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691B1 - 박스세척기 - Google Patents

박스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691B1
KR100954691B1 KR1020100010649A KR20100010649A KR100954691B1 KR 100954691 B1 KR100954691 B1 KR 100954691B1 KR 1020100010649 A KR1020100010649 A KR 1020100010649A KR 20100010649 A KR20100010649 A KR 20100010649A KR 100954691 B1 KR100954691 B1 KR 10095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ox
water
wash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주 filed Critical 이성주
Priority to KR102010001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and hav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6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4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는 박스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롤러가 일렬로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박스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브러쉬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박스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서 세정된 박스를 고속 분사되는 에어로서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한 쌍의 롤러에 의해 박스가 자동 공급되면서 세척부에서 세척수와 브러쉬로 세척되고, 세정부에서 세정수로 다시 세정되며, 건조부에서 열풍으로 건조되어 배출됨으로써 박스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로 편리하고, 세척수나 동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박스세척기{box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박스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 특히 수산물 등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박스에 묻어 있는 찌꺼기나 이물질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박스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박스 세척방법은, 컨베이어 및 이 컨베이어를 따라 상,하부에 수개의 세척수 분사노즐이 설치됨으로써, 박스를 컨베이어에 의해 직선 이동시키면서 이 박스의 상,하부에 분사노즐을 통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였는데, 이러한 세척방법은 직선 이동하는 박스에 대해 박스의 구조상 곳곳에 세척수를 분사하기가 곤란하였다. 특히, 세척수가 동일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사각지대 즉, 세척수가 닿지 않는 부분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박스의 세척부분이 고르지 못하여 세척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박스 세척방법은 세척수의 유효분사량이 적어 세척수의 낭비 및 동력의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박스를 펼친 상태로 세워서 롤러로 자동 공급하여 물과 브러쉬로 세척하고 세척된 박스를 물로서 다시 세정하며 세정된 박스를 건조시켜 배출시킴으로써 박스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로 편리하고, 세척수나 동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박스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양단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는 박스를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한 쌍의 롤러가 일렬로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박스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브러쉬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박스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서 세정된 박스를 고속 분사되는 에어로서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롤러는 본체의 일편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된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대향되는 본체의 타편에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가동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바가 서로 대향되게 구성되며,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되어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봉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세정수가 저장된 세정조,
상기 세정조 내에 설치되어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세정조 내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봉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세정수가 유입되는 한편 유입된 세척수 및 세정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를 가지며, 그 하면은 일측에서 배수구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세정수를 안내하여 물탱크로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세정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복수의 필터,
상기 한 쌍의 롤러에는 롤러에 접하여 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를 더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브라켓 내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상기 가동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의 후단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롤러와 구동롤러에는 블록과 그루브가 형성되되, 상기 블록은 그 표면이 그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은 그 중앙부를 향해 깊어지는 홈을 형성하되 그 홈의 하부와 그루브를 연결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중앙부에서 양 측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그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박스세척기에 따르면, 구동롤러와 가동롤러에 의해 박스가 자동 공급되면서 세척부에서 세척수와 항균브러쉬로 세척되고, 세정부에서 세정수로 다시 세정되며, 건조부에서 열풍으로 건조되어 배출됨으로써 박스의 세척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로 편리하고, 세척수나 동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박스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나 가동롤러에 이물질이 묻더라도 각 롤러에 접한 별도의 브러쉬와 롤러의 표면에 성형된 홈이나 홀에 의해서 롤러 표면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세척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의 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세척기의 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여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세척기 및 이의 각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박스세척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본체(10) 상에 구성되는 투입부(20), 세척부(30), 세정부(40), 건조부(50), 배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는 박스(70)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동롤러(12)와 다수의 가동롤러(13)가 쌍을 이뤄 일렬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12)는 구동모터(11)에 의해 본체(10)에서 공회전되고, 상기 가동롤러(13)는 본체(10)에서 박스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롤러(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131)에 의해 회전하도록 지지되는데, 상기 지지수단(131)은 그 후면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 코일스프링(14)으로서 본체(10)에 설치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15)과 상기 지지수단(131)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롤러(13)가 지지되는 지지수단(131)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롤러(13)는 본체(10) 내로 투입되는 박스(70)의 두께에 따라서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며 후퇴되고,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공회전되는 구동롤러(12)는 박스(70)에 접한 상태로 박스(7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롤러(13)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수단(131)의 후단에는 가동롤러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수단(132)이 설치된다. 상기 표시수단(132)은 봉 형태로 일단은 상기 가동롤러(13)의 지지수단(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표시수단(132)은 박스에 부착된 이물질의 양이나 크기에 따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데(부착된 이물질의 양이 많거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돌출되는 길이가 더 커지고, 부착된 이물질의 양이 적거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돌출되는 길이가 적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돌출된 길이를 각종 센싱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길이와 정상상태에서의 돌출된 길이의 차이(L)을 비교하여 본 발명인 박스 세척기의 각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차이(L)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압을 조정하거나, 롤러(12),(1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박스의 세척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세척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박스(70)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12)와 가동롤러(13)에는 이와 접하는 각각의 브러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박스(70)의 이동 중에 박스(70)로부터 롤러(12)(13)에 이물질이 옮겨 붙더라도 회전되는 롤러(12)(13)에 붙은 이물질이 브러쉬에 의해서 신속하게 제거된다.
또한, 이러한 구동롤러(12)와 가동롤러(13)에는 블록과 그루브가 형성되는데, 블록은 단면의 직경이 큰 부분이며, 그루브는 단면의 직경이 작은 부분으로 블록은 박스와 접촉하여 박스를 이동시키며, 그루브는 이물질이나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은 그 표면을 경사지게 하거나, 홈이나 홀을 형성하여 박스에 부착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세척존에 설치된 롤러(12)(1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에 부착된 이물질이 상기 롤러(12)(13)의 블록의 일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12)(13)의 블록 표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거나(도 7a), 박스에 부착된 이물질을 가압하여 상기 블록의 중앙부로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의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홈을 형성하되, 그 홈의 하부와 그루브를 연결하는 홀(121)을 형성하거나(도 7b), 박스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블록의 양 측단부로 가압하여 이동시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블록의 중앙부에서 양 측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도 7c) 박스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들을 적극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롤러(12)(13)에 별도의 세척수나 세정수를 분사한다면, 롤러(12)(13)의 세척 또는 세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입부(20)는 본체(10)의 개구된 일단부에 구성되어, 박스(70)가 투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투입부(20)로 투입되는 박스(70)는 반드시 펼쳐진 상태로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20)에는 본체(10) 내부로 투입되는 박스(70)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바(21)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바(21)의 일단부는 투입부(20) 측으로 확개된 형태로 돌출되어 투입되는 박스(70)를 그 내부로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세척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20)와 인접하게 구성되어 이송되는 박스(70)를 세척수와 브러쉬로서 세척하는 부분이다.
상기 세척부(30)에는 다수의 세척라인(31)이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세척라인(31)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됨으로써 박스(70)에 세척수를 고압 고속으로 분사하므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라인(3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후술될 세척조(35)에 저장되는 한편 워터펌프(32)에 의해 세척라인(31)으로 압송되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세척라인(31) 후방부{박스(7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한다}의 구동롤러(12)와 가동롤러(13)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가 분사된 박스(70)의 표면에 접촉하여 박스(70)에 묻은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브러쉬가 모터(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는 항균브러쉬(33)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부(30) 하부의 본체(1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30)에서 떨어지는 세척수와 이물질을 수용하는 호퍼(18)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18)의 토출구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9)가 이중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설치된 필터(19)는 필터(19)를 수시로 정비할 수 있고, 정비 시에도 나머지 하나의 필터(19)는 그대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을 계속해서 걸러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호퍼(18) 하부의 본체(10)에는 호퍼(18)로부터 배출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물탱크(16)가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16)의 일측에는 집수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16)의 하면은 배수구(17)의 반대편 측에서 배수구(17)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6a)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6) 내로 집수된 세척수는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배수구(17)를 통한 자연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물탱크(16)는 세척조(35)에만 국한되지 않고 후술될 세정조(43)까지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물탱크(16)가 세정조(43)에도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6) 하부의 본체(10)에는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35)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35)에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수위센서(36)가 일정 높이마다 설치되며, 상기 세척조(35)의 바닥면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봉(37)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히터봉(37)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히터봉(37)에 의해 가열되는 세척수는 최대 40℃ 까지 가열됨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세척수가 세척라인(31)을 통해 박스(70)에 분사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히터봉(37)의 작동 시에는 반드시 세척조(35) 내부에 세척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작동시켜야 하는데, 이는 세척조(35) 내부의 수위센서(36)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조(35)에는 세척수의 잔량 확인 및 세척수의 공급을 위해 세척조(35)를 개폐시키는 맨홀(38)과, 가열된 세척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30)와 인접하게 구성되어 세척부(30)에서 세척된 박스(70)를 세정수로 세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세정부(40)에는 세정라인(41)이 세척라인(31)과 마찬가지로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세정라인(41)에는 박스(70)에 세정수를 고압 고속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세정라인(41)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워터펌프(42)에 의해서 본체(10) 하부에 형성된 세정조(43)로부터 압송되어 공급되고, 상기 세정조(43)에는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수위센서(44)가 일정 높이마다 설치되며, 상기 세정조(43)의 바닥면에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봉(45)이 설치되고, 상기 히터봉(45)은 봉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봉(45)에 의해 가열되는 세정수는 최대 40℃ 까지 가열되고, 이와 같이 가열된 세정수가 세정라인(41)을 통해 박스(70)에 분사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정부(40)의 히터봉(45) 역시도 전술한 세척부(30)의 히터봉(37)과 마찬가지로 히터봉(45)의 작동 전에 세정조(43) 내에 세정수의 존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 후 작동시켜야만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데, 이는 세정조(43) 내부의 수위센서(44)를 통해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40)에는 세정수의 잔량 확인 및 세정수의 공급을 위해 세정조(43)를 개폐시키는 맨홀(46)과, 가열된 세정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부(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부(40)와 인접하게 구성되어 세정부(40)에서 세정된 박스(70)를 고속 분사되는 에어(열풍)로서 건조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건조부(50)에는 세정된 박스(70)에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나이프(51)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나이프(51)에는 본체(10) 하부에 설치된 링브로워(52)에서 생성된 에어가 공급된다.
상기 에어나이프(51)는 도 2에서와 같이, 에어가 분사되는 선단부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짐으로써 오리피스 효과에 의해 에어가 고속 분사되어, 에어컷팅과 같이 박스(70) 표면의 물기를 모두 날려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브로워(52)에서 발생된 에어는 약간 뜨거운 공기로서 박스(70)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부(60)는 투입부(20) 반대편의 본체(10)에 구성되어, 건조된 박스(70)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박스세척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박스세척기(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킨 후, 박스(70)를 펼친 상태로 본체(10)의 투입부(20)로 투입시킨다.
그러면, 투입된 박스(70)는 확개된 가이드바(21)의 일단부를 통해 가이드되어 구동롤러(12)와 가동롤러(13) 사이로 진입되고, 이와 같이 진입된 박스(70)에 의해서 가동롤러(13)는 박스(70) 표면에 접한 상태로 박스(70)의 두께만큼 후방의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며 후퇴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2)에 의해 박스(70)는 투입부(20) 측에서 배출부(60) 측까지 연속하여 이송된다.
이러한 박스(70)의 이송 중에 세척부(30)의 세척라인(31)을 통해 세척수가 박스(70)의 양 표면으로 분사되고, 세척수가 분사된 박스(70)의 양 표면은 항균브러쉬(33)에 의해 닦임으로써 박스(70)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거된 이물질과 세척수는 세척부(30) 하부의 호퍼(18) 위로 떨어져 호퍼(18)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바, 이때 호퍼(18)의 토출구 상에 이중으로 설치된 필터(19)에 의해서 세척수는 통과되지만 이물질은 모두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필터(19)를 통과한 세척수는 호퍼(18) 하부의 물탱크(16)로 유입되어 집수되고, 집수된 세척수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물탱크(16) 바닥의 경사면(16a)에 의해서 배수구(17)를 통해 외부로 자연 배수된다.
한편, 세척부(30)를 통과한 박스(70)는 세정부(40)에서 다시 한번 세정라인(41)에 의해 박스(70)의 양 표면으로 세정수가 분사되어 박스(70)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박스(70)의 양 표면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나 세정수는 각각 세척조(35)와 세정조(43) 내부에 설치된 히터봉(37)(45)에 의해 대략 40℃ 로 가열된 상태로 분사됨으로써 박스(70)를 살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세정된 박스(70)는 건조부(50)에서 에어나이프(51)를 통해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 배출부(6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 중에 표시수단(132)에 의해 측정된 이물질량에 따라 물의 분사압이나 박스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박스 세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박스에 부착된 이물질들은 롤러(12),(13)에 형성된 경사면이나, 홈과 홀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거되며, 박스(70)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2)와 가동롤러(13)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에는 회전되는 구동롤러(12)와 가동롤러(13)에 각각 접한 브러쉬(미도시)에 의해서 롤러(12)(13)에 묻은 이물질이 신속하게 제거하게 된다.
1 : 박스세척기 10 : 본체
11 : 구동모터 12 : 구동롤러
13 : 가동롤러 14 : 스프링
15 : 브라켓 16 : 물탱크
16a : 경사면 17 : 배수구
18 : 호퍼 19 : 필터
20 : 투입부 21 : 가이드바
30 : 세척부 31 : 세척라인
32 : 워터펌프 33 : 항균브러쉬
34 : 모터 35 : 세척조
36 : 수위센서 37 : 히터봉
38 : 맨홀 40 : 세정부
41 : 세정라인 42 : 워터펌프
43 : 세정조 44 : 수위센서
45 : 히터봉 46 : 맨홀
50 : 건조부 51 : 에어나이프
52 : 링브로워 60 : 배출부
70 : 박스

Claims (6)

  1. 양단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는 박스를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한 쌍의 롤러가 일렬로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박스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브러쉬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박스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서 세정된 박스를 고속 분사되는 에어로서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본체의 일편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된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대향되는 본체의 타편에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가동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바가 서로 대향되게 구성되며;
    상기 세척부는,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되어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봉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세정수가 저장된 세정조,
    상기 세정조 내에 설치되어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세정조 내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봉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세정수가 유입되는 한편 유입된 세척수 및 세정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를 가지며, 그 하면은 일측에서 배수구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세정수를 안내하여 물탱크로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세정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복수의 필터,
    상기 한 쌍의 롤러에는 롤러에 접하여 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브라켓 내에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동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의 후단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세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러와 구동롤러에는 블록과 그루브가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블록은 그 표면이 그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세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러와 구동롤러에는 블록과 그루브가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블록에는 홈을 형성하되 그 홈의 하부와 그루브를 연결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세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러와 구동롤러에는 블록과 그루브가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블록은 중앙부에서 양 측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세척기
  6. 삭제
KR1020100010649A 2010-02-04 2010-02-04 박스세척기 KR10095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49A KR100954691B1 (ko) 2010-02-04 2010-02-04 박스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49A KR100954691B1 (ko) 2010-02-04 2010-02-04 박스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691B1 true KR100954691B1 (ko) 2010-04-27

Family

ID=4222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649A KR100954691B1 (ko) 2010-02-04 2010-02-04 박스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691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641B1 (ko) * 2010-06-08 2010-11-15 이성주 접이식 수산물 박스 세척기
KR101034978B1 (ko) * 2011-01-12 2011-05-19 이성주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CN102489484A (zh) * 2011-11-25 2012-06-13 厦门申颖科技有限公司 离心式洗箱装置
CN103302072A (zh) * 2012-03-09 2013-09-18 亿和精密金属制品(深圳)有限公司 胶箱清洗除尘装置
CN103372562A (zh) * 2012-04-18 2013-10-30 昭和(厦门)自动化洗净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双翻转装置的周转箱清洗装置
KR101350799B1 (ko) 2013-05-31 2014-01-13 오근성 박스 세척 및 건조장치
CN104923515A (zh) * 2015-07-23 2015-09-23 卓达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模板在线清洗机
CN109174882A (zh) * 2018-09-06 2019-01-11 宁波格劳博机器人有限公司 锂电池用电解液桶清洗线
CN110340090A (zh) * 2019-07-12 2019-10-18 李娅 一种化学品用空桶安全清洗仓储装置
CN111545541A (zh) * 2020-06-28 2020-08-18 郭锦端 一种食物周转箱清洗机
CN112122281A (zh) * 2020-08-21 2020-12-25 重庆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食品容器自动清洗的设备
CN112958567A (zh) * 2020-05-26 2021-06-15 沈彬彬 一种用于食品包装的高效清洗设备
KR20220134271A (ko) * 2021-03-26 2022-10-05 박동희 프레쉬 백 살균 세척장치
KR20220134816A (ko) 2021-03-25 2022-10-06 김진태 플라스틱 박스용 건식 연속세척장치
CN116000041A (zh) * 2023-01-31 2023-04-25 广东亿通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空瓶清洗吹干一体机
KR102550436B1 (ko) * 2022-05-26 2023-07-04 주식회사 뽀득 프레시 백 세척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프레시 백 세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363U (ja) * 1993-04-05 1994-10-28 サーテック株式会社 メッキ液洗浄回収装置
JPH09165913A (ja) * 1995-12-15 1997-06-24 Okamoto Masanori 建築用パネル洗浄機
KR20050066267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세정 장비
JP2006148144A (ja) * 2005-11-28 2006-06-08 Kawasaki Plant Systems Ltd 板材の洗浄設備およびその水切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363U (ja) * 1993-04-05 1994-10-28 サーテック株式会社 メッキ液洗浄回収装置
JPH09165913A (ja) * 1995-12-15 1997-06-24 Okamoto Masanori 建築用パネル洗浄機
KR20050066267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세정 장비
JP2006148144A (ja) * 2005-11-28 2006-06-08 Kawasaki Plant Systems Ltd 板材の洗浄設備およびその水切り装置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641B1 (ko) * 2010-06-08 2010-11-15 이성주 접이식 수산물 박스 세척기
KR101034978B1 (ko) * 2011-01-12 2011-05-19 이성주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CN102489484A (zh) * 2011-11-25 2012-06-13 厦门申颖科技有限公司 离心式洗箱装置
CN103302072A (zh) * 2012-03-09 2013-09-18 亿和精密金属制品(深圳)有限公司 胶箱清洗除尘装置
CN103372562A (zh) * 2012-04-18 2013-10-30 昭和(厦门)自动化洗净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双翻转装置的周转箱清洗装置
KR101350799B1 (ko) 2013-05-31 2014-01-13 오근성 박스 세척 및 건조장치
CN104923515A (zh) * 2015-07-23 2015-09-23 卓达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模板在线清洗机
CN104923515B (zh) * 2015-07-23 2017-07-14 卓达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模板在线清洗机
CN109174882B (zh) * 2018-09-06 2019-11-05 宁波格劳博机器人有限公司 锂电池用电解液桶清洗线
CN109174882A (zh) * 2018-09-06 2019-01-11 宁波格劳博机器人有限公司 锂电池用电解液桶清洗线
CN110340090A (zh) * 2019-07-12 2019-10-18 李娅 一种化学品用空桶安全清洗仓储装置
CN110340090B (zh) * 2019-07-12 2024-05-14 李娅 一种化学品用空桶安全清洗仓储装置
CN112958567A (zh) * 2020-05-26 2021-06-15 沈彬彬 一种用于食品包装的高效清洗设备
CN111545541B (zh) * 2020-06-28 2022-06-03 山东昊博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食物周转箱清洗机
CN111545541A (zh) * 2020-06-28 2020-08-18 郭锦端 一种食物周转箱清洗机
CN112122281A (zh) * 2020-08-21 2020-12-25 重庆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食品容器自动清洗的设备
CN112122281B (zh) * 2020-08-21 2021-07-23 重庆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食品容器自动清洗的设备
KR20220134816A (ko) 2021-03-25 2022-10-06 김진태 플라스틱 박스용 건식 연속세척장치
KR20220134271A (ko) * 2021-03-26 2022-10-05 박동희 프레쉬 백 살균 세척장치
KR102504425B1 (ko) * 2021-03-26 2023-02-27 박동희 프레쉬 백 살균 세척장치
KR102550436B1 (ko) * 2022-05-26 2023-07-04 주식회사 뽀득 프레시 백 세척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프레시 백 세척방법
CN116000041A (zh) * 2023-01-31 2023-04-25 广东亿通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空瓶清洗吹干一体机
CN116000041B (zh) * 2023-01-31 2023-09-29 广东亿通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空瓶清洗吹干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691B1 (ko) 박스세척기
KR102073515B1 (ko)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
KR100949034B1 (ko) 재생 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1384244B1 (ko) 운반용 박스 세척기
CN104652090A (zh) 洗衣机
CN109530327A (zh) 一种滚筒式超声波清洗机
KR101167163B1 (ko) 이송벨트 세척장치
US20220184246A1 (en) System for cleaning modular belts
KR20220165952A (ko) 농산물 탈수장치
CN107720170B (zh) 陶瓷底部除釉传输装置
KR100450294B1 (ko) 매트세척장치
KR200428189Y1 (ko) 오일 세척장치
KR101134484B1 (ko) 팔레트 자동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070038615A (ko) 매트 세척기
KR102030156B1 (ko) 브러쉬롤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러쉬롤 이물질 제거방법
CN103736682B (zh) 通过式高压水喷射清洁机
KR101826965B1 (ko) 머플러 조관용 금속부재 세척기
KR101515701B1 (ko) 매트 자동 세척장치
KR100994641B1 (ko) 접이식 수산물 박스 세척기
KR101343564B1 (ko) 보온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KR100668769B1 (ko)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20230000716A (ko) 식판 세정 시스템
KR101281763B1 (ko) 시편 세척 건조 장치
KR200357288Y1 (ko)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101203972B1 (ko) 식판 세척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0