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233B1 -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233B1
KR100956233B1 KR1020070099633A KR20070099633A KR100956233B1 KR 100956233 B1 KR100956233 B1 KR 100956233B1 KR 1020070099633 A KR1020070099633 A KR 1020070099633A KR 20070099633 A KR20070099633 A KR 20070099633A KR 100956233 B1 KR100956233 B1 KR 10095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ocking
blocking rod
unit
s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444A (ko
Inventor
라일구
김진형
안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7009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2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발명은 차량이 차단봉에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봉을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업/다운 모터; 상기 업/다운 모터에 연결되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봉; 및 상기 포스트와 상기 안착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에 회전력을 가하는 복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구 유닛은 상기 안착판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 결합되는 복구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봉이 외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차단봉이 원 위치되도록 상기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안착판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차량, 차단, 시스템, 자동 복구

Description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과의 접촉시 차량 및 차단봉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단봉을 자동 복구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차단 시스템은 허가된 차량이 진입하면 차단봉을 올려 차량을 통과시키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하면 차단봉을 그대로 유지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놓인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내장되는 메인 모터와, 상기 메인 모터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메인 구동암과, 상기 메인 구동암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차단봉과, 상기 메인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차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허가된 차량이 진입할 경우, 즉 주차가 허가된 차량 또는 주차료를 지불한 차량 또는 통행이 허가된 차량 또는 통행료를 지불한 차량 등이 차량 차단 시스템으로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에 통과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메인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러한 구동에 의해 메인 모터의 축에 연결된 메인 구동암이 함께 회전되면서 차단봉은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허가된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할 경우, 즉 주차가 허가되지 않은 차량 또는 주차료를 지불하지 않은 차량 또는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차량 또는 통행료를 지불하지 않은 차량 등이 차량 차단 시스템으로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에 차단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메인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이미 차단봉이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차단봉을 하방향으로 구동시켜, 차단봉을 지면에 대해 수평이 되게 유지한다. 따라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 차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 차단 시스템을 그대로 통과할 경우, 차량이 차단봉과의 충돌로 인해 차량 및 차단봉이 파손될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파손의 정도가 커질 수 있으며, 운전자 또한 다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하는 동안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발견하더라도, 차량의 제동 거리가 긴 상태라면 차량이 밀리면서 차단봉과 충돌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차단 시스템이 고장날 경우, 허가된 차량이 이를 알지 못하고 그 대로 통과할 경우 차량이 차단봉과 충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이 차단봉에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봉을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업/다운 모터; 상기 업/다운 모터에 연결되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봉; 및 상기 포스트와 상기 안착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에 회전력을 가하는 복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구 유닛은 상기 안착판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 결합되는 복구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봉이 외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차단봉이 원 위치되도록 상기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안착판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봉이 안착판을 통해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 차단 시스템을 그대로 통과하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부딪혀 차단봉이 회전되더라도, 별도의 수 작업 없이 차단봉을 자동으로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봉이 안착판을 통해 포스트에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하기 전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거나,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후진으로 인해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중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2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도 1, 도2, 도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0)와, 안착판(200)과, 업/다운 모터(300)와, 차단봉(400)과, 그리고 복구 유닛(500)을 포함한다.
포스트(100)는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차량 차단 시스템의 몸체에 해당한다. 안착판(200)은 포스트(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업/다운 모터(300)는 안착판(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안착판(200)과 함께 회전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 단봉(40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차단봉(400)은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업/다운 모터(300)에 연결된다. 따라서, 허가된 차량이 진입하면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차단봉(400)은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하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즉, 차량의 진입이 차단되도록) 차단봉(400)은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이미 지면과 수평이 된 상태라면 그대로 그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400)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차량이 차단봉(400)과 부딪히더라도, 차단봉(400)과 업/다운 모터(300)를 지지하는 안착판(200)이 포스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그 부딪히는 힘을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차량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히면 그 부딪히는 힘(이하, "제1 외력"이라 함)을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차량이 차단봉(400)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히면 그 부딪히는 힘(이하, "제2 외력"이라 함)을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 부딪히는 과정에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부딪히는 제1 외력 또는 제2 외력은 차단봉(40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거의 모두 전환되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충격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차단봉(400)은 그 외주면에 쿠션 부재(미도시)가 감겨져 있으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에 소정의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그 충격은 쿠션 부재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될 것이다.
복구 유닛(500)은 포스트(100)와 안착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안착판(200)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복구 유닛(500)은 차단봉(400)이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차단봉(400)이 원 위치되도록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안착판(200)을 도면상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복구 유닛(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구 유닛(500)은 안착판(200)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510)과, 포스트(100)에 내장되는 복구 모터(520)와, 그리고 복구 모터(520)의 회전력을 회전축(51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봉(400)이 제1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설정 시간 후 복구 모터(52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 전달 유닛(530) 통해 회전축(510)이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차단봉(400)은 원 위치된다.
일예로, 동력 전달 유닛(530)은 복구 모터(520)의 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531)와, 회전축(510)에 구비되는 제2 풀리(532)와, 그리고 제1 풀리(531)와 제2 풀리(532)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53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업/다운 모터(300)와 차단봉(400) 사이에 구비되어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부하 저감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부하 저감 유닛(600)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차단봉(400)의 하중을 분산시켜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 구성 요소로, 업 /다운 모터(300)의 축에 그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610)와, 제1 링크 부재(610)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620)와, 제2 링크 부재(6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630)와, 제3 링크 부재(630)의 타단에 그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차단봉(400)에 그 타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구동 암(640)과, 그리고 구동 암(64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6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업/다운 모터(30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1 링크 부재(610)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링크 부재(6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부재(620)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링크 부재(6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링크 부재(63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3 링크 부재(630)에 수직으로 연결된 구동암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암에 수직으로 연결된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구동암이 지지 부재(65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차단봉(40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나아가, 차단봉(400)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술한 내용에서 방향만 반대가 된다.
또한, 제1 링크 부재(610)의 길이가 제3 링크 부재(630)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업/다운 모터(300)의 축의 회전 반경이 짧아지므로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차 단봉(400)이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차단봉(400)이 설정 각도 회전된 후 멈추도록 하는 멈춤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안착판(200)은 원형일 경우, 상기 멈춤 유닛(700)은 안착판(2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가 이에 멈추도록 포스트(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멈춤턱(72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는 제1 돌기(711)와 제2 돌기(712)를 포함하고, 제1 돌기(711)와 제2 돌기(712)는 180도 간격으로 구비되고, 그리고 멈춤턱(720)은 제1 돌기(711)와 제2 돌기(712) 사이에 위치되되 제1 및 제2 돌기(711)(712) 각각에 대해 90도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위치될 경우, 상기 설정 각도는 90도로 한정될 것이다. 따라서, 차단봉(400)이 제1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90도 회전된 후 제1 돌기(711)가 멈춤턱(720)에 부딪혀 멈추게 된다. 또한, 차단봉(400)이 제2 외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90도 회전된 후 제2 돌기(712)가 멈춤턱(720)에 부딪혀 멈추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제1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멈춤 유닛(700)에 의해 멈출 때,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튕겨지는 현상을 차단시키는 제1 튕김 방지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튕김 방지 유닛(800)은 안착판(200)의 외주면 중 제1 설정 구간 에 다수개의 치가 형성되는 제1 치부(810)와, 그리고 안착판(200)이 회전된 후, 제1 치부(810)에 걸리도록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된 제1 걸림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튕길 경우 제1 걸림 유닛(820)이 제1 치부(810)에 걸리게 되므로 튕기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일예로, 제1 걸림 유닛(820)은 제1 치부(810)에 걸리는 제1 걸림바(821)와, 제1 걸림바(821)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걸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제1 탄성체(822)와, 그리고 제1 걸림바(821)에 구비되며,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전,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걸림바(821)를 회전시키는 제1 해제 모터(8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림바(821)는 제1 탄성체(822)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안착판(200)의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직전 제1 걸림바(821)는 제1 해제 모터(823)의 회전력(탄성력보다 큰 힘)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특히, 이렇게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유는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1 치부(810)의 다수개의 치는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제1 걸림바(821)의 끝단은 제1 치부(810)에 걸리도록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보다 확실하게 걸리게 되므로, 튕김 현상은 완전히 차단될 것이다.
나아가, 제1 걸림 유닛(820)은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해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8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부(824)는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복구 유닛(500)이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만약,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복구 유닛(500)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된다면, 복구 유닛(500)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복구 유닛(500)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부(824)로부터 해제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구 유닛(500)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제2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멈춤 유닛(700)에 의해 멈출 때,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튕겨지는 현상을 차단시키는 제2 튕김 방지 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튕김 방지 유닛(900)은 안착판(200)의 외주면 중 제2 설정 구간에 다수개의 치가 형성되는 제2 치부(910)와, 그리고 제2 치부(910)에 걸리도록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걸림 유닛(9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튕길 경우 제2 걸림 유닛(920)이 제2 치부(910)에 걸리게 되므로 튕기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일예로, 제2 걸림 유닛(920)은 제2 치부(910)에 걸리는 제2 걸림바(921)와, 제2 걸림바(921)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 걸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제2 탄성체(922)와, 그리고 제2 걸림바(921)에 구비되며,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전,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2 걸림바(921)를 회전시키는 제2 해제 모터(9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걸림바(921)는 제2 탄성체(922)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안착판(200)의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직전 제2 걸림바(921)는 제2 해제 모터(923)의 회전력(탄성력보다 큰 힘)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특히, 이렇게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유는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2 치부(910)의 다수개의 치는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제2 걸림바(921)의 끝단은 제2 치부(910)에 걸리도록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 보다 확실하게 걸리게 되므로, 튕김 현상은 완전히 차단될 것이다.
나아가, 제2 걸림 유닛(920)은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해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9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감지부(924)는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빠 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복구 유닛(500)이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만약,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복구 유닛(500)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된다면, 복구 유닛(500)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복구 유닛(500)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감지부(924)로부터 해제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구 유닛(500)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외부의 이물질 및 빗물이 장치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덮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110)는 포스트(100)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암(640)에 끼워진다. 또한, 덮개(110)는 차단봉(4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복구 유닛(50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 복구 유닛(1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유닛(1500)은 안착판(200)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포스트(100)에 그 타단이 구비되는 복구용 탄성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복구용 탄성체는 신장되고, 이 후, 복구용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안착판(200)은 원 위치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복구 유닛(50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 복구 유닛(2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유닛(2500)은 안착판(200)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2510)과, 그리고 회전축(2510)에 축 결합되는 복구 모터(2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복구 모터(2520)의 회전력에 의해 안착판(200)은 원 위치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복구 유닛(500)은 별도의 동력 전달 유닛(530)이 요구되는 반면, 제3 실시예의 복구 유닛(2500)은 동력 전달 유닛(530)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도 7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첫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을 차단시키는 차단봉(400)이 상기 차량과 접촉되면, 차단봉(400) 및 이에 연결된 안착판(200)이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차단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차량이 차량 차단 시스템으로 진입하면서 차단봉(400)에 부딪히면, 그 부딪히는 힘에 이해 차단봉(400)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도 7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회전된다. 특히, 차단봉(400)은 안착판(200)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300)에 연결되어 있고, 안착판(200) 또한 포스트(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부딪히는 힘은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도면상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 부딪히는 과정에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부딪히는 힘은 차단봉(40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거의 모두 전환되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충격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차단봉(400)의 외주면에 쿠션 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소정의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그 충격은 쿠션 부재(미도시)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될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안착판(200)의 제1 돌기(711)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걸리게 되므로, 안착판(200)의 제1 돌기(711)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안착판(200) 및 차단봉(4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즉, 튕김 현상)이 차단된다.
둘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회전되면, 안착판(200)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도 8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구동시켜 차단봉(4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셋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 안착판(200)이 원 위치되도록 복구 유닛(500)에 의해 안착판(200)이 차량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구 유닛(500)의 복구 모터(520)를 도면상 시계 방향(도 9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구동시켜 안착판(200)을 원 위치시킨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복구 유닛(500)의 복구 모터(520)가 구동되기 전, 제1 및 제2 걸림바(821)(921)가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제1 치부(810)와 제1 돌기(711) 사이의 간격 및 제2 치부(910)와 제2 돌기(712)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됨) 이격되도록, 제어부(미도시)가 제1 및 제2 해제 모터(823)(923)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걸림바(821)(921)를 회전시키므로, 안착판(200)은 원활하게 회전된다.
또한, 제1 및 제2 해제 모터(823)(923)가 오 동작을 일으킬 것을 대비하여, 제1 및 제2 감지부(824)(924)는 제1 및 제2 걸림바(821)(921) 각각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복구 모터(520)의 구동 여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보내게 되므로, 제1 및 제2 해제 모터(823)(923)가 오 동작된 상태에서는, 즉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걸린 상태에서는 복구 모터(520)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복구 모터(520)에 과부하가 걸려 복구 모 터(520)가 고장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넷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00)이 원 위치되면, 차단봉(400)이 원 위치되도록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차단봉(400)이 하방향으로 회전된다(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는 도 2참조).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00)이 원 위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시계 방향(도 10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구동시켜 차단봉(400)을 원 위치시킨다.
상술한 자동 복구 방법은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힐 경우(제1 케이스)에 차단봉(400)을 자동 복구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차량이 차단봉(400)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힐 경우(제2 케이스)에 차단봉(400)을 자동 복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2 케이스가 일어날 때 자동 복구 방법은 상기 제1 케이스에서 언급된 회전 방향들에 대해 반대로 진행되면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2 케이스가 일어날 때 동작이 다르게 진행되는 멈춤 유닛(700)과 제2 튕김 방지 유닛(900)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가 발생되어 차단봉(4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안착판(200)의 제2 돌기(712)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 걸리게 되므로, 안착판(200)의 제2 돌기(712)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안착판(200) 및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즉, 튕김 현상)이 차단된다.
한편, 차량이 차단봉(400)에 부딪히지 않는 상태, 즉 정상 상태에서의 차량 차량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허가된 차량이 차량 차단 시스템에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미도시)에 통과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차단봉(400)은 상방향으로 회전된다(도 2 참조). 따라서, 허가된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미도시)에 차단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이미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차단봉(400)을 지면에 대해 수평이 되게 유지한다(도 1 참조). 따라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 차단 시스템을 그대로 통과하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 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부딪혀 차단봉이 회전되더라도, 별도의 수 작업 없이 차단봉을 자동으로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하기 전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거나,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후진으로 인해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스트 200: 안착판
300: 업/다운 모터 400: 차단봉
500: 복구 유닛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포스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업/다운 모터;
    상기 업/다운 모터에 연결되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봉; 및
    상기 포스트와 상기 안착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에 회전력을 가하는 복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구 유닛은
    상기 안착판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 결합되는 복구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봉이 외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차단봉이 원 위치되도록 상기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안착판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업/다운 모터와 상기 차단봉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업/다운 모터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부하 저감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부하 저감 유닛은
    상기 업/다운 모터의 축에 그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타단에 그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단봉에 그 타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구동 암과, 그리고
    상기 구동 암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업/다운 모터의 축의 회전 반경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3 링크 부재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차단봉이 외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차단봉이 설정 각도 회전된 후 멈추도록 하는 멈춤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안착판은 원형이고, 그리고
    상기 멈춤 유닛은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이에 멈추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멈춤턱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180도 간격으로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멈춤턱은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돌기 각각에 대해 90도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차단봉 및 상기 안착판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멈춤 유닛에 의해 멈출 때, 상기 안착판이 반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튕겨지는 현상을 차단시키는 제1 튕김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튕김 방지 유닛은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 중 제1 설정 구간에 다수개의 치가 형성되는 제1 치부와, 그리고
    상기 안착판이 회전된 후, 상기 제1 치부에 걸리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된 제1 걸림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걸림 유닛은
    상기 제1 치부에 걸리는 제1 걸림바와,
    상기 제1 걸림바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걸림바가 상기 제1 치부에 걸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제1 탄성체와, 그리고
    상기 제1 걸림바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이 상기 복구 유닛에 의해 원 위치되기 전, 상기 제1 걸림바가 상기 제1 치부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 걸림바를 회전시키는 제1 해제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치부의 상기 다수개의 치는 상기 안착판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제1 걸림바의 끝단은 상기 제1 치부에 걸리도록 상기 안착판의 회전 방 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걸림 유닛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걸림바가 상기 제1 치부에서 해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6. 제8항에서,
    상기 차단봉 및 상기 안착판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멈춤 유닛에 의해 멈출 때, 상기 안착판이 반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튕겨지는 현상을 차단시키는 제2 튕김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2 튕김 방지 유닛은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 중 제2 설정 구간에 다수개의 치가 형성되는 제2 치부와, 그리고
    상기 제2 치부에 걸리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걸림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2 걸림 유닛은
    상기 제2 치부에 걸리는 제2 걸림바와,
    상기 제2 걸림바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걸림바가 상기 제2 치부에 걸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제2 탄성체와, 그리고
    상기 제2 걸림바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이 상기 복구 유닛에 의해 원 위치되기 전, 상기 제2 걸림바가 상기 제2 치부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2 걸림바를 회전시키는 제2 해제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2 치부의 상기 다수개의 치는 상기 안착판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제2 걸림바의 끝단은 상기 제2 치부에 걸리도록 상기 안착판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20. 제17항에서,
    상기 제2 걸림 유닛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걸림바가 상기 제2 치부에서 해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 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70099633A 2007-10-04 2007-10-04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KR10095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33A KR100956233B1 (ko) 2007-10-04 2007-10-04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33A KR100956233B1 (ko) 2007-10-04 2007-10-04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117A Division KR100978984B1 (ko) 2009-12-03 2009-12-03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
KR1020090119094A Division KR100978985B1 (ko) 2009-12-03 2009-12-03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44A KR20090034444A (ko) 2009-04-08
KR100956233B1 true KR100956233B1 (ko) 2010-05-04

Family

ID=4076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33A KR100956233B1 (ko) 2007-10-04 2007-10-04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8450B2 (ja) * 2010-06-11 2015-07-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通行遮断機
JP5656572B2 (ja) * 2010-06-11 2015-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通行遮断機
JP5610994B2 (ja) * 2010-11-09 2014-10-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通行遮断機
CN105625215A (zh) * 2015-12-30 2016-06-01 青岛工学院 一种自动复位道闸门防撞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3815U (ko) * 1990-09-12 1992-05-08
KR19990072984A (ko) * 1998-02-26 1999-09-27 야마모토 히로시 차단기및차단기에의한차량제어시스템
JP2000043729A (ja) * 1998-07-31 2000-02-15 Koito Ind Ltd 遮断機
KR100759957B1 (ko) *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3815U (ko) * 1990-09-12 1992-05-08
KR19990072984A (ko) * 1998-02-26 1999-09-27 야마모토 히로시 차단기및차단기에의한차량제어시스템
JP2000043729A (ja) * 1998-07-31 2000-02-15 Koito Ind Ltd 遮断機
KR100759957B1 (ko) *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44A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233B1 (ko)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KR100870672B1 (ko)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
JP5264554B2 (ja) 車両通行制御装置
JP5727160B2 (ja) 車両通行遮断機
US8522477B2 (en) Rotary lock comprising a locking arm that can be pivoted parallel to the main rotary axis
US20110088976A1 (en) Speed responsive engagement device
JP2000043729A (ja) 遮断機
KR100978984B1 (ko)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
WO1999000566A1 (fr) Dispositif interdisant a un vehicule de sortir d&#39;un parc de stationnement
WO2018129712A1 (zh) 利用发条机构驱动的翻转撑起式拦截网
KR100978985B1 (ko)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KR101095846B1 (ko) 휀스형 차단기
JP5653815B2 (ja) 車両通行遮断機
JP2017061824A (ja) ゲート装置
WO2007094643A1 (en) Rebounding prevention device of roadway safety guard
CN108189864B (zh) 行车轨面障碍物检测及清除装置
JP6286739B2 (ja) 発進制御機
KR101139285B1 (ko)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시스템
JP6021987B2 (ja) 車両通行遮断機
JP6074853B2 (ja) 駐輪機
JP6267545B2 (ja) 駐輪機及び駐輪機システム
EP2642028B1 (en) Barrier for controlling the transit of vehicles
JP2009235764A (ja) ゲート装置
JPH0941705A (ja) 駐車機の車止装置
WO2020166100A1 (ja) 自走せり上げ式仮設ユニット用の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