 부분을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닝 판은 제1 및 제2 라이닝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에서 절곡 단차부를 통해 연장되어 설치되는 이음지지편;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이닝 판은 그 이음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이음지지편이 형성되는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측변부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되는 돌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이닝 판은 그 이음지지편의 단부의 측방향에서 상기 덮개편으로부터 단차를 갖는 공간부분이 이음지지편 및 돌출편을 도입시키기 위한 도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은 피 라이닝 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대로 엇갈린 형태로 설치되고, 종횡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 중,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에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포개고,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맞댄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의 돌출편은 상기 제2 라이닝 판의 도입부를 통해 해당 제2라이닝 판의 덮개편에 포개지며,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이들 이음지지편 및 돌출편에 의해 라이닝 판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닝 판은 한 장의 사각형 또는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내식성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닝 판은 내식성 금속재료나 그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식성 합금재료 또는 내식성 재료를 피복처리나 표면처리하여 내식성을 갖는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곡 단차부는 압연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식성 금속, 내식성 합금재료 각각은 티탄, 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식성 합금재료는 스테인레스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닝 판은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이들 재료는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보호작용 및 의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닝 판은 한 장의 사각형 또는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이닝 판은 비금속재료 또는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복합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이들 재료는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보호작용 및 의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금속재료는 플라스틱, FRP, 세라믹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 라이닝 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면이나 외면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 라이닝 면은 강 구조물의 내면이나 외면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 라이닝 면은 목조 구조물의 내면이나 외면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은 앵커 볼트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피 라이닝 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는 앵커 볼트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피 라이닝 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라이닝 구조에 따르면, 상기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에서 절곡 단차부를 통해 형성되는 이음지지편;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을 포함하고,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 상에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포개고,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맞대어 각 이음지지편이 접촉하여 라이닝 판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서로 규제되고, 이에 따라 라이닝 판의 접합 부분이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접합 부분에서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음지지편의 위치결정 기능에 의해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이닝 구조에 따르면, 상기 라이닝 판은 제1 및 제2 라이닝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에서 절곡 단차부를 통해 연장하여 설치되는 이음지지편;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서 연장하여 설치되는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이닝 판은 그 이음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이음지지편이 형성되는 라이닝 판 본체의 측 변부의 연장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설치되는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이닝 판은 그 이음지지편의 단부의 측방향에서 상기 덮개편으로부터 단차를 갖는 공간부분이 이음지지편 및 돌출편을 도입시키기 위한 도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을 피 라이닝 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대에 엇갈린 형태로 설치하고, 종횡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 중,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에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포개고,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맞댄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의 돌출편은 상기 제2 라이닝 판의 도입부를 통해 해당 제2 라이닝 판의 덮개편에 포개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또한 이들 이음지지편 및 돌출편을 통해 라이닝 판의 움직임을 서로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라이닝 판의 위치가 쉽게 벗어나지 않게 되어 수밀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면에 존재하는 이음지지편에 의해 용접이나 접착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 수밀성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공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라이닝 판을 내식성 금속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할 경우, 라이닝 판의 맞대기 부분을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이음지지편을 라이닝 판의 맞대기 부분의 해당 판(후방판)으로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물로의 열 영향에 의한 콘크리트의 용해나 콘크리트의 휘발 성분에 의한 용접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얇은 라이닝 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맞대기 용접부위의 강도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시공상의 사정에 따라 라이닝 판의 면적을 작게 하지 않을 수 없을 경우에는, 단위 피복 면적당 필요한 라이닝 판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는 현저가 향상된다. 또한 종래부터 실시되는 맞대기 용접에 있어서 내식성 금속의 대표인 티탄 판을 사용할 경우, 티탄 판은 산소친화성이 높게 산화되기 때문에, 실드 가스를 맞대기 부분의 후방측에서 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라이닝 구조에 따르면, 실드 가스를 맞대기 부분의 후방 측에서 공급하지 않아도 산화를 억제하여 TIG 용접에 의한 양호한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라이닝 판과는 별도로 라이닝 판 전용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시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식성 금속으로서는, 티탄, 탄탈, 니오브(niobium), 하프늄(hafnium), 알루미늄, 니켈 등 또는 이들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식성 합금, 스테인레스 등 또는 내식성재료 피복처리나 도금, PVD, CVD 등을 표면 처리하여 내식성을 구비한 금속재료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내식성이나 코스트의 관점에서 티탄 또는 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티탄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식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 중에서, 대표적으로 티탄 판을 일례로 들면, 절곡 단차부는 라이닝 판의 양측 변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티탄 판을 라이닝 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압연 처리로 제작한 티탄 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연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만 벤딩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방향에서 절곡부의 벤딩가공을 실시함에 따라 티탄 판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라이닝 판으로서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벤딩가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스 성형, 롤 성형, 열간 성형, 단조 성형 등의 가공 방법에 의해 절곡부를 가공할 수 있는 것일 경우, 특별히 성형 가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금속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나 페놀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고분자재료 등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 섬유 등의 복합재료인 FRP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를 사용할 경우, 재료의 경량화에 의해 패널 라이닝(panel lining)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인 변성 실리콘 수지, 합성고무 수지, 천연 고무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 라이닝 재료 자체가 가요성 및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부여할 수 있어 피 라이닝 재료인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물, 강 구조물, 목조 구조물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금속재료로서 알루미나, 마그네시아(magnesia), 지르코니아, 탄화규소, 질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소결 등으로 제조한 파인세라믹스(fine ceramics) 재료나 점토, 규석(pottery), 장석(porcelain) 등을 소결 등으로 제작한 벽돌, 도자기, 글래스 등의 세라믹스 재료를 사용할 경우, 내열성이나 내마모성 등을 피복 재료에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이나 세라믹을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는, 주형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 등의 성형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료와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재료를 복합화함으로써, 상호 간의 특성을 구비할 수 있는 저렴한 재료로도 높은 보호 라이닝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에 접하는 구조물로의 피복에서는, 연속하는 라이닝 판의 표면을 요철이 없는 평활한 표면(동일 평면)으로 마무리할 수 있어 유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을 피 라이닝 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속하더라도 상기 접착제는 상기 이음지지편이나 덮개편에 의해 덮어져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액으로의 유해 물질의 용해를 방지할 수 있고, 저가이고 내구성이 부족한 접착제를 이용하더라도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 또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해물질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어 저렴하고 내구성이 부족한 앵커 볼트를 이용하더라도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라이닝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의 A-A단면도, (c)는 (a)의 B-B단면도.
도 2는 제1 라이닝 판의 벤딩가공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2 라이닝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의 C-C단면도, (c)는 (a)의 D-D단면도, (d)는 (a)의 Y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제2 라이닝 판의 벤딩가공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의 (a)는 제1 실시 예의 정면도, (b)는 (a)의 E-E단면도, (c)는 (a)의 F-F단면도.
도 6의 (a)는 도 5의 (a)의 G부분을 배면 측에서 바라볼 경우의 확대 사시 도, (b)는 도 5의 (a)의 L-L단면도, (c)는 동작 설명도, (d)는 비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제2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제2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0은 제2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을 조립한 상태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의 사시도.
도 13의 (a)는 제3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을 조립한 상태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a)의 종단면도, (c)는 (a)의 횡단면도.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제1 라이닝 판의 사시도, (b)는 (a)의 H-H단면도, (c)는 (a)의 I-I단면도.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제2 라이닝 판의 사시도, (b)는 (a)의 J-J단면도, (c)는 (a)의 K-K단면도.
도 16의 (a)는 제4 실시 예의 라이닝 판을 조립한 상태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a)의 종단면도, (c)는 (a)의 횡단면도.
* 부호의 설명*
1: 제1 라이닝 판 11: 라이닝 판 본체
12: 절곡 단차부 13: 이음지지편
14: 돌출편 15: 덮개편
2: 제2 라이닝 판 21: 라이닝 판 본체
22: 절곡 단차부 23: 이음지지편
24: 도입부 25: 덮개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 내지 도 6은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본 실시 예의 라이닝 구조는 제1 라이닝 판(1)과 제2 라이닝 판(2)의 2종류의 라이닝 판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이들 라이닝 판은 티탄 합금판(내식성 금속판의 일례)이다.
상기 제1 라이닝 판(1)은 펀칭가공 성형되는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한 장의 내식성 재료판(1A)(도 2에 나타냄)을 도 1과 같이 벤딩가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라이닝 판(1)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11)의 양측 변부에 절곡 단차부(12)를 통해 라이닝 판 본체(1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음지지편(13), 상기 이음지지편(13)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14)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11)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15)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닝 판 본체(11)와 덮개편(15)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이닝 판 본체(11)와 덮개편(15)의 경계선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제2 라이닝 판(2)은 펀칭가공 성형되는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한 장의 내식성 재료판(2A)(도 4에 나타냄)을 도 3과 같이 벤딩가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라이닝 판(2)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21)의 양측 변부에 절곡 단차부(22)를 통해 형성되는 이음지지편(23)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21)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25)을 포함한다. 상기 이음지지편(23)의 단부의 측방향에서 덮개 편(25)으로부터 단차를 갖는 공간부분(2점 쇄선으로 나타냄)은 제1 라이닝 판(1)의 이음지지편(13) 및 돌출편(14)을 도입시키기 위한 도입부(24)로 구성한다. 상기 라이닝 판 본체(21)와 덮개편(25)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이닝 판 본체(21)와 덮개편(25)의 경계선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제1 라이닝 판(1)의 덮개편(15)을 포함하는 길이 L1과, 상기 제2 라이닝 판(2)의 라이닝 판 본체(21)의 길이 L2는 동일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라이닝 판(1)의 라이닝 판 본체(11)의 길이 L11과, 상기 제2 라이닝 판(2)의 덮개 편(25)을 포함하는 길이 L21는 다르게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내식성 재료로서는, 티탄, 탄탈, 니오브, 하프늄, 알루미늄, 니켈 등 또는 이들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식성 합금, 스테인레스 등 또는 내식성재료 피복처리나 도금, PVD, CVD 등을 표면처리하여 내식성을 갖는 금속재료 등의 내식성 재료를 예로 들 수 있지만, 내식성이나 비용 면에서 티탄 또는 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티탄 합금이나 스테인레스 등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1 및 제2 라이닝 판(1, 2)을 피 라이닝 프레임 구조물의 일례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처리조의 내벽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대로 위치시켜고 엇갈린 형태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라이닝 판(1, 2)의 이음지지편(13, 23)이나 돌출편(14)은 앵커나 접착제층(미도시) 또는 이들 모두를 이 용하여 피 라이닝 면 X에 고정된다.
종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라이닝 판(1, 2)의 중, 일측의 라이닝 판(1 또는 2)의 이음지지편(13 또는 23) 위에 타측의 라이닝 판(2 또는 1)의 덮개편(25 또는 15)이 포개지고, 일측의 라이닝 판(1 또는 2)의 라이닝 판 본체(11 또는 21)와 타측의 라이닝 판(2 또는 1)의 덮개편(25 또는 15)은 맞대진다. 이 맞대기 부분은 TIG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제1 라이닝 판(1)의 이음지지편(13)의 돌출편(14)은 상기 제2 라이닝 판(2)의 도입부(24)를 통해 상기 제2 라이닝 판(2)의 덮개편(25)의 배면 측에 위치되고, 동시에 상기 이음지지편(13)의 단부는 도입부(24)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돌출편(14)은 제2 라이닝 판(2)의 이음지지편(23)의 단부와, 해당 제2 라이닝 판(2)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라이닝 판(2)의 이음지지편(23)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된다.
도 6과 같이 이들 이음지지편(13, 23)은 한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설치된다. 더욱이 인접하는 이음지지편(13, 23) 상호 간은 돌출편(14)의 존재에 의해 상호 간의 움직임이 서로 제한되어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1, 2)의 라이닝 판 본체(11, 21)는 엇갈린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어떠한 열에 있어서 인접하는 라이닝 판(1, 2)의 맞대기 부분을 걸치도록 하여 해당 열과 인접하는 열의 라이닝 판(1, 2)을 위치시킬 수 있고, 전단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14)의 존재에 의해 이음지지편(13, 23)이 한 곳에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힘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고, 라이닝 판(1, 2)의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돌출편(14)은 제2 라이닝 판(2)의 도입부(24)를 통해 제2 라이닝 판(2)의 덮개편(25)의 배면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도 6의 (c)와 같이 지진력 등의 외력에 의해 라이닝 판(1, 2)이 피 라이닝 면X로부터 부상하여 탈락하려 할 경우, 도 6의 (c)의 흰색 화살표와 같이 돌출편(14)이 라이닝 판(2)의 덮개 편(25)의 배면 측에 접하여 라이닝 판(1, 2)의 부상을 방지하여 라이닝 판(1, 2)의 접합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의 (d)와 같이 돌출편(14)을 갖지 않는 라이닝 판(400A, 400B)에 있어서는, 돌출편(14)에 의한 부상방지 저항이 없어 쉽게 부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음지지편(13, 23)을 라이닝 판(1, 2)의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진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전단력 등이 작용하더라도, 이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여 라이닝 판(1, 2)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수밀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1, 2)의 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음지지편(13, 23)이나 돌출편(14)의 폭 치수는 라이닝 판(1, 2) 전체의 폭 치수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5∼45%, 더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이다. 상기 라이닝 판의 두께는 보통 0.0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5.0mm, 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2.0mm이다.
제2 실시 예
도 7 내지 도 10은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부식 방지를 위한 본 실시 예의 라이닝 구조는 제1 라이닝 판(100)과 제2 라이닝 판(110)의 2종류의 라이닝 판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이들 라이닝 판은 티탄 합금판(내식성 재료의 일례)이다. 상기 제1 라이닝 판(100)은 제1 실시 예의 제1 라이닝 판(1)과 같이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101)의 양측 변부에 절곡 단차부(102)를 통해 라이닝 판 본체 (10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이음지지편(103), 상기 이음지지편(103)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104)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101)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10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라이닝 판(110)은 치수의 다른 3종류의 제2 라이닝판(110a , 110b, 110c)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2 라이닝 판(110a 내지 110c)은 제1 실시 예 제2 라이닝 판(2)과 같이,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111a 내지 111c)의 양측 변부에 절곡 단차부(112a 내지 112c)를 통해 형성되는 이음지지편(113a 내지 113c) 및 라이닝 판 본체(111a 내지 111c)의 나머지 측 변부에 형성되는 덮개편(115a 내지 115c)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실시 예의 제2 라이닝 판(2)과 같이, 상기 제2 라이닝 판(110a)의 이음지지편(113a)의 단부의 측방향에서 덮개편(115a)으로부터 단차를 갖는 공간부분은 제1 라이닝 판(100)의 이음지지편(103) 및 돌출편(104)을 도입시키기 위한 도입부(114a)로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 라이닝 판(100, 110a 내지 110c)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처리조의 내벽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대에 위치시키고 엇 갈린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종횡의 방향에서 인접하는 라이닝 판 중, 일측의 이음지지편에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을 포갤 수 있다. 또한 제1 라이닝 판(100)의 이음지지편(103)의 돌출편(104)은 인접하는 제2 라이닝 판(110a)의 도입부(114a)를 통해 해당 제2 라이닝 판(110a)의 덮개편(115a)의 배면 측에 위치되며, 동시에 제1 라이닝 판(100)의 이음지지편(103)의 단부는 제2 라이닝 판(110a)의 도입부(114a)에 위치된다. 또한 제1 라이닝 판(100)의 이음지지편(103)의 돌출편(104)은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라이닝 판(110a)의 이음지지편(113a)의 단부와 해당 제2 라이닝 판(110a)과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라이닝 판(110c)의 이음지지편(113c)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됨으로써, 이음지지편(103, 113a 내지 113c)은 한 지점에서 집중하지 않게 설치되고, 인접하는 이음지지편은 상호 간의 움직임이 서로 제한되어 위치결정된다.
또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은 맞대지고, 이 맞대기 부분은 TIG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이들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접합된다.
제3 실시 예
도 11 내지 도 13은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라이닝 판(200, 200A)은 펀칭가공 성형되는 사각형의 한 장의 내식성 재료판을 벤딩가공하여 형성되고,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201, 201A)의 양측 변부에 이음지지편(203, 203A)을 절곡 단부차(202, 202A)를 통해 상기 측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고, 라이닝 판 본체(201, 201A)의 나머지 측 변부에는 벤딩가공되지 않는 덮개편(204, 204A)이 형성 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이닝 판 본체(201, 201A)와 덮개편(204, 204A)은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들 라이닝 판(200, 200A)은 동일 치수로 설정되고, 도 13과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인접하는 라이닝 판(200, 200A)의 일측 이음지지편(203 또는 203A) 상에 타측의 덮개편(204A 또는 204)이 포개지고, 동시에 일측 라이닝 판 본체(201 또는 201A)와 타측의 덮개편(204A 또는 204)이 맞대지고, 해당 맞대기 부분을 용접 또는 접착제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접합한다. 이에 따라 라이닝 판에 접합용의 이음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이음지지편을 라이닝 판의 맞대기 부분의 대상판(후방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산화를 억제하여 양호한 TIG 용접을 확보함과 동시에, 시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라이닝 판(200, 200A)의 이음지지편(203, 203A)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라이닝 판(200, 200A)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서로 제한함으로써, 라이닝 판(200, 200A)의 접합 부분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예
도 14 내지 도 16은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라이닝 판(300, 300A)은 펀칭가공 성형되는 대략 사각형의 한 장의 내식성 금속판을 벤딩가공하여 형성되고,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301, 301A)의 양측 변부에서 절곡 단차부(302, 302A)를 통해 이음지지편(303, 303A)이 형성되고, 라이닝 판 본체(301, 301A)의 나머지 측 변부에는 벤딩가공되지 않은 덮개편(304, 304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이닝 판 본체(301, 301A)와 덮개편(304, 304A)은 동일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 된다.
이들 라이닝 판(300, 300A)은 제3 실시 예와 같이, 도 16과 동일하게 일측의 라이닝 판 본체(301 또는 301A)와 타측의 덮개편(304A 또는 304)이 맞대지고, 해당 맞대기 부분을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접합하지만, 도 16과 같이 엇갈린 형태로 설치되도록 라이닝 판(300, 300A)은 다른 치수로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점에서 제3 실시 예와 다르다.
이상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에 있어서, 라이닝 판은 모두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만 절곡되는 가공으로 구성한 것이다.
접착제로서는, 에폭시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천연고무계 접착제, 합성고무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머 시멘트 등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접착성이 높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라이닝 판에 사용되는 내식성 금속과 피복재료의 열팽창계수 등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접착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요성이 뛰어난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천연고무계, 합성고무계 접착제 등이 바람직하다. 피 라이닝 면은 철강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이닝 판을 표리 반대로 하고, 라이닝 판 본체를 피 라이닝 면에 바로 고정하여 이음지지편을 피 라이닝 면에서 부상시킨 상태에서 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라이닝 판으로서 내식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라이닝 판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이닝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금속재료를 채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내마모 합금이나 내열 합금과 같이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보호작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질감 등의 면에서는 높은 의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스 벤딩, 폴딩(folding)과 같은 벤딩가공이나 단조가공 등의 다양한 금속가공방법이 채용된다.또한 라이닝 판의 표면에 도포막이나 도금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닝 판을 비금속재료나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복합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스의 성형판은, 내화·내열성, 내마모성, 내용손성(melting demage resistance) 등의 성질이 필요로 되는 곳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세라믹스로서는, 알루미나, 베릴리아(beryllia), 멀라이트(mullite), 스테아타이트(steatite), 마그네시아(magnesia)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소결해서 제조한 파인세라믹스(fine ceramics) 또는 점토, 규석, 장석 등을 소결 등으로 제조한 벽돌, 도자기, 글래스 등의 세라믹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세라믹의 성형법으로서는 슬러리 캐스팅(slurry casting), 가압 성형법, 압출 성형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경질염화비닐 판 등의 플라스틱판은 비교적 금속이나 금속 합금보다 저렴하고, 수지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특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기계적인 강도가 요구되는 곳에는 강화플라스틱(FRP)을 사용할 수 있다.성형법은 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성형법이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5)

  1. 라이닝 판을 구비하고,
    상기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에 절곡 단차부를 갖고 그 양측 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이음지지편 및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 그 나머지 측 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닝 판을 피 라이닝 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종횡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라이닝 판 중, 일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 상에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이 그 이음지지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포개지고, 일측의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이 맞대지고, 해당 맞대기 부분을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접합되는
    라이닝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판은 제1 및 제2 라이닝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은 사각형의 라이닝 판 본체의 양측 변부에서 절곡 단차부를 통해 연장하여 설치되는 이음지지편과,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나머지 측 변부에서 연장하여 설치되는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이닝 판은 그 이음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이음지지편이 형성되는 상기 라이닝 판 본체의 측 변부의 연장방향을 향해서 연장하여 설치되는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이닝 판은 그 이음지지편의 단부의 측방향에서 상기 덮개편으로부터 단차를 갖는 공간부분이 이음지지편 및 돌출편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을 피 라이닝 면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대로 엇갈린 형태로 설치하고,
    종횡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 중, 일측의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에 타측의 상기 라이닝 판의 덮개편이 포개지고, 일측의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와 타측의 라이닝 판의 덮개편이 맞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의 돌출편은 상기 제2 라이닝 판의 도입부를 통해 해당 제2 라이닝 판의 덮개편에 포개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이 이음지지편 및 돌출편에 의해 라이닝 판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라이닝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판은
    한 장의 사각형 형상의 내식성 금속판을 벤딩 가공하여 형성되는
    라이닝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판은 내식성 금속재료나 내식성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내식성 합금재료 또는 내식성재료 피복처리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 내식성을 갖는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곡 단차부는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라이닝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 금속, 내식성 합금재료 각각은 티탄 또는 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라이닝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 합금재료는 스테인레스 재료로 구성되는
    라이닝 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판은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재료는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보호작용 및 의장성을 갖는
    라이닝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판은 한 장의 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벤딩 가공하여 형성되는
    라이닝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판은 비금속재료 또는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의 복합재료로 형성되고, 이들 재료는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보호작용 및 의장성을 갖는
    라이닝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재료는 플라스틱, FRP, 세라믹스인
    라이닝 구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 라이닝 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면이나 외면 또는 그 모두인
    라이닝 구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 라이닝 면은 강 구조물의 내면이나 외면 또는 그 모두인
    라이닝 구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 라이닝 면은 목조 구조물의 내면이나 외면 또는 그 모두인
    라이닝 구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의 이음지지편은 앵커 볼트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피 라이닝 면에 고정되는
    라이닝 구조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판의 라이닝 판 본체는 앵커 볼트 또는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피 라이닝 면에 고정되는
    라이닝 구조.
KR1020077010261A 2004-10-08 2005-04-14 라이닝 구조 KR100956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6684 2004-10-08
JP2004296684 2004-10-08
JPJP-P-2005-00020031 2005-01-27
JP2005020031A JP3709485B1 (ja) 2004-10-08 2005-01-27 ライニング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955A KR20070051955A (ko) 2007-05-18
KR100956691B1 true KR100956691B1 (ko) 2010-05-10

Family

ID=3533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261A KR100956691B1 (ko) 2004-10-08 2005-04-14 라이닝 구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80036B2 (ko)
EP (1) EP1801310B1 (ko)
JP (1) JP3709485B1 (ko)
KR (1) KR100956691B1 (ko)
DK (1) DK1801310T3 (ko)
ES (1) ES2551685T3 (ko)
HU (1) HUE026247T2 (ko)
PL (1) PL1801310T3 (ko)
PT (1) PT1801310E (ko)
SI (1) SI1801310T1 (ko)
TW (1) TW200612024A (ko)
WO (2) WO2006040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9716A1 (de) * 2007-04-26 2008-10-30 Airbus Deutschland Gmbh Faser-Metall-Laminat-Panel
ITMC20110066A1 (it) * 2011-11-21 2012-02-20 Giuseppe Gentili Modulo per la dissipazione sismica costituito da sfere resistenti alla compressione immerse in un materiale a bassa densita' variabile.
PL226086B1 (pl) 2012-04-17 2017-06-30 Więcek Bogdan Budmat Element pokrycia dachowego, blachodachowka, wyposazony w wytloczenia
PL403087A1 (pl) 2013-03-11 2014-09-15 Więcek Bogdan Budmat Element pokrycia dachowego (blachodachówka) wyposażony w klamrę
PL403552A1 (pl) * 2013-04-15 2014-10-27 Więcek Bogdan Budmat Sposób krycia dachu elementami pokrycia dachowego (blachodachówkami)
JP5999824B1 (ja) * 2015-11-27 2016-09-28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屋根葺き構造及び屋根葺き方法
FR3052471B3 (fr) * 2016-06-12 2018-07-27 Hubei Yongyi Metal Flooring Co Ltd Plancher metallique en acier inoxydable
CN106352167B (zh) * 2016-11-22 2023-07-28 南通虹波机械有限公司 一种非常规结构管道及其制作方法
US11072929B2 (en) 2017-06-27 2021-07-27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Wall or ceiling panel and wall or ceiling assembly
JP6513863B1 (ja) * 2018-07-23 2019-05-15 株式会社昭和 ライニング構造
US11459770B1 (en) * 2019-04-16 2022-10-04 Gary E. Gotfredson Metal wall panel system
TWI777308B (zh) * 2019-11-21 2022-09-11 新加坡商保綠萊私人有限公司 拼裝板式儲箱
US11840845B2 (en) * 2020-05-08 2023-12-12 Tundra Composites, LLC Sliding join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125U (ko) * 1990-01-31 1991-12-18
JP2001071128A (ja) * 1999-08-31 2001-03-21 Morimoto Kogyo:Kk チタン材の現場におけるライニングの溶接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8785E (en) * 1933-04-04 A corpora
US712093A (en) * 1902-05-02 1902-10-28 Frank Randel Shingle.
US816252A (en) * 1905-06-21 1906-03-27 Orvey Price Artificial-stone shingle.
US841490A (en) * 1905-10-12 1907-01-15 American Loktile Company Ornamental metal plate.
US1298541A (en) * 1917-08-16 1919-03-25 Thomas Denton Miller Sheet-metal covering.
US2103076A (en) * 1931-05-01 1937-12-21 Bakelite Building Prod Co Inc Shingle
US2164636A (en) * 1938-01-12 1939-07-04 Edward R Black Building covering
US2239011A (en) * 1939-12-18 1941-04-22 Meslin John Building panel
US2329719A (en) * 1941-03-24 1943-09-21 Preload Co Concrete tank
US2411308A (en) * 1945-01-20 1946-11-19 Washburn Frank Surface covering material
US2462990A (en) * 1946-08-02 1949-03-01 Ernest R Noian Shingle
US2454307A (en) * 1946-11-07 1948-11-23 Cooley Burnell Interlocking mosaic
US2490577A (en) * 1947-05-28 1949-12-06 Pittsburgh Plastic Tile Compan Interlocking wall tile
US2649172A (en) * 1947-06-02 1953-08-18 Architectural Porcelain Constr Architectural panel
US2685852A (en) * 1951-08-30 1954-08-10 Godel Karl Roof covering
US2851134A (en) * 1955-03-03 1958-09-09 Jr Joseph J Robinson Sheet metal wall or ceiling panel
US2914815A (en) * 1955-08-17 1959-12-01 Alexander Verna Cook Interlocked flooring and method
US2961804A (en) * 1957-12-16 1960-11-29 Globe Roofing Products Co Inc Metallic surfaced siding and roofing material
GB1381324A (en) * 1972-04-06 1975-01-22 Nayler Petroseals Ltd Interlockable panels
US3877190A (en) * 1973-02-13 1975-04-15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Supporting system for flanged ceiling tiles
JPS5325916A (en) * 1976-08-24 1978-03-10 Toshiba Corp Construction method of lining storage tank and accessory unit
US4065902A (en) * 1976-10-26 1978-01-03 Sir Walter Lindal Sheetmetal covered roof planks having waterproof joints
WO1981000993A1 (en) 1979-10-03 1981-04-16 Goodrich Co B F Composite leading edge for aircraft
FR2526830A1 (fr) * 1982-05-13 1983-11-18 Elf Aquitaine Union Chimique Element d'isolation thermique et procede d'isolation thermique de parois par l'exterieur utilisant un tel element
US4501100A (en) * 1982-07-16 1985-02-26 Statewide Poo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wimming pools
US4766022A (en) * 1984-05-12 1988-08-23 Saami Co., Ltd. Rectangular tile-like carpet with looped tile on both surfaces
US4680909A (en) * 1984-09-11 1987-07-21 Industrial Research Development, Inc. Roofing system
US5136823A (en) * 1989-08-25 1992-08-11 Pellegrino John V Device for cladding architectural shingles
CH684422A5 (de) 1993-01-29 1994-09-15 Ayhan Akkayan Verkleidung für senkrechte oder geneigte Aussenflächen von Gebäuden.
JP2809028B2 (ja) 1993-02-09 1998-10-08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表面の保護方法
JPH06307059A (ja) * 1993-04-20 1994-11-01 Kubota Corp 壁板の接続構造
DE69524947T2 (de) * 1994-03-25 2002-08-29 Vail Metal Systems Llc Metalldachplatte
US5495654A (en) * 1994-04-08 1996-03-05 Weirton Steel Corporation Preparing sheet metal and fabricating roofing shingles
US6173546B1 (en) * 1998-08-28 2001-01-16 James P Schafer Interlocking metal shingle
US6463708B1 (en) * 1999-11-15 2002-10-15 Victor W. Anderson Roof shingle and system
US6505451B1 (en) * 2000-06-21 2003-01-14 George Ksajikian Interconnecting plate system and method and structures formed therewith
CA2331166A1 (en) * 2001-01-16 2002-07-16 Pierre Tremblay Metal roofing shingle
US20080302053A1 (en) * 2007-06-08 2008-12-11 Kelly Gibson Panelling system formed from panels defined by tongue and groove stri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125U (ko) * 1990-01-31 1991-12-18
KR920701597A (ko) * 1990-01-31 1992-08-12 가쓰로 마쓰무라 벽면 및 바닥면 구성용 타일편
JP2001071128A (ja) * 1999-08-31 2001-03-21 Morimoto Kogyo:Kk チタン材の現場におけるライニングの溶接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801310E (pt) 2015-11-13
EP1801310A4 (en) 2011-11-09
TWI355448B (ko) 2012-01-01
JP2006132304A (ja) 2006-05-25
SI1801310T1 (sl) 2015-11-30
JP3709485B1 (ja) 2005-10-26
ES2551685T3 (es) 2015-11-23
EP1801310A1 (en) 2007-06-27
PL1801310T3 (pl) 2016-01-29
HUE026247T2 (en) 2016-05-30
WO2006040946A1 (ja) 2006-04-20
WO2006040849A1 (ja) 2006-04-20
US7980036B2 (en) 2011-07-19
KR20070051955A (ko) 2007-05-18
DK1801310T3 (en) 2015-10-12
US20070277464A1 (en) 2007-12-06
EP1801310B1 (en) 2015-08-12
TW200612024A (en) 2006-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691B1 (ko) 라이닝 구조
TWI409184B (zh) Reinforcement Method of Railway Vehicle Structure and Railway Vehicle Structure
CN107030849B (zh) 具有集成的膜冷却的互锁材料过渡区
WO2020022061A1 (ja) ライニング構造
JPWO2006087801A1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
CN100529295C (zh) 衬砌构造
KR100750862B1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WO2019212121A1 (ko) 덕트 유니트 보강 방법
JP2000136613A (ja) 壁面材継ぎ目構造と建物
CN212866489U (zh) Grc组件及grc幕墙
JP4322587B2 (ja) ずれ止めおよび鋼とコンクリートとの結合方法
JP6797699B2 (ja) 補強パネ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4019789B2 (ja) 永久型枠ボード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JP2005282116A (ja) 手摺用接続具
KR200262706Y1 (ko) 강판받침지지대와 충전재가 부착된 패널
JPH07207774A (ja) コンクリートの目地構造
JPS622108Y2 (ko)
JPS58213907A (ja) 道路等における伸縮継ぎ手装置
JPH07197648A (ja) コンクリート用型枠パネル
JPH05280227A (ja) 立体的な板接合構造体の構築方法
JP2000033663A (ja) 積層繊維体
AU1546499A (en) Improvements to edge protector strips for electrolytic-cell electrodes
CA2024709A1 (en) Split arch conversion pressing
JPH1193372A (ja) コーナー外壁
JPH01174761A (ja) セラミックス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